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원의 교원 양성체제에 대한 교원과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순천대학교를 중심으로

        김대희,이정우,지영래,박은정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현장수업연구 Vol.3 No.1

        Due to the recent trend of the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and over-grow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pushing for a change in the role of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As a resul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trying to convert it to a system fostering the capabilities of existing teachers rather than training new teachers. In the school context, teachers are required to play a variety of roles, such as cultivating career and digital literacy, because of the demand for convergence curriculum guidance and non-face-to-face classes. The consequence has also resulted from consumer-tailored education, the free grade system,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mpact of COVID-19.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must come up with a drastic development plan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five-cycl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s that can strengthen educational capabilities of teachers in schools in the Jeollanam-do region. In order to make it concrete,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five-cycl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 analysis of the reform plan for the teacher training course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 survey of opinions of the profess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nd a survey of opinions of the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and teachers in the Jeollanam-do reg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firstly divided the majors into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cutback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e encouraged all departments to improve the content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o that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can develop their teaching skills and abilities in the future. Third, it is necessary to offer integrative majors, which are expected to be in high demand in the future. This will bring about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and advanc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urth, newly-coming graduate students should be welcome through specialized doctoral degree (i.e., Doctor of Education or Ed.D.)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Lastly, it is imperative to develop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s for in-service teachers to acquire first-grade teacher qualification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o cultivate compet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최근 학생 수 감소 및 교원의 과다 양성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부에서는 교원 양성과정에 대한 역할 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교육대학원은 신규 교사의 양성보다는 현직 교원의 역량을 함양시키는 체제로 전환시키고자 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수요자 맞춤형 교육의 강화, 자유학년제 도입, 코로나19의 영향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등에 따라 진로소양 함양, 융복합 교과 지도 및 비대면 강좌의 요구 증가 등 교사들에게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은 지난 교원양성기관 5주기 평가 결과의 반영 및 전남지역의 교사들의 현장 지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서비스의 제공 등을 포함한 보다 과감한 발전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교원양성기관 5주기 평가 결과 분석, 교육부의 교원 양성과정 개편 방안 분석,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전공 교수 의견 조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생 및 순천지역 교사들에 대한 의견조사를 거쳤다. 연구 결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은 첫째, 양성과정 정원 감축에 따라 신입생 지원이 높은 전공과 그렇지 않은 전공을 양성과정과 재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운영함으로써 양성과정을 내실화하고, 재교육과정은 융합교육 등을 신설하여 교사들의 관심과 지원을 늘려나가야 한다. 둘째, 교사 및 교육대학원생들이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교수 학습 내용 및 방법들을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의 발전 및 (예비)교사들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하여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보이는 융복합 전공의 개설을 다양화해야 한다. 넷째,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에 교육대학원 전문박사(교육학 박사, Ed.D.) 과정을 운영하여 신입생 지원을 확대시켜야 한다. 다섯째, 교육대학원 1급 정교사 자격 취득 연수과정을 교육과정으로 운영하여, 대학원생들의 현장교육 역량을 함양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C대학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교과목 교육과정 기준 개발 사례 연구

        김필성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현장수업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논의된 ‘OECD 교육 2030’과 미네르바 스쿨의 사례에 근거하여 교양교과목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기준 개발 사례를 살펴보고자 했다. C대학교는 교육과정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DeSeCo 프로젝트의 후속으로 추진된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역량개념과 미네르바 스쿨의 사례에 근거하였다. 이들은 주요하게 교과목의 내용과 역량이 연계되는 방식과 역량이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를 포괄한다는 점, 그리고 역량교육은 교육내용을 매개로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점에 근거하여 C대학교는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교과목 교육과정 기준을 개발하여 교양필수 교과목이 이런 기준에 따라 수업을 설계하도록 했다. 이 교육과정 기준에서는 우선적으로 교과목의 성격에 근거하여 학습성과를 도출하며, 이를 핵심역량과 연계하고 학습성과별 루브릭을 포함하는 교육목표를 개발하고 있다. 그런 다음 이런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학습체계, 그리고 핵심개념 중심의 교육내용 기준과 교과목 교육과정 운영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이 사례 연구는 핵심역량이 교과목의 내용과 긴밀하게 연관되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과 단편적인 지식교육에서 벗어나 지식, 기술, 가치와 태도 등이 실천적으로 통합되는 방식을 보여주고,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가능성이 높은 교과의 핵심개념을 가장 중요한 학습내용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Based on the recently discussed cases of 'OECD Education 2030' and the Minerva School,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standards for liberal arts subjects. University C was based on the concept of competency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followed by the DeSeCo project to develop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case of Minerva School. These mainly show how the content and competency of subjects are linked and that the competency encompasses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nd that competency education is mediated through th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is point, University C developed the curriculum standards for liberal arts subjects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and designed classes for compulsory liberal arts subjects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In this curriculum standard, learning outcomes are first derived based on the nature of the subject, and educational goals are developed that link these to core competencies and include rubrics for each learning outcome. Then, we are preparing a learning framework that meets these educational goals, standards for educational content centered on core concepts, and strategies for operating curriculum for each subject. This case study presents a method in which core competenc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subject, and shows a class framework in which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re practically integrated away from fragmentary knowledge education, and applied in various situations. It is valuable in that it presents the core concept of the subject with high potential as the most important learning content.

      •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운영체제 개선방안 연구

        김재기,신향근 순천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科學과 敎育 Vol.8 No.-

        Recently, many educators have been paid their efforts to reorganize and redevelop educational system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t universities. Some studies have reported that teachers in K-12 school systems have tried to develop their expertise in their fields. One way to do this is to enter regular educational programs and to earn an academic degree. This inclination also requires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restructure their systems and improve their education programs. For these education need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me suggestions for restructuring teacher training syste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following five aspects for further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re suggested: ① Humanization of teacher-training contents, ② Digitalization of educational systems, ③ Interrelationship of K-12 school systems and course-works of graduate programs, ④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⑤ Professional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educational fields.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사범대학생의 인식과 대응: 사회교육과와 컴퓨터교육과 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정우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현장수업연구 Vol.2 No.1

        In this study,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ty-four students majoring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33 in computer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regard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ICT. Responses from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s encompassed a wider range of issues including the social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s background and the response to it than those from computer education majors. Second, students suggested ‘information literacy’ and ‘fluency’ are required as competencie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think more value/attitude as competencies for the prospective teacher than computer education majoring students. Third, students evaluated themselves as lacking the responses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fact,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think themselves as less prepared than their peers. Fourth, they did not think that education in the college is helpful for their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uter education majoring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and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were more critical than their peers. Most student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active role of education, nor did they bring about a critical view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rame itsel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truction, curriculum, pedagogy of college of education should be changed. 본 연구에서는 S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학생과 컴퓨터교육과 학생 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과 대응 현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범대학생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미지는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 자체였으며, 사회교육과 학생의 경우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4차 산업혁명이 미칠 사회적 영향이나 배경, 그에 대한 대비와 관련된 답변 등 다양하고 폭넓은 답변이 제시되었다. 둘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일반인에게 필요한 역량과 중등교사에 필요한 역량으로 나누어 질문한 결과, ‘정보 리터러시’, ‘적응력/유연성’이 필요하다는 응답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사회교육과 학생은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중등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해 가치/태도와 관련된 내용을 응답한 비중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본인의 대비에 대한 평가에서 응답자들은 대체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해 대비가 부족하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사회교육과 학생이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대비가 부족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역량을 키우는 데 대학교육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한 것에 대해서는 모든 항목에서 컴퓨터교육과 학생의 평균이 높았으며, 특히 전공수업이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한 평균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역량을 키우기 위해 대학교육이 어떻게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한 결과, 컴퓨터교육과에 비해 사회교육과 학생의 비중이 높은 항목은 수업 방법의 개선과 관련된 것이었으며, ‘융합형교육 확대’ 혹은 ‘학과간 칸막이 없애기’와 같은 구조적 문제를 지적한 경우도 있어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사회교육과 학생이 대학교육에 더욱 비판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이들의 응답에서 4차 산업혁명이 지니고 있는 부정적 요소를 상쇄할 수 있는 교육의 적극적 역할에 주목하거나, 4차 산업혁명이라는 프레임 자체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를 한 경우를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점을 종합하면 사범대학, 특히 사회교육과의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방법 전반에서 변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을 중시하는 진로교육 방안

        정영진 順天大學校 師範大學 附屬 科學敎育硏究所 1996 科學과 敎育 Vol.4 No.-

        The career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within schooling, which means that the various perspectives of individual students such as abilities, aptitudes, interests, etc., should be clearly figured out and developed by career educators. To be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guidance and counseling for career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planned, organized, and performed and furthermore, each individual should take into account his own skills, abilities,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Several guidelines for career education emphasized the variety of each individual can be suggested as followings : ① Individual: Achieve a long-term life goal, ② Family: Maintain a happy family, ③ School: Perform a whole-person centered education, ④ Society : Improve the partnership between university research and industry, ⑤ Nation : Allocate the human resources efficiently. The guidelines for career education should increase the success of achieving one's career and life goals.

      • KCI등재후보

        미술 비전공 대학생을 위한 다문화미술 교육과정 개발 연구

        장용석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현장수업연구 Vol.3 No.1

        South Korea is becoming more of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increase of trade, the influx of foreign labourers,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s, and globalization. The term, “multiculturalism” has become a familiar term in South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is promoted by many South Korean scholars and educators as an effective means by which to solve the many issues now occurring from the social, cultural and ethnic diversity in South Korea. My research and approach to the issues of diversity, is relevant to multiculturalism, most of the research focusing on the K-12 levels in educati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re are few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or adults in South Korea. The programs in existence are commonly used to introduce foreign cultures by using traditional art making and study, such as mask making, traditional clothing design, and doll mak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could be expanded into higher education curriculum to include university students and continuing education for non-traditional adult students, to cover and realize more fully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lessons implemented by two international art instructors working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United States who have implemented their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for more than two years. The art classes in this program are designed for non-art major students and are one of the more popular courses offered at the university. Even though the lessons in this paper are made for a particular social setting and purpose, by sharing the art lessons taught in the program, I have hope that the South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will expand the scope of their curriculum so the goals of multiculturalism meet the needs of the diversity in the country 한국 사회는 더욱더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다문화’라는 단어도 한국에서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니다. 다문화 교육도 한국에서 많은 학자들로 인해 소개되고 교육현장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다문화 교육은 초중고등 학생들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 미술교육도 대부분 그러하다. 이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을 전공하지 않는 일반 대학생들을 위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개인이 속한 다른 문화나 다양한 가치를 수용하여 표현하는 다문화 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실제로 미국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이 논문은 다문화 교육이라는 렌즈를 통한 미술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3주간의 제안된 수업 계획과 함께 다문화 미술커리큘럼을 적용한 사례로 대학생들에게 긍정적 피드백과 높은 강의 만족도를 도출하였다. 비록 다른 나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이지만 한국 교육현장에서도 소개되어 충분히 응용이 되고 발전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후보

        자유학기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연구 -부산 지역을 대상으로

        김민채,김영환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현장수업연구 Vol.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mprehensive perception of teachers in the free semester career system utilizing survey to the teachers. First, although most teachers responded the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t a very high level,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urpose of operation and the specific perception of the basic direction.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career education was needed at a macro level that looked at career path from a lifetime design perspective rather than a micro-level career education focused on experience in terms of career management,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operational content depending on the teaching experience. In terms of operation, teachers with less than 20 years of experience recognized that the ‘experience for experience’ was increasing, which didn’t match the goals and purpose of free semester system. And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 learning gap between students was widened. Third, there’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about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reduce job burdens and the provision of external instructor support and quality management measures were urgen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dentity of career education in the future, an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teacher training for free semester system in accordance with teaching career, subject etc. Finally, sufficient discussion and improvement plans are needed to ensure that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n career education in free semester system.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진로교육에 대한 전반적이고 종합적인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대부분 자유학기제의 목적과 취지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운영목적과 기본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진로교육 운영내용에 대해서 체험 위주의 미시적 차원의 진로교육보다 생애 설계적 관점에서 진로를 바라보는 거시적 차원에서의 진로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직경력에 따라 그 운영내용에 대해서는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운영 방법 관련하여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진로교육으로 인해 업무부담이 가중되고 있고, 운영성과에 대해서도 경력 20년 미만의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목적과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체험을 위한 체험’이 늘어났다고 인식했다. 더불어 학생들 간의 학습격차도 더 크게 벌어졌다고 인식했다. 셋째, 교직경력과 관계없이 교사들의 직무 부담 경감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하며, 외부 강사 지원 및 질 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향후 자유학기제 진로교육 정체성에 대해 교사들이 갖는 인식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연구 및 지원 그리고 이에 맞는 체계적인 교사 연수가 교직경력, 담당 교과 등에 따라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자유학기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자유학기제 본질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개선방안에 대한 탐색이 요망된다.

      • 환경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환경교육의 방향

        이용환 順天大學校 師範大學 附屬 科學敎育硏究所 1996 科學과 敎育 Vol.4 No.-

        In order to get sugges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from the experiences of foreign countries, the researcher reviewed and analysed the purpose, theoretical structure,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ctivities, and evaluational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Germany, England, Netherlands, and Asian countries.

      • 고등학교 정치교과서의 정치교육내용 비교 분석 : 『정치·경제』·『정치』교과서의 비교를 중심으로 『Politics·Economics』and 『Politics』

        조성규,손병선 順天大學校 師範大學 附屬 科學敎育硏究所 1999 科學과 敎育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olitical education contents in a viewpoint of conservative and innovative function between 『Politics』and 『Politics·Economics』of the high school textbooks, those have been used in 5th and the 6th curriculum. First of all, this study made an analytic model about the political education context of the high school textbooks on the basis of many theories about the political education for students. Second, it made criteria about the usefulness and the harmony between conservative and innovative function for political education in a socio-functional point of view, and also, briefly reviewed the process of undergoing change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ntil now. Third, according to the criteria, it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politics textbooks of the high school and analysed the frequencies of contents in each political education areas. Th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in 『Politics·Economics』 showed more tendencies of a rightist direction than those in 『Politics』. In conclusion, the study is suggesting it is critical for students to teach organization culture, discipline and to maintain the society, but the recent political education needs to teach them both conservative and innovative area to a adjust themselves to a changing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