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사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19

        논 문 요 약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교육과정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 사 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기범)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서울교육대학교와 중국 하남사범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양국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이 서로 참고할 만한 부분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과정 중에서 각 과목의 교육 목적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교과교육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문헌자료, 관련 서적, 인터넷 조사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학과의 설립배경과 발전 과정, 대학교의 기능 및 교과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한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동일한 틀에 넣고 분석한다. 셋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학교 교육과정 설치, 교과목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및 심화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정,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실습배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2학년부터 학기마다 교육실습을 실행하는 데 반에 중국은 4학년 2학기 때만 8주간에 교육실습을 실행한다. 하지만 중국은 수습 기간을 필수로 하며 한국은 교육실습을 대체로 한다. 이러한 점은 양국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중시하는 정도이다. 한국 대학교는 국악과정의 설치가 교육과정에서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대학교의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었다. 이와 비교할 때 중국 사범대학교의 민족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주요어: 교육대학교, 음악 교육 과정, 비교, 분석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박예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50703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박 예 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인공지능과학융합교육전공 ( 지도교수 문 성 환 ) 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초등학교 3·4학년 사회과 교육과정과 『학교에서 만나는 인공지 능 수업』 도서를 분석하여 디지털 시민성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고, 총 8회기 (12차시)로 구성된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 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디지털 시민성 향상 정도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디지털 시민성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소감 문을 통해 질적 데이터를 추가로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첫째, 2022 개정 초등학교 3·4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과 NE 교수법을 기반으 로 디지털 시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AI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은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는 체험과 문제 해결 활동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AI 기술을 활용해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사회적 이슈를 탐구하고 해결방안을 모 색하는 과정을 포함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적용 후 디지털 시민성의 다섯 가지 하위 영역 중 디지털 활 용, 디지털 안전 및 회복력, 디지털 정서지능, 디지털 창의성 및 혁신에서 유의미 한 향상이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정서지능과 창의성 및 혁신 영역에서 두드러진 향상이 관찰되었으며,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AI 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 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웠다. 셋째, 학생들은 디지털 윤리 의식과 기술 활용 능력을 향상시켰다. 프로그램 전후의 소감문 분석 결과, 학생들은 저작권 보호와 AI 기술의 윤리적 사용에 대 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디지털 도구와 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에 긍정적 인 태도를 보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AI교육 프로그램의 실효성 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기술과 융합한 시민성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연계한 AI 기반 프로그램의 개 발과 적용을 기대한다. 주요어: 인공지능교육, 노벨엔지니어링, 디지털 시민성, 초등학생 * 본 논문은 2024년 1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Novel Engineering (N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program for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fostering digital citizenship.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grades 3–4 and the book AI Lessons at School to extract content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Based on this analysis, an eight-session (12-class) educational program was designe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21 third-grade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assess improvements in digital citizenship.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tudents' digital citizenship test results, and qualitative data from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program's impact. First, an AI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digital citizenship was developed, grounded in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NE teaching methodology. The program was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experiential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It incorporated AI technologies to explore and address societal issues such as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s. Second,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four of the five subdomains of digital citizenship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digital literacy, digital safety and resilience, digital emotional intelligence, and digital creativity and innovation. Notably, there was a marked enhancement in digital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ity and innovation. Through the program, students developed an understanding of AI technologies and honed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using these technologies. Third, students demonstrated increased awareness of digital ethics and improved technology utilization skills. An analysis of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vealed heightened awareness of copyright protection and ethical use of AI technologies. Students also exhibit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creatively solving problems using digital tools and technologies. This study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AI education program in fostering digital citize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ighlighted the potential of integrating digital technology into citizenship education.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focus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I-based programs linked to diverse societal issues. keywords : AI Education, Novel Engineering, Digital Citizenship,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교육대학교 영어심화반 교육과정 비교연구 : 문화교육수업을 중심으로

        김나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정보와 통신의 발달로 세계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국제적으로 협력하거나 때로는 경쟁하며 살아가고 있다. 21세기를 넘어 앞으로 더욱 발달된 사회에서 살아가야 할 우리의 학습자들은 영어뿐만 아니라 대화 상대의 문화적 배경도 함께 이해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녀야 한다. 이에 여러 영어교육학자들은 영어교육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 문화교육이라 지적하였고, 영어교사의 자질로서 필수 요소 중의 하나가 문화에 대한 지식과 문화를 잘 가르칠 수 있는 교수능력이라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1997년 영어를 초등학교에서 처음 도입한 이래 여러 교육과정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 내의 문화교육의 입지를 넓히고 다져왔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문화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영어교육 현장에서의 제대로 된 문화교육 실시를 위해서는 영어교사에게 문화교육에 대한 지식과 교수방법에 대한 경험 제공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초등영어교사에게 문화교육에 대한 경험을 처음으로 제공하는 곳이 교원양성기관인 교육대학교이므로, 이곳에서 실시되는 영어심화반 교육과정을 통해 앞에서 제시한 문제점의 해결방향을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11개 교육대학교에서 실시되는 영어심화반 교육과정 중 문화교육관련 과목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문화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안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대학교의 영어심화반 문화교육관련 교육과정 구성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문헌조사 대상은 전국 11개 교육대학교 영어심화반 교육과정이다. 설문조사는 현직교사 50명, 예비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결과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1개 교육대학교육과정 분석과 2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11개 교육대학교 중 7개의 교대에서 문화교육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이는 예전 연구에 비해 개설 교대가 늘어난 상황이나, 시간에 흐름에 비해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대해 발맞추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운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교대에서 문화교육과 다른 과목과 혼합한 형태로 구성하고 있고 그 중, 3곳의 경우만 문화교육만을 단독으로 다루고 있었다. 셋째, 영어심화반 교육과정 내에 문화교육과목을 필수로 개설한 교대는 4곳에 불과했으며, 3곳의 교대에서는 10%에서 20%의 비율로 선택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었다. 넷째, 92.0%의 교사와 87.7%의 예비교사가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비해 실제로 문화교육이 실행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영어교사가 문화교육 실시에 있어 교수․학습 방법 인식 부족과 제공되는 자료가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여섯째, 문화교육관련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나 연수에 대한 경험은 적어, 지도서 내의 내용확충과 온․오프라인에서의 문화교육관련 연수 기회의 확대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예비교사와 교사 두 집단 모두 교육대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문화교육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여덟째, 두 집단 모두 문화교육관련 교과목을 필수 또는 선택의 형태로 심화반에 상관없이 제공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주요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의 영어심화반 교육과정이 재조정되어야 한다. 현행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여전히 문화교육관련 과목이 없거나 선택교과로 취급되고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방향대로 문화교육의 장을 넓히려면 교원양성대학에서부터 문화교육의 기회가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원양성대학이 현장과 밀착된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영어심화반 학생과 일선 교사의 요구를 끊임없이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대학에서는 학생들과 일선 교사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통로를 마련하여야 한다.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은 떼어내어 생각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며, 영어교육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자는 영어의 기능적 습득 뿐 아니라 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정한 문화간 화자로 거듭날 수 있는 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의 경험에 관한 연구

        김문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A B S T R A C T A Study on Experiences of the Preparation Process Among Directors Working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by Kim, Mun Kyu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Lee, Yoon Hyung First-time director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oftentimes hav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various management skills and roles. Being fine directors is important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thus education or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help them with their difficulties. However, there are very limited resources for future directors or the preparation process for becoming a director. In particular, because of the issues raised by private child care centers in 2018, the needs for of strengthening publicity and transparency have been raised. As a result, the demand for fine directors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educators preparing for the director position will grow. Thu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in-depth process of preparation and support system that child care directors go through. In an effort to achieve the study’s objective,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depth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ix child care directors that had experiences with the preparation proces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in D-and S-Gu, Seoul. By examining various experiences that the directors had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figuring out what support system would be needed for future directors in the preparation process, the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directors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m to better perform their job and rol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1. What experiences did current directors have in the preparation process of becoming a director at a public child care centers? 2. What support system will be need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future director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nd summarized through coding, categorizing, and analyzing categories. As a result,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s: “experiences with the preparation process of a director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support system for future directors.” The conclusions indicated that current directors went through different preparation based on their own education philosophies in the preparation process, but they all needed to understand how budget works in the budgeting process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table and to figure out their discriminative features, local characteristics, and parent needs, reflecting them in a booklet. When preparing for the interview, they should make a PPT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the neighborhood they were applying for and focus on responding to questions based on their philosophy and professionalism within a limited time. Also, for the support system for future directors, they needed to carry out their jobs and roles as a director in each management domain, for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eadership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courage a deeper understanding and awareness in relation to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In addition, the procedures and processes including document review, interviews, and the development of committee members, needed to be a fairer selection process for future directors. Current directors insisted that there should be more support for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to hire quality administrators and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future directors. For education, there was a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system, such as systemized guidelines and modifying educational contents at a national level as opposed to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rough providing mandatory education. For administration, there was a need to improve child care in quality with the increased education budgets, more support for substitutes, a connection system in management during early transition, and enhancement of qualification criteria.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experiences in the preparation process among current director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a support system for future director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helped future directors’ preparation and successful appointment, current directors’ better performance, and further establishment of the selection process for public child care directors, and consequently contributed to establish support system with regards to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for future directors and their strengthened roles and qualities. Keywords : future director, public child care centers, preparation process, support system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June 2019. 논 문 요 약 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의 경험에 관한 연구 김 문 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윤 형) 현재 보육 현장에서 초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들은 다양한 운영 관리와 역할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원장 본연의 역할수행을 잘하는 것은 기관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그들이 겪는 어려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초기 교육이나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예비 원장을 조력해 줄 수 있는 기초자료나 원장 준비과정을 지원하는 제도적인 측면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2018년 하반기 사립 유아교육 기관 관련 문제로 인해 공공성과 투명성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현재 국공립어린이집 확대와 함께 원장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장을 준비하는 인원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원장 준비과정과 이들을 지원하는 제도에 대해 깊이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심사 준비과정 경험이 있는 서울특별시 D구와 S구 현직 원장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집단 면담을 실시 하였고 그들이 준비 과정에서 겪은 다양한 경험 및 예비 원장에게 필요한 지원체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예비 원장들의 준비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 및 원장으로서의 직무와 역할수행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게 되었다. 1. 현직 원장들이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되는 준비과정에서 겪은 경험은 어떠한가? 2.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에 있는 예비 원장에게 필요한 지원체계는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해 면담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범주화, 주제 분석 등을 통하여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 경험’과 ‘예비 원장 지원체계’에 대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현직 원장들은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되기 위한 심사 준비과정에서 본인의 교육철학에 따라 각기 다른 준비를 하였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원장 심사 기준표에 따라 예산 편성 시 예산의 흐름을 이해하고 배우는 과정과 운영계획서 작성 시 다른 사람과 차별화되는 부분, 지역적 특색, 학부모의 요구를 파악하여 책자에 다 녹여 내는 부분에 대해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면접 심사 준비를 위해서는 지원하는 구 특성 및 추진 방향을 파악하여 PPT를 제작하고 제한된 시간 안에 자신의 철학과 전문성을 갖고 적절히 답하는 부분에 중점을 두고 준비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 원장이 실제 원장으로서 역할수행에 도움이 될 기초 지원의 내용으로는 관리 영역별 원장의 직무와 역할, 조직문화에서 인간관계 형성 및 리더십 발휘, 국공립 기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공정한 원장 심의를 위해 필요한 절차와 과정을 서류 심사와 면접 심사, 심의 위원회 구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심사과정이 전반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원장들은 국공립 확충에 따른 질 높은 원장의 수요 충원을 위해 예비 원장들을 위한 교육에 관한 지원과 행정에 관한 지원이 동시에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교육에 관한 지원 측면에서는 예비 원장을 위한 교육이 정착되고 의무화될 수 있도록 지자체 차원보다 국가적 정책의 큰 테두리 안에서 체계화된 지침 마련 및 교육내용 보완 등의 교육지원 체계가 구축될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또한 행정에 관한 지원 측면에서는 교육에 대한 예산 투입과 대체 인력 지원, 초기 운영의 연계 시스템과 자격 기준 강화 제도가 마련되어 보육의 질적인 개선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원장 심사 준비과정 및 예비 원장들에게 필요한 지원체계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을 바탕으로 예비 원장의 성공적인 임용과 실제 원장으로서 역할 수행에 도움이 되고 더욱 활성화될 원장 준비과정의 공공성 기반 마련에 본 연구의 가치가 있으며, 예비 원장의 역량과 자질 강화에 필요한 교육과 행정에 관한 지원체계 방향 설정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주요어 : 예비 원장,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 원장 지원체계 * 본 논문은 2019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서울 지역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 실태 조사

        박성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pens up its possibilities at the national level after that the First Article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motion Acts was announced in public. It clearly states that Gifted and Talented young students should be given opportunity from their early stages to develop their potential ability with a view to achieving of self-realiz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a society. Now after the acts education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in a wide range of subjects. This thesis surveys the present state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troduced int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it also presents a guidance which enables improvements of present stat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music. In the first part of main chapters, general concept of giftedness is defined and the typical character of the gifted students is explained. The definition of giftedness is described differently by scholars and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and the attitude for value societies have been pursuing. The traditional concept referring the one having high intelligence and outstanding academical achievement has been varied and broadened as the development of societies which began to accept individual diversities. However, the giftedness has special qualities compared with the general ones in terms of intellectual capacity and affective domain. The second part deals the concept, the quality and the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the process of promoting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A musical prodigy called ‘the one who has a gift for music and needs the special education for developing acquired potential’ has common trait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instrumental aspect and motivational aspect which include the concept of music and general gift. In order to develop this giftedness, it is very important to support the music educational policies for talented and set up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erefore,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in elementary school has to be preceded for the improvement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Music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for elementary school are being held by various educational institutes. Some of them are initiated by governmental body such as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ffiliated institutions, while others, private institutions.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affiliated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includes Konkuk University, the National High School of Traditional Arts and elementary schools such as the Jamjeon, the Sangbong, and the Sinyoungsan elementary schools. The Institut for the Art Gifted and Talented, as affiliated institution t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another important one supported finantially by the Government. Others are Music Education Center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organised and promoted by private academes and institutions. During this study, some problems are found as follows; the number of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alented in Seoul is not sufficient; the distance between home and music institutions is not close for children who talented. From a financial point of view, there are not enough experts and financial supports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To conclude,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xpansion of number of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are required; need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lso requested; due to the fact that after-school music class for talented is currently run by the education office in-local which is deficient in accumulated facilities and skilled educators, it is hard to expect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be properly carried on.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substantial and realistic measures that higher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e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talented and educational authorities introduce the itinerant teacher system. 영재교육 진흥법은 제1조 목적에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조기에 발굴하여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국가사회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함으로써 국가적인 차원에서 영재교육의 지원 가능성을 열었다.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교육시책에 의해 다양한 분야에서 영재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음악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로 서울 지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악영재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다루었다. 먼저 영재에 대한 이해를 위해 영재성의 정의와 영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영재성의 정의는 그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달라지고 연구자마다 각기 다양한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즉 지능이 높거나 학문적 적성이 우수한 아동을 의미하였던 전통적 영재의 개념은 지능이나 학력 중심의 사회에서 개인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형태로 사회가 변화됨에 따라 다양화되었다. 그러나 영재에게는 지적, 정의적으로 일반과는 다른 특성이 있다. 다음으로 음악영재 교육의 내용과 추진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음악영재의 개념, 음악영재의 특성, 음악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음악영재란 ‘음악적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로서 음악적 재능과 일반적 재능을 포함한 도구적 측면과 동기적 측면의 하위 재능간의 조화를 이루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들의 영재성을 계발하기 위하여 음악영재 지원정책의 확립 및 기관의 설치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음악영재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서울 지역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은 크게 서울시교육청 산하 음악영재교육원 및 음악영재학급,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 민간 기관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서울시 교육청 산하 음악영재교육원으로는 건국대학교음악영재교육원, 음악영재학급으로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지정 전통예술고등학교 예능영재학급, 강동교육지원청 지역공동 잠전초 방과후 음악영재학급, 서울상봉초 방과후영재학급, 서울신용산초 음악영재학급이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으로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영재교육원이 있고, 민간 기관으로는 예술의 전당 음악영재 아카데미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서울 지역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음악영재교육 시행 기관이 매우 적게 파악되었다. 또한 거주지와 영재교육기관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 효율적인 운영에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재정적인 면에 있어서 필요한 예산의 확보에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음악영재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의 부족이 장애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음악영재교육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하여 요구되는 사항은 음악영재교육기관의 확대, 음악영재 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의 확보, 음악영재교육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등으로 요약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방과후 음악영재학급의 경우 교육청의 주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축적된 시설 및 인력이 부족하거나 전무하여 환경적으로 음악영재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서울 소재의 고등음악교육기관에서 음악영재 프로그램을 관리하거나 확대하고, 순회교사제를 도입하는 등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연구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 초등학교 수영교육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박하누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by grasping the operation condition of swimming education in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a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swimming education in the third grade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f the total 541 questionnaires collected, 493 items except duplicate questionnaires and questionnaires with low validity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x2 test was performed for some variables. The responses to the problems of swimming education were categorized and presented together with the questionnaire item analysis of the operation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he place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was relatively uniform except for the intramural swimming pool. It was found that the means of transportation for swimming education were frequently used in the order of walking, pool shuttle bus, chartered bus, and public transport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avel time (one - way) for swimm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could be a disruption in the operation of other curriculums. Regarding the condition of swimming education,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about 'swimming education place', 'traffic accident in swimming education', 'financial · administrative support'.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swimming classes were operated by the professional swimming instructor. In regard to swimming education teaching methods,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about ‘competence and attitude of professional swimming instructor ' and ' Number of students in swimming education ’. The number of annual hours of swimming education was about half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anual, and it was found that other curriculum hours were used for swimming education. In relation to swimming education hours,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with 'actual hours of swimming classes' and 'operation of other curriculum'. Survival swimming education did not meet the guideline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a whole in terms of frequency and implementation methods. And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hours and frequency' and 'survival swimming education program'. Second,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eacher 's perception of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rate of survival swimming ability. The teacher’s participation method in swimming class was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that the guidance from outside the water in the pool is appropriate. And it was founded that pool facility expansion is most needed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In this study, based on the operation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he improvement plans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Second, there should b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manual. Third, teachers' perception about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수영교육 운영의 실태를 파악하여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방안을 시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으로 3학년 수영교육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총 541부 중 중복 응답한 설문지와 타당도가 낮은 설문지를 제외한 493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 요소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일부 변인에 대해 x²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영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응답은 범주화하여 관련 실태의 설문 문항 분석과 함께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실태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장소는 본교 수영장을 제외한 다른 수영장의 비율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수영교육을 위한 이동수단은 도보, 수영장 셔틀버스, 전세버스, 대중교통 순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영교육을 위한 이동시간(편도)을 조사한 결과, 다른 과목 교육과정 운영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교육 여건과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수영교육 장소’, ‘수영장 이동 시 안전사고’, ‘재정적·행정적 지원’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초등학교 수영수업은 대부분 전문수영강사에 의해 수준별 수영수업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수영교육 지도방법과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전문수영강사의 역량 및 태도’와 ‘수영교육의 학생 수’에 대해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수영교육의 시수는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제시한 시수에 도달하지 못하는 비율이 절반 정도로 나타났으며, 실제 수영교육을 운영하면서 타 교과 시간이 수영교육에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교육 시수와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실제 수영수업의 시수’와 ‘타 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생존수영교육은 실시 횟수, 실시 방법 등 전반적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지침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생존수영교육 횟수 및 시간’,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방안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생존수영능력 함양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수업참여 방식은 수영장 내 물 밖에서 임장지도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사항으로 수영장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실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에 대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수영교육 지침의 개선이 있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개선되어야 한다.

      •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Development of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Program for Flow -A focus on Savina museum- Kang, Da Vin Major in Museum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Ryu. Jaman After COVID-19, many art galleries and museums developed exhibition experience programs using online space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non-face-to-face situations. In that exhibitions can be enjoyed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online exhibition programs were used as a way to replace the existing exhibition methods. The online exhibition space drew attention for being able to provide the same experience as what you actually saw without visiting the actual space, being able to view anytime, anywhere, and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visitors in real time. However, the online exhibition space was criticized for not sufficiently inducing visitors to immerse themselves in that there was a limit to feeling the aura and atmosphere of the field given by exhibits in the actual exhibition space. In addition, depending on age and individual ability, they may not fully enjoy online exhibition spaces due to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to manipulate smart devices.Since the online space is a virtual space, the fact that you can easily feel tired if you watch it for a long time is also a factor that hinders the flow of visitors and has limitation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viewing program by applying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of flow. In the flow theory organized by Csikszentmihalyi, a program that applies this was conceiv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three prerequisites necessary for flow: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4th graders of W Elementary School to check whether they experienced flow through flow scale tests, personal interview records, class recordings, and exhibition viewing appreci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whether learners could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online exhibition space to watch the exhibition, and what elements of the online exhibition viewing program helped flow.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struct an exhibition viewing program for flow, three prerequisites for flow must be included: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students said that the pre-learning of exhibition viewing based on three elements was very positive for the exhibition viewing. Giving clear goals every hour and setting individual exhibition viewing goals helped them to recognize what they had to do in their activities, which naturally helped them to flow themselves in their activities. In addition, students were able to check whether they were following the activities well with immediate feedback from teachers and questions within the activity sheet that they could look back on themselv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forming prior knowledge necessary for viewing the exhibition and learning how to manipulate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were very helpful in flowing themselves in viewing the exhibition. Second, as a result, 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experience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means that when an actor focuses on a task, he or she does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task. The students said that when they watched the exhibition, they did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contents of the work they were watching or their thoughts on the work, and they were only able to focus on the exhibition. In fact, none of the students did anything other than watching the exhibition during class. Thir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also experienced 'transformation of time'. Most people who experience flow experience a 'transformation of time', often referring to feeling so focused that they lost track of time. Students were surprised to hear the notification of the end of class, such as "Are you done already?" and "Why is the time so short?" the most common words in class. It proves that most students were flowed in this exhibition program. Four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had a 'autotelic experience'. Students started with a sense of duty that everyone should attend classes, but by the end of the program, they would rather try more enjoyed it for the purpose of viewing the exhibition itself, such as wanting to go to an art museum, and they felt like I wanted to experience it more. Although it was an online space, it is expected to be a good motivating factor for future museum visits through the positive experience of exhibition viewing.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been revealed that exhibition viewing programs using online exhibition spaces can sufficiently attract viewers' flow. It can be a very good substitute for those who cannot visit and see an actual art museum due to conditions. In particular, for students in rural areas, such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can give them a new flow experience and act as a motivating factor to visit the actual art museum. In addition, it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more people can enjoy various exhibitions if they can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works of famous overseas art museums through online exhibition spaces. keywords : online exhibition, virtual museum, museum program, flow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 지도교수 류재만 ) 분위기를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관람객의 몰입을 충분히 유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연령, 개인의 능력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역량의 차이로 인해 온라인 전시 공간을 충분히 즐기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온라인 공간은 가상공간이다 보니 오랜 시간 관람할 경우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도 관람객의 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몰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 을 적용하여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칙센트미 하이가 정리한 몰입 이론에서 몰입에 필요한 전제 조건 3가지(명확한 목표, 즉 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에 주목하여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구상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W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몰입을 경험 하였는지를 몰입 척도 검사, 개인 면담 기록, 수업 녹화 장면, 전시 관람 감상 문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온라인 전시 공간에 서도 충분히 몰입하여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지, 온라인 전시 관람 프로그램의 어떠한 요소가 몰입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몰입을 위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 ‘즉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 3가지 몰입의 전제 조건 요소를 포함 해야 한다. 학생들은 3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전시 관람 사전학습이 본 전시 관람에 매우 긍정적인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차시별로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개별적인 전시 관람 목표를 설정한 것이 활동에서 스스로 해야 할 일 을 인지하도록 도움을 주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몰입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학 생들은 프로그램 참여 중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과 스스로 돌아볼 수 있는 활 동지 내 질문들로 활동 내용을 잘 따라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 다. 더하여 본 전시 관람에 필요한 사전 지식을 형성하고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의 조작 방법을 익힌 내용이 본 전시 관람에 몰입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된 것 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 결과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대부분 ‘과제에 대한 집 중’을 경험하였다. ‘과제에 대한 집중’은 행위자가 어떠한 과제에 집중하게 되 면 과제 이외의 어떠한 생각도 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본 전시 를 관람할 때 관람하고 있는 작품의 내용이나 작품에 관한 생각 외에 다른 생각 은 하지 않았고 오직 전시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업 시간 중 전시 관람이 아닌 다른 행동을 하는 학생은 한 명도 찾아볼 수 없었다. 셋째,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시간 감각의 변형’도 경험하였 다. 몰입을 경험하는 사람 대부분은 ‘시간 감각의 변형’을 경험하게 되는데, 흔 히 너무 집중한 나머지 시간 가는 줄 몰랐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수업 중 가장 많이 했던 말이 “벌써 끝났어요?”, “왜 이렇게 시간이 짧아요?”와 같이 수업 시간 마무리 알림을 듣고 놀라는 표현들이었다. 학생 대부분이 본 전 시 프로그램에 몰입했다는 것을 방증한다. 넷째,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기 목 적적 경험’을 하였다. 학생들은 누구나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무감으로 처 음엔 시작했으나, 프로그램이 마무리될 즈음에는 오히려 더해보고 싶다거나 직 접 미술관에 가보고 싶다는 등 전시 관람 그 자체를 목적으로 즐겼고 또 더 경 험하고 싶은 마음을 느꼈다. 이는 비록 온라인 공간이었지만 전시 관람의 긍정 적인 경험을 통해 앞으로의 미술관 방문에도 좋은 동기 요인이 될 것이라 예상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전시 공간을 활용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도 충분히 관람자들의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여건 상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여 관람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대체재가 될 수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학생들에게는 이와 같은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 시 관람 프로그램이 새로운 몰입 경험을 안겨주어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게 되는 동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해외 유명 미술관의 작품들을 온라인 전시 공간을 통해 충분히 몰입하여 감상할 수 있다면 더 많은 사람이 다양한 전시를 향유할 수 있게 되므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주요어: 온라인 전시, 버추얼 미술관, 미술관 프로그램, 몰입 * 본 논문은 2023년 1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4학년 지역화 교과서 내용 및 구성에 대한 만족 실태

        김가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사회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역사회의 학습을 통하여 사회과가 의도하는 궁극적 목적을 기르기 위하여 개발된 지역화 교과서의 내용과 체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육현장에서 지도교사와 학생들이 느끼는 지역화 교과서의 만족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지역화 교과서의 지향점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이전의 사회과 교육이 지역 사회의 현실과 괴리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제5차 교육과정부터 지역화 학습이 도입되게 되었으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노력으로 지역화 교과서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지역화 교과서가 개발된 당초 취지는 지역화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의 재구성에 대한 노력과 부담을 해결하고, 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 지역화를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교육현장의 교사와 학생들은 대체로 지역화교과서가 보조교과서로서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며 보완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어, 지역화 교과서가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통해 내용과 구성을 다시 편성할 필요성이 지적되어왔다. 이에 본 논문은 6차와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목표와 내용체계를 분석하고, 7차 교육과정의 『서울의 생활』을 활용하고 있는 교사들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서 만족 실태를 설문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화 교과서의 개선점과 4학년 지역화 교과서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지역화 교과서 『서울의 생활』이 보완되고 지향해야 할 바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습 방법면에서 소집단 개별 학습 및 문제 해결·조사 탐구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지역화 수업에 많이 활용되는 탐구 학습, 학습문제 해결 등을 통한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교과서 내용이나 구성 자체가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둘째, 학습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학습량을 줄여야 할 것이다. 주요 학습 요소를 충분히 포함하면서도 간단한 교과서 구성으로 학습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게 구성되어야 한다. 사회과라는 교과 특성에 맞게 문장 서술 방식이 개념이나 원리를 중심으로 서술하면서도 학생들의 이해와 활용을 위해 쉬우면서도 부드러워야 하며 교과서 구성 또한 흥미를 끌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단원명이나 주제·제재명이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주제명과 제재명이 자료를 찾기에 쉽게 구성하여 활용자로 하여금 교과서를 보고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찾아내도록 유도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탐구하고자 하는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문장 서술방식에서도 문장들이 원리나 법칙을 발견할 수 있도록 주요 개념을 다루고 있어야 하며, 편지나 일기 같은 다양한 형식의 문장표현방식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흥미를 이끌어낼 수도 있어야 한다. 여섯째, 『서울의 생활』은 다양한 소재의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지역의 다양한 자료를 직접 체험하는 것이 학생들로 하여금 지역을 잘 이해하고 더불어 사회 현상을 파악하게 하는 방법이다. 사고력과 탐구력을 기르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볼 때 사진이나 도표, 삽화, 통계자료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하고 캐릭터나 만화 형식 같은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 내는 자료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지역화 교과서 개발 후 충분한 현장연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장에서 교과서의 개발취지를 이해하게 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실시하기 전에 충분한 연수를 실시하여야 하며, 또한 교과서 활용 지침서를 구체화하여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현장에서도 교과서에 대한 인식전환을 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모두 가르쳐야 하고 평가해야 한다는 교과서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학습자료로서의 구실을 하는 교과서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local textbook and propose the new conception of the local textbook through the survey of the teacher and students' satisfaction degree on the local textbook. As the criticism that social education is isolated from the real situation of local community appears, the localization study is introduced since the 5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local textbook has been written so far. The goal of local textbook development is to be a big help to run the localized curriculum actually through solving the problems and handling burden for the curriculum restructure of local studies. Students and teachers, however, felt that the local textbook is not enough to do its work as a supplementary book , and the textbook has been told to reorganize its contents and structures.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6th and 7th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surveyed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degree over the local textbook " the life of Seoul ". According to this analysis and survey, this study proposes the improvement points of local textbook and the upgrade of 4th grade local textbook. The enhancement points of local textbook " the life of Seoul " would be organized as followings: First, as far as study skills are concerned, group work, problem solving and project study should be used when students do their work. The contents and formation of textbook should be easy for students to understand easily when they do project and problem solving study. Second, the amount of study should be lessene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formation simple and the major study point should be included enough as well. Third, the textbook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development steps of students. The textbook should be easy and attractive and its explan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concept and basic rules. Fourth, the titles of lessons and subjects should be motivation-oriented. Those titles should be designed to wake the students up and make them to find their material easily as well as voluntarily. Fifth, in the ways of the description the explanation of textbook should include the principles and laws , dealing with the major concepts. Also, a lot of reporting method like letters and diary would be used to bring about the students' interest. Sixth, the life of Seoul requires the development of source in various ways.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local community and social phenomena very well by going through the various event of their community. Photos, graph, picture and statistical analysis should be introduced in several ways for growing up students' thinking power . Also, attractive materials like character and cartoon should be invented. Furthermore, the sufficient field training should be followed after the development of local textbook.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viewpoint of textbook in the field. Therefore the textbook isn't the bible of learning ,but the one of the study material. * A these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dn.

      • 어린이박물관 시니어 자원봉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서울상상나라를 중심으로

        김수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explores the future roles and satisfaction improvement of senior volunteers in children's museums, focusing on both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It examines the volunteer satisfaction of senior volunteers at 'Seoul Sangsangnara,' a children's museum oper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develops a capacity-building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ir roles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The study employs 'activity immersion' theory to analyz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rogram. The research involved 15 senior volunteers who participated in a combined theoretical and workshop-based training. The program aimed to expand their roles by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with the <!-- Not Allowed Tag Filtered --><Support Everyone> exhibition providing a framework for visitor interaction. Post-training interview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atisfaction, with interaction being a key factor. Volunteers reported that engaging with visitors and receiving positive feedback enhanced their sense of value and motivation.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1. Continuous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training programs to align with changing exhibits and visitor demographics. 2. Tailored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different group audiences, such as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3. Establishing a governance system for communication and sharing best practices among children's museums in Korea. 4. Training volunteers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 evolving characteristics of visitors and societal changes. Overall, continuous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is essential to professionalize senior volunteers and enrich the visitor experience in children's museums. 본 연구는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적배경과 박물관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어린이박물관 내에서 시니어자원봉사자가 앞으로 나가야 할 역할을 무엇인지, 자원봉사자의 개인의 입장과 기관의 입장에서 개선점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어린이박물관인 ‘서울상상나라’에서 활동하는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만족도를 분석하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그들의 역할확대를 위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교육프로그램 참여 후의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런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서울상상나라에서 활동하는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전면담을 통해 만족도를 분석한 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분석하고 이를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하고자 한다. 사전면담과 프로그램 이후 사후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동몰입’ 이론을 도구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총 15명의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고, 교육은 이론과 워크숍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중심내용은 기존 시니어 자원봉사자의 역량강화를 기반으로 한 역할확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서울상상나라 1층 기획전<모두를 응원해> 전시를 중심으로 관람객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공했다.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전시물을 대상으로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작성했다. 이를 토대로 전시장에서 관람객과 상호작용하는 활동을 직접 체험해보았다. 교육프로그램 이후, 만족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후면담을 진행했다. 교육프로그램 전보다 만족도가 많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주요 요인에는 ‘상호작용’이 큰 부분을 차지했다. 관람객과 상호작용을 하며 관람객들이 긍적적인 피드백을 주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통해 봉사활동의 가치성을 느꼈고, 이는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게 되는 지원동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시니어 자원봉사자들은 봉사활동에 대한 몰입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시니어 자원봉사자의 역할을 확대하며 성장시키기 위해 신규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전시가 바뀔 때마다 주제와 체험방식, 스토리텔링이 변경되니 이에 맞춰 시니어 자원봉사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주체적으로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두 번째, 단체관람객의 특성도 고려하여 소통 방향을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어린이박물관은 특성상 유치원, 어린이집, 초등학교에서 단체로 방문한다. 적용 가능한 특성들과 핵심 요소들을 활용하여 소통 방법을 함께 마련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국내의 다양한 어린이박물관 내 시니어 자원봉사자와 소통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유관기관의 사례들과 교육활동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필요한 점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네 번째, 사회에 따라 달라지는 관람객과 전시의 특성을 이해하고 함께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방문자의 특성이 변화하고 있다. 조손가정이나 다문화가정 등 가족의 구성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어린이박물관에서 활동하는 시니어 자원봉사자들도 이러한 특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이 시니어 자원봉사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사회변화, 기관의 특성에 따라 교육에 대한 내용도 변화하여 시니어자원봉사자들도 전문적인 역할로 나아갈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