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정유합된 상악골 골절로 인해 발생한 부정교합의 상악골 수평 골절단술과 후방분절 골절단술에 의한 치험례

        박희대,진병로,박재현,이희경,이명진,배윤호 영남대학교의과대학 1990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7 No.1

        저자등은 영남대학교 영남의료원 치과로 교통사고후 부정유합으로 인한 부정교합으로 저작곤란을 호소하며 내원한 환자를 상악골 수평 및 후방 분절 골절단술을 시행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통 사고후 부정유합된 상악골을 수평 및 후방 분절 골절단술을 이용하여 전방 치열의 반대교합과 구치부의 개교 및 scissor's bite를 해소했다. 2. 술후 감염등 특기할 만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술후의 종창은 48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감소했다. 3. 수술후 악간고정은 8주간 시행했으며 악간고정 제거 1주후 정상적인 개구가 가능했다. 4. 절단된 상악골 고정시 확고한 고정과 회귀성향을 줄이기 위해 miniplates로 고정했다. This is a case report of correction of malunioned maxilla after traffic accident by Le Fort I osteotomy and posterior segmental osteotomy. By this procedure, author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malinioned maxilla after traffic accident which had anterior crossbite, posterior open bite and scissor's bite were corrected by Le Fort I osteotomy and posterior segmental osteotomy. 2. No postoperative infection and specific complication were seen in this case. 3. Postoperative intermaxillary fixation was maintained for 8 weeks. And then, the patient could open his mouth in normal range after a week of intermaxillary fixation removal. 4. For rigid fixation and reducing relapse, the osteotomized maxilla was fixed with miniplates.

      • 호흡기 감염 질환에서 Sparfloxacin의 임상효과

        이학준,박혜정,신창진,신경철,정진홍,이관호,이현우 영남대학교의과대학 1998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5 No.2

        1997년 10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급성 호흡기감염을 주소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 외래를 방문하여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진단받은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sparfloxacin 100mg을 하루 2회 7일간 경구 투여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30례 중 26례(86.6%)에서 유효한 임상적 효과가 있었으며 4례(13.4%)는 약간 유효한 임상적 호전을 볼 수 있었고 치료에 실패한 경우는 없었다. 2) 전체 30례 중 23례(73.4%)에서 균 소실과 그람 염색에서 우세하게 동정된 세균이 감소하였다. 3) 약제의 부작용으로 소화기 증상, 신장기능 장애와 신경학적 부작용은 보이지 않 았으며, transaminase의 경미한 상승을 보인 1례(3.3%)가 있었으나, 치료 전의 간 기능과 비교할 때 의미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sparfloxacin은 기질적 폐질환을 가진 환자를 포함한 급성 호흡기 감염의 치료에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로 생각한다. Sparfloxacin is a new synthetic quinolone antimicrobial developed at the Research Laboratories of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sparfloxacin in acute pulmonary infection, we administered sparfloxacina(100mg) twice in a day to 30 patients who had signs and symptoms of acute pulmonary infectious diseases regardless of their underlying lung disease for 7 da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 total 30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trial. Among them, 24 cases(80%) had underlying lung problems such a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36.4%) bronchiectasis(36.4%), bronchial asthma(3.3%), or lung cancer(3.3%). 2) In 26 cases(86.6%), we observed effective improvement, and 4 cases(13.4%) show mildly effective improvement of symptoms and signs of respiratory infection. 3) In 23 cases (73.4%), we observed bacteriological eradication in culture of decreased the number of bacteria by Gram stain which found dominantly in previous Gram stain. 4) The significant side effect was not noted.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sparfloxacin was effective as a first 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infection.

      • 임신주령과 진통에 따른 임부 혈청 C-Reactive Protein의 동태

        이승호,이태형,김병석,이영기,이재열,김종호 영남대학교의과대학 1993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0 No.2

        임신주령과 진통 및 분만의 진행정도에 따른 정상 임부의 혈청 CRP치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1992년 3월 1일 부터 1993년 8월 31일 까지 18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20주에서 44주 사이의 건강한 임부 521명을 대상으로 혈청 CRP치를 측정하여 임신주령과 진통의 유무, 양막의 파열여부 및 분만의 진행정도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CRP치 0.8㎎/㎗ 이상과 2.0㎎/㎗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각각12%(61/521)와 4%(22/521)이었다. 2. 임신주령 37주이하의 만삭전 임부군과 38주이상의 만삭임부군, 양막 파열 임부군과 비파열 임부군, 자궁경관 개대 3㎝이하 임부군과 4㎝이상 임부군의 비교에서 혈청 CRP치 0.8㎎/㎗ 이상과 2.0㎎/㎗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진통이 없는 임부군과 진통중인 임부군의 비교에서 혈청 CRP치 0.8㎎/㎗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각각 5.93%와 13.7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나 혈청 CRP치 2.0㎎/㎗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4. 임신주령 37주 이하의 만삭전 임부군에서 혈청 CRP치 0.8㎎/㎗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진통중인 임부군이 23.64%로 진통이 없는 임부군의 4.69%보다 현저히 높았으며(p<0.001), 혈청 CRP치 2.0㎎/㎗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도 진통중인 임부군과 진통이 없는 임부군이 각각 12.73%와 3.13%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p<0.05)가 있었다. 임신주령 38주 이상의 만삭 임부군에서 진통이 없는 임부군과 진통중인 임부군을 비교하여 혈청 CRP치 0.8㎎/㎗ 이상과 2.0㎎/㎗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임부의 감염을 조기 예측하는데 있어 기왕에 조기진통 임부에서 임상적 감염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혈청 CRP치 2.0㎎/㎗은 진통중인 만삭임부에서도 양막파열여부와 분만의 진행정도와 무관하게 유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조기진통 임부의 처치시 혈청 CRP치가 0.8㎎/bl 이상인 경우 임부의 불현성 감염을 의심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maternal serum C-reactive protein measurement in early detection of infectious morbidity at term laboring women,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s were measured in 521 healthy pregnant women; 64 who were not in labor before term, 55 who were in labor before term, 71 who were not in labor at term and 331 who were in labor at term. The frequencies of elevated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 were compared in relation to the gestational weeks, the presence or absence of labor, the status of amniotic membranes and the degree of cervical dilat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ies of women with elevated serum C-reactive protein, 0.8㎎/㎗ or higher and 2.0㎎/㎗ or higher, in 521 health pregnant women were 12% and 4%, respectively. 2. C-reactive protein levels of 0.8㎎/㎗ or higher were more frequent in the group of women in labor than those not in labor(5.93%, vs. 13.73%, p<0.05), but the frequencies of C-reactive protein level of 2.0㎎/㎗ or higher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 The frequencies of C-reactive protein level of 0.8㎎/㎗ or higher and 2.0㎎/㎗ or higher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before term and at term, intact and ruptured membranes, latent phase and active phase of labor, respectively. 3. Before term, C-reactive protein levels of 0.8㎎/㎗ or higher and 2.0㎎/㎗ or higher were more frequent in the group of women in labor than those not in labor(23.64 vs. 4.69, p<0.001 and 12.73% vs. 3.13%, p<0.05, respectively), but those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not seen between both group at term. Above results and review of literature suggest that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 of 2.0㎎/㎗ or higher may be reliable in early detection of infectious morbidity at term laboring women as well as laboring women before term, and the presence of subclinical infection should be suspected in the laboring women before term with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 of 0.8㎎/㎗ or higher.

      • 신경베체트병의 자기공명영상소견

        장한원,변우목,조길호,황미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1998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5 No.2

        1994년 1월에서 1998년 8월까지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신경베체트병으로 진단받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적인 임상증상과 자기공명영상소견을 분석한 결과 주된 전신적인 증상은 구강궤양, 안질환, 음부궤양이었으며, 자기공명영상소견에서 병소부위는 중뇌, 내포, 뇌교, 시상, 대뇌기저핵, 중소뇌각, 연수, 그리고 피지하단백질 순으로 호발되었다. 이들 병소는 T2강조영상에서 불균질의 고신호강도, T1강조영상에서 저신호 강도로 보였으며, 국소적인 조영증강이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었다. 추적영상에서 병변의 호전 및 재발이 관찰되었으나 1년이상 추적검사에서 병변이 있던 부위에 뇌조직의 위축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신경베체트병의 전신적인 임상증상과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소견을 앎으로서 신경베체트병의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MR findings in nine patients(three female, six male) with neuro-Behcet's disease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NeuroBehcet's disease was diagnosed on the basis of typical clinical symptoms. Involved site, pattern, signal intensity, and contrast enhancement pattern on MRI were evaluated. In addition, follow up MR imaging was performed in four patients. The midbrain(7/9), internal capsule(7/9), pons(6/9), thalamus(6/9), basal ganglia(5/9), middle cerebella peduncle(4/9), medulla oblongata(2/9) and subcortical white matter(2/9) are involved on MRI. The size of lesions was 1cm to 3cm and their margin was ill-defined and patchy. Inhomogeneous high signal intensity on the T2-weighted images and low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images was seen respectvley. In four of nine cases, there was focal enhancement. On follow up MR imaging, improvement or recurrance of the lesions was found. Also in two cases of follow up cases, there was artophy in brainstem and(or) middle cerebellar peduncles. In conclusion, MR imaging with systemic clinical symptoms is useful for diagnosing neuro-Behcet's disease.

      • 연골모세포종 8례의 임상 및 병리학적 검색

        최준혁,최혜정,구미진,서대홍,신덕섭,조길호 영남대학교의과대학 1998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5 No.2

        1987년부터 1998년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연골모세포종으로 진단받은 8례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의 분석과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의 연령은 17세에서 38세 사이였고 평균연령은 22.7세였다. 종양의 크기는 1.5cm에서 8.0cm사이이며 평균 크기는 4.0cm였다. 종양은 대퇴골(3례), 슬개골(2례), 경골(1례), 비골(1례) 및 척골(1례)에서 각각 발생하였다. 육안적으로 종괴는 회백색의 고형성 부위, 암갈색의 출혈, 괴사 및 낭성 변화가 다양한 비율로 섞여 있었고, 조직학적으로 연골성 분화는 8례중 7례(87.5%)에서 나타났으며, 유사분열은 5례(62.5%), 혈철소 침착은 5례(62.5%) 그리고 괴사는 3례(37.5%)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석회화는 3례(37.5%)에서 관찰되었고, 4례(50%)에서는 이차성 동맥류성 골낭을 보였으며 1례(12.5%)에서는 혈관침범이 관찰되었다. S-100 단백은 7례(87.5%)에서 종양세포의 세포질에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고, 모든 예에서 cytokeratin에 대하여 음성 반응을 보였다. Elght cases of chondroblastoma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 clinical and pathologic findings. The age of eight cases ranged from 17 to 38 years old(median age, 22.7 years old). The tumors developed in the femur(3 cases), patella(2 cases), tibia(1 case), fibula(1 case), and ulna(1 case). The mean diameter of tumors was 4.0cm(range, 1.5 to 8.0cm). Grossly, tumors showed grayish brown solid area with foci of secondary aneurysmal bone cyst. Histologically, the tumor cells were round or polygonal in shape with nuclear groove. And there were chondroid differentiation(7 cases), mitosis(3 cases), calcific deposits(3 cases), secondary aneurysmal bone cyst(4 cases), hemosiderin deposits(4 cases), necrosis(3 cases), vascular invasion(1 cases), and foamy histiocytes and cholesterol cleft(1 cases). All cases showed no metastasis to lymph node and distant organ. Seven cases(87.5%) were immunoreactive for S-100 protein. None was immunoreactive for cytokeratin.

      • 자궁육종 2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영기,박윤기,이두진 영남대학교의과대학 1998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5 No.2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1991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20례의 자궁육종을 경험한 결과 자궁육종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24세에서 71세이었고 평균 연령은 50.2세였고 평균 분만 횟수는 3.7회였다. 병기는 1기가 9례(45.0%), 2기가 1례(5.0%), 3기가 6례(30.0%), 4기가 4례(20.0%)이었으며 병기에 따른 생존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병리조직검사상 자궁평활근육종이 13례(65.0%), 악성 혼합 뮬러씨 종양이 5례(25.5%), 기타 횡문근육종 1례, 맥관육종 1례로 조직검사에 따라서도 생존율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된 임상증상으로는 부정기적 질출혈이 7례(35.0%), 하복부동통이 5례(25.0%), 비정상 복부종괴가 5례(25.0%)였다. 조직학적 소견상 10 HPF당 유사분열수가 6-10개인 경우가 2례, 10-15개인 경우가 3례, 16-20개인 경우가 2례, 20개 이상인 경우가 2례였으며 이들 유사분열수와 생존기간과의 관계는 조사할 수가 없었다. FIGO 병기 1기의 중앙생존기간은 27.0개월이었고 3기는 23.5개월, 4기는 3.0개월이었으며 2기는 산출이 불가능하였고 이들 병기와 생존기간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방법으로는 수술적 방법, 화학요버, 방사선 요법을 실시하였으며 수술적 방법으로는 전자궁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이 15례(75.0%), 전자궁 및 단축 부속기 절제술이 3례(15.0%), 근치적 자궁적출술이 1례였다. 치료결과 6명이 사망하였고 7명이 생존해 있는데 모두 무병상태로 추적 관찰증이며 나머지 7명은 추적이 불가능하였다. 추적조사를 위한 지표로서 CA-125가 5례에서 사용되었는데 그중 2례(40.0%)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Sarcoma of the uterus is very rare malignant tumor originating from uterine muscle or connective tissue. We have experienced 20 cases of uterine sarcoma from January 1991 to June 199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thologic types were 13 cases(65.0%) of leiomyosarcoma, 5 cases(25.0%) of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 1 case of rhabdomyosarcoma, and 1 case of angiosarcoma. 2. The average age and parity was 50.2% and 3.7. The chief complaints were irregular vaginal bleeding(35.0%), lower abdominal pain(25.0%), and abdominal mass(25.0%). 3. Nine cases(45.0%) were FIGO stage Ⅰ, 1 case(5.0%) was stage Ⅱ, 6 cases(30.0%) were stage Ⅲ, and 4 cases(20.0%) were stage Ⅳ. 4. The survival was from 1.5 months to over 130 months(median 16.5 months),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urvival and FIGO stage or pathologic type. The correlation between survival and number of mitotic figure was incalcurable. 5. CA 125 levels were serially measured as a tumor marker in monitoring patients and the positive rate was 40%. Further study was needed to make a conclusion for usefulness of CA 125 as a tumor marker.

      • KCI등재

        노년층에서 대퇴경부 골절의 치료

        인주철,안면환,서재성 영남대학교의과대학 198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 No.1

        본 영남의대 정형외과학 교실에서는 1983년 5월부터 1985년 2월말까지 치료한 노년층의 대퇴경부 골절 환자 30예 중 추시가 가능했던 18예를 골절의 양상 및 치료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18예 중 여자가 11예, 남자 7예로 고령의 여자에 호발하였다. 2. 60대 이상의 골절 11예 중 8예가 경도의 외상에 의하였고 4예가 심각한 골조송증을 동반하였다. 3. 골절의 양상으로는 총 18예 중 4예가 비전위 골절, 11예가 전위된 골두하 골절, 3예가 전위된 중간경부 골절이었다. 특히 60대 이상의 골절 11예는 3예가 비전위 골절, 나머지 8예가 전위된 골두하 골절이었다. 4. 치료 방법은 총 18예 중 13예에서 도수정복 및 다발성 철침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4예에서 대퇴골두 치환술을 1예에서 특별한 처치를 하지 않았다. 5. 내고정술을 시행한 비전위 골절 4예에서는 합병증을 초래하지 않았고, 전위된 골절 9예 중 4예에서 합병증을 초래하였는데 전 예가 전위된 골두하 골절이었다. 6. 전위된 골두하 골절로 내고정술을 시행한 6예 중 3예에서 3일 이내에 치료하였는데 이 중 1예에서 과내반 정복 상태로 합병증을 초래하였고 3일 이상 지연된 3예에는 전 예에서 합병증을 초래 하였다. 7, 전위된 골두하 골절 6예 중 과외반 정복된 2예에서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았고 과내반 정복된 3예와 수상후 1주일 이후에 양호한 정복 상태인 1예 모두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노년기의 대퇴경부 골절 환자의 치료시에 합병증의 발생은 대개 골절의 양상 및 치료 시기에 의해 결정되며, 내고정술시에는 조속한 시간내에 해부학적 정복 혹은 외반 정복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고령의 환자에서 전위된 골두하골절로 치료의 지연, 정복의 불가능, 과내반 정복 및 고관절에 기존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일차적인 대퇴골두 치환술 혹은 고관절 치환술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Femur neck fracture is well known as one of the major death cause after trauma in elderly patients, and unsolved fracture due to its frequent association with complications such as avascular necrosis and nonunion. Through meticulous evaluation of the patient, hip and surgeon's experiences, reduction of mortality and morbidity as well as rapid recovery of the patient to the preinjury social and ambulatory status without local complications and revision after treatment is urgently needed. Many factors about this fracture in itself were noted, but we have analyzed 18 femur neck fractures of the patients older than 50 years preliminarily according to age, fracture pattern, osteoporosis, etiology and method of treatment with its delay in association with major complications especially avascular necrosis and nonun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f these 18 fractures, 11 were in females, 8 were caused by minor trauma such as slip-down accident and 4 were associated with definite osteoporosis according to the Sing's classification. 2. Fracture pattern of these 18 are undisplaced in 4, displaced subcapital in 11, displaced transcervical in 3. 11 fractures in the patients older than 60 year are composed of 3 undisplaced or impacted fractures and 8 displaced subcapital fractures. 3. These 18 fractures were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multiple pins in 13, and hemiarthroplasty in 4, but one was not treated to die after discharge from hospital. 4. 4 undisplaced or impacted fractures and 3 displaced transcervical fractures were not associated with any compilcations such as avascular necrosis or nonunion. But 4 of 6 displaced subcapital fractures were complicated by avascular necrosis, 3 of which were reduced in the varus position within 1 week, and the other was reduced in the good position on 1 week after trauma. There was no complication in 2 displaced subcapital fractures reduced in valgus position within 3 days after trauma.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prognosis of the femur neck fracture is dependent upon the fracture pattern and delay in its treatment. So it is inevitable to reduce the fracture in anatomical or valgus position as early as possible. But the arthroplasty may be needed in displaced subcapital fractures delayed for several days, with its reluction in extreme varus position or impossible and with pre-existing disease in the same hip joint (total hip replacement).

      • KCI등재

        Effect of α-Interferon 2b o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ith High Serum ALT

        Lee, Heon Ju,Song, Young Doo 영남대학교의과대학 1998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5 No.2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Interferon (IFN)치료 후 혈청 HBeAg 소실 및 anti-HBe의 양전율을 높이고 효율적인 치료의 근거를 알기 위하여 치료 전 간기능검사상 갑자기 상승한 혈청 ALT치를 나타낸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IFN을 투여한 군과 IFN 치료없이 정상 HBeAg의 자연 소실을 보인 환자군을 임상적으로 장기간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4배 이상 높이 증가되어 3개월 이상 왕복을 보인 40명의 환자(A군)와 ALT 치가 정상 상한치의3배 이하로 증가된 10명(B군)에게 α-IFN 2b를 매일 300만 단위 피하주사로 3 ∼12개월 주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ALT치가 A군처럼 상승한 45명(C군)이었으며, IFN치료없이 평균 2.9년을 관찰하였다. HBeAg/anti-HBe 혈청 양전율은 A군 68%, B군 20%, C군 13%이었으며 IFN 치료 중단 후 1년까지의 HBeAg 재양성율은 A군에서 29%였고 HBeAg이 소실된 A와 B군의 38명중에서 6명에서 HBV DNA가 양성이었다. 6명중 4명은 HBeAg/anti-HBe 양전을 보였으나 HBV DNA 양성이었고 나머지 2명은 HBeAg, anti-HBe 및 HBV DNA (hybridization) 모두 음성이었으나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상 HBV DNA 양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비록 IFN 치료후에 HBeAg이 소실되었다가 다시 양성화되더라도 IFN은 단기간내에 혈중HBeAg이나 DNA가 자연적으로 감소가 될 환자나 그렇지 않은 환자에게도 HBV의 비증식화를 유발하여 도움이 될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IFN 투여 후에도 혈중 HBeAg과 DNA 소실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환자 및 HBV 증식 억제효과가 기대되는 HBV 간질환 환자의 조건, IFN 투여량, 기간 등에 대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로 더 나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