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홈페이지 이용자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 원광대학교 재학생 중심으로
Nowadays university is faced with new environment. The university must prepare a competitive power which is the possibility to present the vision of future with introduction of the student service and developed education for the student. From this paper, first of all I observed the special quality of homepage of WonKwang university and then I investigated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homepag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undergradu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se of university homepage from uses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s. The analyses identified many motives of using homepage. Those motives included information seeking, find companionship, diversion, personal interest, utility. In addition, this study ascert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ing motives of homepage and involvement, using behavior, and evaluation toward homepage attribut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most university students and staves agree on the importance of the homepage but their satisfaction was low. Based on these results, if we provide various contents which are accurately grasped the necessity and demand of the students who use the homepage of WonKwang university, it will be a great help to university for public relations effect and also image improvement of university. 오늘날 대학은 새로운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다. 대학시장의 개방, 수험생의 감소, 자유로운 경쟁논리의 침투 등 많은 환경이 변화되고 있다. 이제는 대학 이 단지 학생선발만을 목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각 대학별로 다양하고 새로운 컨텐츠의 확보가 중요하게 되었다. 대학이 학생들에게 보다 발전된 교 육과 학생서비스의 도입으로 미래의 비전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 어야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용과 충족의 관점으로부터 대학홈페이지의 이용을 설명 하고자 하며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홈페이지 사용의 동기 요인을 설명하고 이 에 따라 원광대학교의 홈페이지 특성을 살펴보고 재학생 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하여 대학 홈페이지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동기요 인들은 정보 찾기, 교제 찾기, 다양성, 오락(기분전환), 개인적 흥미 등을 포 함하며, 게다가 본 연구에서는 홈페이지의 동기이용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홈페이지 속성을 평가 하였다. 그 결과 모두 홈페이지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을 보였으나 실제 이용하는 학생들의 홈페이지에 대한 만족도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광대학교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재학생들의 요구와 필요성을 정확히 파악 하여 보완하고 발전시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한다면 대학홍보의 효과는 물론 대학의 이미지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고울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lan for community cooperation at universities located in provincial areas. Local universities in Korea are experiencing a double crisis due to the decline in university status due to local extinction and the stagnation of local cities, and the decline in admission rates due to a rapid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crisis of universities that began in the provinces is soon developing into a problem of universities in all Korean society. Since the early 2000s, universities have already been required to play a more expanded social role,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role norms of education and research. In this respect,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role of universities within the community has changed and how recent universities cooperate with the community. Universities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education and research functions, but since the 2000s, Korean society has attempted to transform into an entrepreneurial university centered o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by accepting the Western university innovation model. However, in the 2020s, local universities in Korea faced a new environment of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local extinction. Accordingly, universities are being asked for new changes that suit the Korean situation. In this direction, universities are developing into a structure that strengthens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while shifting from the existing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model to a regional-base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model using university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rection in which universities cooperate with local communities in accordance with recent policies, and to find out how local universities should cooperate with local communities in the future. First, the type of community cooperation as a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role of a university was investigated. This was analyzed through policies and regional linkage projects that can know the changes in the role of universities in the community. The role of universities was examined through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lans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lans, and the types of cooperation were analyzed through 「Campus Innovation Park Projects」 and 「Local Government-University Innovation-based Regional Innovation Projects」. 「Campus Innovation Park Projects」 appeared as a model that shares the space and facility resources of universities. 「Local Government-University Innovation-based Regional Innovation Projects」 appeared as a model for sharing university knowledge and human resource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university's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the case of regional cooperation between Wonkwang University and Jeonju University was analyzed. Wonkwang University appeared as a ‘university city-type' model that combines spatially and culturally with the local community. Jeonju University appeared as a 'regional problem-solving type' model that solves Jeonju's problems based on the university's expertis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 form of combining Wonkwang University and Jeonju University models with local universities located in areas facing the crisis of local extinction was proposed as a community cooperation model. This is because the "university city type" model secures sustainability, and "regional problem-solving type" is a good methodology for community coopera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data collection, such as substantially internal documents of universities or inability to access private data. In addition, as a study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ies located in areas facing regional extinction, it cannot be said to be a general plan for universities located in other areas other than these areas. However, it is judged that local universities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in efforts to co-prosperity develop as subjects of the local community. 본 연구는 지방에 소재한 대학의 지역사회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지방대학들은 지방소멸과 지방도시의 침체로 인한 대학 위상의 하락과 급속한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입학률의 저하로 이중의 위기를 겪고 있다. 지방에서 시작된 대학의 위기는 곧 한국사회 전체 대학의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대학은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교육과 연구라는 전통적인 역할규범에서 벗어나 보다 확장된 사회적 역할을 요구받아 왔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에서 대학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하였고, 최근의 대학들은 지역사회와 어떠한 형태로 협력하는지에 관심을 둔다. 대학은 전통적으로 교육과 연구 기능을 주로 하였으나, 2000년대 이후 한국사회는 서구의 대학혁신 모델을 받아들이면서 산학협력 중심의 기업가적 대학으로 전환을 시도해왔다. 그러나 다시 2020년대 들어 한국의 지방대학은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소멸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부딪치면서 한국적 상황에 맞는 새로운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이 같은 방향에서 대학은 기존의 산학협력 모델에서 대학의 자원을 활용한 지역기반 산학협력모델로 전환하면서 동시에 지역사회와 협력을 강화하는 구조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들이 최근의 정책에 따라 어떠한 형태로 지역사회와 협력하는지 방향성을 살펴보고, 이들을 중심으로 앞으로 지방의 대학이 지역사회와 어떻게 협력해야 할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대학의 산학협력 역할로서 지역사회 협력 유형을 살펴보고자 지역사회내에서 대학의 역할 변화를 알 수 있는 정책과 지역연계사업을 분석하였다. 국가균형발전계획과 산학협력계획을 통해 대학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 「캠퍼스혁신파크사업」과 「지자체-대학 혁렵기반 지역혁신사업」을 통해 협력 유형을 분석하였다. 「캠퍼스혁신파크사업」은 대학의 공간과 시설자원을 「지자체-대학 혁렵기반 지역혁신사업」은 대학의 지식과 인적자원을 협력하는 모델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의 지역사회참여 모델을 살펴보고자 원광대학교와 전주대학교의 지역협력 사례를 분석하였다. 원광대학교는 지역사회와 공간적, 문화적으로 결합하는 대학도시형 모델로 전주대학교는 대학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주시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역문제해결형 모델로 나타났다. 위 분석을 토대로 지방소멸의 위기에 직면한 지역에 소재한 지방대학에 원광대학교와 전주대학교 모델을 결합한 형태를 지역사회 협력모델로 제안하였다. 대학도시형 모델은 지속가능성이 확보되고, 지역문제해결형은 지역사회 협력 방법론으로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실질적으로 대학의 내부문건이거나 비공개자료는 열람하지 못하는 등의 자료수집의 측면에서 한계점을 가진다. 또한, 지역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관점에서 진행한 연구로서 이들 지역외에 다른 지역에 소재한 대학들에는 일반적인 방안이라 할 수 없다. 그러나 지방의 대학들이 지역사회의 주체자로서 상생발전할 수 있는 노력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 캠퍼스의 야간경관에 관한 연구 : 전북대학교와 원광대학교를 중심으로
유서군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야간경관은 밤 시간의 도시를 단순히 ‘밝히는’ 데 그치지 않고 안전과 도시의 미, 사람들의 야간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목적에서 조성된다. 대학 캠퍼스는 면적과 유동 인구 면에서 상당한 규모를 가진 공간이기에 도시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며 그 숫자도 국내로 한정한다 해도 상당하다. 하지만, 대학을 가지고 있는 국내의 여러 도시에서 기획하는 야간경관계획에서 대학은 계획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으며, 대학 캠퍼스 자체의 기획에서도 야간경관계획은 도시적인 맥락과 대학 구성원들의 활동을 고려한 심도 있는 분석에 바탕을 두기보다는 주요 건축물과 광장, 조형물을 드러내거나 길을 ‘밝히기’ 위한 목적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판적 의식에서 대학 캠퍼스의 야간경관을 조성하기 위한 공간적 이슈를 밝히고 적합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의 가장 규모가 큰 대학인 원광대학교와 전북대학교 캠퍼스를 대상으로 사례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두 대학의 야간경관 현황에 대한 조사와 학생들의 현재 캠퍼스 야간 경관 평가를 통해 두 대학의 야간경관의 특성을 도출함과 동시에 학생과 캠퍼스의 야간경관 사이의 관계와 현재 학생들의 야간경관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대학 캠퍼스의 야간경관의 형태를 조사하고 학생들을 위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야간 캠퍼스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학 캠퍼스 야간경관계획에서 야간은 단순한 하나의 밤 시간대가 아니라 캠퍼스 건물의 배치와 학생 활동, 주민 지원 공간 등을 고려하여 시간대별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시간대별로 공간적 활용과 활성화되는 장소가 상이한 것에 있다. 두 번째, 야간경관의 의도에 따라 캠퍼스의 주요 동선계획을 야간에는 낮 시간대와 다르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야간시간에 캠퍼스 내 도로 이용은 낮 시간대보다 일부 도로에 더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학생들은 캠퍼스 이동 시, 야간경관이 더 우수한 캠퍼스 도로를 통행로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 번째로 캠퍼스의 야간경관과 캠퍼스 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정비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동시에 야간활동의 안정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원광대학교와 전북대학교의 조사는 야간경관의 안정성, 야간활동을 고려한 사회적 공간의 배치, 학교 브랜드를 높이기 위한 조명의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야간 경관 계획의 중요성을 드러냈다. Night scenery is created not only to "light up" the city of night time, but also to create an environment to support safety, the beauty of the city, and people's night activities. Since the university campus is a space with a considerable size in terms of area and floating population, i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city, and the number is considerable even if it is limited to Korea. However, universities are excluded from the nightscape plan in various cities in Korea, and the plan of the university campus itself is aimed at revealing major buildings, squares, and sculptures or "lighting up" the way rather than based on in-depth analysis considering the urban context and activities of university members. In this consciousnes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patial issues and present appropriate alternatives to create a night view of the university campus.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ampuses of Wonkwang University and Jeonbuk Nation University, the largest universities in the Jeonbuk region.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universities' nightscape were derived through a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nightscape of the two universities and the evaluation of the current campus nightscap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campus nightscap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shape of the night view of the current university campus and discussed how to create a safe and reliable night campus environment for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niversity campus night landscape plan, night time is not just a night time zone, but a time zone plan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 layout of campus buildings, student activities, and resident support spaces. The reason is that the spatial use and activation places are different for each time zone. Second,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night view, the main movement plan of the campus can be different from the daytime at night. In fact, the use of roads on campus at night tended to be more concentrated on some roads than during the day, and students often chose campus roads with better night views as passageways when moving on campus. Third, there wa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campus's night view and satisfaction with the campus spac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hat the stability of night activities increased. In addition, surveys by Wonkwang University and Jeonbuk National University revealed the importance of night landscape planning in terms of the stability of night scenery, the arrangement of social spaces in consideration of night activities, and the role of lighting to enhance school brands.
이 연구는 원광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아동의 유치 발치 원인에 대해 조사하고, 연령, 성별 및 치아 종류에 따른 발치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7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원광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여 1개 이상의 유치 발치를 시행한 만 3 – 12세 환자 1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치된 유치는 총 2078개였으며, 유중절치(34.1%)가 가장 높은 빈도로 발치되었다. 생리적 동요(77.5%)로 인한 발치가 가장 빈번하였으며, 우식(13.8%), 교정(3.9%), 외상(1.7%)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생리적 동요로 인한 발치가 우세하였지만, 치아 종류에 따라 발치 원인에 차이를 보였다. 우식으로 인해 발치된 유치의 54.6%에서 선행 치료가 없었음이 확인되었다. 정상적인 생리적 탈락 외에 우식으로 인한 유치 발치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유치의 보존 및 아동 구강건강의 향상을 위해 예방 치료 및 정기적 검진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incipal reasons for primary teeth extractions and the tooth type extracted in children. 1159 patient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Dental records and radiographs were reviewed and age, gender, medical history, type of tooth extracted and the reasons for extraction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Total 2078 primary teeth were extracted. Central incisors(34.1%) were most frequently extracted. Extractions due to physiological mobility(77.5%) wer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caries(13.8%), orthodontic(3.9%), trauma(1.7%). Reason for the extrac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age (p = 0.000),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p = 0.109). While extractions due to physiological mobility predominated overall, reason for extrac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ooth type. There was no previous treatment in 54.6% of primary teeth extracted due to caries. Excluded physiological mobility, caries are the most common reason for extraction of primary teeth.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care should be emphasized in order to preserve primary teeth and improve children's oral health.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미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concep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on thei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There is a trend that the number of high schools and colleges that offer beauty art education is on the rise along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beauty industry, but this industry is still confronted with manpower problem, and workers in the industry usually don't take their job seriously. Therefore it's meant in this study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self-concept among beauty art majors and to boost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aware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beauty art majo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North Jeolla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ir self-concept on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the answer sheets from 506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a SPSS 17.0 program. The response rate stood at 84.3 percent. A reliability analysis was made to check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variables, and a factor analysis was utilized to check their construct valid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ere investigated by obtaining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and making a frequency analysis. Beside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carried out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in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and two-way ANOVA was employed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among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differences in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self-concept, the dimension of achievement self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areer awareness(p<.001). That was negatively affected by career purposiveness that meant to make a career choice not by internal motivation but for employment or good prospects(ß=-.13, p<.01), and career barriers(ß=-.24, p<.001)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it as well. Second, whether the self-concept of the beauty art majo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reativity was checked, and self-concept was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ity (F=196.37, p<.001). Third, whether the creativity of the beauty art majo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areer awareness was investigated, and creativ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areer awareness(F=47.43, p<.001).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cept and creativity to career awaren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ffected career barriers only in a significant manner(F=4.17, p<.05). The group that put higher value on achievement self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wareness. The group that set higher value on their own imaginative thinking were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65 to a low of M=3.21)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53 to a low of 3.22). The group that prized their own divergent thinking better was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71 to a low of M=3.23)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67 to a low of 3.13). There were more career barriers(from a high of M=2.75 to a low of M=2.98) and stronger career purposiveness(from a high of M=2.61 to a low of M=2.84) in the latter than in the former. The group that had a higher opinion on their own social ego and imaginary thinking were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65 to a low of M=3.22)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54 to a low of M=3.22). Fifth,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cep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analyzed,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assurance(p<.05). Self-concept and academic year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termination(p<.05), and self-concept and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impact on career purposiveness(p<.01). In the group with better self-concept, the women (M=3.73) excelled the men in career assurance, but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self-concept, the men(M=3.48) outdid the women in that aspect. As for career barriers, the seniors(M=2.89) encountered more career barriers in the group with better self-concept, but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self-concept, the sophomores were confronted with more career barriers. Sixth,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check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just in career purposiveness (p<.05) according to gender.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each general characteristic on career awareness, the men(M=3.07) were ahead of the women in career purposiveness in the group with better creative thinking.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creative thinking, the women(M=2.80) were ahead of the men in that aspect. Seventh,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o self-concept,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whether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made any differences to self-concept was analyz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achievement self according to that(F=4.08, p<.01). Specifically,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was most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at beauty art academies(M=3.77). As to differences in creativity by academic ye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only in imagination according to that(F=3.02, p<.05). The seniors(M=3.59) were most imaginative, followed by the juniors(M=3.37), sophomores(M=3.35) and freshmen(M=3.26). Thus, the students whose academic year was higher were more imaginative. Whether their creativity varied with a post-college career plan was analyzed, and those who were going to keep studying their current major field of study at graduate school(M=3.57) were most imaginative. Those who were going to go to graduate school(M=4.02) were the best in terms of divergent thinking as well. Whether their creativity varied with the degree of difficulty of major was checked, and there was a difference only in imagination according to that(F=4.97, p<.01). Whether their academic year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investiga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career assurance according to that(F=2.61, p<.05). In particular, the seniors(M=3.66) excelled the others in that aspect, which showed that a higher academic year led to more career assurance. Whether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analyzed, and career assurance was most bound up with their experiences at beauty art academies(M=3.57). Whether their career awareness differed with a post-college career plan was checked, and those who didn't ever think of it(M=3.17) faced the most career barriers(F=5.52, p<.001). The students who were going to keep studying their major field of study at graduate school(M=3.72) were the best in terms of career assurance, and those students(M=3.72) were the best in terms of career determination as well.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the self-concept of beauty art majors to thei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and self-concept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variables to affect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in a significant manne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linked to each other and vari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 positive view of beauty art and confidence were two primary variables to design one's future. Therefore beauty art majors should wake up to the importance of the right self-concept, and beauty ar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awareness. 본 연구는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자아개념 차이에 따라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미용분야의 양적인 팽창과 함께 미용관련 고등학교와 대학 및 대학교가 늘어가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겪고 있는 인력난과 직업의식의 결여가 문제되고 있기에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아개념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며 창의적 사고와 진로의식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용전공 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506부, 84.3%를 SPSS 17.0의 프로그램으로 변수간의 내적 일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신뢰성 분석을 하였으며 변수들의 구성개념 타당성을 위한 요인분석,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백분율과 빈도분석 이용하였다. 또한 결과 분석을 위해서 변수들 간의 영향력 차이를 검증위한 회귀분석, T-test와 관련변수간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개념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취자아 차원은 유의한 정적(+)영향(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선택의 요인이 내적동기가 아닌 취업을 목적으로 하거나 경제적으로 전망이 높은 진로선택의 요인으로 보고 있는 문항으로 보고 있는 진로목적성(β=-.13, p<.01)과 진로장애(β=-.24, p<.001)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에 따른 창의력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창의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F=196.37,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력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창의력이 진로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F=47.43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개념과 창의력의 상호작용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장애 요인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4.17, p<.05). 또한 성취자아를 높게 지각한 집단의 경우, 진로의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상력 사고는 높게 지각하는 집단이 낮게 지각하는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64, 저:M=3.21)과 진로결정성(고:M=3.53, 저:M=3.2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를 높게 지각한 집단이 낮게 지각한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71, 저:M=3.23)과 진로결정성(고:M=3.67, 저:M=3.13)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낮게 지각한 집단이 높게 지각한 집단보다 진로장애(고:M=2.75, 저:M=2.98)와 진로목적성(고:M=2.61, 저:M=2.84)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 사회자아를 높게 지각하고 상상력 사고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65, 저:M=3.22)과 진로결정성(고:M=3.54, 저:M=3.2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자아개념과 일반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이 진로확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p<.05), 자아개념과 학년이 상호작용하여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p<.05), 자아개념과 대학선택 동기가 상호작용하여 진로목적성에 유의한 영향(p<.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의 경우, 여자(M=3.73)가 진로확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낮은 집단의 경우, 남자(M=3.48)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애에 있어서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의 경우, 4학년(M=2.89)이 진로장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낮은 집단의 경우 2학년이 진로장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창의력과 일반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에서는 성별이 진로목적성(p<.05)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사고가 세부적 일반적 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진로의식에 미친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높은 집단의 경우 남자가(M=3.07) 진로목적성이 더 높았으며, 낮은 집단의 경우 여자(M=2.80)가 진로목적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개념, 창의력, 진로의식의 차이에 대해서는 대학선택 동기에 따라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성취 자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08 p<.01). 구체적으로 대학선택 동기는 미용학원에서의 미용경험(M=3.7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02, p<.05). 특히 4학년(M=3.59), 3학년(M=3.37), 2학년(M=3.35), 1학년(M=3.26)순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상상력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졸업 후 진로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는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에서도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4.0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전공과목 난이도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F=4.97, P<.01). 학년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확신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61, p<.05). 특히 4학년(M=3.6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에 관한 확신성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선택 동기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 확신성은 미용학원에서의 미용경험(M=3.57)익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학졸업 후 진로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장애(F=5.52, p<.001)는 생각해 본 적이 없음(M=3.1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확신성은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7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성은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8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자아개념에 따른 창의력과 진로의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그 결과 자아개념에 따라 창의력과 진로의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력과 진로의식 또한 서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도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과는 미용전공 대학생들에게 미용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있어 보다 미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자신감이 무엇보다 중요한 변수 임을 밝혀냄으로써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올바른 자아개념 형성의 중요성과 미용 교육의 방향이 보다 창의적 사고를 촉진 시키며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의식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오해연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세계화 시대에 국가 간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협력과 경쟁관계를 유지하고, 훌륭한 능력을 갖춘 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교육에 노력하고 있다. 최근 각 나라는 저 출산으로 인하여 학생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학생들을 확보하기 위해 각 대학별 교육 분야에 대해 다양한 주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전통교육은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으므로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교육 만족도에 대해 비교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대학생의 교육만족도를 통해 학교의 부족한 부분을 알 수 있고, 그 부족한 부분에 대해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이 3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수업품질, 학교인프라,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는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국가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셋째 수업품질과 학교인프라, 학교생활, 스트레스에 대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다변량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한·중 대학생들의 수업품질, 학교인프라, 학교생활, 스트레스를 살펴보면 대부분 중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수업품질, 학교인프라,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에 대하여 상관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수업품질과 학교인프라, 수업품질과 학교생활, 학교인프라와 학교생활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수업품질, 학교인프라, 학교생활, 스트레스에서 모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회귀모형을 살펴보면 학교인프라, 학교생활, 스트레스, 한국은 수업품질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었고, 학교인프라가 1증가하면 수업품질은 .400만큼 증가하며, 학교생활이 1증가하면 수업품질은 .531만큼 증가하였고, 스트레스가 1증가하면 수업품질은 .104만큼 감소하였다. 따라서 회귀모형의 결과, 한국과 중국의 대학교는 수업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교인프라를 잘 관리하고 학생들의 자유학습공간을 더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학생들의 여가활동을 더 풍부하게 하기 위해 많은 관심을 주고, 심리적 상담실과 취업 상담실도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권장하며, 적정한 수준의 압력도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는 교육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변수들을 포함시켜 확장된 모형을 검증할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교육특성에 맞는 만족도에 대한 변수를 개발하고, 더 나아가 다른 국가들과 교육만족도를 비교할 수 있는 후속연구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In the time of globalization, with the increasing communications between countries, there exits cooperation and competition. In order to cultivate workers with good skills, there will need to focus on education. Recently, there is a decreasing trend in the number of students who go to school due to the low birth rate. A variety of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to attract students for each of the colleges. this paper will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because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education has a lot in common. Through the analysis of undergraduates' educational satisfaction, there will can know the shortcomings of the schools so that the ways to improve for its shortcomings can be funded . this paper focus on following three step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this study implemented t-test for each indicator, such as teaching quality, school infrastructure, school life and stres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Korea.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about the teaching quality, school infrastructure, school life, stress and applie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outcome of t-test, there can be found out that most Chinese students have higher scores than Korean students.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quality and school infrastructure, teaching quality and school life, school infrastructure and school life in Korea, In China, any pair of the variables(teaching quality, school infrastructure, school life, stress) showed associations. From linear regression model, the school infrastructure, school life and stres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eaching quality. And if School infrastructure is increased by 1 unit, the teaching quality would increase 0.400. If the school life is increased by 1 unit, the teaching quality would increases by 0.531. f the stress is increased by 1 unit, the teaching quality would reduce 0.104.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ing quality, universities need to manage school infrastructure, give more space for students to study freely and enrich students’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school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attend psychological counseling rooms and moderate press have positive impact on teaching quality. Further research need to be done for variables what may infect the teaching quality but are not included in this paper. In addition, more variables should be added in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 satisfaction, and a follow-up study will need to be done for a comparative stud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ther countries.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이 대학생의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For college student groups, depression is a negative result of various stress situations, which can be reduced when interacting with a medium that can share emotions and to which can naturally project their feelings on the medium without burden. As a necessary medium for this purpose, the recent interest lies in animal assisted programs. In this way, counseling programs that use animals as medium are called animal-intervention mediation.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in which animals are mediated, have the characteristic that those who need counselling can naturally project their emotions in stressful situations in that the animal itself is naturally very friendly to humans and thus relatively less burdensome to mediated college students. This study expands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s to help reduce depression by reducing stress in college student groups, and it contributes to the main effect of college student group depression by developing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s with companion dogs, especially dogs and photos. A total of 12 photo sessions (80 minutes) per week were carried out from April 2017 to June 2017, using photos of dogs. 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9 other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main experiment were made up of a control group. In this study, Beck's degree of depression was evaluated by the study subjects using the BDI tool. The research method was developed through individual consultation along with a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those who participated in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s where college students in the study took advantage of photos of dogs. The impact of the program was compared with the photo medium and the companion photo medium in analyzing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the subjects of the study by conducting a pre- and post-examination. In addition, the impact of photo-taking activities among those who need counselling and those involving dogs was also compar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20.0 to compare pre-test homogeneity tests for subjects and to determine changes between the 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th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that does not assume normal distribution of data, was conducted for the variation ratio of test groups and control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within-subject effect analysis were colle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 in mean by the variation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est group's depression averaged 13.88 in pre-test and the post-test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 = -2.67, p = .007). The depression score of the control group averaged 10.6 in pre-test and the post-test was reduced to 9.8,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mea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Z=-.776, p = .438). On the other hand, a one-way analysis of repeated measurements within the subjects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the effect of the photo-care program using dogs’ pictur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duction of the depression levels of the subjects. This method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pplication by rotation of the subjects (pre- and post-test). As a result, the main effects at the time of appli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 (2,67) = 6.82, p < 0.001). The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 which utilizes pictures of dogs measured in partial eta squared, had a very high effect size of .819. Based on this,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s using dog pictur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relatively effective and the depression of the subjects vari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Post-hoc was performed using the Bonferroni method to determine the main effects of changes in the subjects’ depression sca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rop in the depression in post-testing compared to pre-test (p = .020).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were not significant (F(2)=1.62, p >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hototherapy activity using companion dogs i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nd secondly, phototherapy activity with dogs is effective in psychotherapy, and combination of the use of phototherapy activities and animal-assisted intervention can result in various types of similar programs. 대학생 집단에게 있어 우울감이 여러 가지 스트레스 상황의 부정적 결과라고 할 때 이러한 스트레스는 대학생 자신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매개체와 상호작용할 때 감소될 수 있으며 그 매개체에 자신의 감정을 부담감 없이 자연스럽게 투사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에 필요한 매개대상으로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 동물매개이며 이렇게 동물을 매개체로 하는 상담 프로그램을 일컬어 동물매개중재라고 한다. 사람이 아닌 동물이 매개가 되는 동물매개중재는 동물자체가 인간에게 천성적으로 매우 친화적이고 따라서 중재대상 대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 되는 상황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투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의 우울감 감소를 위하여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을 확장하여 반려동물, 그 중에서도 특히 반려견과 사진을 합목한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대학생 집단의 우울감 감소 효과에 기여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보고된 반려견 사진을 활용한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은 2017년 4월부터 6월까지 주 1회(80분)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녀 대학생 9명이었다. 본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또 다른 남녀 대학생 9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론벡의 우울척도(BDI : 자기진단 검사 Beck Depression Inventory)도구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우울감 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방법은 피 연구대상 대학생들이 반려견 사진을 활용한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설문지와 개별상담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울척도 검사를 사전·사후로 진행하여 본 프로그램이 연구대상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서 반려견 사진이 아닌 사진매체와 반려견 사진매체를 사용하여 그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더불어 내담자들끼리 사진촬영 활동을 하는 것과 반려견이 개입된 사진촬영 활동의 영향 또한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V.20.0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사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계처리로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의 정규분포를 가정하지 않는 비모수적 통계방법인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내 변화비교를 위해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회 차에 따른 평균의 차이가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체 내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의 우울감은 사전검사에서 평균 13.88이었으며 사후검사에서 6.44로 감소하였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Z = -2.67, p = .007). 통제집단의 우울감은 사전검사에서 평균 10.6이었으며 사후검사에서 9.8로 감소하였으나 이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Z=-.776, p = .438). 한편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가 피험자들의 우울척도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체 내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방법은 피험자 내(사전, 사후) 회차에 따른 프로그램 적용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용시점의 주 효과(main effects)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F(2,67) = 6.82, p < 0.001). 부분 에타 자승(Partial eta squared)으로 측정한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크기(effect size)는 .819로 매우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할 때 본 실험에 사용한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매우 컸으며 피험자들의 우울척도는 프로그램의 적용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랐음을 나타낸다. 피험자들의 우울척도 변화의 주 효과가 어떤 대조에서 발생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페로니 (Bonferroni) 방법을 적용한 사후 검정(post-hoc)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에서 우울척도의 유의한 하락이 있었다(p = .020). 프로그램 적용과 성별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F(2)=1.62, p > 0.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첫째, 반려견 사진을 활용한 사진치료 활동이 대학생의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고, 둘째, 반려견과의 사진치료 활동이 심리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셋째, 동물매개중재에 사진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가 있으므로, 동물매개중재와 사진치료 활동을 접목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오소제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seeking stress and the career maturity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individual traits,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s in job-seeking stress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1)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s in job-seeking stress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2)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s in job-seeking stress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rades? (3)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s in job-seeking stress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majors? Second, according to individual traits,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s in career maturity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1)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s in career maturity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2)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s in career maturity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rades? (3)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s in career maturity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majors? Third, What kind of th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teachers' college students. (1) What kind of relationship exists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2) What kind of relationship exists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rades? (3) What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maj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3 teachers' college students(123 boys, 260 girl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in W university located in Jeon buk province. Th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items, consisting of Job-seeking Stress Questionnaire and Career Maturity Inventory(CMI). This data was analyzed by Bivariate correlational analysis, T-Test and ANOVA in SPSS 17.0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individual trait is as follows: (1)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is job-seeking stress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gender. However, looking at each sub-region, the nature of stress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ith the stress in the school environment in gender. (2)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rade is job-seeking stress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rades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Looking at each sub-region, students have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nature of stress, job-seeking anxiety of stress, school environment stress, and study of stress except the stress in family environment. The student in the higher grades have much more the job-seeking stress than the ones in the lower grades. (3)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major is job-seeking stress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major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ll of the sub-region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Social major students showed the lowest levels of job-seeking stress. Second,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individual traits is as follows: (1)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is career Maturity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gender. However the girls have the higher levels than the boys in decisiveness, inclination and compromise. The boys have the higher levels than the girls in the participation and independence. (2)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rade is career Maturity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s. The independence of each sub-region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nd 2nd grad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 and 1th grade students showed the lowest level. (3)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of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major is career Maturity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s. The decisiveness in the sub-region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verall, social major students showed the lowest levels of career maturi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teachers' college students is as follows: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All of the sub-factors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each other except work anxiety stress and independence.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grades and majors,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in teachers' college students. It suggests that it is job-seeking stress affecting the career maturity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Key words: teachers' college , job-seeking stress , career maturity 사범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범계 대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는 어떠한가? 가. 사범계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취업스트레스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나. 사범계 대학생의 학년에 따라 취업스트레스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다. 사범계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라 취업스트레스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사범계 대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른 진로성숙의 차이는 어떠한가? 가. 사범계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진로성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나. 사범계 대학생의 학년에 따라 진로성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다. 사범계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라 진로성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사범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가. 사범계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나. 사범계 대학생의 학년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다. 사범계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W대학 사범대학에 재학생 383명이며 연구의 도구는 '취업스트레스 설문지' 와 '진로성숙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범계 대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가. 성별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사범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취업스트레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성격스트레스와 학교환경스트레스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나. 학년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학년에 따른 사범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가족환경스트레스를 제외한 성격스트레스, 취업불안스트레스, 학교환경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이 높을수록 학년 낮은 학생들에 비해서 취업스트레스를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전공계열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전공계열에 따른 사범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성격스트레스 , 취업불안스트레스, 가족환경스트레스, 학교환경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와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계열 학생들이 가장 낮은 취업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사범계 대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른 진로성숙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가.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사범계 대학생의 진로성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정성, 성향, 타협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참여도와 독립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나.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학년에 따른 사범계 대학생의 진로성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독립성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4학년 학생들이 독립성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전체에서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1학년 학생들이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다.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성숙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전공계열에 따른 사범계 대학생의 진로성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결정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보면 사회계열 학생들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자연계열 학생들이 가장 낮은 진로성숙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사범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취업불안스트레스와 독립성의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그 외 나머지 하위요인들은 상호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범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요어: 사범계, 취업스트레스, 진로성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