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독교세계관과 기독교문학철학

        이용준 ( Yong Joon Lee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8 기독교철학연구 Vol.9 No.-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기독교문학철학이라는 분과 학문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필자는 기독교문학에 대한 기독교철학의 이론적 논의로서 기독교문학철학이 기독교철학의 하위 분과로 정초될 수 있다고 본다. 기독교문학철학은 일반 문학과 비평이론에 담긴 철학적 함의를 비판하고 분석한 뒤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또한 기독교문학철학은 기독교문학에 대해서 창작, 이해원리로서 일정한 형식과 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 기독교문학철학은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기독교철학의 하위분과로서 기독교문학의 일정한 형식과 내용을 요구한다. 또한 기독교문학철학은 그 정의를 한계 지어 놓음으로써 기독교문학, 고전들을 재평가하고, 기독교문학이 지향해야 할 방법론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Philosophy of literature as a branch of science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Christian Philosophy of literature might lay the cornerstone of Philosophy as subdivision. Christian Philosophy of literature present the alternatives, appreciation and authentic sources analyzing and philosophically criticizing literary criticism theories in relation to literature. And it may bring forward writing principles and ways of reading literary works. Christian Philosophy of literature gives the evidences of the definition of Christian literature in the Christian world-view, reevaluates the literary classics and offers the favorable guidelines of methodology of Christian literature. Christian Philosophy of literature put an emphasis on literature as a way of improving one`s belief and transforming one`s attitudes of life.

      • 서양철학에서 본 공공성

        최태연 ( Tae Yon Choi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8 기독교철학연구 Vol.9 No.-

        이 논문은 서양철학에서 각 시대와 사상가에 따라 다르게 사고되고 규정되어 온 `공공성`(publicness)의 개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 이후 서양의 공공성 개념은 시민의 권리와 역할에 중심을 두면서 비종교화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다시 시민사회에서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믿음이 공공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다시 인정하게 되었다. 필자는 서양철학에서의 공공성 개념을 국가를 형성하는 시민의 정체성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할 것이다. 이 글은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에서는 공공성을 어원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공공성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파악할 것이다. 폴리스(polis), 퍼블릭(public), 시빅(civic) 이라는 세 단어의 어원을 살펴봄으로써 서양의 공공성 개념이 담고 있는 일반적 의미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둘째 단계에서는 서양철학사를 통해 나타났던 공공성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과 주장을 역사적으로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면서 공공성에 대한 서양철학 전반의 흐름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유형론적 분석은 다양성의 희석이라는 단점도 있지만, 체계적 파악으로 나아가는 길을 열어 주기도 한다. 셋째 단계에서는 20세기 후반의 현대 정치철학에서 논의되었던 공공성에 대한 담론을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사회비판주의의 순서로 정리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lucidate the concept of the publicness in the western philosophy. Since modern times it has been understood as the rights and role of the citizen. I define it the identity of the citizen which constitutes a state. In this article l will deal with three questions. First, what could be took through the etymological study of words on the concept of the publicness? Three words-polis, public, civic-would ope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original meaning of these. Second, How many types of this concept make an appearance in the history of the western philosophy? Such a typology could help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publicness. Third, how could be discussed three major theories-Liberalism, Communitarianism, Critical Theory" My conclusion is that the publicness become a more important concept in the modern society.

      • 강의 헨리와 1277년 이후 철학

        유대칠 ( Dae Chil Yu ) 백석대학교 기독교철학연구소 2007 기독교철학연구 Vol.7 No.-

        강의 헨리는 1277년 금지령을 지지한 인물이며, 그 스스로 그 금지령과 관련된 위원회의 일원이었다. 그런 이유에서 그의 철학은 1277년의 금지령과 깊은 연관을 가진다. 그는 1277년 이전 철학이 가지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에 근거한 필연주의와 존재와 본질의 이해 그리고 질료에 의한 개체화 등이 신의 절대적 권능에 관한 신앙과 조화를 이루기 힘들다고 믿었다. 그렇기에 그는 이러한 1277년 이전 철학을 비판하며, 새로운 존재론을 구상한다. 이러한 강의 헨리의 새로운 존재론은 1277년 이후 등장하게 되는 새로운 존재론적 담론의 구도가 된다. 용어상에 있어서도 그가 제안한 용어들은 널리 통용되었으며, 문제에 있어서도 그의 문제의식은 이후 철학자에게 많은 논쟁을 야기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강의 헨리는 후기 중세 철학의 첫 단추를 이해하는 틀이 됨과 동시에 1277년 이전과 이후 철학사의 간격을 좁힐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이다. 본 논의는 바로 그러한 강의 헨리의 철학과 그의 철학사의 위상을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1277년 이전과 이후의 철학사적 전개와 후기 중세 철학의 문제들이 어떻게 등장하는가를 강의 헨리를 통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try to examine Henry of Ghent`s philosophy in the context of the late medieval philosophy after 1277. Philosophical problems in the late medieval period are caused by the condemnation performed in 1277. Henry was one of the committee that supported the condemnation. It leads us to claim that his philosophy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demnation. Henry of Ghent was not satisfied with any kinds of necessitarianism based on Aristotle`s and Avicenna`s thoughts, `individuation by matter`, and `real distinction between esse and essentia` insisted by Thomas Aquinas etc., before 1277, because Henry believed that these positions were not suited for Christian faith. Henry of Ghent wanted to make a new philosophical frame to substitute with philosophy before 1277. As a result, his philosophy was placed on the borderline between medieval philosophy before 1277 and medieval philosophy after 1277. This paper aims to show what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Henry`s philosophy and late medieval philosophy after 1277 are. Then I will attempt to argue that it was Henry himself that made the new philosophical frame after 1277.

      • 일반논문 : 기독교세계관 관점에서 본 『멋진 신세계』-인간복제를 중심으로-

        신현호 ( Hyun Ho Shin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8 기독교철학연구 Vol.10 No.-

        이 연구는 헉슬리의 대표작인 멋진 신세계 (Brave New World)에서 다루고 있는 인간복제에 관한 접근을 개혁주의 기독교세계관의 입장에서 고찰해 본 것이다. 멋진 신세계 에서 제기되는 인간복제는 과학지상주의가 낳을수 있는 폐해를 어두운 시각으로 보여주고 있다. 헉슬리는 생물학적 결정론과 환경결정론에 의해 인간성과 인간감정 자체가 통제되고 모든 것이 인위적으로 조절되는 도덕성이 무시되고 영혼과 고통이 없는 과학지상주의에 근거한 인간복제를 거부한다. 기독교세계관의 입장에서 볼 때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과 목적에 의해 만들어진 인간은 창조주 하나님의 대리인으로서 만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존재이다. 그리고 기독교의 도덕개념은 인간 본성에 관한 인지적 주장에 기초하고 있다. 인간은 거룩함과 완전함이라는 영적 이상을 따름으로써 하나님 및 동료 피조물과 사랑의 관계를 맺으며 살도록 되어있다. 현대 생명 공학에 대하여 기독교 공동체는 잠정적으로 세 가지 답변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적인 긍정, 부분적 긍정, 전적인 부정의 태도이다. 이는 하나님에게 인간 창조의 근원을 두는 기독교 견해와 사람의 손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는 생명 공학적 인간에 대한 이해 사이에서 비롯된다. 현대 생명공학이 가지고 있는 인간관이 기독교 세계관에서 보여주고 있는 인간이해의 다양성을 포용하며, 인간 생명의 신적 존엄성을 옹호하는 측면에서 전개된다면 생명공학의 연구 결과는 인간의 온전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생명공학이 인류에게 가져오는 것은 치료를 위한 것이어야지 인류의 구원을 약속하는 것 이어서는 안 된다. 유토피아적인 희망을 앞세워 이루어지는 인간복제는 하나님에 대한 도전이요 ‘적그리스도’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human cloning in Aldous Huxley`s utopian novel Brave New World in the view of reformed Christian world view. Brave New World is a remarkable piece of writing which prophesies the futuristic world describing a future world in the year 2495. Brave New World warns of the dangers of giving the state control over new and powerful technologies. One illustration of this theme is the rigid control over human beings reproduction through technological and medical intervention. Huxley describes this brave new world as a “nightmare”. Huxley argues that a genuine, free life requires suffering and pain. Men without anguish are men without souls. Just as Huxley predicted, scientists can now produce humans outside of the womb, and soon the cloning of human beings will be feasible. Although human cloning could produce many benefits, with so many unknowns concerning reproductive cloning, the attempt to clone humans at this time is considered potentially dangerous and ethically irresponsible. The most Christianity has the opposite opinion against human cloning. From the Christian world view, humans are creatures specially fashioned by God; which means they are unique in their nature and they have their own creative purposes. God has revealed His will to man in that series of documents called the Bible containing the principles by which the morality of human actions are to be either approved or condemned. If people do not matter of human rights, it is obvious that human cloning will help one`s life in broad ways. However, as one human being, it is impossible to ignore the issues which may probably break out in the future. Therefore, the Christian world view opposes cloning for human reproduction but supports using the technology to develop lifesaving medical therapies.

      •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이경직 ( Kyung Jik Lee ) 백석대학교 기독교철학연구소 2007 기독교철학연구 Vol.8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 교회가 낙태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에서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우선 낙태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전문용어가 모두 가치중립적이지 않다. 낙태라는 표현은 주로 윤리학계나 종교계에서 사용되는데 반해, 인공임신중절이라는 표현은 법조계와 의료계에서 사용된다. 용어 자체가 이미 이 문제에 대한 태도를 반영한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낙태율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법적으로는 낙태가 금지되어 있으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낙태가 허용되는 모순된 상황 속에 한국은 있다. 한국 정부의 산아제한 정책과 임신 여성들의 권리 주장이 그 이유이다. 현실 의료현장에서는 태아의 생명권은 고려되지 않았다. 한국의 형법과 모자보건법 사이의 모순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들은 다양하다. 낙태 옹호론자들은 모자보건법의 취지를 형법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형법을 개정하려는 반면, 낙반연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기독교의 낙태반대운동은 형법과 모순되는 모자보건법을 폐지하려 한다. 그 결과는 낙태 옹호론자와 낙태 반대론자 모두에게 불만족스러웠다. 낙태죄를 명시하는 형법 조항은 그대로 남았으며, 실질적으로 낙태를 허용하는 모자보건법도 그대로 남았기 때문이다. 한국 기독교가 낙태를 반대하는 이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기독교인은 낙태율에 있어서 비기독교인과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한국 기독교 여성들은 태아의 생명권을 인정하면서도 막상 자신의 문제가 되는 경우 태아의 생명권보다 자신의 권리를 더 주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태아의 생명권에 근거해서 낙태를 금지하는 한국 기독교의 규범은 낙태 여성들에게 필요한 위로와 치유를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래서 기독교의 정의 개념뿐 아니라 사랑 개념도 필요하다.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낙태를 선택한 여성들에게 위로와 치유를 주는 사랑의 태도를 한국 기독교가 가져야 한다. 결국 낙태 금지라는 이상적 규범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낙태 여성들을 위로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가 한국 기독교에 있다. 또한 한국 기독교는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통용되는 윤리와, 종교와 가치를 넘어서는 보편적 윤리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한국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만 통용되는 논리를 그 공동체 밖에 강요하는 것은 일종의 제국주의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기독교는 공공의 영역에서 현실적으로 낙태를 줄여나가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한국 기독교는 모자보건법을 무조건 폐지하라는 주장에만 그치지 말고 차선책으로서 모자보건법의 철저한 이행을 촉구함으로써 불법적으로 시행되는 낙태를 방지해야 할 책임을 지녀야 한다. 이는 한국 기독교의 낙태반대운동이 미국의 낙태반대운동처럼 극단적으로 나가지 않도록 도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Korean church`s attitude toward abortion. The term `abortion` is used in areas of ethics and religion, whereas the term `artificial termination` can be heard in the areas of laws and medicine. These terms are not value-free. They reflect some kinds of worldview. Korea has higher proportion of abortion in the world. Abortion is prohibited in laws but allowed in the reality because of the policy of birth control by Korean government and the right claim of pregnant women. Fetus` right of life is not counted in fields of medicine. Attempts to resolve inconsistency between criminal law a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are various but not successive. Upholders of abortion have tried to revise criminal laws in order to reflect the intent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whereas those against abortion want to abolish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In spite of their attempts nothing is changed. It means that the inconsistency concerning the problem of abortion remains. It is true that the proportion of abortion among Korean Christians shows no difference with that among Korean non-Christians. Christian women admit fetus` right of life in theory but think that their right is more important than fetus` right of life in practice. Korean church teaches that abortion is sin but cannot give consolation and healing enough to cure the women who has experienced abortion. Korean church gives them only sense of guilty which discourages them from living as Christian. So not only the concept of justice but also of love is necessary in this case. In this sense Korean church has dual tasks, namely not to abandon ideal standard and to consolate the women who has committed abortion. Korean church don`t have to coerce Korean society to follow its norm, for its norm is admittable for Christians. It should attempt to find ways to reduce the proportion of abortion in public areas. For this purpose it should have a second best policy, namely that the exhaustive performance of 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 Anselm as a Guide to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earning

        ( Laura Smit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9 기독교철학연구 Vol.11 No.-

        This article attempts to survey Anselem as one of the pioneers of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earning. Anselm`s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world of Christian academics is his articulation of the principle fides quaerens intellectum, faith in quest of understanding, especially for an understanding of God. Since we are made in God`s image, we should also expect that we will come to know him through our knowledge of our own nature. And because the image of God in us, the central structure of human life, is effaced, we are also denied accurate self-knowledge. Faith requires an opening to receive the reality that God offers to us. Our knowledge is thus rooted in God`s gracious self-revelation and in God`s gracious decision to design the world so that it is knowable. We have been made with the capacity to receive knowledge through our sense perceptions, through reason, through introspection, and through direct, prayerful relationship with God. The knowing mind must be conformed to the truth through the illuminating presence of Christ if any knowledge is to be possible. Thus, the process of coming to know true things is thus a process of drawing closer to God. Our perception of sense objects is only possible because we see them in the illumination of the absolute standard of Christ`s emanation. There is no real knowledge, no academic discipline to which the illuminating work of Christ is irrelevant. As Christians, we must make sure that the faith we embrace as a prelude to understanding is a faith adequate to the great variety of God`s rich and abundant nature. As people who believe in the reality of the resurrection, we know that Augustine, Anselm, Bonaventure and millions of others now live before the throne of God.

      • 가다머의 해석학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와 비판

        송동민 ( Dong Min Song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8 기독교철학연구 Vol.9 No.-

        이 글의 목적은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의 사상을 이해하고 기독교적으로 평가해 보려는 것이다. 가다머는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해석학자로서, 후설과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은 그의 주저 『진리와 방법』 을 통해 사상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는 슐라이어마허와 딜타이의 영향을 받은 낭만주의적 전통의 해석학을 벗어나서, 하이데거의 사상을 좇아 해석학의 존재론적인 전환을 시도하였다. `영향사적 의식`, `지평 융합` 등의 개념을 통하여 과거와 현재 사이의 대화를 통한 상호 이해, 그리고 우리 자신의 이해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자인 가다머의 해체주의적인 사상을 극복하고 전통과 공동체, 텍스트의 통일성을 존중했다는 점에서 유익한 사상가이다. 또한 그는 대화와 이해를 중시하였고, 실천적인덕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해체되어 가는 사회 공동체를 하나로 통합하는 데도 유익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는 이 과학지상주의 시대에 과학만으로 규명되지 않는 더 본질적인 진리가 존재한다는것을 해석학적으로 잘 규명해 내었다. 그러나 그는 언어의 존재성을 지나치게 확장시켰으며, 이성의 객관적인 비판 기능을 약화시켰고, 윤리적인 잣대를 분명하게 설정하지 못했다. 무엇보다 그는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아 역사와 전통의 위상을 지나치게 절대화시킴으로써, 그 너머에 계시는 초월적인 주권자 하나님을 온전하게 인정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했다. This article aims at understanding the thought of Hans George Gadamer and appreciating his thought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Gadam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ker in hermeneutics in 20th century. His major work Truth and Method, which was influenced by Husserl and Heidegger, had a huge effect on 20th century thoughts. He departed from the Romantic tradition of Schleiermacher and Dilthey, and attempted an ontological shift of hermeneutics as he follows Heidegger`s thought. He tried to understand ourselves and the hermeneutical relationship between past and present by using his own terms `the historically effected consciousness` and `fusion of horizons`. He was right in preserving the value of tradition, community, and the unity of a text against the deconstructive thought of Jacque Derrida, who is a representative of post-modernism. He also regarded conversation and understanding as important, and he laid a stress on practical virtue. In this way, he can contribute well to reunite the social community which is being split today. He explained that there exist more fundamental truths which cannot be found out by scientific methods. However, he made the being of language too much important, and weakened the objective ability of human reasoning. He could not establish the ethical standards clearly. Most of all, as he elevated the position of history and tradition to such an absolute authority by the influence of Heidegger, he made a big mistake of ignoring the transcendent sovereign God, who is above all these t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