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후’의 인문학, 융합의 교차점에서

        박인찬(Inchan Pak)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1 No.1

        우리는 인문학 열풍과 인문학 위기의 일견 모순된 시대에 살고 있다. 대학의 바깥에서는 과잉이지만 정작 안에서는 위기인 게 지금의 인문학이다. 그렇다면 대학의 인문학이 직면한 문제는 무엇이며, 그것을 타계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 글은 숙명인문학연구소가 개최한 창립기념 학술대회 “인문학의 최전선에서: 미래를 위한 도전과 과제”에서 기조강연의 목적으로 처음 발표되었다. 대학에서의 인문학이 처해 있는 현실을 진단하는 한편, 전통과 쇄신의 기로에 서 있는 인문학의 방향을 다양한 학문분야들이 학문적 ‘행위자’들로서 관계를 맺는 ‘이후’의 인문학에서 찾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후’의 인문학을 실천하기 위한 제도적 발판으로 인문학연구소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게 이 글의 주장이다. Today is a seemingly contradictory age in which the humanities are exposed both to enthusiastic needs and serious crisis. Overabundant outside, yet impoverished inside college are the humanities now. Then, what are the problems that confront the humanities at college, and how could they be overcome? This essay was originally presented as a keynote speech in the conference entitled “At the Frontline of the Humanities: Challenges and Tasks for the Future” held to celebrate the foundation of the Sookmyung Research Institute of Humanities. Examining on the one hand the reality in which the humanities at college are placed, it suggests the ‘post’-humanities that aim at multifaceted networking and transaction of disciplinary ‘actants’ in the wake of Bruno Latour as the necessary future of the humanities at the crossroads of tradition and renovation. For this aim, as this paper finally argues, the significance that the Research Institute of Humanities shall have cannot be emphasized too much.

      • 데이터 기반 인문학 연구 방법의 모색: 문중 고문서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

        김현(Kim Hyeon),안승준(Ahn Seung Jun),류인태(Ryu In Tae)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1 No.1

        단순히 인문학 자료를 디지털화 하거나, 연구 결과물을 디지털 형태로 간행하기보다는, 정보 기술의 환경에서 보다 창조적인 인문학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디지털 인문학’이라고한다. 무엇이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인가 라는 물음에 답을 줄 만한 연구 모델은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최근 수년 사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로 보고된 여러형태의 인문 분야 연구에서 가장 두드러진 공통점을 찾는다면, 그것은 종래에 인간의 언어로만 기술되었던 인문 지식의 요소들을 기계가독적(machine readable) 데이터로 전환하여, 컴퓨터가 그 정보의 해석을 도울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무엇이 디지털 인문학인가’하는 원론적 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인문 지식을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은 어떠한 작업이며, 그것을 통해 학술적 성과를 기대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인문정보학 교실에서 수행하고 있는 데이터 기반 문중고문서 연구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디지털 인문학의 프레임워크 위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형식의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연구자들이 직접 그 디지털화된 문서의 내용을 데이터로 취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분석, 정리, 해석을 통해 찾아낸 ‘사실’과 ‘이야기’를 확장된 데이터로 축적해 나아갈 수 있게 함으로써, ‘자료’의 아카이브에서 ‘지식’의 아카이브로의 진화를 지향한다. 고문서 내용을 데이터로 전환하여 기계적 가독성을 부여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과거의 생활사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에 기여하겠지만, 향후 이러한 데이터의 광범위한 축적으로 만들어질 인문학 빅데이터는 현대에 발생하는 사회과학적, 산업적 빅데이터와 엮여져서 현대사회에 대한 이해와 과거 역사의 탐구 사이의 연결고리를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하게할 것이다. 인문지식이 데이터로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을 통해 우리의 인문지식은 전통적인 인문학의 경계를 넘어서는 세계와도 교섭할 것이며,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로서의 인문학의 외연을 더욱 의미 있게 확장해 갈 수 있을 것이다. Rather than simply digitizing humanities materials or providing humanities research results in a digital format, “digital humanities” encompasses ever more creative humanities endeavors in an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ere is still no research model which can clearly answer the question of what “digital humanities research” looks like. However, if we look at the similarities among humanities research which has been deemed to fall under the umbrella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we can see the transformation of humanities knowledge elements from human-composed language to machine-readable data, which allows computers to aid in the interpretation of said information. The author will go a step beyond the fundamental discussion of “what digital humanities is,”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work of transforming humanities knowledge into data, and what kind of scholarly outputs we can expect from such work. To this end, the author presents research l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angseogak Archives and Cultural Informatics Lab which is based on old documents from paternalistic lineage organizations (munjung). A new form of digital archive of old documents made for a digital humanities framework allows researchers to turn the content of digitized old documents into data. In addition, through the accumulation of data which encompasses “truths” and “stories” discovered via data analysis,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an archive of “source materials” can evolve into an archive of “knowledge.” On preliminary level, transforming the content of old documents into data and making it machine readable contributes to humanities research on the lives of people of the past. However, looking forward, the widespread accumulation of such data can create big data on the humanities. And if this humanities big data is connected to big data dealing with contemporary social, academic, and business phenomena, it can serve as a link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modern society and the history of the past. Through efforts to allow humanities knowledge to communicate as data, our humanities knowledge can go beyo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humanities and negotiate with the larger world, and it can more meaningfully expand the full realm of the humanities as an understanding of humans and society.

      • ‘터무니’의 이해와 새로운 무늬 새기기

        장정윤(Chang, Jungyoon)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1 No.1

        이 논문은 터라는 한국적인 장소 개념을 사용하여 공간과 장소의 특성을 규정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개인이 현대사회의 중요한 터인 도시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방식과 변화의 가능성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무엇보다 터에 대한 연구가 공동체와 개인, 다양한 문화와 개인의 정체성, 그리고 타인과의 공존과 개인의 일상성에 대한 인문학적 질문과 밀 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터와 인간의 관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터에 새롭게 무늬를 새기는 작업의 의미와 중요성 그리고 그 필요성을 강조하려고하며, 이런 작업을 하는 도시 공동체의 구성원들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특히, 도시의 여성은 노동, 쇼핑, 거닐기 등의 일상 활동을 통해 자신의 장소 속에서 다양한 만남을 이루고 있으며 터를 만들고 있다. 이 논문의 목표는 여성들의 활동을 통해 유지되는 도시의 일상적 삶이 도시문화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중요한 단초이며, 이를 통해 터의 무늬를 주체적으로 새기고 있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그 과정 속에서 도시라는 터는 고착된 것이 아니라 역동적 으로 움직이고 있는 과정으로 존재하며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This study looks at TeoMuni, or Teo, a Korean concept of place. First, it defines the concept, analyzing differences as well as connections between space and place and explores the potentiality of the city, a crucial place for modern people building their identities. Second, it considers the study of Teo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cusing on how to carve people’s interest in space and how to influence their everyday life in a specific place, inquiring into questions of the humanities, such as how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individual, how to acquire identi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how to coexist with the other.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members participating in carving new designs in the city. It stresses the role of women as performers who greatly impact on city life, working, shopping, and walking in the street. Such everyday activities continually expose otherwise unknown cultures and places and provide new perspectives on the city.

      • KCI등재후보

        화신 관념을 통해 본 郭象의 성인관

        오일훈(Oh, Il-Hoon)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7 No.1

        본 논문의 목적은 西晉 시기 『장자』주석가이자 관료였던 郭象의 성인관에 보이는 화신 관념의 흔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그의 성인관의 성격과 특징을 고찰해 보는 데에 있다. 초월적 존재가 중생구제를 위해서 肉化하여 지상에 강림한다는 의미의 화신은 여러 종교적 전통들 속에 상당히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관념으로 크게 두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나는 모든 존재와 현상의 원인으로서의 초월적 존재를 상정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초월적 존재의 지상강림은 중생구제라는 목적지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화신은 道敎와 佛敎 문헌을 제외하고 중국의 전통적 문헌에서는 살펴보기 힘든 관념이다. 하지만 ‘迹’과 ‘所以迹’의 개념을 통해 성인을 여행자(遊者)에 비유하고 역사적 흐름 속에서 변화하여 지상에 현신하는 존재로 상정하는 곽상의 성인관을 통해서 화신 관념과의 유사성을 확인하게 된다. 곽상의 성인은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여 나타난다는 점에서 화신 관념과 형식적인 동일성이 있으나, 그 성격과 특징에 있어서는 대조적이다. 우선, 곽상의 성인은 초월적 존재가 아니다. 곽상은 조물자의 존재를 거부하고 有爲의 영역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는데, 그의 사상 체계 속에서 만물은 그 생성과 존재에 있어서 자발적으로 작용하는 ‘自然之理’를 따르며, 모든 존재와 현상의 원인자는 物 그 자체이다. 둘째, 화신으로서의 성인은 목적지향성을 지니지 않는다. 다른 종교적 전통에서 초월자의 지상강림은 중생구제라는 목적을 지닌 반면, 곽상에게 있어 성인은 만물이 자신의 性에 맞게 자연성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 존재일 뿐이다. 곽상의 성인관은 기존의 유가와 도가의 성인관과는 분명 다른 것으로, 儒·道의 조화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고자 했던 의도에서 비롯되었는데, 이후 格義佛敎의 시대에 儒·佛의 조화를 기도하면서, 부처를 유가적 성인과 동일시했던 불교도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Guo Xiang’s view of the Sage through the notion of 化身. The notion of 化身 which means the descent of a deity to the earth in a flesh form is a common concept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Avatāra in Hindu tradition, incarnation in Christian tradition, and Nirmāṇakāya in Buddhist tradition are all terms that represent this notion. These terms have two main characteristics in a broad sense. One is to presume the God as the first Cause of all beings and phenomena. The other is that the descent of a deity through the embodiment is a purpose- oriented behavior of Gods, which means the Salvation or enlightment for all peopl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idea of 化身 in Chinese traditional texts except for Taoist and Buddhist Texts. But we are able to find out the similarity to the idea of 化身 which is seen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through Guo Xiang’s view of the Sage in his Zhuangzi-commentary, which tries to compare the Sage to a traveler and interpret it as a earthly existence in the course of history. Formally, Guo Xiang’ view of the Sage is identified with the idea of 化身 in other religious tradition. However, they differ in their characters and features. First, the Sage in the Zhuangzi-commentary of Guo Xiang is not a God of the first Cause for all beings and phenomena. In the Guo Xiang’s philosophical system, all beings follow the law of nature in a spontaneous manner and are content with their nature. Second, the Sage in the Zhuangzi-commentary of Guo Xiang is not purpose-oriented like Gods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While the descent of God to the earth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is aimed at the Salvation or enlightment for all people, the Sage of Guo Xiang rejects absolutely any artificial and unnatural behaviors. Meanwhile, by means of the study on Guo Xiang’s view of the Sage, we could assure that Guo Xiang tried to harmonize Confucianism and Daoism.

      • 『제로 K』: 포스트휴먼 오디세이

        차현숙(Hyunsook Cha)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1 No.1

        모더니즘이 그러하였고, 포스트모더니즘이 그러하였듯, 한 시대의 종말과 새로운 시대의 개벽은 단절과 불연속성의 터전위에 싹을 틔우지 않는다. 시대의 양기 뒤로 그늘이 드리우고 그 음지에는 축축함과 어둠이 생명을 배태한다. 질주마(疾走馬)와 같은 과학기술과 코기토의 주체가 지구행성을 휘젓고 난도질함은 분명 우리 시대의 위기이지만, 이 잔인한 파괴행위는 또한 인간과 인간-아닌 것, 인간과 기계의 공존에 대한 아포리아 역시 흩뿌린다. 대표적인 포스트휴먼 철학자 로지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는 전통적 휴머니즘 이후 포스트휴먼 곤경을 우리와 지구행성 거주자의 기본적인 공통 참조 단위로 인지하고 생각의 패러다임을 질적으로 전환시킬 것을 촉구한다. 현재와 단절된 새로운 주체의식의 비전이 아닌 현재를 긍정하며 곤경 속에서 만개하는 주체의식에 대한 요구이다. 개인을 둘러싼 소비주의, 소음, 이미지, 군중, 테러, 죽음공포, 기계 등의 현실 조건은 물리치고 제거해야 하는 대상이 아닌 함께 공존하여야 할 우리의 포스트휴먼 조건인 셈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현대의 조건을 통찰하면서도 결코 유리시키지 않는 돈 들릴로(Don DeLillo)의 작품들은 포스트휴먼 문학으로 정의 내리는데 손색이 없을 것이다. 그는 인간-아닌 것에 대해 끊임없이 ‘매혹’당하며, 비인간과 상호작용하는 대중의 이주 경로를 면밀히 그려나간 다. 특히 『제로 K』: (Zero K)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가속화 되는 과학기술과 이에 반응하는 인간의 포스트휴먼 여정을 진지한 함의를 담아 풀어내고 있다. 신적 영역으로 간주되는 ‘죽음’사건까지도 소유하려는 욕망의 기술-냉동보존술, 그리고 서술자 제프리(Jeffery)가 이로 인해 마주치는 사건들은 포스트모던 시대에 인간과 기술, 더 나아가 인간-아닌 것 전영역과의 새로운 관계 설정에 여러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제프리의 여정을 통해 포스트모던 위기를 긍정하면서도 모든 존재자간의 지구 행성적 차원의 공생관계를 모색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ading of Zero K as posthuman literature. Rosi Braidotti, a posthuman philosopher, argues that the modern should be recognized as the posthuman predicament and thus that the new subjectivity embracing the modern crisis should be established. This subjectivity means to seek the likelihood of co-existence between the human and the non-human, reducing the power of overextended anthropocentricism. Furthermore, it is a positive thought that relates persistently to the present and that considers even unavoidable disasters to be company. That is, the present conditions such as consumerism, noise, image, crowd, terror, fear of death, technology and so on(all the non-humans) are not objects to be removed but a fellow to co-exist with in this posthuman era. In this sense, the novels by Don DeLillo that not only have an insight on the modern crisis but do not detach this crisis from reality can be defined as posthuman literature. DeLillo has continually been attracted by non-humans and closely traces the path of the transition of the crowd interacting with non-humans. In particular, in Zero K DeLillo depicts seriously a journey of the posthuman responding to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us presents the reader with the chance that the uncanny become the familiar through Jeffery s experiences. Following Jeffery s Odyssey, therefore, will bring us a meaningful change in the way that we understand non􋹲humans and accompany them.

      • KCI등재후보

        똥의 사회 가치 평가에 대한 시론적 연구

        김민정(Kim, Min-Jung)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9 횡단인문학 Vol.4 No.1

        이 논문은 똥에 부여한 사회 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비비(BeeVi)화장실 체계 구축을 통한 똥의 사회 가치에 관한 이상형을 제안한다. 화폐 측정의 유무 여부에 따른 똥의 사회 가치 유형을 동질형, 모방형, 이질형, 고립형 등의 네 가지로 도출한다. 이와 같은 유형화는 이상형이지만, 현대 사회에서 자연 및 똥에 대한 이해를 현실적으로 파악 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똥본위화폐제도를 도입하고 확대하기 위해서 사회 시스템의 재구축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현행 수세식 화장실에 기초한 현재 기술체계가 직면한 역돌출부의 예로는 똥의 처리에 있어서 물질대사 균열이라는 환경 문제를 꼽을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비비화장실에 토대를 둔 사회기술체계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기존 사회기술체계 전환에서 탈상품화, 사회계층화, 환경 불평등 등의 기준은 이행 과정을 성찰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factors that affect the social value given to feces and attempts to idealize the social value of fec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BeeVi-toilet system. The social value types of fec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r absence of monetary measures are derived in four categories: homogenous, imitative, heterozygous and isolated. Although this ideal type is a conceptual pure form, it is an attempt to understand realistically the understanding of feces in modern society. Based on these attempts, rebuilding the social system is an essential element in order to introduce and expand the dung feces standard money system. A typical example of reverse salients, which is based on the current flush toilet-based technology, is the major environmental problem of material metabolism rift in the treatment of feces. As a solution to these serious problems, social- technological systems based on BeeVi-toilet can be actively reviewed. The criteria for de-commodification, social stratification and environmental inequality in the transition of the existing social technology system will be indicators to reflect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 KCI등재후보

        북한 조선어학의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하여: 『사회과학원학보』와 『조선어문』을 중심으로

        김주성(Gim, Joo-Sung)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2 No.1

        이 글은 북한의 『사회과학원학보』와 『조선어문』에 나타난 조선어학의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남북 한국어학-조선어학 분야 교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주제와 연구자등의 정보를 정리한다. 본고에서는 남북의 언어학이 상호보완적 입장에서 상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관점을 토대로, 우선 남한 한국어학계가 북한의 언어사상리론 분야를 적극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상대를 설득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남한 어미류의 단어 지위 인정 문제 및 시점과 관련하여 남북 언어학 교류가 그러한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며, 북한 조선어학의 분야 중 발전 가능성이 예상되는 외국인을 위한 조선어교육 영역에 남한의 견인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밖에도 남북이 함께 논의할 만한 언어학의 주제들을 보임으로써 앞으로의 남북 언어 통합 정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latest research trends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North Korean “Gazette of the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Joson Omun (Korean linguistics)”, and summarizes the topics and researchers information needed to prepare for inter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linguistics. In this paper, based on the viewpoint that the linguistics of the south and the north should be mutually complementary, it is suggested that South Korean linguistics should persuade their opponents by actively understanding the field of linguistic ideology in North Korea. In addition, the exchange of linguistics between the two Koreas will provide a momentum to recognize the ending as a word. And South Korea should support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expected to develop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linguistics. Also I tried to help the future of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integration policy by showing the subjects of linguistics which the two Koreas can discuss together.

      • KCI등재후보

        마이너리티연구에 있어서의 당사자성 문제: 한센병문학 연구를 중심으로

        이지형(Lee, Jee-Hyung)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9 횡단인문학 Vol.4 No.1

        본 논문은 마이너리티연구에 있어서의 당사자성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마이너리티 당사자가 아니면 마이너리티연구는 수행할 수 없는지, 비당사자가 마이너리티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한센병문학의 당사자성에 주목하였다. 비당사자의 마이너리티연구는 마이너리티 당사자의 소외 및 차별 경험을 공유할 수없다는 점에서 의문시되곤 했다. 하지만 비당사자의 마이너리티연구를 의문시하는 시선의 이면에는 마이너리티에 대한 혐오・소외의 멘탈리티가 잠재돼 있다. 당사자성 내부에도 차이와 균열은 존재하며, 당사자와 비당사자의 관계성의 차이가 마이너리티연구의 지 평을 확장할 수도 있다. 비당사자가 마이너리티문제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당사자와 친밀권이 형성되어야 한다. 비당사자의 공감과 당사자의 수용이 그 전제 조건이다. 다만 비당사자의 당사자에 대한 적극적인 공감 노력은 중요하지만, 안이한 공감의 시도가 당사자의 상처를 가중시키는 폭력성을 띨 우려 또한 간과할 수 없다. 그렇기에 양자 사이에 절대 메워질 수 없는 틈새, 즉 공약불가능성을 인정하면서 비당사자의 상처를 나누고자 하는 윤리적 실천이야말로 실로 중요하다. 경계 넘기는 당사자와 비당사자 모두에게 난제이지만 마이너리티 문제의 가시화를 위해선 포기할 수 없는 과제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n the involved party’ stance on minority research. This paper examined whether it is not possible to conduct a minority study unless it is a minority party, and what are the conditions for a non-party to conduct a minority study.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involved party’ stance on leprosy literature. Minority studies of non-parties have been questioned in that they cannot share experiences of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of minority parties. However, there is a potential for hate and alienation of minority behind the eyes that question the non-party s research on minority. Differences and cracks exist within the involved party’ stance, an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and the non-parties may expand the horizon of minority research. In order for non-parties to intervene in minority matters, intimatesphere with the parties must be established. The precondition is empathy from non-parties and acceptance of the parties. However, while active empathy for non-parties is important, it is important not to overlook the concern that easy attempts to empathize may cause violence. Therefore, the ethical practice of sharing the wounds of non-parties while acknowledging a gap that cannot be filled between the two is truly important. Boundary crossing is a challenge for both parties and non-parties, but it is a task that cannot be abandoned for the visualization of minority issues.

      • KCI등재후보

        The Poetry about Isolation and the Sanatorium : Resisting Hatred toward People in Sickness

        사카사이 아키토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2022 횡단인문학 Vol.12 No.1

        This paper considers the issue of isolating people in sickness by referring to an ideological view over disabilities that is presented by the offender of the Sagamihara care center massacre in 2016 and criticisms from researchers toward such a view. To build my own discussion, I will refer to the literary work by residents of a Hansen’s disease care center, who are also zainichi Koreans(resident Koreans in Japan) who had to remain in the care center even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Empire after the end of World WarII. The literary activities of two figures, Kim Ha-il and Koyama Sueko, are targets of literary analysis in this paper. I will trace a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ir self-identifi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of isolation through creating tanka(Japanese poetry) and poetry. I will especially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own bodies and languages and how they understand their surrounding discrimination that were structured through the modern history of Japan. This paper discusses not only the internal psychological world of the two poet/poetess but also how their expressions were inevitably tangled with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were forced to stay against their will by the government eugenic policies and societal prejudices. A goal of this paper is to get a clue from such an experience of isolation to reflect on hatred in the age of the pandemic. 본고에서는 2016년에 발생한 사가미하라 장애인 시설 살상 사건에서 범인이 드러낸 ‘장애’관과 그러한 관점이 연구자들에 경종을 울린 것을 계기로 하여 ‘병자’를 ‘격리’하는 것에 대해 고찰한다. 이때 참조하는 것이 일본제국주의 붕괴 후에도 일본에 남을 수밖에 없던 재일조선인 한센병자의 문학작품이다. 본고에서는 김하일(金夏日), 가야마 스에코 (香山末子)라는두사람의문학적영위를분석대상으로삼아그들이노래/시 짓는행위 를 통해 재구축하는 자기인식과, ‘격리’라는 상황에 대한 이해방법을 더듬어본다. 특히 식민지조선 출신인 한센병요양소의 입소자가 교차성(intersectionality)을 가진 구조적차 별 속에서 자신의 신체와 언어의 관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그리고 자신의 ‘삶의 장소(居 場所)’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살펴본다. 본고가 그러한 문학표현을 통해서 도출한 것은 병자 개인의 내적인 정신세계만이 아닌, 병자 스스로가 자신의 표현을 획득해가는 과정 으로, 그것은 자신이 놓인 환경이 어떻게 구축된 것인지를 이해하는 과정과 불가분의 관 계가 있다는 점이다. 거기에서 그려지는 ‘격리’라는 현실을 통해 ‘팬데믹 시대의 혐오’에 대해 생각할 실마리를 얻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KCI등재후보

        <기생충(寄生蟲)>에 나타난 음식(飮食)의 위계(位階)와 그 격차에 관한 연구 : 음식 문화를 통해 살펴본 사회적 지위와 위상 변화의 욕망 구도를 중심으로

        김남석(Kim, Nam-Seok)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7 No.1

        <기생충>은 음식(먹이) 문화의 관점에서, 새로운 탐색을 시도하고 그 의미를 재음미하기에 적합한 작품이다. 먹이의 공여(供與)를 둘러싼 기생(寄生) 관계를 전면으로 다룬 작품답게, <기생충>에는 음식과 관련된 장면, 사건, 비유, 상징, 그리고 극작 의도가 비중 있게 농축되어 있다. 일단 <기생충>에서 가난한 기택 일가의 삶과 부유한 박 사장의 처지는, 먹고 마시는 음식으로 가시적으로 대비되고 있다. 기택 일가가 한 잔의 소주와 저가 맥주와 조촐한 환대와 가족 모임에 익숙한 가족이라면, 박 사장 가족은 고가의 양주와 귀한 생수가 가득하고 부르면 달려오는 사람들과 화려한 파티가 가능한 재력가이다. 은밀한 취직을 통해 박사장 집을 점령하여 그 부를 나눌 수 있다고 믿었던 기택 일가는 고가의 음식을 게걸스럽게 먹고 마시면서, 하나의 꿈을 상정한다. 자신들이 기생 생물로서 상대의 부(먹이)를 공유할 수 있다는 꿈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 부푼 꿈은 헛된 꿈으로 그치고 만다. 그 결과 기택 가족은 흩어졌고, 박 사장 가족은 무너졌다. 민혁에 대한 기우의 조촐한 환대가 결국 살인의 파티로 끝나는 결말은, 음식 쟁탈전이 초래한 비극적 생존 현장을 증언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Parasite is a film suitable for attempting new exploration and re-examining its meaning from the viewpoint of food (feeding) culture. As a work that deals with the parasitic relationship surrounding the donation of food to the front, Parasite concentrates scenes, events, metaphors, symbols, and playwriting related to food. First of all, the life of the poor ‘Gitaek family’ and the situation of the wealthy ‘Pak Tongik(Architect Pak)’ in Parasite are visually contrasted with the food they eat and drink. If the ‘Gitaek family’ is a family accustomed to soju and low-priced beer, simple hospitality and family gatherings, the ‘Pak Tongik family’ is a wealthy man who is full of expensive liquor and precious bottled water and is a wealthy man who is able to party with rushing people just by calling. The ‘Gitaek family’ who believed that they could share the wealth of the ‘Pak Tongik family’ by secretly occupying the house of the ‘Pak Tongik family’ through secret employment, dreams of a grandeur while eating and drinking expensive food. owever, this grand dream ends in vain. As a result, the ‘Gitaek family’ scattered, and the ‘Pak Tongik family’ collapsed. The simple hospitality ends in a murder party, and the mission is to testify to the tragic survival scene caused by the food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