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오늘날의 환경문제의 철학적 이해 : 자연주의와 기술주의를 넘어서 Beyond Naturalism and Technomania

        허재윤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8 環境硏究 Vol.17 No.2

        요약문 오늘날의 환경문제를 야기한 근본원인은 단순한 과학·기술적 차원을 넘어선 세계관적 차원, 즉 자연과 세계일반에 대한 인간의 근본태도에서 찾아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근본시각에서, 본 논문은 먼저, 오늘날의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제시된 두가지 극단적인 입장, 즉 무조건적으로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자연주의와 그리고 과학기술에 의해 야기된 문제는 오로지 과학기술자체 (의 발전)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는 과학기술주의를 살펴본 뒤에, 그것들이 그 자신의 시각의 일면적 편협성으로 말미암아 온당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나서 제3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제3의 대안을 모색하기에 앞서서, 우리는 역사적 고찰을 통해 인간의 세계 내지 자연에 대한 근본태도의 변천을 추적하여, 고대에서의 자연 (우주)중심주의, 중세에서의 신중심주의, 그리고 근세에서의 인간중심주의를 각각 부각시키고 나서 과학과 기술에 의한 자연지배의 태도가 결국은 그 뿌리를 근세의 인간중심주의에 두고 있음을 밝히고, 이것은 자연과 세계에 순종하는 고대적, 그리고 중세적 근본태도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세계관적 태도임을 밝혔다. 그러나 우리는 자연에 순응하느냐 또는 자연을 지배하느냐 하는 양자택일을 넘어서 자연을 인간과 대등한 파트너로 인정하고 그것과 상호 공조하려는 제3의 태도가 다능할 뿐 아니라 그것은 앞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있어서 유일한 바람직한 태도임을 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태도는 다만 자연에 대한 올바른 태도일 뿐 아니라 온전하고 성숙한 인간의 표현이기도 할 것이다. 왜냐하면 자연에 대한 일방적 복종의 태도는 정신분석학적 시각에서는 매조히즘에 근거한 것이고 반면에 자연에 대한 일방적 지배의 태도는 성숙하고 건전한 인격성의 표현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과의 올바른 관계의 정립은 사태의 본성상 올바른, 성숙한 인격의 새로운 발전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환경문제가 그 다양성과 복합성으로 말미암아 단지 과학기술적인 문제를 넘어서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나라가서 이러한 것들의 궁극적 근거와 포괄적 연관을 고려하는 철학적 문제의식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는, 다면적이고 다층적인 문제이므로, 그것을 다루는 데에도 반드시 학제적 (學際的, interdisciplinary) 연구방법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AbstractThe inner causes which brought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today schould net only be sought just in the scientific and technical problems, but also in the more fundamental dimension of worldveiw, i. e., the attitude of man toward the nature or the world as a whole itself. In this perspective, we considered critically both the naturalism which persistently insists that we should again come back to nature, and the technomania or scienticism which says that problems brought about by scientific and technical matters must only be resolved by scienific and technical developments themselves, so that we could conclude that the two positions are imperfect because of their one-sided narrowness of their view-points, and we therefore tried to search for the 3rd position as a possible answer. But before that, we pursued the historical change of human attitudes toward nature or world, so that we could identify ´the cosmocentricism´of antiquity, the ´theocentricism´of middle ages, and the ´anthropocentiricism´of modern times respectively. We thereupon insisted that the ruling attitude of man over mature by science and thechnology is in effect rooted in the anthropocentricism of modernity which stands in sharp contrast with the antique attitude of following and harmonizing with nature. We tried further to show that beyond the alternative of one-sidedly following and no less one-sidedly ruling nature, there is a possible third choice of recognizing and respecting the nature as an equal partner of man and further helping and developing each other. Such an attitude is not only the right one toward nature but also the expression of a sound and perfect person. In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e attitude of following can be seen as rooted in the masochism, while that of ruling nature can be regarded as founded upon sadism, and in contrast with both of them, and beyond both of them, the third attitude of respecting and harmoizing with nature requires the sound and fully developed person. We further are of the opinion that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today are, because of their comprehensiveness and complexity, not just for natural sciences only, but also related with economical, and social problems and further with philosophical problems investigating their underlying foundation and comprehensive relations, many-sided and complex matters, so that there is also needed the so-called ´interdisciplinay approach´to deal effectively with them.

      • 주거환경 개선수단으로서의 재건축 제도에 관한 연구

        공장표,한상훈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9 環境硏究 Vol.18 No.2

        요약문본 연구는 기존 재건축제도의 문제점 분석과 아울러 이에 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의 고찰과 재건축과 관련한 현행 법규 및 새로 개정된 건축법을 분석하였다. 또 기존 통계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장래 주택 재건축의 수요 를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주거환경 개선수단으로서 재건축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적정 개발밀도의 적용, 개발부담금 제도의 도입, 건축물 수명측면에서의 신 주택관리기법의 도입, 그리고 사업규모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 규모이상의 재건축사업을 재개발로 전환하는 등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끝으로 주거환경 개선수단으로써 재건축과 역할과 기능에 관한 장래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One of which i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multi-family housing reconstruction process in Korea.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ction and usefulness of current housing reconstruction system as a mean to enhance dwelling environment.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study not only reviews previous studies but the current administration process and newly revised Architect Law in terms of housing reconstruction proces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of the housing reconstruction market in the near future based on the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tatistical reports. Basis on these data this study identifies various problems of the current housing reconstruction system and shows that in order to maximize the usefulness of housing reconstruc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aption of the optimum development density for each project site, development fee, new housing management techniques based on building life-cycle approach, and transition of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 to redevelopment project according to the project's physical and spatial size. Finally this study proposes future research direction regarding to the research issues examined by this study.

      • 신지역계획으로 생태도시의 의의와 중요성

        楠田哲也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0 環境硏究 Vol.9 No.2

        최근의 도시화와 물질문명의 급속한 진전은 에너지와 자원의 소모와 더불어 급격한 환경변화를 가져 오게 하는 공해문제를 유발해 왔다. 그 결과 도시는 새로운 폐허의 장소로 등장할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인간의 영원한 존립을 위해서도 지역의 환경문제를 새로운 도시개념의 도입으로 재정립해야 할 당위가 이다. 지역계획의 중심이 되는 도시계획을 "生態都市"의 시각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생태도시란 도시권을 생태학적으로 생각하고 잘 정돈된 시설물과 훌륭하게 교육받은 사람들과 더불어 도시를 유지하는데 바탕을 두고 있다. 즉 생태도시란 자연과 조화되고 공존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에너지와 자연자원의 소비에도 불구하고 독립적인 도시로 주민들은 편안하게, 안락하게 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자연과 각국의 도시하부 시설물들과 조화를 이룬 안전한 체계를 만드는 도시로 인간과 문화를 결합하고 조화한다. ① 생태도시 계획설계를 위한 母數를 만드는데 필요한 기본요소는 물질의 흐름, 열과 에너지의 이용, 환경의 보전과 창조 그리고 사회체계등을 들 수 있다. 물질의 흐름은 단순한 자연환경의 흐름이 아니라 인공환경 그것도 폐수나 폐기물 같은 공해의 흐름이 문제이다. 이것을 생태도시에선 감소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거기에도 석유나 다른 에너지의 소비에서는 감소와 질의 개선 및 폐기물을 이용한 효율적 열관리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환경보전은 도시속의 자연을 가꾸는 일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시사회체계를 연결하는 기조인 토지이용의 상호의존성, 계속성, 그리고 대응성을 고려한 체계적 배려가 필요하다. ② 생태도시계획의 영향요소 지역의 특성, 도시구조, 사회체계, 주민의 태도등이 중요한 영향요소다 (표참조). ③ 체제요소의 보기 첫째로 공해의 새로운 규제와 자연환경 물질의 효율적 이용이 필요하다. 둘째로 에너지 활용에는 에너지체계의 새로운 관리와 대체에너지 사용이 필요하다. 셋째로 도시속의 환경보전, 환경재생 및 생태적 시각의 주거, 집단, 형태, 마크등의 상징성의 제고가 필요하다. 넷째로 환경정보체계의 정립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생태도시는 자연의 외경을 몸소 간직하고 자연과 조화하는 도시를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