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初步构建中国医疗纠纷仲裁机制研究设想

        孟妍,(Meng Ya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16 의생명과학과 법 Vol.16 No.-

        중재방식으로 의료분쟁을 해결함에 있어 중국의 의료분쟁 다원적 해결시스템을 완비하기 위하여, 중재를 통한 의료분쟁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의 의료분재 해결시스템 건립에 있어 어려운 문제는 의료분쟁중재의 중재가능성 여부 문제와 의료분쟁중재의 형태를 어떻게 하느냐이다. 한편, 중국은 의료분쟁해결에 있어 중재에 의한 방식으로 임의중재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중국의 중재시스템이 의료분쟁중재의 실무에서나, 일부 지방정부에서 의료분쟁중재의 입법은 모두 의료분쟁의 중재가능성에 대한 입법을 갖추고 있다. 이에 중재법의 개정에 있어 이러한 사항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약 이러한 사항, 즉, 의료분쟁해결에 대한 중재시스템을 고려하지 않으면, 자원낭비라는 현실적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중재법 개정에 있어 현재의 의료중재시스템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의료분쟁에 있어 고도의 전문성과 복잡성을 고려하여 의료분쟁중재정의 구성방식에 있어서도 합의정 형식을 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당사자가 단독중재정을 협의한 경우에는 이를 존중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의료분쟁해결에 있어 중재시스템의 현황과 문제점을 고려하여, 외국입법과 비교 및 검토하였다. The settlement of the medial disputes by arbitration is the significant exploration in improving the ADR of medial disputes in our country. The arbitrability and the mode of medical disputes to arbitration are the difficulties in the settlement mechanism of medial disputes. Both practices and the legislation in certain regions indicate the arbitrability of medical disputes. Voluntary arbitration should be adopted to construct the arbitrational mechanism of medical disputes. Considering current states of the great difficulty in revising the arbitration law and the enormous waste in arbitrational resource, we should apply current arbitrational mechanism to resolve the medial disputes. Seeing that the highly professional and complexity in medical disputes, unless the sole arbitrator is the common choice by parries, the collegiate bench should be taken in the composition of the arbitration tribunal.

      • KCI등재

        간호전문직에 대한 자율규제기관으로서 법정단체의 구성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간호조무사의 법정단체화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주호노(Joo, Ho-No),김기영(Kim, Ki-You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19 의생명과학과 법 Vol.22 No.-

        최근 대한간호조무사협회는 협회를 법정단체로 인정하는 법률 개정을 추진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그와 관련된 의료법 개정안도 의원 입법 형식으로 제출되어 국회에 계류 중에 있다. 우리나라 의료법은 의료인(의사, 간호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에 대한 제반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나, 대부분 의사에 대한 규정이 주를 이루고 있고 간호사와 관련된 규정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의료인력이 면허를 취득한 이후 갱신의무가 없어 면허가 평생 유지되는바, 진료능력에 대한 검증 및 인력수급관리가 원활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의료인력에 대한 면허 발부에서 사후관리까지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설립된 한국간호평가원은 앞으로 전문적인 면허관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나갈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현행 의료법 제2조 제1항에 따르면 간호사는 중앙회 설립의 의무가 있는 의료인 단체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현행 법률에 의거하여 볼 때, 의료인의 범주에 속하지 아니하고 중앙회 설립의 근거가 없는 간호조무사가 의료법상 중앙회(법정단체)를 요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적법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간호사에 대한 입법규율과 해외입법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의료인단체의 현황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러한 현황과 비교하여 간호사에 대한 공익성강화를 위한 전문직으로서 자율규제단체의 정당성을 위해 전문직단체의 개념과 법적근거 및 법정단체설립의 주된 기준을 설명하고 간호조무사의 법정단체추진에 대한 법적 검토를 통해 간호전문직의 자율규제를 위한 간호전문직의 계층적 구조와 간호사중심주의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아울러 공익성강화를 위한 기존의 법정단체로서 대한간호사협회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결론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non-statutory Korean Korean nursing assistants(Licensed Practical Nurse) Association has promoted to the statutory professional association. The corresponding amendments to the Medical Law were recently presented in legal form and are still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Korean medical law sets general requirements for medical professionals (doctors, nurses, dentists, oriental doctors, midwives), but most of the regulations apply to doctors and the regulations relating to nurses can be considered inadequate. In particular, there is concern that medical skills review and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will not go smoothly as the license will be maintained for a lifetime since there is no obligation to renew medical personnel after receiving a license. There was no specialized facility responsible for licensing and monitoring medical personnel. However, the Korea Institute of Nursing Evaluation has recently shown that it can play a role as an agency for professional license management. According to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current Medical Law, nurses define a group of doctors who are obliged to form a general assembly. According to these applicable laws, it must be checked whether a nursing assistant who does not belong to the category of medical personnel and has no basis for the chamber can request a statutory professional assoc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gal requirements and the foreign regulations of nurses and to compare the current status of medical organizations in Korea. Compared to this status, the concept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e legal basis and the main criteria for the establishment of a statutory professional association for the legitimacy of self-regulatory organizations as professions to promote public interest for nurses are explained. This study examine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nursing profession and its potential for nursing-centered self-regulation of the nursing profession. In addition,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as an existing legal organization to promote the public interest will be discussed and the conclusions and perspectives will be presented.

      • KCI등재

        병원내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법적 문제

        김기영(Kim Ki You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18 의생명과학과 법 Vol.19 No.-

        최근 폭언ㆍ폭행ㆍ성희롱ㆍ성폭력 등 인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포함한 병원내 인권침해사례에 대한 문제와 특히 시간외근무에 대한 보상과 교육, 회의, 각종 병원 행사 참가에 따른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등 병원의 노동현실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실상 인권침해라는 개념은 추상적이고 굉장히 포괄적이기 때문에 해석의 기준의 관점에서 병원내 인권침해 사례들에 대한 구체적인 범위를 정하는 것은 매우 힘들지만 일반적으로 구체적인 사례에서 법률의 보호범위 내에서 인정되고 있고 문제가 되고 있는 유형들을 나누어 주요 사례들을 중심으로 법적 한계들을 고찰하고 있다. 다음에서는 병원내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법적 문제들을 근로환경에 따른 성희롱 등 인권침해, 근로기준법 위반에 따른 인권침해, 모성보호와 관련한 인권침해에 대한 주요 사례들을 중심으로 법적 한계를 살펴보기로 한다(II). 아울러 국가가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일차적인 의무를 가지지만, 기업도 사회조직의 일원으로서 모든 사람의 인권을 보호, 존중, 증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직의무강화 등 병원내 근무환경에 따른 인권침해유형에 따른 예방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아울러 근로기준법을 위반한 것은 아니지만 병원의 긴축재정을 통해 노동조건의 악화와 조직의무위반으로 병원내 의료진의 근무환경을 한계상황을 몰아가는 구조적인 문제들도 포함시켜 검토하고 있다(III). 마지막으로 이러한 인권침해의 사례는 일차적으로 병원개설자의 책임을 강조하고 비용절감을 이유로 열악한 의료환경속에 자살 등의 한계상황들이 사실은 구조적인 문제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IV).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problem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hospitals, including all kinds of acts that violate human rights such as abuse, assault, sexual harassment, sexual violence, and especially compensation for overtime work, compensation for participation in education, The reality of the labor in hospitals is becoming very serious. In fact, the concept of human rights violation is abstract and very comprehensive, so it is very difficult to establish a specific range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hospital from the standpoint of interpretation standards, but generally it is recognized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laws in specific cas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ivide the problematic types and examine legal limitations based on major cases. In the following, this research was analysed at the legal limitation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hospitals(II). In addition, although the state has a primary duty to protect and promote human rights, the hospital organizer must protect, respect, and promote the human rights of all as members of a social organization. As a result, this proposes measures to improve preven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human rights violation according to the work environment in the hospital, such as strengthening the duty of the user, and also not violating the Labor Standards Act(III).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case of human rights violation emphasizes the responsibility of the hospital organizer primarily, and points out that it is a structural problem exposing limitations such as suicide of hospital worker in the poor medical environment due to cost reduction(IV).

      • KCI등재

        응급구조사의 응급의료행위와 형사책임

        선종수(Sun Jong Soo)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18 의생명과학과 법 Vol.19 No.-

        The system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as newly established in 1995 because of the recognition that, after going through a large scale of disaster, an emergency medical system should be set up in preparation for it.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 range, qualification standards, certification tests and other matters are regulated by the law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its subordinate regulations. When an emergency occurs,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plays important rolels in an emergency medical system by checking an emergency patient at the field, taking necessary measures and handing over the patient to a medical doctor.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playing these roles is defined as an emergency medical provider along with healthcare workers by the law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general, an emergency medical system is divided into a pre-hospital stage and an in-hospital stage. First,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t the pre-hospital stage mainly consults, rescues, transfers, gives first aid to and treats an emergency patient. Next, the main duties of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t the stage of in-hospital are first aid, hospitalization and treatment at an emergency room of an emergency medical organization. However,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cannot give emergency medical treatment by self that one can do without a doctor’s specified directions, that is, medical guidance, except for minor first aids and in the cases where one cannot get a doctor’s medical directions because of a problem in communication at an urgent situation. In this way, to the exclusion of some exceptional cases, the given emergency medical treatment corresponds to a medical treatment without a licence according to Article 27 of the medical law, and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can get punished. Recently, with regard to this, patients’ families have charged and filed civil complaints seceral times.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plays an important role in an emergency, and is the one who is essential in the current emergency medical care. In this situation, it needs to be examined again whether the limits of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 are proper or not. This is after all a matter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accordingly check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range of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is the only professional manpower who can help emergency patients in an emergency, and restrictions on their work do not correspond to the legislation purpose of the the law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refore, as a measure to solve this, there is the measure to reinforce a doctor’s medical direction and another measure to realistically adjust the range of emergency medical treatment of the current law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at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can perform at an emergency without a doctor’s medical direction. Not just one solution is necessary, but all of them are mutually organic and worthy of consideration.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necessarily means the existence of an emergency patient, and the need for systematic and proper level of emergency medical care for him. An emergency medical system has to be set up and run simultaneously through which one can cope with an emergency quickly and appropriately. In particular,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is a main agent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current emergency medical system, and takes on the role of eleminating danger from a person facing death, but if one has to face sanctions because of this, no one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is problem should be solved without fail, and an emergency medical system must be established wher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can work with an easy mind. 응급구조사제도는 대형 재난상황을 겪은 후 이를 대비할 응급의료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1995년에 신설하였다.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 자격기준, 자격검증시험 등 제반 사항은 응급의료법 및 그 하위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다. 응급구조사는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현장에서 응급환자의 상태를 살피고 이에 필요한 조치를 취한 후 진료의사에게 인계를 하는 응급의료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법에 의하여 의료인과 함께 응급의료종사자로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응급의료체계를 병원 전 단계와 병원 내 단계로 구분한다. 먼저 병원 전 단계에서의 응급구조사는 응급환자에 대한 상담, 구조, 이송, 응급처치 및 진료를 주된 업무로 한다. 다음으로 병원 내 단계의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기관의 응급실 처치와 입원 처치 및 진료를 주된 임무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응급구조사는 의사의 구체적 지시, 즉 의료지도를 받지 않고서 행할 수 있는 응급의료행위는 경미한 응급처치와 긴박한 상황에서 통신장애로 인하여 의료지도를 받을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독으로 응급의료행위를 할 수 없다. 이처럼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행한 응급의료행위는 의료법 제27조에 따라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되며, 이에 따라 처벌을 받게 된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환자의 가족에 의한 고소 및 민원제기가 있었다. 응급구조사는 응급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행 응급의료체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기도 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응급구조사의 업무제한이 적절한 것인지에 대해서 다시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문제는 결국 응급의료의 특성을 반영해야 하고 그에 따라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의 적절성을 확인해야 하는 것이다. 응급구조사는 응급상황에서 응급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일한 전문인력이며, 업무를 제한한다는 것은 응급의료법의 입법 목적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의사의 의료지도를 강화하는 방안과 현행 응급의료법상 응급구조사가 응급상황에서 의사의 의료지도를 받지 않고 시행할 수 있는 응급의료의 범위를 현실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결방안은 어느 하나만 필요한 것은 아니며, 모두 검토해야 할 것으로 상호유기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응급상황이 발생한다는 것은 필연적으로 응급환자가 존재한다는 것으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적정한 수준의 응급의료가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를 수립함과 동시에 이를 운용해야 한다. 특히 응급구조사는 현행 응급의료체계에서 큰 역할을 하는 주체이며, 죽음에 직면한 사람에게 그 위험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로 인하여 제재를 받는다면 그 누구도 납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은 반드시 해결해야 하며, 응급구조사에게 편안한 마음으로 일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장기기증에 관한 동의의 문제

        이재경(Yi, Jae-Kye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17 의생명과학과 법 Vol.17 No.-

        장기이식법은 장기기증의 방법으로 생체이식과 뇌사자 및 사망자의 장기이 식을 정하고 있다. 생체이식의 경우에는 16세 이상의 미성년자, 본인의 동의 및부모의 동의, 그리고 친족 간 이식이라는 제한이 있다. 미성년자가 장기적출에 동의하였더라도 부모가 그에 반대하면 장기적출을 할 수 없다. 물론 본인이 반대하는 경우에는 부모의 동의만으로 장기적출이 허용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문제는 미성년자와 본인의 의사가 일치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생활공동체에 있는 친족간에 생체장기를 이식하여야 하는 때에 본인의 동의를 진정한 의사로볼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가족 공동체를 책임지는 부모의 의사에 반하는 결정이 미성년자의 의사형성에 상당부분 기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보완적 조치가 요구된다. 뇌사 및 사망자의 장기적출에 관한 동의에 있어서는 현행 장기이식법과 같이 완화된 동의방식에 따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본인이 장기적출에 동의한 경우에도 가족이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장기를 적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옳지 않다. Das koreanische Transplantationsgeetz geht zur Organspende sowohl von der Organspende des Lebenden als auch von der postmortalen Organspende aus. Die Organspende des Lebenden wird auf Minderjährigen im Alter über 16 Jahren, auf die Einwilligung des Spenders bzw. der Eltern in die Organentnahme, auf die angehörige Transplantation im TPG eingeschränkt. Trotz der Einwilligung des Minderjährigen ist die Organentnahme bei der Widerspruch der Eltern unzulässig, gleichfalls unzulässig nur bei einseitiger Zustimmung der Eltern. Die Zustimmungsproblematik bei der Organspende findet sich bei der Transplantation in die Angehörige, weil der minderjährige Willensentschluss der Organentnahme unter besonderer Beachtung auf die koreanische Familiekultur im Zweifel fällt. Bei der Zulässigkeit der postmortalen Organspende ist die Zustimmungslösung nun empfehlenswert nach dem TPG de lege lata. Die Unzulässigkeit der Organentnahme wegen des Widerspruchs der Eltern ist jedoch nicht zuzustimmen.

      • KCI등재

        의약품 관리정책과 소비자권익 확보방안

        문상혁(Moon Sang Hyuk)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18 의생명과학과 법 Vol.19 No.-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환아 4명이 인큐베이터 안에서 치료를 받고 있던 중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대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사인을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으로 추정하면서 주사제 및 취급 과정 중 오염에 의한 감염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사망사고 원인이라고 추정되는 문제는 병원 내 감염관리 문제, 의료인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 주사제 분주문제 등이 있다.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의약품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부터 이력추적을 통해 해당 의약품의 안전관리가 보장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의약품 안전관리 현황과 주사제 안전관리에 대해서 검토한 후 주사제 분주문제에 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마련하게 되었다. 첫째, 미흡한 주사제 소량포장을 의무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약품 소량포장단위 공급에 관한 규정」에서 주사제의 소량포장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사제를 1병 1환자로 의무화 하더라도 주사제에 대한 관리체계가 병원자율에 맡겨져 있어, 원천적으로 예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의약품 바코드와 RFID tag의 사용 및 관리요령」[별표 1의 2]에서 수액류 관련 예외 사항을 삭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Four premature babies died while treated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The National Forensic Service suspected that the consecutive deaths were caused by blood poisoning brought about by the bacteria Citrobacter freundii,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injectable drugs had already been contaminated or become contaminat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before administered to the babies. The possible causes of this unfortunate incident lie in such problems as inadequate infection control, lack of medical personnel and divided use of injection solution at hospital. Public health necessitates safety management of drugs by ensuring traceability from the manufacturing stag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management of drugs including injectable ones and explored problems associated with divided use of injectable drugs and solutions to the problem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ways for improvement. First, the duty to produce small packaged drugs needs to be performed more strictly. To this end, the Regulations on Small Volume Packaging Supply of Drugs have to prescribe a mandatory obligation concerning small volume packaging of injectable drugs. Next, even though the “one bottle of injection solution for one patient” duty becomes mandatory, managing injectable drugs is still left to the discretion of hospitals, which will make the duty less workable. It is, therefore, required to delete the provisions on exceptive cases of injections in the attached Table 1-2 to the Guidelines on the Use and Management of Barcodes and RFID Tags for Drugs.

      • KCI등재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에 관한 소고 - 독일 및 스위스에서의 논의 소개를 중심으로 -

        서종희(Seo, Jong-hee)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17 의생명과학과 법 Vol.17 No.-

        미성년자는 여러 가지 면에서 취약한 환경에 노출된 존재라고 할 수 있다.만약 미성년자가 동의능력을 갖추지 않았다면, 더욱 더 보호할 가치가 있는 존재가 된다. 특히 미성년자 중 아동은 ‘자신이 발전할 수 있는 장래’를 보호하는 데에 최대한의 권리를 가지므로,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아동 보호를 위한 메커니즘을 마련하고 있다. 이는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서도 마찬가지이 다.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하는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 미성년자를 실질적으로 보호하는 것은 친권자라고 할 수 있다. 만약 미성년자가 동의무능력자 라면 더욱 더 ‘친권자에 의한 퍼터널리즘(Patarnalism)적인 배려(Fürsorge)’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친권자에 의한 결정이 친권에 따르는 미성년자에게 항상 적절하다고 보는 것은 논리적 필연성이 부족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독일, 스위스에서는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과 관련하여 공통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첫째, 친권자의 친권남용에 의한 미성년자의 복리침해를 막기 위해 친권 상실 및 친권 제한 제도 등을 활용하고 있다. 둘째, 친권자의 동의뿐만 아니라, 미성년자인 피험자에 대해서도 동의를 얻도록 하고 있으며, 시험자는 미성년자에게도 동의에 필요한 정보제공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셋째, 동의능력이 없는 미성년자에게도 거부권을 인정하고, 그 의사를 최대한 존중한다. 넷째, 피험자 및 그 친권자의 동의가 있다 하더라도 객관적 정당화 사유로서 임상시험이 최소한의 부담과 예측 가능한 최소한의 위험과 결부될 것을 요구한 다. 우리 법에서도 위의 특징들을 찾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법이 스위스와 독일에 비견하여도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 미성년자 보호에 미흡 하다고 할 수 없다. 다만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는 법률이 아닌 식품의약품안전 처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평가 지침’으로 이를 규율하고 있다는 점에서 재고가 필요하며, 동의능력에 대한 최소한의 획일적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없는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Minors are exposed to vulnerable environments in many ways. If a minor is not capable of consent, he or she is more worthy of protection. In particular, children in minors have the maximum rights to protect their future, so most countries have mechanisms for child protection. This is also true for medical and clinical trial contracts. Actually protecting minors in medical contracts and clinical trial contracts for minors can be considered as parental rights. If the minor is an incompetent, more and more Fürsorge by the parental authority is needed. However, it is logical inevitability that the decision by the parental guardian is always appropriate for the minor under the parental righ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Germany and Switzerland can find common criteria for clinical trials for minors. First, in order to prevent infringement of minors by the abuse of parental rights of minors, the adjudication on loss or temporary suspension of parental authority and adjudication on partial restriction of parental authority is used. Second, not only the consent of the parental consent, but also the consent of the subject who is a minor is obtained, and the tester must fulfill the obligation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his / her consent. Third, even if a minor is not capable of acceptance, he / she will be granted the right to veto the subject and respect the subject s opinion as much as possible. Fourth, even with the consent of the subject and his parental guardian, the objective of justification requires that the clinical trial be associated with a minimum burden and a predictable minimum risk. We can not say that our law is insufficient to protect minors in medical contracts and clinical trial contracts compared with Switzerland and Germany because we can find the above characteristics in our law. However, unlike in other countries, we need to reconsider the fact that it is not the law but the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Clinical Trials for Pediatrics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inimum standard of acceptance capacity.

      • KCI등재

        코로나19 사태로 비추어 본 반려동물 원격진료 도입 가능성에 대한 법적 고찰

        유성희(Yoo, Seong-Hee),이진홍(Lee, Jin-H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20 의생명과학과 법 Vol.23 No.-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사람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도 감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실제로 미국, 홍콩 등 여러 나라에서 확진자의 반려견에 양성 반응이 나타난 사례가 있었다. 그렇지 않아도 코로나19 사태로 반려동물을 동반하여 외출하는 것이 어려웠던 상황과 겹쳐 반려견에게도 코로나19가 감염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반려동물 양육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양육자들은 반려동물의 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 직접 동물병원에 데리고 가기보다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상담을 하는 등 차선책을 찾는 방식으로 그들의 반려동물을 케어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개별적인 진단에 기반한 진료를 받을 수는 없고 일반적인 진료상담 서비스밖에 받지 못한다는 점에 한계가 있어 안심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국내법상 동물의 원격진료 행위는 허용되지 않아 IT 서비스를 활용한 진료는 보편적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상담의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려동물의 건강권을 실현하고 원격진료를 시도하려는 국제적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동물 원격진료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선행적으로 수의사가 직접 방문을 하거나 동물병원 방문을 통하여 직접적인 진단이 있었던 경우에 한하여 진단을 내렸던 수의사와의 원격진료를 제한적으로 시도하는 방안, 그리고 해당 동물 및 의뢰인이 격오지에 있어 상시적으로 동물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어려운 지역에 한하여 제한적인 범위에서 시도하는 방안이 고려된다. 이를 위해서는 동물 치료에 사용하는 의약품을 수의사가 처방할 수 있는 의료체계로 입법적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며, 일부 대형 동물병원으로 진료 의뢰가 쏠리는 현상을 대비하여 시행 초기부터 방지대책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사전적인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The spread of COVID-19 virus has raised the possibility that companion animals can also get infected. Indeed, a small number of companion animals have been confirmed to be infected with the virus that causes COVID-19 worldwide and companion animals’ owners have concerned for the safety of their companion animals. As it is difficult to go out with companion animals, various IT services considering the animal rights to health emerged, and people using platforms such as medical consultation through smart phone applications are also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at it is only a consultation service for pets and is not an individual diagnosis. This is because the domestic law does not allow animals to receive medical treatment remote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veterinary telemedicine in order to protect the implementation of animals rights to health and keep pace with global trends. Only in the case of a veterinarian s direct visit or a direct diagnosis through a visit to an veterinary clinic before, limited remote treatment with the veterinarian who made the diagnosis may make an attempt.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duct veterinary medicine within a limited range only in areas where the animals and clients are in remote areas and have difficulty visiting at all times. Furthermore, legislative improvement is needed as a medical system that veterinarians can prescribe medicines used for animal treatment, 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eventive measure from the beginning of the implementation for a scenario that a request for medical treatment is concentrated in some large veterinary clinics.

      • KCI등재

        신상보호 영역에서의 지원의사결정 제도 : 영국 정신능력법상의 제도를 중심으로

        제철웅(Je, Cheol-Ung),정민아(Jung, Min-Ah)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20 의생명과학과 법 Vol.23 No.-

        본 연구는 신상보호 영역에서 의사결정능력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존중과 실행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없는 우리나라에 관련 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전제로서, 영국 정신능력법하에서의 지원의사결정제도 및 의사결정 대행 제도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제도에의 함의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의료, 요양, 복지의 영역에서의 영국 정신능력법의 의사결정원칙, 범위, 의사결정지원의 구조, 의사결정대행 및 신체자유박탈조치 및 그 안전장치 등에 관한 법규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영국 정신능력법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개인의 정신적 능력으로 정의하고, 모든 성인은 의사결정능력이 있음을 전제한다. 따라서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미래의 의사결정을 현재 미리 준비할 수 있는 장치도 마련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개인의 권리, 희망, 선호도를 반영하여 그 개인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도록 지원하여야 한다고 본다. 이는 개인의 의사결정능력 정도에 관계없이 적용되는 원칙이며, 의사결정능력이 부족한 개인을 위한 의사결정대행에서도 이 원칙이 최우선적으로 적용되도록 한다. 이는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신체적 자유를 박탈하는 의료, 요양,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때도 그대로 적용되며, 그것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 의료, 요양, 복지 서비스 현장에서는 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강조하고 있으나, 이를 법 제도로 뒷받침하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 정신능력법의 자기결정권 존중, 의사결정지원, 개인의 최선의 이익을 보장하는 의사결정 대행 등 지원의사결정 제도는 우리나라의 지원의사결정를 제도화할 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ecision making system and supportive policies for people who lacks capabilities under the England and Wales Mental Capacity Act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institutional devices for respecting self-determination rights in personal care. Relating to medical care, health care, and welfare services, the features of decision-making principles, scopes, structures, procedures and the application of law in decision-making support and the deprivation of physical freedom are analyzed. Under the Mental Capacity Act, the mental capacity means the ability to make decisions, and all individuals are assumed that they have these capabilities. It means that the law guarantees self-determination rights for people who lack capabilities and the past decision-making can be effective in the present even if a person currently lack capabilities for decision-making. Moreover, the best interest for a person is sought from the law in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on the basis of their rights, wishes and preferences. This is a principle that applies regardless of the degree of individual decision making ability, and it also serves as a top priority for everyone involved in decision making proces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hat the ‘best interest’ rule should be applied when limiting individual freedom or providing medical,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that deprive the individual of physical freedom, and safety devices is accompanied for these measures by the law. While person-centered approach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Korean service areas than the past, there are no solid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at the moment. In this situation, the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of Mental Capability Act in England and Wales including the exercise of self-determination rights and the application of ‘best interest’ rule for people who lacks capabilities gives implications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upport decision-making in Korea.

      • KCI등재

        에너지시장구조의 성공적 개편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 - 에너지세를 중심으로 -

        김은정(Kim, Eun-Ju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17 의생명과학과 법 Vol.17 No.-

        기후변화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과 온실가스 감축의 노력은 먼 미래의 일이 아닌 현실로 다가와,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은 국가적으로 감축목표를세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2015년 체결된 파리기후변화협정(Paris Agreement)에 의하여 그 감축의무 대상 국가의 범위를 확장할 뿐만 아니라 보다 능동적인 대응을 수행하 도록 구속력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너지시장은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통한 탄소배출저감 기술과,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신산업을 중심 으로 새로운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대한 다양한 검토가 시급 하다고 할 것이다. 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탄소배출저감 기술,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신기술 개발 및 사용화 등 온실가스 감축 기술, 에너지신기술과 신산업 관련 국내 시장이 안정적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에너지 시장구조는 에너지세 저세율-저가격 구조이며, 특히, 전기 가격의 경우에는 여타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매우 낮게 책정되어 에너지 시장의 왜곡이 심각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행 에너지 시장 하에서는 막대한 기술개발을 요하는 에너지 신기술 산업의 형성이 쉽지 않기에 이에 대한 개선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즉, 파리기후변화협정과 같은 신 기후체제 하에서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여 등과 같이 세계 에너지 시장에 대한 새로운 규제가 등장하게 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낮은 국가는 규제로 인한 시장접근이 제한됨에 따라 국가경쟁력이 더욱 저하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Post-기후변화협정 시대가 전개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배출 감축의무 최소화 합의 노력 등과 같은 소극적 대응에서 벗어나야 한다. 아울러 신에너지 시장의 선점을 위하여 근본적으로 저에너지가격구조를 지닌 국내 에너지시장의 가격구조를 개선하고, 아울러 탄소배출 감축기술/신재 생에너지/에너지신기술 개발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정책과 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에너지 관련 시장의 구조개편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안은 파리 기후변화협정에 따른 탄소배출 감축의무 발효 시 이에 대한 의무 이행을 위한 수단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향후 우리나라의 탄소배출 감축기술/에너지 신기 술의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에너지 신 시장에서의 신 성장동력으로 역할을 할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uation of the Climate Change Agreement with the obligation to reduce carbon emissions will inevitably lead to a significant rise in the overall costs of industrial production due to tan increase in energy taxes on carbon fuel consumption. Such a situation will considerably weaken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goods made in this country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ountry’s economy, in which the share of energy-guzzling sectors is high. Thus, efforts will be made internationally to develop new technologies for reducing carbon emissions based on the principle of enhancing energy efficiency, while new markets for the renewable energy and the new energy industry will emerge. It is necessary to reorient the country’s energy market structure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sustainable growth of the country’s economy under the Climate Change Agreement, in which the obligation to reduce emissions. The effectuation of the Climate Change Agreement will result in a drastic shrinkage of traditional energy markets focusing on fossil fuels and a rapid expansion of markets for renewable energy, so on. In this case, the national economy can expect to engage in sustainable development. Korea relies on imports for 95.8% of its energy needs and the amount of imports in korea has continued to increase in step with economic growth. The worldwid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and the development of new energy technologies are very important with regard to the climate change issue and the need to create economic opportunities and help people who are currently unable to enjoy the benefit of power supply. The country’s energy businesses are linking energy-related technology with ICT and manufacturing, as seen in the status of investment in new energy sectors announced in 2015. At the 21st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the Climate Change Conference of the Parties (UNFCCC COP21) held in Paris in December 2015, the Paris Agreement was signed as the basis for the New Climate Regime, in which all countries will take part, starting from 2020. All countries are encouraged to submit and execute their voluntarily set emission reduction target every five years and encouraged for the developed countries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relevant funds as well as a more transparent system adopted concerning climate action and the relevant support. One of the core items of the New Climate Regime, in which all countries will ultimately be take part, is the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INDC) and Korea submitted its INDC (i.e. a 37% reduction of BAU by 2030) in June 2015, ahead of the Paris Agreement. It is important to set the country’s relevant policies as follow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local energy structure and sustainable growth in preparation for effectuation of the Climate Change Agreement. The imposition of a higher rate of consumption tax on traditional fossil fuels will enhance the effect of the reorganization. Widening the scope of fossil fuels/energy sources subject to taxation will enhance the effect of the reorganization. In the event that the Climate Change Agreement is implemented without this country making adequate preparations to cope with it, we will not be able to fulfill the obligation to reduce our carbon emissions with tradition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thods. The situation may weaken the country’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due to the increase in the burden imposed on the economy and result in economic retreat amid a shrinkag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 must lay the groundwork for sustainable growth by developing the high value added industrial sectors and reorganize the country’s energy market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limate Change Agreement period. The adoption of a high price policy for energy will encourage the market to develop technologies designed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and look for ways of saving energy. It will also bring ab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