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울릉도·독도 인식과 이마즈야 하치에몽(今津屋八右衛門)의 울릉도·독도 도해사건

        이계황 ( Lee Gye-whang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7 學林 Vol.39 No.-

        본고는 17세기 이래 일본 사료에 나오는 마쓰시마(독도)가 어떠한 성격을 나타내고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일본 사료 속에 독도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는 독도가 일본에 속하는 영토인가를 가늠하는 주요한 지렛대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치에몽의 울릉도 도해사건의 전말을 소상히 밝히고, 이에 대한 막부의 대응 등을 살펴 이 사건이 함의하는 역사적 의의. 특히 에도시대의 독도 영유권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17~18세기에 걸쳐 일본 사료에 나타나는 독도는 조선인의 일본 연행과 관계되거나, 일본에서 울릉도 도해 여정을 기록할 때 병기되어 있다. 이것은 일본인의 독도 도해는 어업으로나 영토로나 무의미함을 나타낸다. 1720년대 막부가 울릉도 독도 조사는 울릉도 독도에 대한 조사로 보기보다는 무기류 밀무역과 관련되어 있는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해상 운송과 해상 운송로 발전으로 울릉도 독도가 해상 운송도중에 해상 운송업자들에게 발견되었을 가능성은 존재한다. 그리고 19세기에 오면번 재정 악화 타개 모색과 어업을 하기 위해 울릉도 도해를 고려하기 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하치에몽의 울릉도 도해사건이 발생한다. 하치에몽의 울릉도 도해사건은 하마다 에도 번저, 하마다번, 그리고 하치에몽으로 대표되는 해상 운송업자와 주로 오사카 상인들이 조직적으로 관여해 계획한 것으로,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막부는 이 사건을 매우 엄중히 다루어 마쓰다이라 야스토에게 영구 칩거, 하마다번 관리들의 자살, 하치에몽과 하시모토산베에에게 사형을 명하였다. 막부가 이렇듯 중형을 선고한 것은 당시 서양선박, 특히 러시아선이 일본에 도항하고 있었고, 그에 대해 이국선 무조건 격퇴정책(異國船無二念打拂令)이 시행되고 있었기 때문으로 보이며, 특히 총포의 해외유출과 밀무역과 관련되어 있다. 한편 막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울릉도 도해 금지령을 전국에 내리고 있다. 그러나 이 명령의 주요 내용은 전국의 방방곡곡에 내려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인민의 원해 도해 금지령의 성격이 강하다. 막부가 지적하듯이 항해 중에 이국인과의 조우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명령은 단순히 일본 인민만 관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독도에 대한 모든 권리-원래 존재했던 것은 아니지만-를 완전히 포기한 것으로 보아도 좋다. 왜냐하면, 일본 인민의 연안 항로 이용은 더 이상 울릉도 독도에 대한 접근을 차단한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울릉도 독도가 조선령이라는 막부 입장은 안용복 박어순의 일본 연행 사건의 처리 과정에서도 동일하며, 하치에몽의 울릉도 도해사건의 처리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메이지(明治)정부에서도 관철되어 1878년 독도가 적어도 일본령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있다. This article reviews which feature Matsusima(Dokdo) has in Japanese historical records since 17th century. It would be a base of judgement if Dokdo belongs to Japanese territory or not. This article tries to figure out the affair of Hachiemon`s Ulreungdo voyage minutely. It can clarify the historical meaning of this affair by examining action of Japan`s feudal government. Through 17-18th century, Dokdo in Japanese historical records were written when taking a Chosun national to Japan or recording a voyage from Japan to Ulreungdo. This means that Dokdo voyage was meaningless as fishing and territory for Japanese. The investigation of Ulreungdo and Dokdo by Japanese feudal government in 1720 seems related to weapon smuggling, not to Ulreungdo and Dokdo themselves. Despite of th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were found by maritime freight forwarders on their way to them due to improvement of shipping. There is another assertion that Japanese started to consider Ulreungdo voyage as solutions against financial crisis and fishing. Hachiemon`s voyage happened around this time. This affair of Hachiemon`s Ulreungdo voyage shows the historical situation at that time because it was organizationally planned by Hamada Edo Bun, Hamada Bun, maritime freight forwarders such as Hachiemon and mainly Osakan merchants. Meanwhile, the feudal government dealt with this affair strictly and gave orders to Matsudaira Yasuto to seclude permanently, officers of Hamada Bun to commit suicide, and Hachiemon and Hashimoto Sanbe to face capital punishment. The reason why the feudal government sentenced severe punishments is that Western ships, especially Russian, went over to Japan, and the unconditional repulse policy against foreign ships was in force at that time. This was especially related to outflow and smuggling of firearms. The feudal government issued an embargo on voyage to Ulreungdo all over the country. However, as we can see it was issued all over the country, this embargo has a strong inclination letting people not make a voyage to the ocean. As the feudal government pointed out, it is to avoid encountering foreigners during a voyage. This is related to not only Japanese people, but also abandonment rights to Dokdo entirely-though those didn`t exist. This is because the embargo can be construed as block any access to Ulreungdo and Dokdo. This stance of the feudal government that Ulreungdo and Dokdo belongs to Chosun territory is same as in the process of the affair of taking Yongbok An and Eosun Park to Japan. It is also shown in the process of the affair of Hachiemon`s Ulreungdo voyage. This stance had been carried through the Meiji government, and it clarifies Dokdo doesn`t belong to Japanese territory at least in 1878.

      • KCI등재후보

        해방 이후 민족주의적 관점의 한국 고대사 연구 사례와 문제점

        안정준 ( An Jeongjun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8 學林 Vol.42 No.-

        해방 이후에 진행된 한국 고대사 연구는 다른 시대사와 마찬가지로 식민사관의 극복과 한국사의 학술적 정립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목표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고대사 연구의 기존 문제의식과 지향점에 대해 여러 방면으로부터의 비판이 제기되었다. 특히 2003년 중국의 동북공정을 통한 고구려사 귀속문제에 대응하는 과정, 그리고 최근 유사사학자들이 촉발시킨 ‘상고사’ 논쟁에 대응하는 과정은 고대사 학계의 역사 인식이 갖는 문제들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다만 이러한 비판들은 고대사 이외의 연구자들로부터 제기된 것이었기 때문에 실제 연구의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지적은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필자는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樂浪郡연구와 唐代고구려 백제 유민 묘지명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의 인식의 한계가 무엇이었으며, 최근 연구동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고대사 연구에 근대 국민국가 의식과 민족주의적 관점이 어떤 형태로 개입되었는지를 밝히고, 최근 연구의 전환을 통해 향후 지향해야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간략히 언급하였다. The study of Korea’s ancient history since 1945 was conducted for a periodical task of overcoming colonialism and establishing Korean history. However, since the 2000s, a variety of professionals have begun to criticize the traditional direction of metabolic research. In particular, the Chinese government’s response to the Goguryeo history issue through the Northeast Project in 2003 and the recent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Sangosa’ dispute sparked by pseudo-historians has served as an occasion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ancient history awareness. However, since the researchers who raised these criticisms did not major in ancient history, specific comments on the actual subjects of ancient history could not be made. I learned about the cognitiv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and how recent research trends have changed through the study of Lelang commandery (樂浪郡) and Epitaph Records in Tang Dynasty. Through this review, the influence of modern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istic view on ancient history research was reviewed and briefly commented on the direction to be pursued.

      • KCI등재

        장면 정권의 “혼란”에 대한 미국의 책임 -유솜과 제1대 유솜처장 레이몬드 모이어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봉석 ( Han Bong Seok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1 學林 Vol.47 No.-

        1960년대 초 장면정권은 주로 ‘혼란상’으로 기억된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혼란’은 만들어진 것이다. 장면 정권의 혼란상을 평가하는데 있어 두 가지 요소를 살펴봐야 한다. 첫째는 1950년대 말 명칭을 변경한 usom의 역할, 두 번째는 제1대 유솜처장 레이몬드 모이어(Raymond Moyer)의 역할이다. 먼저 1950년대 말 유솜은 새롭게 출범한 것이 아니다. 유솜은 기존 미국 대한원조의 기술협조의 흐름위에 위치한다. 즉 전기 주한경제조정관실이 곧 유솜으로 명칭 변경을 한 것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다만 미국은 이를 통해 한국에서 원조의 ‘정상화’, 곧 country team 체제를 복원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국 대한원조의 실행 구조, 경제정책 수립에 있어서 유솜의 역할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팔리 보고서는 유솜을 공격했다기 보다, 1950년대 미국 대한원조를 공격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익히 알고 있던 워싱턴의 관리들이 이를 새로운 원조정책 수립을 위해 활용했다. 이것은 만들어진 혼란이다. 둘째, 레이몬드 모이어가 혼란을 조장한 측면이 있다. 레이몬드 모이어는 20세기 초 아시아에 정착한 이래, 오랫동안 미국 동아시아 정책 사업에 참여한 아시아통이었다. 다만 그는 아시아 중에서 대만에 큰 관심을 보였을 뿐, 한국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었다. 그는 한국에 개발이 아닌 구호가 여전히 필요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그의 이런 시각과 자세는 딜론 각서 하에 신음하던 한국정부에 내부적 불안요소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1960년대 초 장면정권을 상징하는 혼란에서 미국 요소를 잘 분해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 중 첫 번째 요소는 만들어진 것이며, 두 번째 요소는 실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이 한국을 불안하게 봤던 그 시선은 곧 한국정부의 존립에 불안한 요소가 되었다 할 것이다. 미국 대한원조에서 미국인에 주목할 이유가 여기 있다 할 것이다. In the early 1960s, the Jang Myeon regime was characterized by confusion. However,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two factors that led to this regime’s chaos: the role of USOM, which changed its name in the late 1950s, and Raymond Moyer, the first chief of USOM. USOM was not founded in the late 1950s. The Office of the Economic Coordinator changed its name to the United States Operations Mission to the Republic of Korea and so became USOM. However, the US was able to normalize aid to South Korea.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ole that USOM played in the implementation of US aid and economic policies. The Farley report did not attack USOM specifically but rather US aid to South Korea in the 1950s generally. US government officials used the attack to create new aid policies. This move created confusion. Moyer himself also created confusion. Moyer had been a long-time East Asian policymaker in the United States since he had lived in Asia in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his specific interest was in Taiwan and not in South Korea. He believed that South Korea still needed, not development. However, his perspectives and attitudes became a source of anxiety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hich was concerned by the Dillon memorandum.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two major US contributions to the chaos of the regime in the early 1960s. The first element was created while the second was a real person. However, the US view of South Korea as unstable soon contributed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instability. This is the reason why the US aid to South Korea.

      • KCI등재

        일서(日書)를 통해 본 고대 중국의 질병관념과 제사습속

        문정희 ( Moon Chung Hee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7 學林 Vol.39 No.-

        이 글은 출토문서 『수호지진묘죽간(睡虎地秦墓竹簡)』 일서(日書)를 통해 고대인들의 질병관념과 제사습속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서는 시일을 점치는 택일서로서, 복을 바라고 재앙을 피하고자 하는 인간의 원초적 욕구가 반영된 산물이다. 고대과학과 의학이 발달하지 못하였을 때 질병은 신이 내린 재앙이요 공포였음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출토문서 중 『포산초간(包山楚簡)』, 『망산초간(望山楚簡)』 등에 보이는 이른바 `질병정(疾病貞)` 혹은 `제도간(祭禱簡)`은 질병의 진행상황과 치유 가능성, 그리고 병의 원인에 관한 점복이 복서(卜筮)와 일점(日占)에 의해 행해졌음을 보여준다. 특히 일점(日占)은 『운몽진간』에 포함된 일서 『병(病)』 편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일서 『병(病)』 편은 발병 시일에 따라 병의 진행상황과 병의 원인이 된 대상 즉 작수자(作?者)가 누구인가를 점쳐 병을 치료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일서『병』 편의 기사를 통해 질병의 원인이 되는 대상과 질병의 구체적인 매개체 그리고 치병을 위한 제사 의식 등을 분석하여 중국 고대인들의 질병 관념과 제사 습속의 일면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운몽진간』일서 갑종 병 편과 을종 유질, 십이지점복 편 등을 주요분석 대상으로 삼았고, 유사한 출토 문서로 전국시대 『포산초간(包山楚簡)』, 『망산초간(望山楚簡)』 등의 `질병정(疾病貞)` 혹은 `제도간(祭禱簡)` 그리고 당대 돈황유서인 발병서(發病書) 의 `추득병일법(推得病日法)`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일서 병 편 등은 병의 발생 날짜에 따라 병을 일으킨 원인제공자(작수자)를 점치며, 병의 예후와 진행상황을 점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수자의 경우, 조상과 무(巫), 이사(里社)의 사신(社神)으로 정리된다. 무와 사신 등 작수자가 당시 사회에 영향력을 가졌던 자들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민간 사회의 세속 권력의 지형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내용 중`(제사)고기에 병을 얻어오다(得之於肉)` 구절을 통해 병을 야기한 작수자 외에 외부로부터 들여온 음식물이 발병의 구체적 매개체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병 편에 열거된 `육(肉)`, `웅계(雄鷄)`, `주(酒)`, `삭어(索漁)`, `견육(犬肉)`, `포(脯)`, `수(脩)` 등이 제사에 올린 제물이란 점에서 당시 이(里) 공동체 사회에서 행해진 제사 관행 이른바 `갹(출)`(醵出)의 구체적 실상을 추측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질병이 기본적으로 각종 귀신의 빌미로 인한 것이지만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을 통해 야기된다고 본 점은 고대 사회에서 제사 후 주육(酒肉)을 공유하는 관습에 비추어볼 때 일종의 공중 위생개념에 대한 고대인들의 초보적인 인식으로 볼 수 있다. 『사상례(士喪禮)』 에서 병이 났을 때 집의 안팎을 청소하고 더러워진 옷을 갈아입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The paper aims to examine the Chinese ancient people`s idea of disease and ancestral rites through the “Resu(日書)” fromShui Hu Di Qin Mu Zhu Jian(睡虎地秦墓竹簡) (A Book that Tells Fortunes According to the Time of Day. “Resu” is a product reflecting the nature of human beings who wish for happiness and avoid catastrophe. When science and medicine was yet developed, disease considered as disaster created by god. Among the excavated documents, “the Divination of Disease (疾病貞)” or “the Bambooslip on Prayer(祭禱簡)” in 『Bao Shan Chu Jian(包山楚簡)』 and 『Wang Shan Chu Jian(望山楚簡)』 show us they figured out the progress of disease, the possibility of healing, and the cause of disease through divination and numerology. In particular, numerology is very closely related to “Bing(病,disease)” chapter in “Resu(日書)”. “Bing” chapter includes the causes of disease and the progression of disease. Therefore, the treatment of illness was to identify who caused the disease. They saw “the disease maker(作?者)”, the main cause of the disease, was an ancestor, a shaman or a Land spirit in the shrine to the village. One can observe the topography of the secular civil society in the sense that “the disease maker” coincides with those who have influence in the society. It also confirms that the one specific of source of disease was the food, brought from the words “……get a disease from the meat offered to the deceased(~得之於肉).” In particular, it was discovered that the foods, such as `beef(肉)`, `chicken(雄鷄)`, `liquor(酒)`, `dry fish(索漁)`, `dog meat(犬肉)`, `jerky(脯)` and `dried meat(脩)`, listed in the book were offerings for `makeing contribution`(醵出) done in the village(里) community at the time of the offering. Although they thought disease was fundamentally caused by various kinds of ghosts, it can be seen as a primitive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public health in ancient societies, considering that custom of distribution of wine and meat after the offering was a common ritual in the ancient society. Through this analysis, we could understand the mechanism of disease treating of the ancient Chinese people and explore the aspect of secular power based on the village(里) community, lastly learn about the ancestral rites of the ancient Chinese people.

      • KCI등재

        한국전쟁기 보국대의 의미와 성격

        나상철 ( Na Sang Chul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0 學林 Vol.45 No.-

        한국전쟁 동안 민간인은 군에 동원되어 노무력을 제공했다. 군과 민은 이러한 민간 노무인력 동원 및 전쟁 지원 행위를 ‘보국대’라고 칭했다. 그러나 해방으로부터 한국전쟁이 휴전에 이르기까지, 실체성이 있는 하나의 국가행정조직으로서 ‘보국대’라는 것은 없었다. 따라서 보국대는 법제적 근거가 없는 구어적 표현이었다. 현재에 이르러서도 전쟁을 회고하는 과정에서 노무를 위해 동원된 개인과 그 집단을 ‘보국대’ 또는 ‘보국단’이라고 일컫는다. 본고는 이처럼 국가기구가 아님에도 전쟁당시 두루 사용되었던 ‘보국대’의 특성과 성격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첫 단계는, 어의적 특성과 계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어의적 특성이란 ‘보국’이라는 표현이 과거부터 어떻게 쓰였고 기록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그것이 조직을 이르는 ‘隊’와 접목되어 ‘보국대’로 실체화되는 현상을 추적한다. 그런데 보국의 수사가 집약되어 조직화되는 것은 일제 강점기의 ‘근로보국대’가 유일한바, 한국전쟁기의 보국대는 일제의 그것에 적어도 어의적 계보의 연결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어서는, 한국전쟁을 겪은 인물의 회고에서 ‘보국대’가 어떤 모습으로 재현되는지를 살핀다. 회고자는 크게 민간인 노무자, 사병, 장교 출신자로 구분된다. 각각의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던 이들은 보국대의 모습과 성격에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회고에서 주목되는 점은 그들 대부분이 보국대를 전시 군경에 의해 강제된 것으로 기억한다는 점이다. 이처럼 한국전쟁기 보국대는 단지 일제의 총동원체제기 전쟁 장치였던 근로보국대와 어의적으로만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조직하고 운용하는 형태와 그 인식까지도 매우 닮았다. 따라서 보국대는 전시근로동원에 대한 법제적 근거가 마련되지 않았던 당시, 대중의 기억에 자리하고 있던 가까운 과거의 일련의 전시 민간인 동원 기법이 소환된 것으로, 일제가 남긴 또 하나의 잔재이다. During the Korean War, civilians were mobilized to the military for provide labor. The military and the civilians have called these acts of mobilizing civilian laborers and supporting the war as a ‘Bogukdae’. From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however, there was no such thing as a substantive nation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ogukdae’. Therefore, it was a colloquial expression with no legal basis. And in the course of retrospecting the war, the individuals and their groups mobilized for labor is also called as ‘Bogeukdae’ or ‘Bogeukdan’. This thesis confir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geukdae’, which was used throughout the Korean War even though it was not a national organization. The first step in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 is to identify how the term ‘Bogeuk’ was used and recorded in the past. And also tracks the phenomenon of being ‘Bogeukdae’ with a ‘corps’ attached to the ‘Bogeuk’. Japanese Empire’s ‘Civilian Labor Corps(勤勞報國隊)’ is the only one, which integrate the meaning of ‘repay for nation’ to real organization. The ‘Bogukdae’ which was called during the Korean War is believed to have at least the link between the linguistic connection about the Japanese Empire’s ‘Civilian Labor Corps’. Soon after, in the memoirs of those who went through the Korean War, we can see how ‘Bogukdae’ is recreated. Retrospective people are divided into civilian laborers, enlisted men and army officers. These distinctions give a three-dimensional picture of the figure and character of ‘Bogukdae’ from each social status. Noteworthy thing in their memoirs is that most of them remember “Bogukdae” as being forced by wartime military and police. As such, ‘Bogukdae’ during the Korean War is not only connected linguistically to the ‘Civilian Labor Corps’, which was a war device under the Japanese Empire, but also very similar to the way it was organized and operated. Thus, ‘Bogukdae’ is another remnant left by the Japanese Empire, that was summoned for a series of wartime civilian mobilization techniques of the near past, that were in the public’s memory at the time when legal grounds were not laid for wartime workers.

      • KCI등재

        구석기 분야 학제간 연구의 모범 사례 - 프랑스 테라 아마타 유적 종합연구서 완간에 즈음하여 -

        공수진 ( Kong Sujin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7 學林 Vol.39 No.-

        이 글은 지난 해 2016년 완간된 테라 아마타유적 종합연구서의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한 것이다. 테라 아마타 유적은 프랑스 남부 니스 시에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주택 공사 과정에서 유적이 있는 것이 확인되면서 1965년에 앙리 드 룸리 교수의 지도 아래 긴급하게 발굴조사가 이뤄졌다. 발굴 조사가 완료된 이후, 니스시의 도움으로 건축공사는 예정대로 진행하고 대신에 건물 1층을 시립박물관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결정되었으며, 이후 매장문화재 보존과 개발이 상충될 때 모범 사례가 되었다. 당시 발굴단은 조사하기에 좋지 않은 여건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자료들을 꼼꼼하게 기록하여 자료로 남겼다. 이것이 바탕이 되어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5권의 방대한 종합연구서를 발간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연구 방법 및 결과, 특히 구석기시대 사람의 삶에 대한 고찰은 한국의 구석기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view summarizes the monograph of the Terra Amata site, which consists of 5 volumes; its last volume was published in 2016. The Terra Amata site is situated in Nice, southern France. During a construction work, a prehistoric site was revealed and a rescue excavation was conducted under the supervision of Prof. Henry de Lumley. After completing the excavation, a site-museum is installed on the ground floor of the building aided by City of Nice. This case has became a model case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and the development project. In spite of unfavorable conditions for the excavation, the research team accurately recorded all the available data. Thanks to these data, the publication of the monograph of the Terra Amata site was able to be realized and it was finished with the Volume V in 2016. It seems that research results, interdisciplinary methods and the reconstruction of prehistoric men`s lifestyles would be useful to Korean palaeolithic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