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 내 일·가정양립제도에 대한 인식 차이 및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조인영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ABSTRACT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and Military Recognition of the Underlying Assumptions of the Compatibility Cho, In Young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Policy Graduate School of National Defense Policy Woosuk University Advisor : Professor Kim, Su Ran This study overseas expansion of women in the workforce and declining birth rate and of women in the Welfare State is increasing at a time when concerns about the military for Ecosystem and in the system inconsistent with any family my job.Recognition and development measures is designed to elicit The problem is set by this study “First, recognition is only 3,155 and for the system and women in the difference?”, " Second, only 3,155 and for childcare leave system activation for their homeWhat? ", “What is the Improvement for Third, work and family go together?”. Recognition of a research problem in the present to see if the army for mediation of being discharged from military service from a confederate who is serving a total of 151 and 121 women in the total a random survey of the 272-memberWas conducted. To sum up the main study as follows : First, awareness of maternity protection system somewhat lower. In particular, lower than the recognition of the Confederate Lady, education can not only maternity leave, on-call duty exemption Lady 3 or more children, whether parental leave than take advantage of all the Confederate Lady and utilization, etc., that needs further improvement was lower.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for the unmarried is higher the more years of service is less maternity protection system also fell, there were some negative opinions. One of the absolute Lady, without changing atmosphere. Childcare hyujikje home incompatible with the Confederates also utilized, such as parental involvement can not be done. My work group. The changes to the Family Reconciliation recognition emphasizes once again the need for education by being the first request. If the NCO commissioned during training methods for beginners, in the case of an officer. Chogun half days with training in gender perception about the 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and equipped with educational materials on cyber defense training center should ever complete power obligations. In addition, not only as a woman subject to specific units, to rank them by Confederate education will need to remind the correct concept. Second, if you understand the system correctly, it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within the County Welfare Work Family Balance aggressively. 'Family Day' active practice, the elasticity of female soldiers working hours, part-time child care and other maternal protection system guided by leveraging work space and minimize long-term career break and strengthening military power, negative parental involvement Confederates induced increase environmental protection, in specific circumstances Forces It can fit in exercise held together with his father, etc. The morale. Third, one that meets the special environmental groups. Home should improve the support system compatible. After pregnancy and childbirth fitness test date would give a first-class rating in bulk granted pending when not taking the average of the previous year from grades 2-3 years as usual, take your fitness level and there must not be a disadvantage. And really I dont need to prevent the establishment of complaints about on-call duty allowance to the duty exempted from duty, and the duty to work and the need to improve further specify the untimely convened an emergency exemption conditions. In the case of maternity leave was 90 days 90-120 days I'm going to help to increase the period of postpartum physical recovery of women, Lady parental leave when the atmosphere so that you can replenish the replacement personnel immediately to leave the comfort of using the system and work spaces must composition. Finally, the abolition of discriminatory institutions shall inform the station that the maternity protection system is not a system just for women. Motherhood in the name of the institution that is felt by institutions for women. However, the concep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men and women by including child care. Regardless of gender into force and the capability necessary for mission as you can see from the Lady utilize the principle of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placed in all positions is stronger than any organization. Child care is not a burden to be left behind by both men and women to reliably perform military duty family-friendly atmosphere is required. <국문초록> 軍 내 일․가정양립제도에 대한 인식 차이 및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국방정책학과 국방정책학전공 조 인 영 지도교수 김 수 란 본 연구는 최근 여군인력 확대 및 출산율 감소 등 여군의 복지 실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군 내 일‧가정 양립제도에 대한 인식차이와 발전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문제는 “첫째, 제도에 대한 인식이 남군과 여군차이가 있는가?”, “둘째, 남군 육아휴직제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문제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현재 육군의 각급제대에서 군 복무하고 있는 남군 151명, 여군121명으로 총 2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성보호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다소 낮았다. 특히 여군보다 남군의 인식이 낮았고, 교육이수 뿐만 아니라 출산휴가, 3자녀 이상 여군 당직근무 면제, 육아휴직 활용 등 모두 여군보다 남군의 인지 및 활용, 추가 개선 요구도가 낮았다. 또한 미혼일수록 근속연수가 낮을수록 모성보호제도에 대한 인지 및 이해도는 떨어졌으며, 일부 부정적인 견해도 있었다. 분위기 변화 없이는 절대 여군의 일‧가정 양립과 남군의 육아휴직제도 활용, 육아참여 등은 이루어 질 수 없다. 군 내 일‧가정양립에 대한 인식변화가 제일 먼저 요구됨으로써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교육 방법은 임관 시 부사관의 경우 초급반, 장교의 경우 초군반에서 성 인지력과 함께 일‧가정양립정책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고, 국방 사이버 교육센터에 교육자료를 탑재하여 전원 의무 수료토록 해야 한다. 또한 여성 대상으로만 할 것이 아니라 부대별, 계급별 남군들을 교육시켜 정확한 개념을 일깨워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제도를 올바르게 이해했다면, 군 내 일과 가정 양립의 복지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해야한다. ‘Family Day’ 적극 실천, 여군의 탄력근무제, 육아시간제 등 기타모성보호제도 적극 활용 유도로 장기 업무공백과 경력단절 최소화 및 국방전력 강화, 남군의 육아 참여 유도로 부성보호 환경 증대, 부대별 여건에 맞는 아버지와 함께하는 행사 개최로 사기진작 등이 있다. 셋째, 군 특수 환경에 부합된 일‧가정양립지원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임신 및 출산 후 체력검정 일시보류 시 부여되는 등급을 일괄적으로 1급을 부여 할 것이 아니라 임신 및 출산 후 일정기간 동안 체력검정을 유예하여 이익 또는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출산휴가의 경우 90일에서 90~120일까지 기간을 증대하여 여성의 산후 신체 회복을 도와야겠으며, 여군 육아휴직 시 대체인력을 즉시 보충하여 업무 공백과 편안하게 휴직 제도를 사용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끝으로 역차별적인 제도를 폐지하여 모성보호제도는 여성만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는 것을 알려야 한다. 제도의 이름에서 모성 즉 여성을 위한 제도로 느껴진다. 그러나 육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남녀를 구분하지 않는다. 임무수행에 필요한 사력과 능력으로 남녀불문 모든 직위에 배치하는 여군활용원칙에서 알 수 있듯 남녀평등이 어느 조직보다도 강하다. 육아부담 등으로 남녀 모두 도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임무수행 할 수 있도록 가족 친화적 군 분위기 조성은 필수이다.

      • GOP 전입신병의 병영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허기영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Ethnographic Study on Army Life of New Transferred Recruits of GOP Heo Gi-yeong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National Defence Policy This study is an ethnographic study that observed and analyzed new transferred recruits to GOP who were born after 1990 and entered military after 2016. This ethnographic study can reveal what new recruits think and what kind of culture is formed among them. In addition, several results were drawn through analysis of their thoughts and their languages, and the drawn results were connected to theoretical background for policy proposal to national defence. The researcher performed intensive interviews with those who had different life elements, who had sincere attitudes and who mentioned what could be major resources for policy. The questions were around 10 items except personal information.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 questions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1. What troubles do new recruits have in army life? 2. What is the military culture that new recruits feel? 3. What phenomena are drawn in army life? To solve those problems, the researcher took intensive interviews for the main technique. For smooth interviews, the researcher took a lot of time on 1:1 communication to minimize closed relationship of hierarchy, and make efforts to build trust in it. Based on this, repetitive interview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e week was enough for new recruits to adjust new environment. Second, they intended to find the answers of their future careers. Third, they face the reality that they can't avoid or neglect the organization of army. Fourth, they showed 'the phenomenon of rejecting awareness' that they refuse to solve problems or inconvenient situations. Fifth, they think the organization of army is formed differently from human relationships formed in the society. Sixth, they consider the army life as very closed and inflexible one. Seventh, training and duty performance greatly contributed to adjusting to army life. Based on the seven results, the following 10 policies are proposed. The presented policy proposals were divided into military executives, soldiers and society,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external experts with knowledge and experience to lead solders are necessary. Second, solders need physically separate space. Third, military personnel education about the phenomenon of rejecting awareness and retributivism command is needed. Fourth, support for physical strength management for GOP staff is needed. Fifth, realistic trouble relief of military executives should be discussed. Sixth, noncommissioned officers' restriction items of unit management should be relieved. Seventh, there is a need for reconsideration of recruiting excellent noncommissioned officers. Eighth, there is a need for initiative to improve happiness index of military executives. Ninth, after establishment of improved life quality, benevolent measures on matters caused by wrong behaviors of soldiers should be strongly restricted. Tenth, improvement of awareness about military should be established. This ethnography will be helpful for parents whose children are in military service and those in their 20s who have to challenge new environment of military service to release their anxiety. In addition, in establishment of national defence policy, this will help to find out matters to consider such as welfare of executives and soldiers, environment and vision. This will be basis for military's development in this changing era. GOP 전입신병의 병영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허 기 영 우석대학교 대학원 국방정책대학원 이 연구는 1990년 이후에 태어나 2016년 이후 고정GOP에 입대한 전입신병들을 대상으로 관찰 및 분석한 문화기술지이다. 이 문화기술지를 통해 전입신병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문화가 형성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그들의 생각과 언어분석을 통해 몇 가지 결과들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결과들은 이론적 배경과 연계시켜 사회, 국방에 요구하는 정책제언을 하였다. 연구자는 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 각기 다른 생활요소와 진솔한 태도, 정책에 주요한 자료가 될 내용을 언급한 인원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질문은 10개 문항 내외로 하였으며 개인 신상에 대한 질문은 기록을 자제하였다. 연구자는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시하였다. 1. 군에 입대한 전입신병들은 어떤 고민 속에서 살아가는가? 2. 전입신병들이 느끼는 군대의 문화는 무엇인가? 3. 병영생활 속에서 어떠한 현상들이 도출되는가?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심층면담을 주요기법으로 하였다. 원활한 면담을 형성하기 위해 1:1 소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상�하계급의 폐쇄적인 관계를 최소화하고자 했고, 그 속에서 신뢰가 쌓일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반복적인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입신병의 환경적응 시간은 일주일이면 충분했다. 둘째, 군에서 자신의 진로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다. 셋째, 군이라는 조직 내에서 회피하거나 무시할 수 없음에 직면한다. 넷째, 문제 혹은 불편한 상황을 인지하였음에도 해결을 거부하는 ‘인지 거부적 현상’을 보였다. 다섯째, 사회에서 이뤄지는 인간관계 형성과는 다른 형태로 군은 만들어진다고 보고 있다. 여섯째, 군은 매우 폐쇄적이고 매일 경직된 일과로 진행된다고 본다. 일곱째, 훈련과 직책수행이 부대적응에 크게 기여함을 보였다. 도출된 7가지의 결과들을 토대로 다음의 10가지의 정책을 제언하였다. 제시된 정책제언은 간부와 병사 그리고 사회로 구분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병사들을 인도할 수 있는 지식과 경험을 갖춘 외부전문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 둘째, 병사들에게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공간이 필요하다. 셋째, ‘인지거부적’ 현상과 ‘응보주의적’ 지휘에 대한 장병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GOP 근무자들의 체력관리를 위해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간부들의 현실적 고민해소를 위해 논의가 되어야 한다. 여섯째, 부사관들의 부대관리 제한사항을 해소해 주어야 한다. 일곱째, 부사관 우수인력확보 체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군 간부들의 행복지수를 높여 줄 추진력이 필요하다. 아홉째, 삶의 질적 향상이 잘 구축된 이후 군인들의 잘못된 언행으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온정적 조치는 강력하게 차단해야 한다. 열 번째, 군에 대한 인식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 문화기술지는 군에 입대시킨 부모들과 군 입대를 앞두고 새로운 환경에 도전해야 하는 20대 젊은 청년들의 막막함에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국방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간부 및 병사의 복지, 환경, 비전 등 분석, 검토해야 할 문화를 읽어 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군이 발전할 수 있도록 밑거름이 될 것이다.

      • 전작권 전환에 따른 한미 연합 군사지휘체계 발전방안

        박범식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National Defense Policy Department Business Administration & Culture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Park Bum Sik The relationship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OK-US) has been constantly developed through cold-war era/period since the Korean War. James Earl Carter (Jimmy Carter), the former U.S. president, pressured ROK with the withdrawal of the United States Forces Korea (USFK) on the grounds of human right issues during his visit to South Korea in the late 1970s so it got through difficulty for a while. ROK, however, made the U.S. decided to maintain the presence of USFK in South Korea not only for the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for the stability of North East Asia (NEA) by a wide variety of diplomatic cooperation with the USA. However, South Korean people strongly called on their government to take back Wartime Operational Contr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rtime OPCON”) from the U.S. insisting the military sovereignty claimed by Noh, Mu-hyun (the late former ROK president) administration since entering 2000s. Eventually, Wartime OPCON was originally scheduled to be transferred to South Korea in 2012 but it was first delayed to 2015, and then, was again postponed to the middle of 2020s in consideration of the recent Korean Peninsula situation and the lack of South Korea’s preparation for Wartime OPCON ability. Actually, the main reason to postpone it was that South Korea had lack of ability to autonomously deal with the steadily increasing threats by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Currently, the security situation of the world and NEA in regard to North Korea is not better in comparison to the past situation and there are a lot of conflicts and checks among nations in the world a well as NEA. China has been planning to expand its territory and military influence by including Ieodo (a underwater reef ruled by South Korea) and Senkaku Islands (ruled by Japan) in to China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CADIZ). Japan has claimed Senkaku Islands, connecting the issue with the US-Japan Security Treaty and sought to expand the radius of operations on the grounds of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The tense between Russia and the U.S. has been escalating since Russia invaded the Crimea peninsula of Ukraine in 2014. Russia, itself, has been pursuing economic revitalization measures in order to overcome sanctions and isolation by the U.S., European, and NEA countries. In addition, as for South and North Korea relations, unstable factors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frequent intrusion of Northen Limit Line (NLL) and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by North Korea, nK's show of force against launching balloons by South Korea NGOs, missile test-firing, and reoperation of nuclear facilities since Kim jong-un (KJU) took the power. Considering these situations of NEA and North Korea, ROK government is now in dire need of making an effort to improve stability in politics, economy, and military in regard to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However, it is currently limited for ROK government to accomplish them by its own effort. In particular, political and military aspects are more limited. Therefore, ROK needs inevitably an ally that can support it in the field of politics and military. After all, it is a practical and reasonal estimate for South Korea to seek solutions by comprehensive alliance with the U.S. in consideration of curr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ROK and the U.S. have been maintaining so-called blood-forged alliance since the Korean War. The alliance has been originally agreed and maintained based on largely military relations but steadily developed based on the relations of comprehensive exchanges and coordination in a wide range of areas such as politics, society, military, and culture. Based on the alliance treaty, the U.S. has been militarily supporting South Korea to help it maintain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 since the Korean War. These close relations between ROK and the U.S. led to establish Combined Forces Command (CFC) in the late 1970 and it has been enabling them to effectively employ their forces during wartime based on close military collaboration during peace time. CFC has been playing key roles in the field of military and maintaining security on th Korean Peninsula since it was established in 1978. CFC, as one of military organizations combined by ROK and the U.S., possesses efficient systems that can effectively execute wartime missions. Furthermore, CFC is a critical military organization designed to take the leading role for the U.S. in NEA. CFC has been supporting the operations plan (OPLAN) development of ROK Armed Forces as well as has basically wartime mission execution system so that ROK can independently execute its missions after taking wartime OPCON back from the USA. To this end, CFC has been helping South Korea has operations execution ability for wartime by selecting and verifying Mission Essential Task List (METL) together. In this paper, I analyzed CFC roles as one of measures to enhance ROK-US alliance based on above concept (situation). In addition to that, I tried to design/conceive/devise (military) command structure and peace mechanism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wartime OPCON transition. To attain this end, first of all, I analyzed the security environment/situation around/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 assessed especially th threat of North Korea in connection to the security conditions of China, Japan, and Russia. Moreover, I analyzed the latest U.S. military strategy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America's global readiness posture, new defense innovation initiative, and strategies for Asia in accordance with strategic changes in th world. And then, I reviewed the importance of the U.S. for the strateg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painted a big picture for the direction of ROK-US alliance being pursued by the U.S. as well as the future combined defense system based on it. Second, I studied the roles of CFC based on ROK-US alliance. To this end, I reviewed the history of CFC and assessed what and how the CFC has been and will be contributing to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both wartime and peacetime. Third, I reviewed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scheduled in the near future and CFC reorganization measures and forecasted the roles CFC after the transition using the result of the review mentioned earlier. This will help us more understand Korea Command (KORCOM) of the U.S. forces that will support ROK military after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Finally, I suggested the development measures of ROK-US alliance especially in the field of military for the Korean Peninsula peace (system) settlement when reorganizing KORCOM of the U.S. forces. To this end, I first reviewed what areas ROK military should institutionally make up for the weak points, and then proposed solutions for pending issues between ROK and the U.S. after studying them. There have been a lot of confrontations o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mong military powers. Thus, ROK has been maintaining the security amid collaborating with the USA, Japan, China, and Russia against North Korea nuclear threat. In this situation/conditi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South Korea to select the U.S. that is the super power especially in the field of military and maintain alliance with it.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se realities of ROK, I analyzed and developed some measures for strengthening the security and military alliance between ROK and the U.S. based on a frame of CFC.

      • 국내 민-군 관계 갈등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군 부대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윤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내 민-군 관계 갈등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군부대 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 Kim Jung Yun Department of Defensepolicy Graduate School of Defense Management Woosuk University 본 연구는 군부대 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갈등의 원인, 과정 및 결과를 파악하여 향후 군부대 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효과적인 갈등관리 관리 요소를 제시하는데 있다. 군부대 및 군사시설은 국가 안보라는 그 특성상 보편타당한 편익 실현에 기여하기 때문에 국가나 사회 전체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시설이다. 하지만 산업화 및 민주화의 시기를 거치며 국민들의 의식수준이 높아지면서 안보라는 이유로 인내하던 군부대관련 피해에 대해 적극적으로 민원을 제기하는 등 갈등이 증폭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군부대 이전은 지역사회와 주민들의 개발이익과 재산권 등이 충돌하는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군부대 이전 관련 갈등사례 중 평택 미군기지 건설 사업과 전주 35사단 이전 사업을 다루고 있다. 시간적 범주는 사례간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던 기간을 비교 해보면 평택 미군기지 건설의 경우 2001년부터 진행되었고, 전주 35사단의 경우 1999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비슷한 시기에 두 사업이 진행된 사례이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 간 맥락과 상황을 관찰하고 이해관계자들 간의 주요 갈등 요인 및 해결과정을 비교분석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군부대 이전과 관련하여 후보지 선정부터 갈등해결까지 갈등의 주요 배경과 전개과정을 확인하고, 갈등의 원인과 주요 쟁점과 이해관계자의 입장, 갈등관리과정에 대한 평가를 분석하고 두 사례를 비교분석하면서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제1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범위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갈등의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제3장에서는 각 사례에 대해 추진과정 및 갈등과정을 정리하였고, 제4장에서는 두 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결론과 한계를 통해 두 사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군부대 이전시 추진 주체에 대한 유의사항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첫째로 사업추진과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부족을 들었고, 둘째로 평상시 군-민간 교류가 미흡했다는 점, 셋째로 협상 전략의 부재를 제시할 수 있었다. 연구의 한계는 실패 사례 및 성공 사례를 비교하는 등의 다양한 연구가 이 논문에서 논의 되었어야 하지만 사료부족 등의 이유로 성공사례로만 연구되었고, 자료수집과 해석에 따른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군부대 이전과 관련한 연구자들의 더 많은 연구자들의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민-군 갈등, 군부대 이전 갈등, 35사단 이전, 평택미군기지 건설 갈등

      • 동아시아 지역분쟁이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선승배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동아시아 지역분쟁이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지역분쟁의 주요 원인을 살펴본 결과 ① 체제 및 이념, ② 자원, ③ 국가권력, ④ 지역적 지배, ⑤ 영토, ⑥ 분리, ⑦ 자치, ⑧ 국제권력, ⑨ 기타 순으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렇다면, 동아시아 지역분쟁은 상기 사항중 어느 하나의 원인이 있을 것이며, 이러한 원인으로 지역분쟁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고려시 안보의식에 대한 연구는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지역분쟁의 개념 이해, 지역분쟁의 발생원인 및 종류에 대해서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지역분쟁이 안보의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하여 연구하여, 앞으로 전개되는 동아시아 지역의 분쟁상황에 대하여 민감하게 안보전략적 측면에서 대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역분쟁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하여 지역분쟁의 중요성을 논하기 위하여 군사자료와 논문 등 연구 자료를 확인하였으며, 지역분쟁이 안보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기법을 통하여 실증연구를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분쟁 연구의 발전방향은 지역분쟁 연구에 대한 공감대 형성 이 필요하고, 지역분쟁 연구와 다각적인 연구사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별 연구추진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지역분쟁 연구자료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과, 지역분쟁 연구기관별 협업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둘째, 지역분쟁과 안보의식 향상방안은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역분쟁 관련된 신분별 안보의식 향방 방안의 다양화 모색으로 안보의식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현역 초급간부, ROTC, 일반 대학생 등 다양한 신분에 맞게 지역분쟁 관련 사항을 정리하고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역 분쟁양상에 대한 대응체계 구축 측면에서는 분쟁에 대한 연속성 및 변화성을 이해하고 관련 간부교육의 강화와 지역분쟁 전문가 양성 위한 위탁교육 신설, 주요 분쟁연구기관 파견요원 확대, 간부 양성과정에 정규과목 채택, 다양한 대중매체 홍보, 대학교 교양과목 및 세미나, 분쟁 토론대회 개최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셋째,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역분쟁 양상에 정부적 차원 대응전력을 통한 범 국민적 안보의식 향상의 토대의 마련이 필요하겠다. 따라서, 언론인, 분쟁전문가, 대학교수, 정부기관 담당관 등 지역분쟁 대응 전담 TF를 구성하여 우리나라의 분쟁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융통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국회특위 차원 영해 및 접속 구역법을 개정하거나 특별법을 제정하여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하고, 우리나라도 분쟁지역이 있다는 것을 홍보하기 위하여 홍보전시관 신설, 민간단체 활동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정책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넷째, 지역분쟁이 안보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은 설문조사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Key word : 동아시아 지역분쟁, 센카구열도, 댜오위다오, 쿠릴열도, 영토분쟁

      • 전략화장비軍업체납품후하자복구방법연구

        김세연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Let more strategic and military equipment manufacturers Delivery Recovery Study Kim, Se Yeaun Department of Defensepolicy Graduate School of Defense Management Woosuk University New groups are demanding an immediate replacement, regardless of the combat power space missions and avoid the warranty period and type of contracts let in the dimension. However, conditions are that companies are able to fulfill the needs of the group, as let's recovery is structurally limited. If the first result from defects in the equipment, specified in the contract purchases of spare parts supplied to one trillion months concurrent group can only be used without the approval of the county limits. Depending on the required country's weapons programs and strictly limited to the first one trillion months concurrent commitments spare parts is also not realistically exceed production. That is the nature of the defense material manufacturers obtain a spare key elements to produce goods without going through the national procedures and contracts may be purchased separately or not to add from the outside. Supplier of spare parts as well as additional legal reserve is due to a problem with the export approval process, nor is there a basis not high feasibility. Let during the warranty period of the future electrification equipment repair methods current research and development contract terms that reflect the procurement costs by signing the full purchase number in the Contract, the company in addition to brand new for mass production aware of the fact that securing US spare parts and even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User Complaints practices of the group that requires a new replacement, if the quality of the failures and repairs, pass the constant verification practices are recognized as a "new fit purchases purpose", using alternative during production of failures and repairs, and new dedicated aircraft electrification project that this has been recognized, the group got to secure the separate simultaneous one trillion months spare parts Improvement possible when using this point, the Supreme Court's case law that the institutions consider that such approved in the same way as new to let reconditioned that meet certain criteria It should be improved. For the shortest possible time eliminating the user frustration aircraft electrification improvement of Let's recovery for the conversion and the military held simultaneously one trillion months spare parts operation method of parts for production are being applied in business, the main stock positions Let's recovery for the simultaneous one trillion months repairing parts of companies through changes management, let's procurement of parts for the repair costs reflected in legislation, the equipment through the PBL / CLS apply a total lifecycle management system proposed, including a variety of improvements. Also, let's recovery in the company group after the return or military reserve management maintained Let since measures and initial system design phase to compensate for the military to spare parts for warranty simultaneous one trillion months repair with concurrent one trillion months spare parts that are secured by consuming its own priority secured by including the required accessories, and plans to use the approval of the necessary military, let's recovery takes one trillion months of concurrent spare parts securing the company was reviewing the feasibility of such measures for managing or operating the next best proposal selected. Let's related companies also plan to operate by securing spare parts for production and one for separate warranty is applicable laws and procedures, as well as the intended acquisition to reduce operating and maintenance costs of the group also difficult to meet. In other words, given the initial purchase contracts during the government's policy to acquire equipment required to strictly limit the commitments by the group, the excess production of certain spare parts were likely to be limited in reality. Finally, the current rules despit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logistic support ongoing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of the relevant authorities, the reasons attributable to let the unexpected that may arise after consumption tends to be passed on to the producers. This is difficult to find an example in most countries against the contract, 'a' through excessive responsibilities imposed on the business activities can result in atrophy and deterioration of corporate earnings structure. So let's warranty is given the points, which can be achieved by strengthening the organic collaboration and systematic quality of the institutions, after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that the deletion or modification in early will be a let recovery method you want for the electrification equipment. After consistently it is the major weapon systems equipment supply consumption in this study Let's respect to defective equipment that occur within the warranty period through the power spaces to prevent by proposing to maintain combat readiness and military recovery methods could have a military significance of such savings.

      • 육군 부사관 학군단 교육훈련체계 개선방안

        이한준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Improvement of noncommissioned officer RNTC training system Defense Policy Studies Major Lee Han Jun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he system is equipped with a system to achieve superior noncommissioned officer workforce acquisition, which is the purpose of rhe Army application system, which is being tested in 2015. As part of the defense refrom, the defense ministry has achieved a variety of efforts to secure talented human resources in order to foster a defense workforce in defense of personnel For this reason, the Army has selected a review system and a demonstration of universities in 2013. performance analysis reviews will ve reviewed through a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hree professional universities selected in 2015. RNTC command control is currently controlled by the army private command and aims to propose measures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and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RNTC and non commissioned officer academy since 2017. A study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rntc and non commissioned officer academy Training personnel equipped with appropriate training facilities, facilities, personalities and professional background training suggestions are being analyzed and proposed to improve policies on policy departments. The study provided an evaluation of whether or not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NTC was to nuture talented individuals. For this purpose, the commission analyzed the satisfaction ratings of the educational trainess and the trainees of the education system. n alternative to achiene effective educational training system in army buildings. Focus on the first effective training program. As a sergeant, he needs to train himself as a sergeant, strengthen physical, combat skills and practice training skills. Moreover considering the satisfaction and burden of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system for the current school system, a more practical and more coherent education is needed. WE will seek ways to replace the timing and theories of the comprehensive curriculum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replace it with a master's comprehensive assessment curriculum for the genral purpose evaluation. Second, hiring and qualification criteria for recruiting personnel. Operate the RNTC manager, discipline officer and administrator of the school. Training is being conducted by training staff at a noncommissioned officer. The instructo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ining succeeds. Education in the RNTC is consistent with constant physical training. Instructional materials required for candidte. Be sure to avoid the loss of forgotten cycle through core classes. Only those who can overcome this will be able to become an instructor. 육군 부사관 학군단 교육훈련체계 발전방안 국방정책학전공 이 한 준 지도교수 남궁승필 본 연구는 2015년부터 시험적용 되고 있는 육군 부사관 학군단 제도의 목적인 우수한 부사관 인력 획득이 달성되기 위한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한 연구이다. 국방부는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국방인력 감소에 대비한 정예 부사관 육성을 위해 우수한 인재를 획득하려는 노력이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육군은 2013년부터 제도 검토 및 시범대학을 선정, 2015년부터 선정된 3개 전문대학의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성과분석을 통해 확대 시행검토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러한 부사관 학군단의 지휘통제는 현재 육군 부사관 학교에서 통제하고 있으며 17년 이후 확대 적용시 부사관 학군단과 부사관 학교의 효과적인 교육훈련체계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부사관 학군단과 부사관 학교의 연계성 있는 교내교육과 입영훈련이 되기위한 요인과 부사관 교육에 적합한 훈련장 및 시설, 인성과 전문경력을 갖춘 운용요원 그리고 정책부서 차원의 제도개선 등에 대한 분석 및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사관 학군단 개설의 목적이 우수한 인재를 발굴 육성 할 수 있는지 효과성 평가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 부사관 학군단 후보생과 현역, 민간, 예비역 출신의 양성과정 후보생을 거쳐 부사관으로 임관하여 교육을 받고있는 초임 부사관들에게 교육훈련체계의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육군 부사관 학군단의 효과적인 교육훈련체계 달성을 위한 대안은 첫째, 효과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중점으로 부사관으로서 자부심과 올바른 인성함양 교육, 전투체력 단련, 기본 전투기술 숙달, 실습위주의 교육훈련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학군단 후보생들의 교내교육체계에 대한 만족도와 임관에 대한 부담감을 고려해 보았을 때 좀 더 실질적이고 연계성있는 교육진행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교내교육간 군 리더십과목의 시간편성을 적절히 조율하여 임관종합평가 과목에 대한 선행학습 및 이론교육시간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것이다. 둘째, 운용인원 선발에 대한 채용기준 및 자격조건이다. 현재 부사관 학군단에는 학군단장 예하 교관/휵육관, 행정관을 운용하게 되며 부사관학교에서 입영훈련시에는 담임교관에 의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부사관 학군단 교관은 부사관 후보생 교육의 성패를 좌우한다. 교내교육시에는 꾸준한 체력단련 지도와 후보생들에게 필요한 과목에 대한 교육자료 준비 및 핵심강의를 통해 망각주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자만이 부사관 학군단 교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과정에 적격이 될 수 있는 교관/훈육관을 채용 및 선발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다. 셋째, RNTC 1기의 첫 임관제도에 대한 정책적 제도적 차원에서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현재 부사관학교에서의 RNTC과정은 동・하계로 구분되어 교육대가 순환하며 입영훈련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RNTC 1기 후보생들은 마지막 동계입영훈련을 통해 임관종합 평가 합・불 여부에 따라 임관, 퇴교, 유급을 심의하게 되어있다. 심의기준은 임관종합평가 2과목 이상불합격시 또는 리더십저조자로 선정될 시 그 대상자가 된다. 하지만 각기다른 제대와 교관으로부터 교육 및 평가 진행되다 보니 후보생들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인성적인 측면에서의 리더십분야는 객관적인 근거자료가 없어 평가를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유급판정을 받을 경우 해당인원에 대한 처리제도가 모호하여 향후 이러한 점에대한 제도적 차원에서의 세부적인 계획 및 지침이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 육군 소부대 도시지역 전투능력 강화 방안 연구

        이태훈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초록> 육군 소부대 도시지역 전투능력 강화 방안 연구 국방정책학전공 이 태 훈 지도교수 남궁 승 필 21세기의 전쟁양상은 지난 세기와는 다르게 도시지역전투가 일반화되었다. 북한도 이러한 전쟁양상의 변화에 발맞춰 특수작전부대를 활용한 도시지역에서의 테러와 비선형 전투를 집중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따라서 육군은 이러한 북한의 새로운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방책을 구상해야 하며, 특히 소부대의 도시지역 전투능력 향상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육군은 미래 전장의 중심이 도시지역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준비해야 한다. 둘째, 미 육군이 실전을 통해 얻은 교훈을 벤치마킹하여 육군 소부대의 무기체계에 적용해야 한다. 셋째, 소부대의 도시지역 전투기술을 향상 및 유지시킬 수 있는 전문교육기관을 설립하며 넷째, 육군 소부대의 도시지역전투 수행능력을 부여하기 위한 훈련체계와 편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방개혁을 통해 위의 네 가지 방안이 실현된다면 변화하는 전쟁양상과 북한의 위협에 즉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으며, 한반도 미래전의 중심이 될 도시지역전투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Ways to Strengthen MOUT Capabilities of the ROKA's Small Units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Policy : Lee, Tae-Hun Advisor : Professor Nam-Gung, Seung-pil Wars in the 21st century have been generalized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MOUT) compared with last century. DPKR is also preparing for urban terrors and nonlinear urban combats using SOFs. Therefore, the ROKA is required to cope with these new threats of DPKR, and spur to improve small units' MOUT capabili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three ways from a problematic perspective as mentioned above. First of all, the ROKA must recognize the fact that the urban area will be major combat fields in the future. Secondly, the ROKA has to benchmark the US Army's weapon system upgraded through the Iraq and Afghanistan War. Thirdly, the ROKA is required to build the training center to develop small units' MOUT tactics, techniques, training systems, and organizations. Fourth, continuous development of training system and organization for granting the capability of the army subcompacts to perform combat in urban areas. The ROKA can equip abilities for adapting to changing wars and DPKR's new threats and simultaneously overwhelm the enemy wherever it executes the MOUT if three ways are actualized through ongoing Defense Reforms. Keywords: MOUT, SOFs, small units, Defense Reforms

      • 군 조직 내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자기역할극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김철호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군 조직 내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자기역할극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국방정책 대학원 김 철 호 지도교수 조 현 철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장병을 대상으로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역할 놀이 중심의 ‘자기 역할극’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이를 실시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언어폭력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기존의 언어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군 장병의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구안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둘째, 구안된 최종 프로그램은 군 장병의 언어폭력행동 예방에 얼마나 효과적인가? 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00사단 신병교육대대 1개 중대 훈련병 중 2개 소대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50명과 통제집단 50명으로 구성하였다.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역할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이수영(2010)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5회기로 구안하여 야전 지휘관과 장병들을 대상으로 1차 자문과정을 거친 뒤 2차로 지도교수 및 교육사 인성연구센터 교관의 자문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후 최종 프로그램으로 실험 집단에게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25일까지 매 주 1회씩 지휘관 위임시간을 활용하여 언어폭력 예방 자기역할극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검사 도구는 Infant & Wigley(1986)의 ‘언어폭력검사’를 번안하여 군 장병의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1.0 Program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값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평가서 및 사후 설문지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추가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군 장병의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자기 역할극’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언어폭력 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기존에 군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언어폭력 예방 프로그램이 없는 상황에서 본 프로그램의 구안 및 실습을 통해 장병들의 언어폭력행동을 감소시켰다는 의의를 갖는다. 특히 ‘자기 역할극 (자기 자신을 성대모사)’ 프로그램은 기존의 언어폭력 예방프로그램에 비해 획기적으로 본인의 언어습관을 인식하고, 반성하며 언어폭력을 예방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구안 및 개발된 ‘자기 역할극’ 프로그램은 군 장병의 언어폭력 예방에 도움을 줌으로써 장병들의 군 생활 지도에 활용될 수 있으며, 군 장병의 언어폭력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끝으로 본 프로그램은 군 내에서만 활용 가능한 것이 아닌 회사, 학교 등 단체 조직 내에서 쉽고 재밌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EFFECT OF ROLE PLAY PROGRAMS FOR VERBAL ABUSE PREVENTION IN THE MILITARY Kim, Cheol Ho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Advisor : Prof. Cho, Hyun Choul This study's purpose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behavior of language violence by implementing 'self-role play' to soldiers to prevent language violence. To prevent language violence. To achieve these the goals we have set this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languag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making the program for preventing language violence by soldiers? Secondly, hoe effect is the final program designed to prevent soldier's language violence. The subject is composed of 50 experimental trainee group and 50 controled trainee group in teo platoons in 00division, under one recruits education battalion in a company. Based on the program model developed by LEE SOO YOUNG(2010), Group concealing program for preventing language violence was designed with five sessions. First consultation took place with the field commander and soldiers followed by another consultation with liaison advisor, educator personnel and research center instructor before developing the final program. As a final program, we have conducted self-role play program every one's a week to prevent language violence in a experimental group from first of April, 2017 to 25th of April, 2017 during commander delegation time. We have used Infant and Wigley's language violence test which gave been modified to the level of the soldiers as a tool. Data processing eas done by analyzing corresponding 't' value by using SPSS 21.0 program. And to over come the limitations of the quantitative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s of the research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further analyzed and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s study has significance in absence of languag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e act of language violence by soldiers have reduced through designing and practicing the program. Especially 'self-role play' program has great significance in recognizing, reflecting and preventing language violence preventing program. Secondly, the 'self-role play' program develop through out this study can be used to guide soldier's military life and help prevent language violence against military personnel by helping soldiers to prevent language violence. Finally this program is not only available with in the military, but it can be used easily and fun in organizations such as companies and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ollow up study is as the following; First, the state of affairs only verified the short term effects of recruitment education trainee not the general military servicemen. For more accurate verification a depth analysis of the soldiers at each level of the troops and additional follow up effects are required. Secondly programs that can be used within the military is extremely in scarce. There for it was difficult to develop realistic and detailed programs, it seems various researches are need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Lastly, it is necessary for the researchers to be more likely that the researcher's will is projected to the subfects more strongly than other general research.

      • 군(軍)내 여군 모성보호제도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황성훈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복지에 관한 높은 요구와 출산율 저하, 인구감소, 성폭력사고 등의 사회문제 증가와 연계하여 남성위주의 군 조직에 여군의 지속적 증가에 따른 복지 정책 증진에 대한 발전,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가 설정한 문제는 ‘첫째, 모성보호제도에 관한 여군들의 인식과 남군들의 인식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둘째, 여군들에게 주어지는 탄력근무제, 육아시간, 보건휴가 등 모성보호제도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보육시설확충, 산부인과 의료서비스 개선 등 현실적 상황을 반영한 개선방안은 무엇인가?’이다. 연구문제에 대하여 해결․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와 각종 통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구성되어 있는 모성보호제도에 관하여 여군들의 활용 빈도는 육아휴직제도 외에는 미비한 실정이며 이에 대한 인지도도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군 생활기간이 짧을수록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여서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남군들은 모성보호, 일-가정양립과 관련된 정책에 있어서는 역차별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상황들에 대한 극복방안으로 남․여 동일하게 모성보호제도에 관한 지속적인 홍보,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간부 양성과정부터 교육이 이뤄진다면 제도의 활용도는 높아지고 남군들의 부정적 인식은 변화 될 것이다. 나아가 양성평등 사상이 정착되어 모성보호, 일-가정양립이 정책이 정착되고 이는 출산율 증가, 우수 여성인력의 상위 계급으로의 진출이 꾸준히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모성보호제도들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된다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한다. 근본적으로 여군들이 탄력근무제, 육아시간, 보건휴가, 산부인과 진료비 지원 등과 같은 제도들을 대다수 상급자․지휘관의 눈치가 보이고 타인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생각, 그리고 진료비 지원을 받기위해 제출해야할 서류들의 복잡함 등으로 인하여 사용 빈도가 낮다고 한다. 따라서 탄력근무제, 육아휴지, 보건휴가 등에 대한 신청 방법을 마음 편히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개선해야 한다. 산부인과 진료비 신청에 관하여서는 신청방법의 간소화와 현실적인 금액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보육시설증가, 산부인과 의료서비스 등에 대해서는 보육시설은 현재 진행 중인 정책적인 부분을 좀 더 확대하여 관계부처와 긴밀한 혀의 과정을 통해 자녀를 둔 여군, 군인가족에게 혜택이 주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특히 당직근무․훈련, 비상대기 등과 같이 퇴근이 불가하여 자녀를 돌보아야 할 때 24시간 지속적으로 돌봄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시설들이 확충 되어야 할 것이다. 산부인과 의료 서비스 관련 하여서는 여군들이 군 병원 진료를 꺼려하는 이유는 남성 군의관에게 진료를 받는 것에 대한 거부감과 부담감을 이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산부인과 진료에 관해서 여성 군의관 또는 군병원 인접 산부인과와 MOU 체결 등을 통해 필요시 의사를 초빙하여 진료가 가능토록 개선한다면 여군들에게 만족스러운 의료서비스가 제공 될 것이다. 앞으로 우리사회는 남녀평등에 관한인식의 변화와 완전한 복지국가의 모습을 갖출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앞서 우리 군에서 남군과 여군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개선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성보호제도를 바꿔간다면 우리나라의 지킴이 역할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를 움직이고 발전시키는 선도적인 조직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the futur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in the promotion of health and welfare policy in the army which is an rising issue as the enrollment of female soldier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experiment seek to co-relate the promotion of army's health and welfare policy to that of the Korean society's social problem such as society's exceeding demand of wealth policy, birth rate drop, decline in population, and sexual abuse. The research focused on the following hypothesis: Fist, what is the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oldiers when they think about women's welfare policy? Second, what are possible promotional measure or catalyst to women's welfare policy such as flexible working hours, length of daily child care and having menstruation leave? Third, what are practical improvement plans that meets eyes of Korean like funding daycare and improvement in obstetrics service. We have used several precedent researches and analyzed statistical data to study solution to hypothesis. The summary of research conclusions are these: First, the report shows that compared with child care leave policy, use of on-going welfare policies such as maternity protection and one-home compatibility are comparatively low for female soldiers. And they are not promoted as they should. Soldiers finished their service in short amount of time answered they did not know the existence of on-going welfare policies. Secondly, after giving soldiers a proper women's welfare promotion and a policy education, we need to provide such surroundings for female soldiers, so that they can use their welfare policies when they desire. The data shows few reasons female soldiers felt constraint to use on-going policies which are flexible hours policy, child care policy, on leave for menstruation policy, and funding for visiting obstetrics policy Female soldiers felt difficult using them because they fear superiors need to find someone else to fill in her spot, and documentations were complex. Thus, documentations to request above policies needs to be simplified and modified for convenience of female soldiers. In regard to obstetrics bill request, increase in fund is necessary to support soldiers to the sufficient level. Lastly, policies need to take care of insufficient number of daycare facilities. Government and the army needs to allocate more fund to welfare facilities so that army brats are given the best of its benefits. Especially, we need additional twenty four hours daycare infrastructure considering emergency working hours like drills, QRF(quick reaction forces), and on duty. Our data shows female soldiers felt difficult getting themselves examined by male medical officers. Thus, the army is to employ more female medical officers in obstetrics and if not applicable, sign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with nearby local obstetrics so that local doctors can be deployed as needed to provide female soldiers satisfactory service. From now on, Korean society may accomplish a sound welfare state, and bring a change to perception of gender-equality. If ROKA(Republic of Korea Army) could improve perception about female soldiers in ROKA(Republic of Korea Army), and stop gender discrimination with sound policies before society changes, it will not only be a shield of nation, but also regarded as the exemplary organization that gives positive impacts to the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