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교교육정책 변화에 따른 교육연구 방향: 국책연구소와 시도교육정책연구소를 중심으로

        장경숙,이병천,정은주,임은영,김영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9 교육발전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educational research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accordance with the new government 's educational reform policy focusing on local education autonomy.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educational research outcomes of a government-funde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GFERI) and the research institutes affiliated to local offices of education(LOERI).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reports by LOERI and GFERI was done with a total of 683 research reports published by 13 region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and 1,023 reports published by the GFERI. The published repor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category, theme, school level, research type, and research focus. Classification by publication year shows that the number of research reports decreased in GFERI while LOERI increased the number of research reports. It is also revealed that there is a big gap among the LOERIs; while the least number of studies are 4 research repor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are 151. 317 out of 1,023 reports by GFERI wer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field; 296 reports were in the field of curriculum and textbook, and 262 reports were studies on assessment. 437 cases out of a total of 683 research reports by the regional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were categorized as ‘local research issues’. The comparison between the LOERI and GFERI shows that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lies in local issues, and one common area is learning and teaching improvement. It implies that loc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has conducted research on various regional areas(regional school policy, school administration, local educational policy etc.) to meet various local needs, while the GFERI has done educational research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with focus on curriculum, evalu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chool level classification, the studies dealing with al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utnumber the other types of research. It is found that local research institutes did more studies at the kindergarten level than GFERI. In the comparison according to regional specificity, it is found that GFERI focuses on policies and educational issues at the central level, while the LOERI conducted studies on region-focused issues. The scope of GFERI research goes beyond the domestic to the global level. While the staff member of GFERI were conducted studies,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joined research as external co-researchers in the region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According to the new government’s local education autonomy policy, LOERIs are expected to carry out autonomous, more practical and field-based policy research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Recently, a network of regional education policy research institutes has recently been established to carry out joint research among region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individual research institutes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r local constraints. It is necessary for GFERI as a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to carry out studies with local research institutes to meet needs from local areas across the country. Efforts needs to be made to seek effective ways of doing research in collaboration from selecting research topics, and collecting data and analyzing to proposing educational policies. A consultation body can be established to enhance collaboration among institutes. Such collaboration is expected to support and bring about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new educational policy with focus on local education autonomy.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교실혁명과 교육자치를 통한 교육개혁 정책에 따른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의 연구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과 시도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수행된 연구의 비교 분석을 위해 한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과 13개 시도교육정책연구소에서 최근 5년간 발간된 연구 보고서를 발행 연도, 연구 영역, 주제, 세부영역, 학교급, 위탁여부, 지역특수성, 수행 형태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두 기관의 설립 목적과 특징에 따라 수행 연구 영역, 주제, 범위, 형태, 방식 등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지방 교육자치 정책에 따라 시도교육청의 교육정책연구소에서는 자율적이고 보다 실천적이며, 지역성과 현장성이 강한 정책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각 지역 연구소의 위상과 제도적 여건에서 차이가 있어 정책연구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 간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중앙 차원에서 연구가 수행되는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은 전국교육청 정책연구네트워크와 협의체를 구축하여 공동연구를 추진한다면 지역교육청과 학교 현장의 자료 수집 및 현장 접근성이 높아지고, 현장성이 강한 교육 연구 수행이 가능하게 되며, 현장의 참여와 피드백이 활성화되어 실질적이고 지역별 실정에 부합되는 교육 정책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학 생활관교육을 통한 예비교사 인성교육 방안

        김국현(Kim Kuk Hyeo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8 교육발전 Vol.38 No.2

        경험을 통한 학습과 경험을 성찰하는 학습이 교육의 패러다임으로 점차 중시되고 현실을 고려할 때 대학 인성교육은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의 과정, 특히 일상생활 공간에서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인성과 도덕성을 발달시키는 교육환경을 형성해야 한다. 특히 예비교사는 개인의 행복과 공동체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을 발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교원양성대학의 인성교육은 전공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교양교육을 통한 인성교육과 함께 생활관교육과 같은 공동체 생활 프로그램을 통해 공감과 역할채택 능력을 함양하는 체계적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교수와의 심층 대화와 상담, 지역사회 봉사학습을 강화한 생활관교육 프로그램의 체계화와 필요하다. This paper discusse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of Teacher College. Considering new educational paradigm that emphasizes learning to reflect on learning through experience and experience itself, it is important to desig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f Teachers college based on community life of dormitory where pre-service teachers live and learn through life with others. It can be said that cor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who effectively develop the character of their students is morality. Morality is composed of moral sensitivity, judgment, motivation, performance or character. It was found that dormitory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moral sensi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future, more scientific empirical studies need to be activated.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의 빛 단원 구성에 대한 과학교육 심화과정 예비교사의 이해도 조사

        이세연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2 No.1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the course composition regarding the light targeting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 advanced science education course. The study involves 59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 advanced science education course and 65 ones in advanced computer and art education in the control group. It conducted a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that should be taught” and “why we should identify the qualities of light and light” in the course of 4th graders’ “shadow and mirror” and 6th graders’ “light and lens”.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light unit compos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the pre-service teachers in advanced science education course showed better understanding in terms of the nature of light compared to those in advanced computer education and art education. However, all three groups showed a very low level of understanding regarding why the light unit compostions are differenciated between the 4th graders and the 6th graders in terms of thier cognitive developmmetal stages. Also, all three groups showed littl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misconception types in straightness, reflection, and refr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how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advanced science education course understand the university’s “light unit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need to strengthen the curriculum inspection and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the advancement of pedagological content knowledge in curriculum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 3학년을 대상으로 4학년 ‘그림자와 거울’ 단원과 6학년 ‘빛과 렌즈’ 단원에서 각각 지도해야 하는 빛의 성질과 학년별로 빛의 성질을 구분하여 다루는 이유를 조사하여 과학교육 심화과정 예비교사들의 빛 단원 구성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과학교육 심화과정 예비교사 59명과 컴퓨터교육, 미술교육 심화과정 예비교사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교육 심화과정 예비교사들의 빛 단원 구성에 대한 이해 중 빛의 성질과 관련해서는 컴퓨터교육 및 미술교육 심화과정 예비교사들보다 높은 이해도를 보였으나, 인지발달 단계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낮은 이해도를 보였다. 또한 세 심화과정 예비교사들이 갖는 빛의 직진, 반사, 굴절과 관련한 아동들의 오개념 유형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 과학교육 심화과정 예비교사들의 빛 단원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 제고와 교과 교육학 지식(PCK) 신장을 위한 교육대학교의 커리큘럼 점검 및 교수·학습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한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학생 선발 실태 및 운영 개선 방안

        한대희(Han Dae Hee)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8 교육발전 Vol.38 No.1

        본고는 최근 영재 교육에서 영재선발에서의 고려해야할 쟁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2015학년을 기준으로 전국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선발 제도를 수집 분석하여 하였고, 관찰 추천제 적용의 현실적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해 청주교육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관찰 평가 사례를 살펴보았다. 지필평가와 관찰평가가 서로 상보적으로 기능할 때 좀 더 타당한 영재선발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청주교육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행하고 있는 보조 교사제, 관찰 기록 방법 및 학생 DB 등이 관찰평가를 의미 있게 실행하는데 필요한 실천적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of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Gifted Student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ies in Korea. Mainly the Identification Results by Clas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t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ver the last 16 years was analyzed. And some of the major issues associated with the science-gifted education was discussed.

      • LEHRERFORTBILDUNG IN DEUTSCHLAND

        Schroedter 西原大學校 敎育硏究所 1988 師道文化 Vol.5 No.-

        교육제도의 확산과 교육기관의 민주화와 더불어 2차 대전후 독일의 학교는 커다란 전환을 가져왔다. 독일 교육제도의 특수성은 근본적으로 독일국가의 연방적 구조에 근거하는 것이다. 지역화, 분권화는 문화적 다원주의 외에도 무엇보다 11개 주가교육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는 각기 스스로 담당하도록 만들었다. 연방정부의 문교부는 없다. 교사교육은 연방 전체적으로 교사 지원자들에게 대학교육을 마친수 1년 반동안 교생실습을 시키며 이것은 제2차 국가시험으로 종료된다. 독일의 교사 재교육은 한편으로는 교사들의 최대의 자율권(Grostmogliche Autonomie)과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가 정치적으로 인정한 교육지침(politisch regitimierter Bildungsauftrag)이라는 양극의 대립과정 속에 놓여있다. 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원은 새로운 과제설정을 강화하기 위하여 그들의 역할을 반영하고 사회적 발전과 학교문제(problemfelde schule)의 변화에 적응하려고 노력한다. 교사 재교육에 있어서 그 시작의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수년 전부터 독일의 모든 주에서 유사한 방향으로 발전되어가는 하나의 큰 줄기를 찾을 수 있다. 교사 재교육은 일차적으로는 국가의 과제이다. 장학관(hauptanliche padagoge)들이 있는 교사 재교육원은 주정부, 공무원 연맹, 노동조합, 대학의 대표자들로부터 조언을 받는다. 국립이 아닌 교육원이 이를 보완한다. 교사 재교육의 요체는 중앙차원에서 지역적 차원으로 학교내의 차원으로 이전되어 있다. 이러한 조직이전은, 교육현장에로의 접근을 통하여, 교사의 관심과 참가자들의 재교육 욕구가 교육진행 결정에 영향을 주게한다. 이러한 근본은 말하자면 교육 대상자 중심이라는 결과를 낳는다. 교사 재교육은 그동안 교사교육의 제3단계로 정의되었다. 교사 재교육은 두가지 목적방향을 가지고 있다. 1. 전문직 자질의 의미에서의 재교육(학문적 그리고 교육-교수법적) 2. "학교문제(Problemfeld Schule)"에 있어서 새로운 과제설정을 위한 교사의 준비 「교사 재교육은 학교를 변화시킨다」 「학교생활」 - 강조점은 「생활」이라는 단어에 있다 -은 학교가 존재하는 한 하나의 현상이다. 독일 교육제도의 민주화는 분명한 흔적을 남겼으며 현대적 환경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시킨다. 학교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생활공간이다. 그러므로 학교에는 새로운 의미가 주어지며 학교의 기능 또한 새롭게 규정되어야만 한다. 독일의 교사 재교육은 이에대해 이미 반응을 보여왔다. Mit der Expansion des Bildungswesens und der Demokratisierung der Bildungseinrichtungen hat die Schule in Deutschland nach dem Zweiten Weltkrieg einen groβen Wandel durchgemacht. Die Besonderheiten des deutschen Bildungswesens resultieren im wesentlichen aus der foderativen Struktur des deutschen Staates. Regionalisierung und Dezentralisierung bewirkten neben kulturellem Polyzentrismus vor allem auch, daβ die 11 Bundeslander selbst zustandig sind fur Bildungsangelegenheiten. Es gibt kein zentrales Erziehungsministerium. Zur LehrerAUSbildung gehort bundesweit eine eineinhalbjahrige padagogisch-praktische Ausbildung der Lehramtskandidaten nach Abschluβ des Studiums, die mit einem zweiten Staatsexamen abgeschlossen wird. Die LehrerFORTbildung in Deutschland befindet sich in einem Prozeβ geistiger Auseinandersetzung zwischen den zwei Polen GROSSTMOGLICHER AUTONOMIE des Lehrers einerseits und dem POLITISCH LEGITIMIERTEN BILDUNGSAUFTRAG DES STAATES andererseits. Die Institutionen der Lehrerfortbildung versuchen, ihr Rollenverstandnis zu reflektieren und der gesellschaftlichen Entwicklung und den Veranderungen des "Problemfeldes Schule" anzupassen, um die neuen Aufgabenstellungen zu bewaltigen. In der LEHRERFORTBILDUNG ist trotz der Vielfalt der Ansatze eine Systematik zu erkennen, die sich seit einigen Jahren in allen Bundeslandern in ahnliche Richtung entwickelt. Lehrerfortbildung ist in erster Linie Aufgabe des Staates. Lehrerfortbildungsinstitute mit hauptamtlichen Padagogen werden von Vertretern der Landesregierungen, des Beamtenbundes, der Gewerkschaften und von Hochschulvertretern beraten. Nichtstaatliche Institute erganzen das Bild. Ein Schwerpunkt der Lehrerfortbildung verlagerte sich von der ZENTRALEN auf die REGIONALE EBENE bis hin zur SCHULINTERNEN EBENE. Die Strukturverlagerung soll, durch Nahe zum Arbeitsplatz, LEHRERINTERESSEN und FORTBILDUNGSBEDURFNISSE DER BETEILIGTEN in die Lehrgangsgestaltung einflieβen lassen. Die Differenzierung erfolgt also adressatenbezogen. Lehrerfortbildung ist inzwischen als DRITTE PHASE DER LEHRERAUSBILDUNG definiert. Lehrerfortbildung hat also zwei Zielrichtungen: 1. Fortbildung im Sinne fachlicher Qualifikation )wissenschaftlich und padagogischdidaktisch) 2. Vorbereitung der Lehrer auf neue Aufgabenstellungen im "Problemfeld Schule". LEHRERFORTBILDUNG VERANDERT SCHULE. SCHULLEBEN -die Betonung liegt aut dem Wort LEBEN - ist ein Phanomen solange es Schulen gibt. Die Demokratisierung des deutschen Bildungswesens hat deutliche Spuren hinterlassen, und die moderne Umwelt wirft neue Probleme auf. Die Schule ist LESENSRAUM der Kinder und Jugendlichen; ihr fallt damit eine neue Bedeutung zu und sie muβ ihre Funktion neu bestimmen. Die Lehrerfortbildung in Deutschland hat darauf bereits reagiert.

      • KCI등재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정철민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2 No.2

        본 연구는 2020년 이후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인한 교육의 변화, 특히 우리나라 전문대학의 직업 교육에 가져온 변화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의 확산은 전 세계 모든 국가의 일상을 변화시켰다. 마스크 착용이 일상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교육활동에 있어 교사와 학생이 오지에서 만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기도 했다. 교육 분야에서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낯설음으로 인한 어려움,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상실, 인성교육의 부재 등 비대면 또는 원격 교육의 확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런 변화의 과정에서 우리는 교육목적으로서 잘 삶의 개념을 재음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교육 내용 또한 전통적인 교과의 경계선을 넘어설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교사의 역할 변화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증대는 피할 수 없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직업교육은 특정 기술이나 기능의 습득을 넘어 삶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것으로 관점을 전환하고 있다. The spread of COVID-19, which started in 2020, has changed the daily life of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Not only has worn a mask becomes a daily routine, but it has also become a situation where teachers and students have no choice but to meet in remote spaces for educational activities. In education, the proliferation of non-face-to-face or distance education has been a subject of concern, such as difficulties due to the unfamiliarity of unused technology, los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lack of character education. However, in the process of this change, we can reexamine the concept of life as an educational purpose,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for this will also transce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subjects. Also, a change in the role of a teacher or an increas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inevitable. In this context, vocational education is shifting its perspective from acquiring specific skills or skills to fostering the ability to view the whole of life.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will never go back to what it used to be.

      • 교육과정의 유형 분류

        이정복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敎育發展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new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curriculum patterns.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of the curriculum patterns in this study was the trend of educational thought that exerts influence on the curricula. When a certain trend of educational thought was the main stream. Various curricula reflected by that trend of educational thought were used. And when another trend of educational thought was the main stream. Various curricula reflected by the trend of educational thought were used. So, curriculum pattern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eriod of time. In this case, various curricula used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can be distinguished as follows: all the curricula used during a particular period of time can be called on the whole as ‘○○ centered’ curriculum (○○means the fact which was stressed by the trend of educational thought), and the various curricula used during that period of time can be called one by one as the name implies without the word ‘○○centered’.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of the curriculum patterns according to this distinction can be expressed as following: □□curriculum, △△ curriculum and so on were used during the period of the ○○ centered curriculum. This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curriculum patterns can diminish the problems which the existing classification method have.

      • KCI등재후보

        미래의 과학교육 핵심 역량에 대한 인식 연구

        홍준의(Hong, Juneuy)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0 No.4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미래의 핵심 역량과 미래의 교육 공간,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는 중부권 대학교의 사범대학 예비 과학교사 45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내용은 미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미래 학교 공간에 대한 인식, 미래 과학교육 환경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1세기 기능(21st century skills)에서 제시하고 있는 미래핵심역량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동의하는 정도는 90%의 동의율로 전반적으로 높은 동의율을 나타내고 있다. 21세기 기능의 세부 영역에 대해서는 학습과 혁신 영역에서는 4.6점(92%), 정보와 미디어 및 기술 소양 기능은 4.6(92%), 생활과 직업 기능은 4.5(90%)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교 환경은 안전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하고 미래 교육 환경을 구축하고 쾌적한 교육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래 학교 교육 공간 구축을 할때 인성 교육의 공간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다음으로 창의성을 위한 공간과 인권교육 공간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타났다. 셋째, 미래의 과학교육은 융합교육이 증가할 것이다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94%의 동의율을 나타냈다. 미래에 교사의 역할은 55.6%의 예비교사가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에 비해 11명, 24.4%는 줄어들 것, 9명, 20%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가까운 미래에 학급당 학생 수는 15명 내외가 적절하고, 지식 전달보다는 탐구 활동이 우선시 되며 개별화 학습이 일반화될 것으로 보고있었다. 미래의 과학 융합교육에는 AI, AR, VR 등의 기기를 많이 사용하게 될 것이며, 스마트폰이나 패드, 노트북 컴퓨터 등을 활용한 수업이 많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기기의 효용성과 학습에 있어서의 수준별 개인별 수업 전략이 일상화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측면과 시공간을 초월하는 교육형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을 이루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21st century skills and future educational spac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this study, 45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from the colledge of education participat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consisted of 21st century skills, recognition of future school space, and recognition of future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to which pre-service teachers agree on 21st century skills presented, which is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is 90%, showing a high overall consent rate. For the detailed areas of 21st century skills, the learning and innovation area scored 4.6 points (92%), the information, media and technical literacy skills were 4.6 (92%), and the life and career skills were 4.5 (90%). Second, the school environment indicated that safety should be secured firs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and to have comfortable educational facilities. 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an educational space for future schools, a response was found that a space for character education is needed first, followed by a space for creativity and a space for human rights education. Third, for the question that future science education will increase convergence education, a 94% consent rate was shown. In the future, 55.6%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role of teachers will increase. In comparison, 11 respondents, 24.4% said they would decrease, and 9 respondents, 20% said it would remain the same. In the near futur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will be around 15, and inquiry activities will take precedence over knowledge transfer, and individualized learning will be generalized. In the future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many devices such as AI, AR, and VR will be used, and it is expected that many classes will take place using smartphones, pads, and laptop computers. Most of the opinions that the use of digital devices will increase because there may be aspects of the effectiveness of devices and the form of education that transcends space and time and the aspect that individual class strategies for each level in learning will become commonplace.

      • KCI등재후보

        대학 교육서비스 환경과 학습동기 간의 상관관계 연구

        이양구(Lee, Yang-Gu),김원현(Kim, Won-Hyu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1 No.1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서비스 환경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권 소재 대학에 소속된 재학생 339명이다. 대학의 교육서비스 환경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과 교육서비스 환경을 이용하는 수요자들의 만족도 선택 결정의 인식에 따른 하위 요인들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대응일치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의 교육서비스 환경과 학습동기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의 교육서비스 환경을 이용하는 학생들의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개선이 필요한 부분(발전적 사회인 양성의 신뢰감, 대학의 복지 시설 충족, 대학의 약속이행, 교직원의 용모, 공지된 학사일정의 진행) 역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교육서비스의 전략적 운영과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ajor variables predicting the impact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on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39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located in the Chungbuk area.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on academic motivation, and the correspondenc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check the relationships with sub-factor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career selection and decision of the consumers who use the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and academic motivation. Second, as for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who were using the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it acted positively, overall; however, there were also parts that would need improvements (Trust in nurturing developmental members of society, satisfaction of university welfare facilities, the fulfillment of the university’s promises, the faculty members’ appearance, and progress of the announced academic schedule).

      • Industrialization and Educational Expansion in South Korea

        Lee, Kohn-Man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1990 敎育發展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학교교육 팽창의 배경과 원인을 분석하고 아울러 학교교육의 양적인 성장과정에서 야기된 문제점들을 논의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학교교육 팽창의 배경과 원인은 인간자본론, 근대화이론, 지위집단갈등이론과 창고이론들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그리고 문교통계, 노동통계, 경제통계들을 활용하여 한국에 있어서는 과연 어떠한 요인들이 학교교육의 성장에 영향을 미쳐 왔는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사회의 학교교육 팽창 과정에는 급속한 산업화에 따른 기술의 변동과 시회집단들의 지위경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음이 드러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술하면, 고등학교와 대학교육 성장의 초기과정에 있어서는 농업생산이 기반이었던 산업구조가 산업생산 중심으로 바뀌어 가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요청되는 기술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의 양적인 성장이 요구되었으며 또한 지속적인 산업화에 따른 취업구조의 변동과 직업의 전문화가 고학력 인력의 배출을 촉진한 원인이 되어왔다. 그러나 고등학교와 대학교육의 급속한 성장에는 보다 나은 사회적·직업적 지위를 획득하려는 사회집단들의 지위 경쟁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해 왔음이 밝혀졌다. 교육의 급속한 성장은 고학력 사회로의 이행을 가속화 시켰고 이에 따른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드러나게 되었다. 첫째, 직업수행에 요구되는 기술수준의 변화보다 빠르게 학력이 상승되어 인력의 과잉교육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인력수요를 넘어선 급속한 대학교육의 성장은 고학력 실업자를 양성하게 되어 고학력 실업자의 문제는 사회적 정치적 불안을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셋째, 고학력 실업자의 증가는 국가경제적으로는 인력과 재정의 낭비로서 경제성장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많다. 넷째, 학교교육의 양적성장에 수반된 학력상승 현상은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의 도시집중을 촉진시키는 원인이 되어왔다. 다섯째, 학력상승은 기존하는 사회계층을 고착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한 정책수립에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현재의 학력수준에 따른 임금격차는 과연 합리적인가 하는 점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다양화를 통해 적절한 진로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합입학 정원은 인력수요에 부합되는 수준으로 조정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교육의 가치를 지나치게 높이 평가하는 사회 ·문화적 풍토가 과연 올바른 것인가에 대한 의식전환 운동이 있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