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홍콩 내 주요 대학의 한국어문화 교육 현황과 사례

        김선아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이화어문논집 Vol.42 No.-

        그동안 해외의 한국어문화 교육에 대한 소개가 많이 되었지만, 홍콩의 대학 학부 과정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문화 교육의 현황과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홍콩의 대학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문화 교육 현황을 한국학/한국어 전공/부전공 과정을 개설한 주요 대학의 교과 과정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홍콩이공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현재 홍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문화 교육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홍콩의 학부과정에서 진행되는 한국어문화 교육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홍콩의 학습자들에게 주요 학습 동기이니만큼, 홍콩의 학습자들을 위해서는 한국의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한국어문화 교육이 진행되고 이를 위한 다양한 교재가 많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앞으로는 홍콩의 학습자들에 대한 한국어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 실행되어 홍콩 학습자들에게 특화된 효과적인 교육방법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tail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undergraduate programs at universities in Hong Kong are not nearly as well known as other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urricula of Korean Studies/Korean Language major/minor programs offered at four major universities in Hong Kong, and then to examine a specific cas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Korean minor program at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Korean popular culture, a.k.a. the Korean Wave, (e.g., K-pop songs, dramas and films, variety shows, webtoons) need to be actively utilized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incorporating Korean popular culture need to be developed more. Second, effectiv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that could facilitate Korean learning by Hong Kong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is Cantonese, especially at the beginning level, also need to be devised.

      • KCI등재

        수용자를 위한 대학 글쓰기 교재 개편 방안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전지니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6 No.-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llege writing textbooks that would start to be us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6.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tried to determine the directions for new writing textbooks, and determined to consider both thinking and expression in a synthetic way and to compile separate textbooks for different major fields of study. And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lected learners: First, a wide variety of writing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for the sake of learners who feel the need for writing for practical purposes. Second, the speaking sec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strategies about how to prepare presentation materials should be stressed. Specifically, how to foster presentation skills and how to write the statement should primarily be taught. Third, the use of exercises is necessary to provide motivation for learners to engage in more activities in class. Fourth, the kind of example sentences that are accessible to learners should be placed in front, as the difficulty of existing example sentences was pointed out by the learners. Fifth, the writing strategy for term-end essay that is currently included in the appendix should be moved to the body of textbook, and the right directions for essay writing for different fields of study should separately b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Ultimately, it's intended to compile efficient new textbooks to stimulate students, who use the textbooks in class, to continue to make use of them as their guides for writing even after they take all the classes in which the textbooks are used. To make it happen,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should try to ignite the interest of students in writing, to improve the practicality of new textbooks and to seek ways of fostering the thinking faculty of new college students, which is their biggest shortcoming. 본고는 2016년 1학기부터 사용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글쓰기 교재 개편의 방향성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국어 교재편찬위원회는 그간 글쓰기 교재의 방향을 모색한 결과, 사고와 표현의 종합적 측면을 반영하는 동시에 전공영역에 따라 세분화된 계열별 교재를 편찬할 것을 목표로 내세우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교재편찬위원회는 수용자 설문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했다. 첫 번째, 향후 교재는 실용적 목적에 입각한 글쓰기의 필요성을 느끼는 학습자를 위해 보다 다양한 글쓰기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말하기 부분을 강화해 발표 자료 작성법, 특히 프레젠테이션 기술과 발표문 만들기에 대한 전략을 강조해야 한다. 세 번째, 수업 중 활동 비중을 높이기 위해 연습문제를 통한 동기부여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학습자가 지적한 예문의 난해함을 해소하기 위해 이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예문을 전면에 배치하는 방안을 고민해 볼 수 있다. 다섯 번째, 현재 부록에 수록되어 있는 기말 소논문 쓰기 전략을 본문에 배치하되, 계열별 특성을 고려해 각 전공별 논문이 추구하는 방향을 차별화시켜 제시할 수 있다. 무엇보다 개편 중인 교재가 지향하는 바는 학생들이 수업을 듣고 난 후에도 교재를 지속해서 글쓰기의 지침서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향후 교재편찬위원회는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흥미를 자극하며 실용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대학 신입생에게 가장 부족한 사고력을 메워 줄 방안을 함께 모색해 갈 것이다.

      • KCI등재

        말하기 연계 글쓰기 교육의 수업 사례

        손달임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6 No.-

        This study is about Writing-Speaking integrated education lesson about Ewha Womans University case. I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n Language and Writing> has been operated as the only course for communication education. The goal of this curriculum is to develop the ability for logical speaking and writing, but the focus of the education is writing. But there are many students who find critical thinking and logical writing difficult. Relatively speaking, they think it is not difficult to speak oneself. Accordingly, I suggest the effective communication education methods for the integration educatio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In this course, as students performed verbal description, group presentation and individual interview, they experienced various speaking and writing. This process contributed to less students' emotional burden and raise the interest in writing. The students have on time learning a close association speaking and writing, also realizing communicative importance by the many interactive act. And furthermore, it could increase the ability to organize their own idea and explain logically. This study has signification in suggesting the possible education method in one course through the change of class management. 본고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의 <우리말과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말하기와 글쓰기를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말과 글쓰기> 과목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논리적인 글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그중에서도 글쓰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것보다 글로 표현하는 것에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술적인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말하기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글쓰기 수업 과정 중에서 학생들은 말 그림 그리기, 조별 발표와 토론, 개별 면담 등의 다양한 말하기 활동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글쓰기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말하기와 글쓰기가 별개의 과정이 아님을 스스로 깨닫게 된다고 생각한다.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방식의 말하기 활동을 글쓰기와 병행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체계화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종합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소개한 수업 사례는 글쓰기 교육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수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앞으로 수업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학습자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할 만한 보다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교수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세 한국어 ‘-리러-’의 용법 : ‘과거에서의 미래’를 중심으로

        신연수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이화어문논집 Vol.42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refinal ending ‘-rireo-’ in Middle Korean. ‘-rireo-’ is a combination of prefinal ending ‘-ri-’ and ‘-deo-’ in Middle Korean and expresses a variety of meanings-future in the past, assumption in the past, possibility in the past in indicative mood and counter-factual supposition in subjunctive mood. This study focuses on the use of ‘-rireo-’ as ‘future in the past’ marker in Middle Korean. ‘Future in the past’ is to refer to a future event relative to a point in the past. ‘-rireo-’ refers to a future event that is scheduled and predictable at a point in the past. ‘-rireo-’ is also comparable to ‘-(eu)l yejeong-i-eoss-’ which expresses the future in the past in Contemporary Korean. ‘-(eu)l yejeong-i-eoss-’ only refers to scheduled future event relative to a point in the past whereas ‘-rireo-’ refers to either scheduled or predictable future event. 중세 한국어의 ‘-리러-’는 선어말어미 ‘-리-’와 ‘-더-’의 결합형으로, 다양한 의미와 용법을 가진다. ‘-리러-’는 직설법(indicative mood)에서 ‘과거에서의 미래’, ‘과거에서의 추정’, ‘과거에서의 가능성’ 등을 표현하며, 종속법 (subjunctive mood)에서 주로 ‘-더든’, ‘-던댄’ 등의 연결어미와 함께 쓰여 ‘반사실적 가정’을 표현한다. 본고는 ‘-리러-’의 여러 용법 중에서 ‘과거에서의 미래’ 용법에 주목하여, 15세기와 16세기의 한글 문헌에 나타난 용례를 검토하고 과거에서의 미래 용법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과거에서의 미래’는 과거를 기준시로 했을 때 미래, 즉 그 시점 이후에 일어날 일을 표현하는 것이다. ‘-리러-’는 중세 한국어에서 과거 시점에서의 예정된 미래 사건이나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되는 사태를 나타내는데, 이때 화자가 그 사건 또는 사태에 대해 단언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에서의 미래 용법이 확인된다. 또한 과거 시점에서 예정된 미래 사건이나 예측되는 사태는, 발화시인 현재를 기준으로 할 때 일어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한편 현대 한국어에서는 ‘-ㄹ 것이었-’, ‘-ㄹ 예정이었-’ 등의 우언적 구성을 통해 과거에서의 미래를 나타낼 수 있다. 그중에서 ‘-ㄹ 예정이었-’은 과거 시점에서의 예정된 미래 사건을 표현하는데, ‘-리러-’와 비교하였을 때 그 사건이 예정된 때에 일어나지 않았다는 문맥에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 KCI등재후보

        1910년대 이광수 단편소설의 고백 서사적 특징 연구

        손자영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이화어문논집 Vol.42 No.-

        한국 근대 문학의 형성에 대한 논의는 가라타니 고진이 ‘제도로서의 고백’을 통한 내면의 발견을 이야기 한 이래로 그의 이론에 기대어 이루어졌다. 고진은 일본 근대 문학은 고백이라는 제도가 오히려 고백해야 할 대상을 만들어 냈다고 하면서 근대문학의 자명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만 우리 근대 문학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1910~1920년대 작품들에서 고백의 서사를 찾아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즉 주체의 자각을 통한 자아의 각성과 내면의 발견을 근대 문학의 원리로 보았을 때, ‘고백’은 이러한 주체를 드러내는 가장 확실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광수의 초기 단편 「어린 벗에게」와 「방황」그리고 「윤광호」를 중심으로 그의 문학에 있어 중요한 양식으로 자리하고 있는 고백 서사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이들 작품의 고백하는 화자는 모두 질병을 통해 낭만화 되는 경향을 보인다. 병적 주체들은 죽음을 목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백의 진실성을 획득하고 있다. 따라서 건전성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지만 질병과 죽음을 통해 화자들은 고백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진실성을 인정받고 근대적 주체들로 나아간다. 두 번째로 고백의 주체들은 화자와 청자의 권력 구도의 전도를 통해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는 전형적인 고백의 구조를 뒤집고 계몽적 교시자의 위치에 서 있다. 이러한 위치의 전도는 결국 고백이 갖는 의미를 변화시키고 작가의 의도된 전략적 형식으로서의 고백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광수의 도덕적 자기 완성으로서의 근대적 주체가 된 고백의 화자들은 금욕주의적 인물들로 사랑을 인식하는데 있어 분열된 모습을 보인다. 자신들에 대한 비난에 맞서 반성하는 고백의 주체들은 고백을 듣는 청자를 향해 강렬한 정신 지향과 그에 비례한 육체적 사랑에 대한 부정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금욕적 태도는 화자 내부의 욕망과 충돌하면서 이광수의 계몽으로서의 고백은 균열의 지점을 드러내고 있다. A discussion of the formation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took place by Karatani Kojin’s theory, since he provided a story of discovering the inner side through “Confession as a System”. Kojin’s modern Japanese literature insisted that rather a confession, sort of system, made an object to confess, bringing up an issue of obviousness of modern literature. However it is not that difficult to find out narratives of confession in the works published in the 1910 to 1920s, which were the beginning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refore if the awakening of the self and inner discovery through the subject consciousness are regarded as the principle of modern literature, the ‘confession’ should be the most certain form which shows such subject. Thus, this thesis examined the aspect of confession narrative which is placed as an important form in his literature, focusing on Lee Kwang-Soo’s early short stores ‘To My Little Friend’ and ‘Roaming’, and analyzed its meaning. All narrators who confessed in Lee’s works tended to romanticize all illnesses. In term of subjects’ falling ill and meeting their death, veracity of confession had earned. Therefore, although integrity and vision of future were not shown in the works, narratives earned veracity through illness and death, in which confession is supposed to be about, and moved forward as modern subjects. Narratives of confession were ascetic characters who remained divided in recognizing love. Modern subjects dreamed of free love, but were negative about intensive mental orientation and physical love proportionate to it. Lastly, narratives in the ‘To My Little Friend’ and ‘Roaming’ were in the position of abettor, overthrowing the structure of typical confession between narrative and listener. The image of such overthrown confession consequently ] changed what the confession was meant to be, and was comprehended as confession in a strategic form which the author really intended to.

      • KCI등재
      • KCI등재

        만주 재현 소설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 만주국 후기 소설을 중심으로

        김향화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6 No.-

        ‘만주’는 제국주의에 의해 고향으로부터 추방당한 근대의 조선인이 희망과 절망을 반반씩 지니고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지향했던 곳이다. 본고에서는 재만(在滿) 경험을 토대로 창작을 진행한 작가들이 ‘제2의 고향’으로서의 ‘만주’를 어떻게 서사하고 있으며 고향(조선)에 대한 작중 주인공의 인식의 변화과정을 통하여 특정한 작가의 특수한 ‘재만’의 경험에 주목하고자 한다. 동시에 이러한 특수한 ‘재만’의 경험에 대한 중층적인 분석을 통하여 ‘민족’과 ‘국민’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던 ‘식민지 조선인’에게 시사된 고향의 다양한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삼는다. 조선인 작가의 ‘재만’(在滿)이라는 경험은 단순하게 해석할 수 없는바 그것은 객관적으로 역사의 변천과 정치적인 제도의 변화과정과 관계되는 동시에 주관적으로 작가의 경력과 문학 창작 의도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당대에 만주에서 살았고 직접적으로 만주를 체험했지만 각각 다양한 신분과 경력을 가진 대표적인 작가로 안수길과 김창걸, 박계주의 일부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아울러 ‘재만’이라는 작가적 경험의 특수성을 재해석하고 그에 따라 다양하게 표상되는 ‘고향’의 의미에 대해 되짚어봄으로써 만주의 조선인에게 ‘고향’은 어떤 의미로 각인되고 변천되어왔는가를 연구한다. 물론 단순하게 이주민의 강한 정착 의지와 망향의식, 향토의식 등으로는 해석의 제한이 뒤따르고 있는 건 사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만주에 거주하면서 창작 활동을 했고 만주 재현 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로 손꼽히는 안수길의 후기 작품인 「土城」과 「牧畜記」, 만주에서 태어나고 교육을 받았지만 다시 조선으로 돌아가서 만주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창작을 진행한 박계주의 「處女地」와 「母土」, 어렸을 때 만주로 이주하여 해방 후에 만주에 남은 중국 조선족의 대표적인 작가 김창걸의 「두번째 고향」을 텍스트로 삼아 연구를 진행한다. 상기 작품들은 모두 만주국 후기에 창작되었으며 만주국의 이념인 ‘왕도낙토(王道樂土)’와 ‘오족협화(五族協和)’ 사상을 일정하게 반영함으로써 시국에 편승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본고는 이러한 특수한 사회 정치적 상황에서 조선 이주민들에게 시사된 ‘고향’의 의미를 분석하고 나아가서는 ‘재만’이라는 삶의 중층성과 다양성을 발굴하는데 그 연구 의의를 둔다. In this manuscript we examine how the writers who have slightly different experiences of Manchuria and composed based on that experience describe “Manchuria,” their “2ndhome,”and how the special “Manchuria” of each particular writer is detailed by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character’s awareness in regards to their original hometown(Joseon).Also, our research purpose is to analyze the various meanings of this forced hometown for the “colonial Korean people,”who have experience didentity confusion between“Ethnicity” and“Nation,”through the multi-level analysis of this special“Manchuria.”“Manchuria”was the place where the“Joseon People”were exiled from their hometown and forced to take root due to Imperialismand where they started anewlife after emigrating with both, hope and despair, in their hearts. The experience of “Manchuria(在滿)” of the Joseon writers is not simple to analyze since objectively it’s related to the historical change as well as the change in political system while subjectively it’s deeply related to the writers’ career and the intention of their literary creations. In this manuscript, the study object is the partial works of Ahn Soo-kil, Kim Changgeol, and Park Gyeju, who are representative authors who have directly experienced Manchuria and have various positions and work experiences. It also seeks to reinterpre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s experience that is “Manchuria” and research the various presentations of the meaning of “hometown” and how this meaning of “hometown” is imprinted or changed for the people of Joseon living in Manchuria. Of course there will be limits to the simple interpretation of the emigrant’s strong will to take root, their nostalgia, indigenous awareness, and others. In this manuscript we used the late「土城」 and 「牧畜記」works of Ahn Soo-kil, who lived and wrote in Manchuria for a long time and is a renowned representative author of Manchurian literature, 「處女地」and「母土」of Park Gyeju, who was born and educated in Manchuria but returned to Korea to write based on his experience, and “2ndHometown” by Kim Changgeol, who emigrated to Manchuria when he was young and stayed there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s a representative Chinese-Korean author. The texts mentioned above were all writte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Manchuria nation and reflects the Manchurian philosophy of “왕도낙토(王道樂土)” and “오족협화(五族協和) thought in a slightly different manner and seems to take advantage of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this manuscripts seeks to discover the diverse layers of life in “Manchuria”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forced “hometown” of the emigrants during that socio-political time.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을 한다는 것, 그 돌아보기와 내다보기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정체성 찾기에 대하여

        최규수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6 No.-

        대학 글쓰기 교육을 담당하는 한 축으로 교수자의 역할과 교육현장에서의 소회를 돌아보는 것은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유의미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기되는 제언들이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을 찾는 현실적인 지표가 되기를 소망한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글쓰기 교육을 전담하는 교수자의 입장에서 고민되는 두 가지 지점을 짚어보았다. 글쓰기 교육에는 여느 교양교육에서와는 다른 각도에서의 교육적 배려와 책임감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첫째, 글쓰기 이론이 여과 없이 글쓰기 교육에 적용될 수 없다는 점에서 ‘글쓰기’를 위한 이론과 별개로 ‘글쓰기 교육’을 위한 이론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글쓰기 행위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전제로 교육현장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그에 맞춤한 교수법의 고안이 보다 치밀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이 이론적 토대를 갖추게 된다면, 글쓰기 교수자들의 문제의식과 이를 토대로 한 현장보고가 유용하고 유의미하며 유효한 필터링의 역할을 해주게 될 것이며, 또 그런 역할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3장에서는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을 한다는 것의 지향점을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하나는 대학시절의 글쓰기 경험치에 대한 주목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육의 현실적 필요성에 대해 고민하고 제대로 방향잡기를 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이에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비중 강화와, 자기성찰의 글쓰기에 대한 효율적인 연습을 제안하였다. 다른 하나는, 교과과정에 대한 이해를 보다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효율적인 교과과정을 구성하는 것은 다양한 교수자들의 개성적인 교수법이 허용되는 기본토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며,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구심점으로 제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Looking around a teacher’s role and the impressions at the education site as a axis of the college writing may be a meaningful work to find the identity of college writing. I hope the raised proposals in this process to be the practical index to find the direction of college. Summing up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I considered two points which are especially concerning at the point of a teacher. Different angle from general education, educational care and responsibility is needed in writing education. First, trying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writing education’ is needed in a regard that the writing theory could not be applied to writing education without filtering. Second, exact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site and the teaching method are needed on the premise of examination of the writing. Given that the writing education at the college has the theoretical basis, the critical mind of teachers and site-report are meaningful. And it could and must do the role of ‘filter.’ At chapter3, I reviewed the points of writing education in two ways. One, the attention on the experience of college writing, It is important to have the interest at setting the direction as considering the necessity of college writing. So I have proposed strengthened gravity on academic writing. The o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is needed to expand. To compose a effective curriculum is to be a basis of characteristic teaching method and a pivot of writing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