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 필자의 설득적 글에 나타난 쓰기 과정 분석과 교육과정 환류 -작문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김규훈,전용숙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nection with the ‘writing process’ through the ‘writing protocol analysis’ of the ‘persuasive writing’ produced by learning writers in writing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supplement the curriculum of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mpare the completed persuasive writing and the writing process, a writing protocol model for process analysi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writing process. Based on this model, the ‘medium upper’ and ‘medium lower’ courses were selected from th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15 persuasive writings were analyzed for writing protocols, and the thinking process was confirmed through post-learner interviews. As a result, 30 persuasiv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and based on this, the peculiarities and tendencies of the activity process and results of each writing stage appeared according to the writing level of the learner were identified. In addition, a persuasive writing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epared by reflecting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correction feedback stage was approached in more detail. It was emphasized that the correction refl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should be applied. 본 논문은 글쓰기 교육에서 학습 필자가 생산한 ‘설득적 글’에 대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글쓰기 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설득적 글쓰기 교육의 교육과정 보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에 먼저 완성된 설득적 글과 글을 쓰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글쓰기 과정의 단계에 따라 과정 분석을 위한 작문 프로토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바탕으로, 2022년 1학기에 개설된 <글쓰기기초> 수업 가운데 연구진이 담당했던 수업에서 ‘중상’ 강좌와 ‘중하’ 강좌를 선별하였고, 각 15편의 설득적 글을 대상으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학습 필자 인터뷰를 통해 글쓰기 과정에서 사고 과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0편의 설득적 글을 ‘상, 중, 하’ 수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필자의 글쓰기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글쓰기 단계별 활동 과정 및 결과물의 특이점과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설득적 글쓰기 교육과정 개선안을 마련하고 첨삭 피드백 단계에 대해서는 더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그것은 <글쓰기기초>의 교육 내용이나 피드백 내용 및 방식에서 학습 필자의 개별 특성을 반영한 첨삭 내용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 것이다.

      • KCI등재

        해방기 소년소설의 이데올로기와 ‘통합’을 위한 장르적 기획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을 중심으로-

        김영경(Kim, Young-kyung)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3 No.-

        이 글은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1950)을 중심으로 해방기 소년소설이 갖는 이데올로기적 특성과 작품 속에서 그려지는 국가 공동체의 재편 과정을 살폈다.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소년소설의 ‘형식’을 취하면서도 어른들의 세계를 배경으로 ‘내용’이 펼쳐진다는 점이다. 『채석장의 소년』은 서울의 한 채석장을 중심으로 두 소년이 우정을 쌓아가는 과정을 중심으로 그려진다. 이 작품의 소년인물인 완식이와 규상이는 각각 해방 이후 귀환한 이주민과 월남민을 대표하는 인물들이다. 이런 설정은 남한 사회에 예전부터 머물던 세력과 새롭게 편입된 세력이 통합하여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비유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소년소설은 한 개인이 자제력을 길러 사회적 규범을 받아들이는 ‘문명화 과정’의 장르이다. 그리고 헤게모니 집단의 규범을 다른 집단의 사람들이 수용하는 방식으로 국가 공동체가 통합되는 과정이 그려진다. 이 작품에서는 완식과 그의 가족들이 남한 사회에 정착하기 위한 일련의 문명화 과정이 주요하게 그려진다. 『채석장의 소년』은 소년들의 서사와 어른들의 서사를 교차하면서 민족통합이라는 과제를 위한 화해와 관용의 태도와 함께, 지향해야 할 시대의식과 가치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리고 염상섭이 이 시기 여러 글을 통해 기존의 고정관념과 선입견을 깨는 것을 강조했던 것을 고려해볼 때, 작가는 이런 문제의식을 토대로 새 시대의 민족의 통합은 기존의 시각과 차이를 깨고 화합하는 것에서 민주주의가 실현될 수 있음을 전달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 fic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national community depicted in the works, focusing on Yeom Sang-seop"s Boys in the Quarry(1950).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is work is that while taking the ‘form’ of boy novels, the ‘content’ unfold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adult world. Boys in the Quarry is drawn around the quarry in Namsan, Seoul, and the process of building friendship among boys, Wansik and Gyusang are representative of migrants who returned from Manchuria and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respectively. This setting figuratively deals with the process of forming a new community by integrating the forces that have stayed in South Korea for a long time and newly incorporated forces. The juvenile fiction is a genre of ‘civilizing process’ in which an individual develops self-control and accepts social norms. And through this, the national community integrates several groups into networks of interdependence dominated by hegemony groups. In this work, a series of civilization processes are mainly depicted for completion and for his family to settle in South Korea. Boys in the Quarry is a work that shows the attitude of reconciliation and tolerance for the task of national unity while crossing the narrative of boys and adults. And considering that Yeom Sang-seop emphasized breaking existing stereotypes and prejudices through various writings during this period, he seemed to have tried to convey that democracy can be realized through this work by brea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perspective and harmony.

      • KCI등재

        국어사전에 대한 문법교육적 가능성 탐색

        이성우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6 No.-

        In this article, We discussed three things.. First, this article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n dictionaries. It was mentioned that education on dictionaries is concentrated in the 3rd-4th grade group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ot well covered in middle school and that dictionaries are being introduced only in <Practical Korean Language>. Through this, it was analyzed that education on dictionaries was overall insufficient. Second, this article argued that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on web- based dictionary. As most of the dictionaries are currently being distributed through the Internet or apps, it was felt that education on them was urgently needed. In particular, it was discussed that the role of the web- based dictionary as a medium that connects various dictionaries. However, as education on paper dictionaries is still worthwhile, it was determined that education on web and paper dictionaries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Third, this article saw that dictionaries can help us organize our grammar education more elaborately. In order to confirm this, a plan to introduce a dictionary into currently published textbooks was discussed.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dictionaries can be used as useful reference materials in all areas of phonology, grammar, meaning, and Korean histor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rammar education using dictionaries. 이 글에서는 세 가지 사항을 살펴보았다. 첫째, 이 글에서는 사전 교육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사전에 대한 교육이 초등학교 3-4학년군에서 집중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더불어 중등 국어교육에서는 잘 다뤄지지 않으며, <실용국어>에서나 사전에 대한 내용이 도입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사전에 대한 교육이 전반적으로 미흡하다고 분석하였으며, 중등 공통 교과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함께 주장하였다. 둘째, 이 글에서는 특히 현재 사전 교육의 문제점으로 웹 사전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다고 주장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사전이 인터넷이나 앱으로 보급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교육이 절실하다고 보았다. 특히 웹 사전을 사전의 한 종류가 아닌, 다양한 사전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이 부각될 필요가 있다고 논의하였다. 다만 종이사전을 교육하는 것 또한 아직 가치가 있다고 보아, 웹 사전과 종이사전에 대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파악하였다. 셋째, 이 글에서는 사전이 우리의 문법교육을 보다 정교하게 구성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 출간된 교과서에 사전을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음운, 문법, 의미, 국어사 분야 모두 사전은 유용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사전을 활용한 문법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여행의 정치와 구성된 정체성 - 1960∼70년대 세계여행기를 중심으로 -

        정미진(Jeong, Mi-jin)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2 No.-

        이 글에서는 1960∼70년대에 출간된 이어령, 조병화, 조연현, 최인호, 이병주의 세계여행기를 대상으로 해외여행 경험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공통성을 중심으로 현실 인식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들 여행기에서 해방 직후의 이념 대립, 열전과 냉전을 거치는 동안 내내 원조국이었던 미국에 대해서는 친근감과 안도감을 느끼고, 프랑스로 대표되는 유럽에 대해서는 부러움과 찬탄, 질시가 뒤섞인 감정을 드러낸다. 특히 미국와 프랑스의 상호 인식에 관한 기술은 각각 물질적 풍요와 문화적 풍요를 대표하는 세계 강국들에 사이에서 후진 국가일 수밖에 없는 한국의 위치를 확인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한국이 지향해야 할 가치에 대한 자문의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1960년대 한국 사회의 선결 과제로 손꼽혔던 가난에 대한 인식이 세계여행기에서도 드러나는데, 근대적 과학기술을 앞세워 발전을 이룬 서구 사회의 직접 경험이 한국의 가난을 더욱 구체적으로 인식하게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반면, 1970년대 이병주와 최인호의 여행기에서 가난은 전후 눈부신 경제적 성장을 이룬 일본과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인식되고 기술된다. 전후 경제적으로 발전한 일본의 세계적 위상은 과거사로 인한 국가적·민족적 감정과 더해져 가난뿐 아니라 일본 역시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각각의 여행기에서 한국의 1960년대와 1970년대를 설명하는 키워드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로써 이들의 여행기는 낯선 세계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독자와 공유하는 것을 넘어 한국의 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의 기회까지를 제공한다.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focusing on the common features shown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overseas trip, targeting the world travelogues by Lee Eo-Ryeong, Cho Byeong-Hwa, Cho Yeon-Hyeon, Choi In-Ho, and Lee Byeong-Ju, published in the 1960s∼1970s. Those travelogues show their different gazes on the Western society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y feel a sense of closeness and relief toward the United States that was an aid donor throughout the whole time of going through ideological conflicts, hot war, and cold war right after liberation while they show emotions mixed with envy, admiration, and jealousy toward Europe that is represented as France. Especially, the description of the mutual percep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not only verifies the position of Korea as an underdeveloped country among the world powers that represent the material and cultural affluence, but also means some questions about the value Korea should aim for. The world travelogues also show the perception of poverty that was pointed out as the first-priority task of Korean society in the 1960s, and the direct experiences of the Western society that achieved the development based on the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probably made them more concretely perceive the poverty of Korea. On the other hand, the poverty in the travelogues by Lee Byeong-Ju and Choi In-Ho in the 1970s was perceived and described through the relative comparison with Japan that achieved the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in postwar years. The global status of Japan that achieved the economic development in postwar years made them perceive Japan and poverty together as something to overcome as the national/ethnic emotions caused by the past history were added to it. Keywords that explain Korea"s 1960s and 1970s can be identified in each travelogue, so their travel stories go beyond shar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about the unfamiliar world with reader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concrete recognition of Korea"s reality.

      • KCI등재

        신어에 나타나는 구의 단어화에 대하여

        이선영(Lee, Seon-yeong)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최근 신어에서는 구의 단어화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어에 나타나는 구의 단어화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구의 단어화Ⅰ’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구 구성이 단어 형태가 되는 문제이고, ‘구의 단어화Ⅱ’는 새로 나타나는 의미를 구 구성과 유사한 형태의 단어로 표현하는 문제이다. 전자에 속하는 문제로는 약칭어의 생성, 동사구의 명사화, 차용번역어의 생성이 있고, 후자의 문제로는 고유명사의 생성, 점착어의 활용이 있다. 약칭어는 이미 존재하는 구나 문장에서 각 단어의 일부를 잘라 합쳐서 새 단어를 만드는 방식인데, 원래 우리말에서 나타나던 방식이다. 그런데 기존의 단어들은 한자어가 대부분인 반면 최근 생성되는 단어들은 ‘내로남불, 아아’처럼 고유어나 외래어인 점이 특이하다. 다음으로 동사구의 명사화도 약칭어에서 발생하는데, ‘열공, 즐주’처럼 동사구가 명사가 된 후 다시 ‘열공하다, 즐주되다’로 동사가 되는 점이 주목된다. 차용번역어는 외래어 구가 단어가 될 때 원어의 영향을 받는 경우인데, ‘good night’이 ‘굿밤’이 되는 것이 그 예이다. ‘구의 단어화Ⅱ’는 고유명사의 생성, 그리고 ‘보습의 정석템’처럼 점착어 ‘템’을 활용한 단어화가 있다. ‘템’이라는 요소는 접사나 단어 형성전용요소와 달리 단독으로 쓰일 수 있으며 그 의미도 단독일 때와 구에 결합할 때가 동일한 점이 특이하다. 이처럼 신어를 중심으로 구가 단어화되는 방식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이 흥미롭다 하겠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wo types of the Word-Formation of Phrase. First type is that the phrase which has existed became new word. And second one is that phrase-type new words express new meaning. First type include formation of abbreviations, nounization of verb phrases, and formation of loan translated words. And second one is formation of adhesive. Abbreviations are a method of creating new words by cutting and combining parts of each word in a sentence that already exists, and this is the method that originally appeared in Korean. While most of the existing abbreviations are Chinese words, the recently generated words are native or foreign words such as ‘Naeronambul, Ahah.’ Next, the nounization of the verb phrase also occurs in the abbreviation, and it is noteworthy that after verb phrase become a noun like ‘Yeolgong, Jeulju’, it becomes a verb like ‘Yeolgonghada, Jeuljudeoda’ again. Loan translated words are cases where foreign phrases are influenced by the original language when they become words, and an example is that ‘good night’ becomes ‘gutbam’ Second type appears in word-formation using the adhesive ‘Tem’ like a ‘Boseupui jeongseoktem’. And the element ‘Tem’ can be used alone, unlike affixes or word formation elements, and its meaning is the same when used not only alone but also as combined with phrases. It is interesting that the Word-Formation of Phrase appear in various ways in new words.

      • KCI등재

        근대 계몽기 량치차오 『음빙실문집(飮氷室文集)』 역술(譯述)의 의미

        허재영(Heo, Jae-young)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4 No.-

        이 글은 근대 계몽기 량치차오(梁啓超)의 『음빙실문집』에 대한 역술(譯述) 실태와 의미를 밝히기 위한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음빙실문집』은 1902년 량치차오가 일본에서 저술한 문집으로, 초판 발행이 언제 이루어졌는지는 알기 어렵다. 그러나 1904년 시모코베 혼고로(下河辺半五郞) 편역의 『음빙실문집유편(飮氷室文集類篇)』(下河辺半五郞, 東京), 광지서국본 『음빙실문집유편』(1906), 광익서국편 『중정분류 음빙실문집 전편』(1910년 전후 추정) 등 다수의 판본이 등장하고, 이에 따라 한국에서도 다수의 역술 작품이 출현하였다. 이 책은 근대 계몽기 한국 지식인들에게 ‘애국사상 고취’라는 차원에서 매우 큰 영향을 준 책이다. 그럼에도 애국계몽기 이 책에 대한 완역본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 이후에도 완역된 것을 찾기 어렵다. 이러한 차원에서 이 연구는 근대 중국의 대표적인 지식인 가운데 한 사람인 량치차오(梁啓超, 1873~1929)의 『음빙실문집』의 판본과 내용을 고찰한 뒤, 한국 근대 계몽기 이 책의 역술 실태와 역술 배경을 고찰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판본마다 차이는 있으나 『음빙실문집』의 전편은 대부분 ‘애국사상’을 기조로, 근대 학문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 내용 요소가 근대 계몽기 애국 계몽가들로 하여금 발췌 번역을 촉발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 시기 역술 작품은 대략 24편 정도로 추정되며 장지연(1908)의 『중국혼』, 현채(1908)의 『월남망국사』, 신채호(1907)의 『이태리건국삼걸전』 등의 단행본으로도 널리 읽혔다. 이러한 애국주의는 1908년 이후 일제에 의해 이 책이 금서로 지정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EUMBINGSILMUNJ IP (飮氷室文集) written by Liang Qichao(梁啓超) and It’s translation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The book was famous for patriotism in China and Korean during the early modern time. There seem to have been many different editions of the book. But the book compiled by Liang in 1902(LIMIN year: 壬寅). These facts appeared the preface written by himself. The major edition published in 1906 by Gwangjiseoguk(廣智書局) in Shanhai(上海), China. The edition consist of 16 Chapters in two volumes. A lot of Liang’s arguments translated into Korean language by Korean patriots and enlightenment activists. I found 24 translated articles in many modern magazines and books. The reason of translation were patriotic thought.

      • KCI등재

        『유정』에 드러난 사랑과 욕망의 문제 연구

        임보람(Lim, Bo-rahm)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69 No.-

        이광수의 소설에서 ‘사랑’은 언제나 사랑 그 자체를 초과하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그것은 사랑이라는 내밀한 감정이 인물의 윤리적 위상을 정초하는 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특히 그러하다. 민족주의자이자 계몽주의자라는 이광수의 자리를 고려할 때, 그의 서사가 목표하는 바는 비교적 명확하다. 그것은 모든 정념적인 동기들이 민족을 위한 대의 속으로 수렴되는 『무정』의 대단원이나, 중심인물의 죽음이 죄의식의 형태로 공동체 속으로 돌아오는『유정』의 결말 속에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문제는 이광수의 텍스트를 ‘민족’과 ‘계몽’이라는 단일한 키워드로 파악하는데 곤란을 야기하는 ‘증상(symptom)’적인 지점들이 여전히 이들 작품 속에 남아있다는 데 있다. 이 글에서는 특히 1933년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던 장편 『유정』을 중심으로 이 ‘증상’의 문제를 살필 것이다. 『유정』에서 ‘최석’의 서사가 목적하는 바는 그의 무고한 죽음이 공동체에 야기할 도덕적 감화 혹은 회개라 하겠다. 그는 스스로 희생양이 됨으로써, 그를 궁지로 내몰았던 사람들에게 갚아야 할 빚으로 되돌아온다. 그러나 사랑이라는 내밀한 감정과 관련해 ‘최석’이 보여주는 기이한 행위들은 계몽이라는 목적으로 성급히 환원시킬 수 없는 문제적 지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 특히 흥미로운 사실은, 자신이 저지르지도 않은 죄를 기꺼이 자신의 몫으로 떠맡는 ‘최석’의 행위 속에서 어떤 나르시시즘적인 욕망과 조우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억울하다고 말하는 대신 정말로 ‘정임’을 사랑하는 쪽을 택함으로써 스스로 죄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 열정이라는 죄를 극복하기 위한 고행의 과정 자체를 자신의 삶을 추동하는 욕망으로 구성한다. 이처럼 『유정』의 서사는 공동체를 향한 계몽의 외피를 입고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것을 추동하는 저변의 원리란 가장 사적인 욕망의 발로이다. 이 같은 사실은 이후『무명』과 『사랑』에서 드러나는 종교적 색채를 이해하는 데 하나의 단서를 제공해 준다. In Lee Kwang-Soo’s novels, ‘love’ always includes elements that exceed the love itself. This is especially true in a sense that the inner feeling of so-called love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laying the foundation of ethical status of people. Considering the position of Lee Kwang-Soo, a nationalist and an illuminati, the goal of his narration is relatively clear. Every sentimental motive is the denouement of 『Moojung』 that converges into the national cause, but it clearly shows in the ending of 『Yoojung』 where the death of a main character returns back to the community in the form of guilty conscienc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symptomatic’ points that caus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texts of Lee Kwang-Soo as a single keyword as ‘people’ and ‘enlightenment’ is still remained in these works. This study will particularly investigate the ‘symptom’ around a full-length novel 『Yoojung』 which was published serially in《Chosun-I lbo》in 1933. The purpose of a narration by ‘Choi, Seok’ in 『Yoojung』is the moral influence or repentance of what his innocent death will cause in the community. He becomes the sacrificial lamb himself and returns back as a debt that should be paid back to the people who drove him into a corner. However, bizarre behaviors of ‘Choi, Seok’ in regards to the private inner feeling as love contain problematic points that cannot be restored precipitately. An interesting fact here is that ‘Choi, Seok’ meets a certain narcissistic desire in his behavior of undertaking a sin that he has not committed. He makes a crime himself by choosing to love ‘Jung Im’ truly than complaining of a false charge. And constructs the process of mortification for overcoming the sin of so-called passion as the desire that gives impetus to his own life. As said, the narration of 『Yoojung』 is clothed in the enlightenment of community, but ironically, the base driving principle is the expression of the innermost desire.

      • KCI등재

        명제가 지시하는 사태의 실재성

        이동혁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traditional proposition theory that claims to judge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s through direct correspondence with the state of affairs that exist in the outside world, and to see where the situation based on judging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s exists. In studies dealing with sentence meaning, the meaning of the sentence was perceived as a proposition. It is known that the truth and false of a proposition is determined by directly responding to state of affairs that exists in the outside world and is within a particular model. A proposition with these features has several problems. First, judgments of truth and false on proposition can be fluid. Second, depending on the world behind the existence of the state of affairs, the judgment of truth and false on the proposition may be flexible. The judgment of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 does not depend on the existence of the state of affairs in the outside world, but on whether the state of affairs exists in the world that the speaker has conceptualized. Although Frege was concerned that communication would not be able to be successfully carried out with psychological concepts, speakers and listeners wishing for the success of communication can use the proposition as a common ground by mutually coordinating their individual actions. 이 글은 바깥 세계에 존재하는 사태와 직접적인 대응을 통해 명제의 참과 거짓을 판단한다고 주장한 전통적인 명제론의 문제를 살펴보고, 명제의 진위 판단에 근거가 되는 사태가 어디에 실재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문장 의미를 다루는 연구에서는 문장 의미가 곧 명제라고 인식하는 편이었다. 외부 세계에 존재하면서 특정한 모형 안에 있는 사태와 명제를 직접 대응시켜서 명제의 참과 거짓을 판정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지닌 명제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명제에 대한 참과 거짓의 판단이 유동적일 수 있다. 둘째, 사태의 존재 배경이 되는 세계에 따라 명제에 대한 참과 거짓의 판단이 유동적일 수 있다. 명제의 참과 거짓의 판단은 외부 세계의 사태 존재 여부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화자 자신이 개념화한 세계에 사태가 존재하느냐에 달려 있다. 비록 프레게가 심리적 개념으로는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지만, 의사소통의 성공을 바라는 화자와 청자는 각자의 개별 행위를 상호 조율함으로써 명제 내용을 공통기반으로 삼을 수 있다.

      • KCI등재

        장덕조(張德祚) 장편소설 『십자로(十字路)』 연구

        임경순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bibliography, content, and meaning of Jang Deok-jo's novel, Sibjalo, which has not been reported in the academic world. I have the book and I want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Jang, Deok-jo literature. Although female writer Jang Deok-jo(1914-2003) has left a number of works, but we do not even have a basic bibliography and data acquisition for the whole work. Notably, the bibliography, which was specifically addressed in this article, was not precisely confirmed, and has not been studied for the loss of serialized weekly magazines and the loss of Sibjalo. Sibjalo tells us that a female character(Lee, Young-ran) who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English at C College loves a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Han, In-jun) and then gives up him and chooses the professor of medical school(Kim, Min-soo), but he eventually chooses a businessman and goes to the United States with him. Sibjalo is a story in which the romance and conflict of the vested interests of men and women are in the foreground, and it is a story of escape from it and envy of the United States, rather than a confrontation with the reality of Korea.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acceptance of aid and the escape from the painful reality of Korea at that time, and her attitude toward Japanese imperialism was replaced by the United States. 이 연구는 그동안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장덕조 장편소설 『十字路』(文星堂, 1953)에 대한 서지, 내용, 의미 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필자는 단행본 『십자로(十字路)』를 소장하고 있어, 장덕조 문학 연구에 기여하고자 이 연구를 통해 학계에 보고하고자 하였다. 여류작가 장덕조(1914-2003)는 적지 않은 작품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문학사에서는 평가가 인색할 뿐 아니라, 작품 전체에 대한 서지 파악과 자료 확보가 덜되어 있는 상황이다. 특별히 이 글에서 다룬 단행본 『십자로(十字路)』는 서지 사항이 정확하게 확정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연재 주간지 소실 및 단행본 소실로 연구가 미흡하였다. 『십자로(十字路)』는 1949년 12월 5일(?)부터 1950년 6월 26일(?) 사이에 『주간서울』에 연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한국전쟁 와중인 1953년 2월 5일 대구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십자로(十字路)』는 한국전쟁 직전인 1940년대 후반 장편소설로서 장덕조의 문학 세계를 밝히는데 의미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십자로(十字路)』는 C대학 영문과를 졸업한 여성 인물(이영란)이 정치학 교수(한인준)를 사랑하다가 포기하고 의과대학 교수(김민수)를 선택하게 되지만, 그의 방탕으로 결국 사업가(최한직)를 선택하여 그와 함께 미국으로 간다는 이야기이다. 『십자로(十字路)』는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면서 기득권층 남녀 인물들의 연애와 갈등이 전경화된 이야기로서, 당대 한국 현실과의 대결 의식보다는 그것으로부터의 도피와 미국에 대한 선망의식을 나타낸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원조의 수용과 당대 한국에서의 ‘고뇌에 찬 현실’로부터의 거리두기이며, 작가의 미국에 대한 태도가 반영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한일회담, 베트남 그리고 김수영

        박수연(Park, Soo-yeon)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0 No.-

        김수영 시의 중심 주제가 1964년을 기점으로 변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들이 이미 있어왔다. 이 글은 그 중 김수영의 문학과 베트남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1964년과 1965년은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 결정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확정된 때이다. 학계에서는 ‘65년 체제’라는 명칭을 이미 부여하고 있지만, 이 주제와 관련한 한국문학의 논의는 그다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렇다는 것은 65년 체제에 대한 우리 자신의 인식이 그다지 깊지 않다는 사실을 뜻한다. 이 문제를 김수영에게로 가져와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했다. 1)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이 당대의 동아시아 체제에 연동되어 있다는 점에서 근대 식민체제와 전후민주주의에 대한 김수영의 기억과 반응을 분석하고 김수영이 4.19의 시인인데서 멈추지 않고 제국적 질서에 대응하는 세계시민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 이것은 그의 시의 역사적 층위이다. 2) 식민주의 체제에 대한 대응으로 망각이 아니라 개별자들의 소규모적 실천으로 실현하는 민주주의의 담론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 이것은 그의 시의 정치적 층위이다. 이는 당대 한국문학의 윤리에 대한 확인이기도 한데, 이 논문은 이 윤리가 당대의 베트남 전쟁과 관련되어 있음을 살폈다. There have already been many discussions about the fact that the central theme of Kim Soo-young’s poetry has changed since 1964.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Soo-young’s literature and Vietnam. 1964 and 1965 were the times when the historical facts of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the decision to dispatch troops to Vietnam were confirmed. Although the academic community has already given the name ‘65-year system’,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not many discussions in Korean literature on this topic. This means that our own perception of the 65-year system is not very deep. Bringing this issue to Soo-young Kim, we confirmed the following: 1) In the sense that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the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are linked to the East Asian system of the time, Kim Soo-young’s memory and reaction to the modern colonial system and post-war democracy are analyzed. Kim Soo-young does not stop as a poet of 4.19 rather shows the image of a global citizen responding to the imperial order. This is the historical layer of his poetry. 2) The point is that it insists on the discourse of democracy that realizes the response to the colonial system through small-scale practice of individuals rather than oblivion. This is the political layer of his poetry. This is also a confirmation of the ethics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and this thesis examines that this ethics is related to the contemporary Vietnam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