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요가지도자의 현황과 과제 :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조옥경,왕인순 원광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7 東洋學硏究 Vol.3 No.

        The number of associations for yoga teachers' training has been increased rapidly in Korea due to the rapid growth of demanding yoga practices. Consequently, improving the quality of yoga teachers has been one of the major issues in the yoga circl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yoga teacher's course in formal education system, such as at the level of universities,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as well as the current situation of associations for yoga teachers in Korea. The study surveyed 31 yoga centers, more than once in the three month period from April 2004 to June 2004 in Seoul and its vicinity areas. The survey included teachers' experiences, hours of training, a number of memberships,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Based on the survey, the study compares the methods of yoga teaching between Korea and Himalayan International Institute of Yoga Science and Philosophy.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 study shows the current situation of yoga teachers and their teaching method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study is also more significant that it proposes the major tasks of the yoga circle in Korea. The proposals include the cultivation for qualified yoga teachers and yoga therapists at the level of formal education system, and the cooperative development of yoga teaching, yoga researching, yoga application and the clinical study of yoga.

      • 원불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류성태 원광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7 東洋學硏究 Vol.3 No.

        오늘날 생명윤리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21세기 생명과학의 발전에 따른 생명론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는 일은 당연한 일이라 본다. 특히 근래 생명복제에 대한 세간의 찬반양론이 거세게 일었던 점은 이러한 접근을 부채질하고 있다. 그리고 생명존엄과 관련하여 인권적 입장에서 사형제의 폐지논란이라든가, 성개방 의식에 따른 낙태 반대의 생명경외 문제들이 거론되고 일어나는 생황에서 더욱 그렇다. 이처럼 생명론에 있어 사회적 이슈가 되는 항목들에 대해 종교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명윤리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본다. 생명윤리와 관련하여 사회적 이슈가 되는 것들로는 다음 몇 가지가 있다. 이를테면 낙태, 안락사 자살, 사형, 생명복제가 그것들이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는 생명 관련 항목들을 중심으로 하여 생명윤리의 방향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위에 언급한 항목들을 중심으로 해서 원불교 생명윤리의 정립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것은 사회적 이슈가 되는 생명윤리에 대한 원불교 사회구제의 방향과도 맞물리는 것들이기도 하다. 더욱이 원불교의 사은윤리에서 보면 모두가 은혜의 존재라는 차원에서 보아도 원불교 교의의 핵심적 영역이 '생명' 가치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점을 상기해 보자는 의도가 본 연구에 담겨있다고 본다. A life ethics appears as an social issued in a society recently. It is natural that many scholars seek for the various research for the life theor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life science in 21th century. In special, they have being argued frequently for and against human clone these days. Furthermore, they are debating for the repeal of the death penalty by human rights, and refusal to the abortion in the atmosphere of sexual opening recently.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n the aspect of life ethics to the social issues. There are as follows; abortion, euthanasia, suicide, death penalty and human clone. In the paper, I tried to grasp the direction of the life ethics in the probability of taking social issues. To put it concretely, it is centering on the direction of Won Buddhist life ethics. Also it is related to the social salvation to Won Buddhist life ethics which it appears as the social issues. This paper recalls to focus on the value of all the creatures' life according to the core doctrine of Four Graces of Won Buddhism

      • 全眞道 南北宗 性命論 硏究

        김정제 원광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7 東洋學硏究 Vol.3 No.

        본 논문은 內丹學에 큰 영향을 미치는 全眞道의 남북 종파의 기본 단법 순서에 있어, 北宗 丹學派의 순서는 "先性後命"이고 南宗派는 "先命後性"이라는 전혀 상반된다는 인식이 전해지고 있는데 대하여 硏究한 것으로, 남북 두 종파 내단학 경전을 보면, 이른바 "先性後命"과 "先命後性"의 차이는 단지 사람들이 두 종파의 丹經 중 述語的인 개념을 혼동하여 생긴 오해이지 사실상 두 종파의 丹法 그 자체의 차이가 아니라는데 결론을 얻었다. 南宗의, "先命後性"의 "先命"(有作)은 內丹術의 "煉精化氣" "煉氣化神"의 "命功" 단계를 가리키고, "後性"(無爲)은 "煉神還虛"의 단계를 가리킨다. 南宗 "先命後性"의 "性"과 北宗"先性後命"의 "性"은 전혀 다른 개념이다. 北宗의 "先性後命"의 "先性"은 내단술을 수련하기 전에 "煉心"을 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남종에서도 내단술을 수련하기 전에 "煉心"은 없어서는 안된다. 단지 남종의 內丹家들이 이를 "持心" "煉己"라고 할 뿐이지 북종의 내단가들 처럼 "煉性"이라고 하지 않았을 따름이다. 남종의 기본단법 순서와 북종은 사실상 다른 것이 아니라 모두 "煉精化氣" "煉氣化神" "煉神還虛"의 내단술 수련이전에 반드시 "煉心"을 할 것을 강조한다. 남 북종 丹經에서 內丹術 "煉精化氣" "煉氣化神"의 목적은 元神을 사용하여 陽神을 이루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이 두 단계가 의념을 통하여 元氣와 元神을 이끌어 만나게 하므로 "有爲" "有作"의 단계에 속한다. 또한 "煉神還虛"의 목적은 陽神을 사용하여 "철저하게 超脫"함에 있다. 이 단계는 이미 의념의 引導를 필요치 않는바 "無爲" 단계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煉神還虛"의 단계는 "煉心"의 단계와 분명하게 흡사한 것으로, 모두 元神에 결부될 뿐 元氣는 전혀 언급치 않는다. 이는 모두 "虎" "靜"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하기에 북종의 많은 내단가들은 "煉神還虛"를 "煉性"이라고 칭한다.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북종 伍守陽은 "煉心"과 "煉神還虛"를 각기 "最初還虛"와 "末後還虎"로 일컫는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내단가들은 모두 "神은 氣의 주체이다"라고 생각하는데 "煉精化氣" "煉氣化神" 이는 사실상 모두 元神7을 통하여 주재하는 것이니, 내단술의 수련과정은 모두 "靜"을 본질로 한다. 그러기에 모든 내단술의 수련은 넓은 뜻으로 보면 모두 일종의 心性의 수련이라고 할 수 있다. 全真道的南北宗派对內丹学影响巨大, 本论文针对全真道的南北宗派基本丹学顺序进行了硏究, 北宗丹学派的顺序是‘先性后命’, 而南宗派是以‘先命后性’的全然相反的认识而流传下来的. 本文通过硏究南北两个宗派的内丹学经典得出结论, 所谓‘先性后命’和‘先命后性’的区別只是人们在两个宗派的丹经中, 因混同述语的概念而引起的误会, 而不是实际上两个宗派的丹法其本身的差异. 南宗的‘先命后性’的‘先命’(有作)表示内丹术的‘炼精化气’, ‘炼精化神’的‘命功’阶段, ‘后性’(无为)表示‘炼神还虚’的阶段. 南宗‘先命后性’的‘性’与北宗‘先性后命’的‘性’是完全不同的概念. 北宗的‘先性后命’的‘先性’是指强调修炼内丹术之前, 应该‘炼心’, 南宗虽也是修炼内丹术之前, 但强调的是必需‘炼心’, 只是南宗的内丹家们称其为‘持心’, ‘炼己’, 不同于北宗的内丹家们那样称其为‘炼性’ 南宗的基本丹法顺徐与北宗的基本丹法顺序并非存在实际上不同, 而是强调‘炼精化气’, ‘炼精化神’, ‘炼神还虚’的内丹术修炼之前, ‘炼心’的必需性. 从南北宗的丹经中可以得知, 内丹术‘炼精化气’, ‘炼精化神’的目的是利用元神而转升为阳神. 其两个阶段是通过意念的引导使元气与元神相遇, 因此这属于‘有无’, ‘有作’的阶段. 并且, ‘炼神还虚’的目的就是在于利用阳神而彻底地超脱. 这阶段已经不需要意念的引导, 即属于‘无为’的阶段. 然而, ‘炼神还虚’的阶段是与‘炼心’的阶段是非常相似的, 故一切只系于元神, 关于元气一点未也言及. 这是为强调‘虚’, ‘静’. 难怪北宗的很多内丹家们将‘炼神还虚’称为‘炼心’. 为了区分这些, 北宗的伍守阳将‘炼心’与‘炼神还虚’分别称为‘最初还虚’与‘末后还虚’. 然而, 总体来看, 内丹家们虽然普遍认为‘神是气的主体’. 可是‘炼精化气’, ‘炼精化神’实际上都是通过元神来主宰的, 由此可见, 内丹术的修炼过程全部是以‘静’为本质. 因此从广义上讲, 内丹术的一体都是一种心性的修炼.

      • 完板本 『열여춘향슈졀가』 書體 硏究

        문연남 원광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6 東洋學硏究 Vol.2 No.

        가장 널리 알려지고 읽혀진 대표적인 방각본이 『춘향전』이다. 『춘향전』은 소설뿐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창극, 마당극, 영화 등으로 이어져 서로 이질적인 계층의 다양한 미의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대중문화의 발전과 후기 문학에 많은 영향을 주어 문학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京板의 경우 서울을 중심으로 사용 주체가 사대부나 여성들임을 볼 때 궁체의 영향을 받아 가늘고 섬세한 조형미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서체 예술적 측면에서 일정한 정형성을 지니고 있어 창작성이 결핍되어 있다. 반면 『열여춘향슈졀가』를 비롯한 完板의 경우는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그 사용주체가 민간인 특히 농민 중심임을 감안할 때 민간 특유의 독창성과 창작성이 풍부하게 표현되어 그 예술적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고의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열여춘향슈졀가』의 특징들은 한글 서예의 다양한 書體 개발에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앞으로 궁체의 연구와 더불어 이러한 자료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길 바라며 한글 서예사의 발전에 기여할 것을 기대해 본다. Chunhyanggjeon is the representative Banggak book which was the most famous and widely read. It was remade into Changgeuk, Madanggeuk Korean Freeform Theater], Cinema, etc. Until now, Chunhyangjeon reflects the beauty of the different Classes of Korean Society and is admitted to have literary value, since it has grea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mass culture and later literature. Used by scholars or women, the editions of Gyeongpan [Seoul Edition] show thin and fine plastic beauty influenced by the Court Style, though they lack in creativity as they have definite standardization in terms of calligraphic art. On the contrary, the editions of Wanpan, including Yeolnyeo Chunhyang Syujyeolga, have high artistic value, as they are rich in typical farmer creativity that reflects folk culture. I hope that the above characteristics in Yeolnyeo Chunhyang Syujyeolga will help to develop a variety of Hangeul handwriting styles and that this research will encourage further intensive and extensive study, along with the Court Style.7

      • 韓國 近代 佛敎改革運動의 理念과 特徵

        윤석인 원광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8 東洋學硏究 Vol.4 No.

        한용운은 『朝鮮佛敎維新論』에서 불교개혁의 이념적 축은 곧 조선불교의 오랜 전통인 禪法에 근거해야 한다고 보았다. 송경허의 결사는 우리나라 불교에서 나타났던 여러 결사운동의 이념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으며, 극도로 쇠잔되어 있던 조선불교 전통의 禪風을 진작함으로써 宗風을 회복하고자 한 운동이었다. 박한영 등의 臨濟宗運動 역시 조선불교의 정체성 찾기 운동이었으며, 권상로 역시 불교의 마땅한 존재 형태가 안으로는 看經과 참선을 닦는 것이요, 밖으로는 전도포교를 행하는 것이라고 하여 念佛이나 기도 위주인 일본불교의 침투를 경계하고 있다. 김법린의 정교 분리, 이영재의 사찰령 폐지, 백용성의 本末寺제도 폐지 등의 주장도 정치적인 영향력을 앞세운 일본불교의 조선불교 잠식에 대한 강한 경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In ChoseonBulkyoYusinron, HanYong-Woon states that the ideological axis should be based on the Dharma of Seon, the long tradition of Choseon dynasty. The association of Song Kyong-Heo transmitted the ideology of various associations of Korean Buddhist history, and also was a movement for recovering the Buddhist atmosphere by promoting traditional Seon which was extremely weakened. The Lin Ji school movement of Park Han-Yoeng also was to search of identity of Buddhism of Choseon Dynasty. Kwon Sang-Ro claimed that the form of Buddhism should be concentrated on study of sūtra and practice of Seon inwardly, and propagation outwardly, to prevent invasion of Japanese Buddhism which was centered on chanting Buddha and prayer. Those proclaims, such as Kim Beob-Rin's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Lee Yoeong-Jae's abolishment of the Buddhist Temple Law, Baek Yong-Seong's system of head and branch temples and so on, are originated for the precaution on Japanese Buddhism which made inroads on Choseon Buddhism with their political influence.

      • 불교 탄트라에 있어서 만다라의 기능 : 아바야카라굽타를 중심으로

        이용현 원광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6 東洋學硏究 Vol.2 No.

        현대의 학자들은 만다라의 의미가 마치 그 상징주의에 대한 해석을 통해 걸러낸 침전물인양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한 예로 현 달라이 라마에 의해 유명해진 칼라차크라 만다라를 보자. 어째서 그 중심원에 있는 네 부처님들은 색채, 배우자들, 방향 등에 있어서 다른 불교 만다라들과 전혀 다른가? 이 변칙적인 요소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러나 아쉽게도 칼라차크라 텍스트들은 이 의미에 대해 침묵을 지키기 때문에, 우리는 가정할 수 밖에 없는지도 모른다. 주목할 점은 그러한 변칙적 요소들이 원저자들의 입장에서 얼마든지 설명될 수 있지만, 결코 시도되지 않았다는 데에 있다. 이처럼 다양한 불교 만다라들에서 보이는 단순한 이론적 해석의 부재는 의례를 만다라의 뼈대로 하는 탄트라 수행자들의 신념을 드러낸다. 불교 탄트라 의례의 본질적 요소인 만다라는 의례적인 문맥을 벗어나서는 그 의미를 상실하고 만다. 인도불교의 최후를 장식하는 위대한 학승 아바야카라굽타는 서기 11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초반에 걸쳐서 생존한 것으로 추정된다. 바즈라발리는 그의 주저들 중에서도 다양한 탄트라의 전통을 집대성했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저서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이 의례집에서 그의 시대의 모든 불교 탄트라에 적용할 수 있는 웅대한 의례 시스템을 창조했다. 니쉬파나요가발리는 바즈라발리와 더불어 불교 만다라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저서의 하나이다. 아바야카라굽타는 이 저서에서 그의 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만다라들을 어떻게 마음 속에 그리는가를 치밀한 정확성을 가지고 기술한다. 그는 이 저서에서 '그려진 만다라'와 '상상된 만다라'라는 만다라의 두 측면에 대해 언급 한다. 아바야카라굽타는 바즈라발리에서 이차원적인 그려진 만다라를 어떻게 그리는 가를 설명하는 대신에, 니쉬파나요가발리에서 그 정신적인 대응물로서 삼차원적인 만다라를 어떻게 마음 속에 상상하는가를 기술한다. 니쉬파나요가발리는 바즈라발리와 함께 만다라의 단순한 이론적 해석으로 향한 우리의 잘못된 시선을 그 의례적인 문맥으로 올바로 돌리게끔 한다. We have a tendency to construe a man.d.ala as if the meaning of a man.d.ala were the precipitate filtered through interpretations of man.d.ala symbolism. It is noted, however, that, such interpretations are not espoused by tantric texts. Lack of such interpretations makes mere theoretical ones gaseous and reveals the conviction of tantrics about rituals as a central frame work, only in which ritual elements can make sense. The man.d.ala,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ritual elements, is meaningless, if separated from its ritual contexts. The meaning of a man.d.ala is seen as an "overview" of the man.d.ala-in-use in ritual contexts. Abhayākaragupta, one of the key religious figures in the last phase of Indian Buddhism, lived in the period from the latter half of the eleventh century to the early half of the twelfth century C. E. Among Abhayākaragupta's major works, the Vajrāvalī(VA) is particularly significant due to its grand synthesis of diverse tantric traditions. The VA is indeed his magnum opus, which has established Abhayākaragupta's reputation as one of the greatest ritual theorists on Buddhist tantra. In this ritual manual, he aspired to synthesize a liturgical heritage to which he was heir and created his own grand liturgical system, which is applicable to all Buddhist man.d.alas of his time. As with the VA, the Nis.pannayogāvalī(NP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s for exploring Buddhist man.d.ala, because visualization of the most representative man.d.alas of his time are described with great precision. Since the basis of all Buddist tantras is the man.d.ala, its contextual understanding is indispensible to studies of the Buddhist tantric heritage. In the NPY, Abhaya mentions two aspects of the man.d.ala: the drawn man.d.ala and the visualized man.d.ala. Abhayākaragupta prescribes in the VA how to draw the two-dimensional drawn man.d.alas, whereas in the NPY he describes the three-dimensional visualized man.d.alas as their mental conterparts. The NPY, along with the VA, brings us from theoretical interpretations of the man.d.ala back to its ritual contexts.

      • 『孟子』의 浩然之氣 연구

        김선홍 원광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6 東洋學硏究 Vol.2 No.

        맹자는 浩然之氣論을 통해 他者 指向的 共同體를 지향하였다. 그의 사상에서 타자 지향성을 읽을 수 있는 부분은 不忍人之心으로 마음(心)의 內在性을 설명하는 가운데 드러나지만, 이것은 천인관계와 인성론에 국한할 경우, 인간의 성선설을 논증하는데 머문다. 그의 人性論과 氣論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指向性을 읽을 수 있다. 그의 호연지기론은 근본적으로 타자 지향적 마음을 준비하고 강화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孟子의 修養論은 기본적으로 他者와 對面하여 원활히 소통하기 위한 일종의 自己準備의 과정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수양을 통해 도덕적 주체성·자율성을 회복한 本來的 自己가 언제든지 他者를 환영할 자세를 확립하려 하였다. 四端의 마음은 스스로의 성찰을 통하여 실현되는 것이다. 성찰된 바가 바르고 그것을 일마다 실천하는 것이 義를 모으는 일이다. 義가 모아지면 道德的 生命力인 浩然之氣가 스스로 생겨나고, 이 호연지기는 자연스레 온 天下에 두루 미친다. 이는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생명과 존엄성의 원칙으로 더불어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는 공존의 길이다. 그의 호연지기론은 이러한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Mencius headed toward the community orientated toward the other persons through the theory of the vast-flowing spirit. Although the part where one can read the orientation tendency toward the other persons is revealed in the midst of explaining the immanence of the mind with the mind unable to punish other persons, it stops in proving the ethical doctrine that man's inborn nature is good, in case one limits i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and the theory of moral nature. By connecting the theory of moral nature and the theory of spirit organically, one can read the tendency of the fixed direction His theory of the vast-flowing spirit is to prepare and strengthen the mind oriented toward the other persons basically. Repeating, the theory of the cultivation of the mi nd of Mencius is understood basically as the process of the one type of self-preparatio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m smoothly by meeting. others. There fore, the inherent self who had restored the moral identity and self-regulation through the cultivation of the mind, attempted to establish the attitude to welcome others at any time. The mind of the four turns of mind is realized through the self-inspection If what was investigated is right, practicing every affair of them is to gather the righteousness. If the righteousness is gathered, the vast-flowing spirit, which is the moral vitality, generates by itself, and it reaches all over the whole world. It is a way to coexist which enables us to make the society to live together with the principle of life and dignity to do so. His theory of the vast-flowing spirit can be understood as such a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