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도서·해양민속 연구의 시각과 쟁점

        이경엽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08 島嶼文化 Vol.0 No.32

        한국의 도서․해양문화 연구가 최근 활성화되고 있다. 아직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고 할 수 없으나 기존의 무관심에 비하면 크게 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논의 구도를 새로 설정하고 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도서․해양민속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지, 그 시각과 쟁점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다룬 주제들은 맥락과 관계 그리고 비교의 관점에서 도서․해양민속을 연구해야 한다는 지향성을 담고 있다. 도서․해양문화는 도서문화와 해양문화를 아우르는 용어다. 섬과 바다는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만큼 통합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야 한다. 그렇지만 구체적인 논의에서는 상황적인 목적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도서문화적인 관점에서는 도서적인 조건과 문화 전승의 상관성을 주목하며, 해양문화적인 관점에서는 바다를 매개로 성립되고 전승돼온 주민들의 생활양식을 주목한다. 그리고 도서․해양민속의 핵심 영역은 어로민속과 어민의 생활사라고 할 수 있다. 도서․해양민속 연구는 섬지역 민속조사로부터 시작됐다. 1980년대 이후 체계적인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고 어촌민속지 발간도 일반화되었다. 그리고 도서문화연구소를 비롯한 관련 연구단체의 조직적인 활동에 힙 입어 여러 가지 연구 성과가 나왔다. 주요 연구주제를 보면 민속신앙 연구, 문화생태학적 연구, 어로민속지 작업, 종합적인 연구 등을 들 수 있다. 세분화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각각을 전체적으로 아우르는 방법론과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도서성은 섬의 특성에 관해 규정하는 개념이다. 도서지역에 고형의 문화가 전승되고 있는 현상을 두고서 고립에 의한 원형의 잔존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외부와의 교류를 거치면서 지속과 변화를 거듭해왔으므로 그 역사성과 전승맥락을 파악해야 한다. 도서지역 특유의 양상을 주목해볼 때, 문화전승의 상대적 자율성과 그에 따른 변화과정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장례풍속을 통해 논증했듯이, 외래문화의 접변 과정에서 새로운 연희 종목을 적극 수용해서 자신들의 민속으로 전승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도서지역 민속 전승의 창조적 일면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도서․해양민속은 교류, 전파, 수용을 통해 보편성을 공유하고 지역적 특성을 유지해왔다. 포구의 유통 기능은 외래문화의 교류와 문화적 다양성을 낳게 하는 배경이 되었다. 그리고 육지부와 도서부의 문화적 교류를 유지해온 통로가 되었다. 진도 다시래기, 신안 밤달애, 완도 발광대는 도서지역의 독특한 연희지만, 모두 육지에서 유래된 것들이다. 육지부와 도서부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관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바다는 육지와 달리 단절되지 않은 공간이므로 그에 따른 교류 범위와 특성을 살펴볼 수 있다. 서해안 전역에 퍼져 있는 배치기소리는 해양문화의 폭넓은 교류 관계를 보여준다. 그리고 지역에 따른 선택적 수용과 적용 과정을 보여준다. 해양문화 교류의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비교 연구를 통해 한국 도서․해양민속의 특성을 객관화할 수 있다. 그 현황을 보면 한일, 한중 비교 연구가 대부분이며, 지역적으로는 일본 오키나와와 중국 주산군도가 주요 대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사적 교류 관계와 문화적 유사성을 주목한 데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한일 비교는 1970년대부터 한일 양국에서 시작되었고 여러 주제 ... The study on Korean islands and maritime culture has been revitalized nowadays. Though it doesn't set on its way, it has been developed considering on existing indifference. Therefore, it required to establish new debating planning and the way to stud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t study the islands and maritime folklore, the view and issues related on it. The topics discussed in this study showed the how we should study the islands and maritime folklore. The term, islands and maritime culture, combined the islands culture and maritime cultur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islands and sea is inseparable, we should deal with them in integrated view. But it should pursue the situational purpose in detailed discussion. At the point of view of island culture, it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island conditions and cultural transmission. The residents' lifestyle related in maritime culture at the point of view of maritime culture. In addition, the core part of islands and maritime folklore is fishing folklore and living history of fisherman. The study on islands and maritime folklore started island folk investigation. The systematical collection achieved after 1980s and generalized the publication of fishing folklore journal. There were several research outcomes by Institute of Island and Culture with other related organizations. Considering on the research topics, there were folk religion study, cultural biology study, publication of fishing folklore journal, and the general study. Though the segmentation work has been achieved, it needs to combine the general methods and integrated researches. The island characteristic is the concept of the island. It can not understand the remains of original thing by isolation in islands with succeeding the solid culture. Because it has been kept and changed with the exchange to other region, it should understand the history and succeeding context. According to the unique aspect of island, we can see the relative self-regulation of cultural succeeding and its process of change based on that. Proved the funeral customs, we found out their succession to adopt new feast items in foreign culture processing. We can explain the creative part to succeed the islands region folklore. Isnald and maritime culture shared universality and kept the local characteristic through the exchange, transmission, and acceptance. It could be the route for cultural exchange with land and island. As Jindo Dashiraeki, Shinan Bamdalae, Wando Balgwangdae were the unique feast in islands region, they were from the land. It explained the integral point to combine the land and islands. And the sea is an open place not like land; we can see the scope and characteristics of exchange according to that. Baechigi sori, spread out the southeast coast, showed the extensive relation of maritime culture. In addition, it showed the optional acceptance and adopting according to the regions. It is the example of the characteristics of maritime culture exchange.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Korean islands and maritime folklore can be objectified. According to the present conditions, the comparative researches are Korea and Japan, Korea and China. The regions are Okinawa of Japan and Jusan peninsular of China. It caused the historical exchange relationship and cultural similarities.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started from 1970s and dealt with several topics. Considering on the fishing folklore, it investigated the similarities between two countries and inferred the background. But there was no further research later.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is focused on these days. Though it limited the research regions and topics, it can be found the systematic comparative studies. Generally, it should expand the topics and regions to study. As the present studies, which are Korean southern region, Jejudo and Okinawa, Japan, it is to investigate the specialized researches and to deal with general topics re...

      • KCI등재후보

        ‘도서·해양 문화’ 연구와 인류학

        홍석준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09 島嶼文化 Vol.0 No.33

        This article reviews on the related studie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aritime culture study and anthropology. For this purpose, this review article examines and investigates the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and methods in maritime culture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reviews on the articles and papers which are concerned wit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aritime culture studies and anthropology. This article deals with the theme of application of perspectives and methods in anthropology to extend the fields and spheres of maritime culture study. It i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maritime culture study and anthropology. And in this article, it is emphasized that the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and methods in maritime culture study should be useful methodological tools for understanding maritime culture in sea world. It is also suggested that a case study on ‘maritime culture study of East Asia’ can be one of the academic attempts to reconstruc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aritime culture study and anthropology for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in sea world and maritime culture itself. 이 글은 ‘도서·해양문화’ 연구에 대한 인류학적 관점과 방법을 고찰하기 위해 기존의 관련 연구 성과를 리뷰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를 통해 ‘도서·해양 문화의 인류학’의 개념적 성립 가능성을 타진하고, ‘도서·해양문화’ 연구의 사례로, 소위 ‘동아시아의 도서·해양 문화 연구’를 제시한다. 나아가 ‘도서․해양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동아시아의 도서·해양 문화 연구’를 제안하면서, ‘도서·해양문화’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 리뷰 논문에서 필자는 동아시아의 도서·해양의 역사와 문화의 역동성을 중시하는 ‘동아시아의 도서·해양 문화 연구’의 사례는 인간과 도서·해양, 사람과 자연, 육지와 도서․해양 사이의 상호작용에 주목하면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역사적, 환경적, 생태적 조건을 고려한 상태에서 동아시아의 ‘도서·해양 문화’의 특징과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인류학적 관점과 방법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재고하기 위한 시도임을 강조한다.

      • KCI등재

        ‘목포권’ 도서해양문화의 창조적 재인식

        강봉룡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1 島嶼文化 Vol.0 No.37

        In history, island functions as a bridge of the communication, connected with the ocean, or becomes a space of an isolation. In ‘the maritime era’, before Koryeo dynasty, islands functioned as the base of the international marine trade, and during the Chosun dynasty, when the marine activity was prohibited, the island has turned into the isolated place where people cannot live. Like this, two comparative conception of the communication and isolation in the history of ‘the island and the ocean’ includes two different values. When the former includes the value of the variation through the interchange, the latter includes the value of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culture’ through the severance. For instance, Eupdong village in Heuksan island where includes the trace of the base port in the East Asia marine trade during ‘the maritime era’ is the shining example of the former case, and the Dashiragi of Jindo or Bamdarae of Bigeumdo can be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latter case. During ‘the maritime era’, ‘Mokpo aera’ where more than 60% of Korean islands are located, faced the prosperity, while they had to recede in ‘the era of the marine prohibition’ when the island and ocean culture has receded. In thesedays Mokpo area has faced the new opportunity when the ‘Mokpo area’ has faced ‘the maritime era’. First, it is necessary to perceive the chance.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creatively understand the value of the ocean and island culture of the ‘Mokpo area’. For this, people should try their best to combine two different values, the value of the variation which represents the communication and the value of the isolation which represents the preservation. Also, for this, people should prepare the vari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consider about the way to preserve and practically use the culture, then they can recreate the island and marine culture into the ‘win win culture’. 역사적으로 섬(도서)은, 바다(해양)와 연동되어 혹은 소통의 징검다리로 기능하기도 하고, 혹은 고립의 공간으로 남기도 한다. 해양활동이 활발했던 고려 이전(‘해양의 시대’)에 섬은 국제해상교역의 거점으로 기능했고, 해양활동이 금지되었던 조선시대(‘海禁의 시대’)엔 섬은 사람이 살수 없는 고립의 공간으로 전락했다. 이렇듯 ‘섬과 바다’(도서해양)의 역사에 나타나는 소통성과 고립성의 두 대립적 개념은, 두 가지 상반된 가치를 내포한다. 전자가 교류를 통한 변화의 가치를 내포한다면, 후자는 단절을 통한 ‘원형문화’ 보존의 가치를 내포한다. ‘해양의 시대’ 동아시아 해상교류의 거점포구로서의 흔적이 남아 있는 흑산도 읍동마을의 경우전자의 대표적 사례로, 진도의 다시래기나 비금도의 밤달애 등은 후자의 대표적 사례로 꼽을 수 있겠다. 우리나라 60% 이상의 섬이 밀집되어 있는 서남해역, 즉 ‘목포권’은 도서해양이 활성화된 ‘해양의 시대’엔 번영을 구가했고, 도서해양이 쇠퇴한 ‘해금의 시대’엔 퇴락을 면치 못했다. 또 한번 ‘해양의 시대’를 맞은 오늘날 ‘목포권’은 새로운 기회를 맞게 되었다. 우선 그 기회를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목포권’ 도서해양문화의 가치를 창조적으로 재인식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도서해양의 상반된 두 가치, 즉 소통성의 상징인 변화의 가치와 고립성의 상징인 보존의 가치를 융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변화와 발전의 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원형문화를 보존 및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도서해양문화를 ‘하나이면서 둘’인 상생적 세계로 재창조할 수 있다.

      • KCI등재

        落島 정주여건 개선에 관한 연구

        윤상헌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7 島嶼文化 Vol.0 No.50

        본고는 낙도의 정주여건에 초점을 두어 정주환경을 살펴보고 정주여건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우선 낙도의 개념과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바, 사전적 정의, 현행 법령상의 조항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낙도의 개념과 범위를 규정하였다. 본고에서는 낙도를 ‘육지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도서로서 접근이 불편한 도서’ 즉, ‘연륙(육지와의 차량통행이 가능한 도서 포함)되지 않은 도서로서 육지에서 8㎞ 이상 떨어진 도서이며, 정기여객선이 3항차 이하로 운행하는 도서’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에 부합하는 도서 즉, 낙도는 271개로서 유인도서 463개 중 5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도의 정주여건을 파악하기 위해서 『도서백서』 데이터 및 6개 도서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주민에 대한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도서백서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본 낙도의 생활환경은 일반 도서에 비해 더욱 열악함을 알 수 있었다. 주민 설문조사(가장 불편한 점, 섬 발전 장애요소, 개선이 요구되거나 필요한 시설 및 활동 등) 및 현장조사를 통해 본 생활환경 역시 열악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교통(여객선의 운항 횟수, 직항로), 식수(물 부족), 의료(의료시설, 응급의료시스템) 부분에서 많은 불편을 느끼고 있었다. 낙도의 정주실태를 바탕으로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부문별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단기 정책 및 사업으로는 ‘낙도 항로 개편’, ‘낙도 국가 어항 정비’, ‘도서종합개발사업의 낙도 지원 강화’,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들 수 있으며, 중․장기 정책 및 사업으로는 ‘낙도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관련법 개정’, ‘체계화된 낙도 실태 조사 및 DB 구축 지속’, ‘낙도에 적합한 정주환경 기준 마련’, ‘낙도별 특성을 고려한 특화발전계획 수립’, ‘중간지원조직 구축 및 전문 인력 확보’를 들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ettlement conditions on remote islands in Korea and examines the islands’ environment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onditions. First, the concepts and scope of the term “remote islands” is defined based on dictionary definitions, provisions of existing laws and prior research. As a result, a remote island is referred to as “an island that is inconvenient to access as it is loc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mainland”, or more precisely, an island that is not linked with other land(including other islands through which the mainland could be reached) and that is more than 8 kilometers away from other land and less than 3 hours sailing from any mainland harbor. By this definition, the number of remote islands in Korea is 271, which is 58% of the total number (463) of inhabited islan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ttlement conditions on these remote islands, I conducted data analysis based on available islands’ survey records,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residents and a field survey of six sampled remote islands. Analysis of the islands’ survey records revealed that the living environment on remote islands was worse than on islands in general. The residents' survey collected data on what were considered the most inconvenient points, obstacles to development of the island, and facilities and activities required for improvement. Together with the data from the field survey, this also pointed out the poor living conditions. Especially, the residents felt many inconveniences with regard to transportation(the number of passenger ships and direct sea routes), drinking water(the lack of potable water), and medical care(access to medical facilities and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Given the ascertained situation, the study identifies the tasks for improving the settlement conditions on the remote islands and suggests ways to address particular issues. Short-term policies and projects to improve settlement conditions include “reorganization of the remote islands’ sea routes”, “maintenance of the remote islands’fishing ports”, “support for strengthening the remote islands’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and “cooperation with private enterprises”. Long-term policies and projects to improve settlement conditions include “reform of related laws to improve the settlement conditions on the remote islands”, “continuation of systematic field surveys and database development of the remote islands”,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development plans considering the remote islands’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ment of a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and secure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 KCI등재

        접근성에 따른 도서 지역 인구변화 분석

        이제연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7 島嶼文化 Vol.0 No.50

        오늘날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몇몇 국가에 한정된 것이 아닌 보편적이며 세계적인 현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2060년에 4천 4백만 명으로 감소하고, 고령화 비율은 40.1%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농산어촌의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도서 지역은 육지에 비해 인구 감소 및 고령화 현상이 상당한 강도와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서 지역의 인구를 추계하여 향후 무인도가 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들을 접근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의 유인도서의 인구는 2066년에 558,583명으로 285,547명이 감소하고, 2066년에 전국 유인도서의 고령화 비율은 32.5%로 전망된다. 둘째, 전국 65개의 연륙도서 인구는 2066년에 506,312명으로 30.2%의 감소율을 보이며, 고령화 비율은 32.0%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나머지 404개 비연륙도서의 인구는 50년 뒤 56.1%가 감소한 52,271명이 될 것으로 추계되었으며, 65세 이상 인구는 36.9%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향후 50년 동안 63개의 유인도서가 무인화가 되며, 모두 비연륙도서에서 해당되었다. 유인도서의 무인화 방지를 위해 인구를 유입하는 구체적인 방안 수립이 요구되는 바이다. Today,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are global phenomena, and not just restricted to some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 the population is expected to decrease from 51.7 million in 2016 to 44 million, and the percentage of people aged and over is likely to increase to 40.1% in 2060 from 13.5% in 2016.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of rural communities are getting worse, and compared to the mainland, islands are experiencing phenomena with considerable strength and speed. In this study, projections of the population of islands are presented and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areas with high possibility of becoming uninhabited in the future due to poor accessi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or islands nationwide the population is projected to decrease by 285,547 people and drop to 556,583 in 2066, while the percentage of old people is expected to become 32.5%. Secondly, for the 65 islands in the country that are connected by bridges, the population shows a projected decline of 30.2% to 506,312 people in 2066, with old people accounting for 32.0% of this number. Thirdly, for the remaining 404 islands in Korea, the population is projected to shrink to 52,271 people, being a decrease of 56.1%, with people over 65 years old making up 36.9% of the total in 2066. Finally, during the next 50 years, 63 islands are expected to become uninhabited, all of which are islands without bridges. Specific policies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are sought.

      • KCI등재후보

        섬관광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전남 도서·연안지역을 중심으로-

        김준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08 島嶼文化 Vol.0 No.32

        A comfortable and pleasant environment is necessary for a good tourist sit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re also essential. Tourists would like to experience the uniqueness of local nature, history and culture and mingle with local residents. To urbanites, islands are novel sites. They would like to pay a visit to an island and stay there. Every island has its own cultural system and islanders have developed their unique life stories. Island humanities have existed. Island tourism should be something differentiated from that carried out elsewhere. Islanders have their own lifestyle and value system. To urbanites, islands should be an escape from the hustle and bustle of their city life. Island development should be carried out with the focus on insularity, island culture and island humanities. High-end tourism, in particular, needs to be something associated with local residents. An analysis of successful island tourism will tell you that it is utiliz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cultural resources of islands, first of all. Second, it is developing sightseeing programs using resources in nearby islands. Third, the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is based on the everyday life of local residents. South Jeolla Province has sufficient island tourism resources. For it to become a Mecca of island tourism, it should place priority on the establishment of a method of development based on a solid roadmap, demand and value system. The direction should be set in a sustainable way, with the ecology, culture and economy of the island(s) taken into account, with the aim to make it (or them)a nice place to stay all year round. Environment Carrying Capacity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setting up such a strategy. In developing island tourism products, the local environment, community and culture should be those that can enjoy the benefits, not those asked to make sacrifices. 훌륭한 관광지는 쾌적하고 매력적인 환경이 필요조건이며 지역사회의 문화적 독특성이 충분조건이다. 관광객들은 자연과 역사, 문화의 독특성과 진정성을 체험하고 지역주민들과 교류를 원하고 있다. 섬은 육지와 떨어져 있다는 자체로 신비롭고 매력적이었다. 그리고 인간은 그 섬에 가고 싶고 머무르고 싶어 한다. 섬은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체계를 갖추었고, 다양한 문화교류를 통해 삶을 축적해 왔다. ‘섬의 인문학’이 존재했다. 섬관광의 출발은 육지와 다른 문화의 차이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섬에는 육지와 다른 생업방식과 가치체계가 있다. 육지의 가치지향성에 익숙해진 관광객들에게 ‘섬’은 일탈과 동경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섬성’, ‘섬문화’, ‘섬의 인문학’에 기초한 개발이 전제되어야 한다. 기존의 대중관광과 차별되는 고품격 섬관광은 이러한 지역주민들의 생활문화에서 출발해야한다. 섬관광의 성공사례를 분석해 보면, 첫째, 섬의 생태환경과 문화자원을 철저하게 활용하고 있다. 둘째, 인근 섬 관광자원과 연계한 관광프로그램 개발이다. 셋째, 관광자원 개발이 지역주민들의 생활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이다. 섬관광 자원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는 전남이 섬관광 메카가 되기 위해서는 섬개발 로드맵과 관광욕구 및 가치체계에 기반 한 개발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그 방향은 섬의 생태·문화·경제 측면에서 지속가능하도록 수립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거점별 사계절 체류형 명품섬을 개발해야 한다. 개발전략은 섬의 환경수용력(Environment Carrying Capacity)을 최우선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 지역환경, 지역사회와 문화가 관광개발 희생물이 아니라 수혜자가 되도록 하는 섬관광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서남해 연해 도서지역의 촌락발달과 경지확대과정-지도․압해도․장산도를 중심으로-

        류제헌,임현오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1 島嶼文化 Vol.0 No.38

        The littoral islands in the Southwestern Sea are a part of the so-called Korean Archipelago that belongs to the administrative area of Shinan-gun, Jeonnam Province. They are not only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insular environment but also a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The littoral islands in the Southwestern Sea were totally depopulat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depopulation of these islands was mainly due to the evacuation policy on the islands. Onl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new settlements started to form and develop on the littoral islands, with the residential area called Ӧkumene rapidly extending As compared with the adjacent and pelagic islands,the littoral islands demonstrated a dramatic increase in the population, which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of arable land. On the littoral islands the most adequate settlement site was usually the valley which could be protected effectively from the northwestern seasonal wind during the wintertime. Once a rural settlement was located in the valley, the first stage of residential expansion occurred toward the lower altitude where people could secure the water. Then, followed the second stage of residential extension that occurred toward the locations near the arable lands. The growing number of incoming residents and their descendants, with the influx of later resident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workforce, which enabled people to build up dykes and dams for the reclamation of coastal lands. The construction of dykes and dams was accompanied by the reclamation along the coast, which in turn resolved the population pressure on the land. The villages that could overcome the population pressure have maintained a steady phase of residential expansion. Those which could not overcome the population pressure have entered a phase of stagnation and even extinction. In the Joseon Dynasty, the arable lands on the littoral islands were expanded in area within the limitation from the landform condi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civil engineering at an advanced level, a medium-scale reclamation project was launched, connecting the subsidiary islands with the main island. After the liberation (1945), a large-scale reclamation project was actively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companies and private school foundations 서남해 연해 도서지역은 한국열도(Korea-Archipelago)라고 불리는 서남해 도서지역의 연해 부분으로 행정구역상으로 전라남도 新安郡에 속한다. 서남해 도서지역은 群島로서의자연환경과 고유한 역사․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麗末鮮初에는 중앙의 空島政策으로 인하여 암흑기를 맞이하지만, 임진왜란 이후에는 인구의 유입으로 외쿠메네(Ӧkumene), 즉거주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서남해 연해 도서지역은 근해나 원해의 도서지역에 비해 경지의 확대에 따른 인구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서남해 연해 도서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촌락의 입지로 가장 중요한 위치는 겨울에 북서 계절풍을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곡지이다. 일단 이러한 위치에 촌락이 입지한 다음에는 용수를확보할 수 있는 고도가 낮은 곳으로 거주 공간의 제 1차적 확대가 진행되었다. 그 다음으로 거주 공간의 제 2차적 확대는 경지와 거리가 가까운 쪽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입도한 사람들의 자손이 증가하고 나중에 입도하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노동력이 확보되어 간척을 목적으로 하는 제언의 축조가 가능해졌다. 제언의 축조는 해안 간척으로 이어지고 이에 따른경지 확대는 인구압을 해결하는데 기여하였다. 인구압을 해결한 촌락들은 오늘날까지 꾸준한촌락 확대를 보여주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촌락들은 정체 내지 소멸의 과정에 접어들었다. 서남해 연해 도서지역에서 조선시대의 경지 확대는 지형 조건의 영향을 받으며 진행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새로운 토목기술의 도입으로 本島에 인접한 작은 섬을 본도와 연결하는방식으로 중규모 간척사업이 실행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국가, 기업, 사립학교재단 등이 적극적으로 주도하는 대규모 간척사업이 실행되었다.

      • KCI등재

        문화관광해설서비스 활동이 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라남도 문화관광해설사를 중심으로-

        이장주,김병원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1 島嶼文化 Vol.0 No.38

        This study accomplished searching satisfaction of cultural heritage guiding which guides do in Jeollanam-do to plan setting up guides’ stable knowledge and quality of guiding. Especially, to accuracy and effective progress, we secured information for actual proof as distributing 1,152 surveys after serving tour guiding to tourists who visits cultural heritage in 22 cities and towns, Jeollanam-do. Also, we indicated development plan, made quality of guiding heritage improve and made it index which encourage professionalism of guide by analysising tourist’ variety opinions and tasks which come from survey At the same time we divided Jeollanam-do as 4 districts by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 and searched satisfaction of guiding which is considered character of heritages which are scattered each region. Also, these are studied to contribute strengthen professionalism of guiding heritage of guide and by fractionating as age and class. we made this study can help strengthen educating guide later.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서 활동 중인 문화관광해설사들의 해설활동에 대하여 지역을 방문한방문객들로부터 역사․문화자원과 관광지에 대한 해설 만족도를 조사하여 문화관광해설사들의 올바른 지식정립과 해설품질에 대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정확성과 효과적인 연구진행을 위하여 전라남도 관광지 및 역사․문화자원 및 관광지를 방문하여 해설서비스를 제공 받은 방문객들에게 전라남도 22개 시․군에서 총 1,152매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조사 결과에서 도출된 관광객의 다양한 의견 및 개선과제 등을 분석하여 문화관광해설사 발전방안 등을 제시하였고,문화유산에 대한 해설품질 등을 향상하도록 하였으며 해설사들의 전문성을 고취시킬 수 있는개념파악의 척도가 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전라남도를 4개 권역으로 분류하여 각 권역별로 산재되어있는 역사․문화자원 및 관광지 특성을 고려한 해설 만족도에 대하여 별도 조사하였다. 이는 해설사들의 자원해설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하는데 기여 할 수 있도록 연구되었으며 연령별, 계층별로 세분화 되어 조사하여 차후 본 연구가 해설사들의 교육효과를 강화시키는데 일조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접근성에 따른 도서 지역 연구변화 분석

        이제연(Lee, Jeyeon)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7 島嶼文化 Vol.0 No.50

        오늘날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몇몇 국가에 한정된 것이 아닌 보편적이며 세계적인 현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2060년에 4천 4백만 명으로 감소하고, 고령화 비율은 40.1 %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농산어촌의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도서 지역은 육지에 비해 인구 감소 및 고령화 현상이 상당한 강도와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서 지역의 인구를 추계하여 향후 무인도가 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들을 접근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의 유인도서의 인구는 2066년에 558,583명으로 285,547명이 감소하고, 2066년에 전국 유인도서의 고령화 비율은 32.5%로 전망된다. 둘째, 전국 65개의 연륙도서 인구는 2066년에 506,312명으로 30.2%의 감소율을 보이며, 고령화 비율은 32.0%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나머지 404개 비연륙도서의 인구는 50년 뒤 56.1 %가 감소한 52,271명이 될 것으로 추계되었으며, 65세 이상 인구는 36.9%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향후 50년 동안 63개의 유인도서가 무인화가 되며, 모두 비연륙도서에서 해당되었다. 유인도서의 무인화 방지를 위해 인구를 유입하는 구체적인 방안 수립이 요구되는 바이다. Today,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are global phenomena, and not just restricted to some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 the population is expected to decrease from 51.7 million in 2016 to 44 million, and the percentage of people aged and over is likely to increase to 40.1% in 2060 from 13.5% in 2016.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of rural communities are getting worse, and compared to the mainland, islands are experiencing phenomena with considerable strength and speed. In this study, projections of the population of islands are presented and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areas with high possibility of becoming uninhabited in the future due to poor accessi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or islands nationwide the population is projected to decrease by 285,547 people and drop to 556,583 in 2066, while the percentage of old people is expected to become 32.5%. Secondly, for the 65 islands in the country that are connected by bridges, the population shows a projected decline of 30.2% to 506,312 people in 2066, with old people accounting for 32.0% of this number. Thirdly, for the remaining 404 islands in Korea, the population is projected to shrink to 52,271 people, being a decrease of 56.1%, with people over 65 years old making up 36.9% of the total in 2066. Finally, during the next 50 years, 63 islands are expected to become uninhabited, all of which are islands without bridges. Specific policies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are sought.

      • KCI등재

        HK사업의 성과와 과제-섬의 인문학:공간인식 패러다임의 문명사적 전환-

        강봉룡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8 島嶼文化 Vol.0 No.51

        The Humanities Korea (HK) project was launched in 2007 supported by a stimulation grant dedicated to the 21st century humanities crisis discourse. This large-scale project supports academic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s for 10 years in conducting intensive research according to an optimal agenda set for each research institute. The HK project pursues four objectives. Firstly, it aims at the new practical humanities. For this, a fusion research methodology is adopted, the humanities agenda is put into practice, and humanities policies are targeted. Secondly, the project aims at the construction of globally recognized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s. For this, professional research infrastructures related to the agendas are established, and high-quality discourses are produced and communicated. Thirdly, the project makes efforts for the widespread dissemination of research outcomes. The humanities agenda of each institute is laid out as a new academic field, and attention is given to supply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public. Fourthly, the project intends to supplement the university system. By establishing research institutes that implement fusion research agendas at universities, the HK project brings together and supplements multiple departments to encourage interaction. Founded in 1983, the Institution for Marine & Island Cultures of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has dedicated itself to island studies for 35 years. Since 2009, it has been conducting the HK project centered on the agendum of ‘Island Humanities: the civilization-historical conversion of the space recognition paradigm of islands’. Island Humanities is the core focus of the agenda, and ‘the civilization-historical conversion of the space recognition paradigm’ is the practical strategy.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the Island Humanities agenda comprises four main conceptions. Firstly, it recognizes the un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slands and the sea. Secondly, it pays attention to the notion of islands based on the two-sided concepts of isolation and openness. Thirdly, it targets all human aspects (‘island culture’) and their foundations (‘island ecology’) that have uniquely materialized in island spaces. Fourthly, it steers towards a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n islands. ‘The civilization-historical conversion of the space recognition paradigm’ constitutes the strategy to put into practice the ‘Island Humanities’ agenda. Greeting ‘the era of the ocean’ and ‘the era of the islands’ of the 21st century, it declares the civilization-historical task of expanding and converting the customary paradigm of space recognition, which has reasoned from the center of the land, into a space recognition that includes both islands and the sea. Against the background of this declaration of practice, this paper specifically points out the achievements made and the tasks performed during 9 years of research at the Institution for Marine & Island Cultures. 인문한국사업(Humanities Korea Project, 이하 HK사업)은 21세기 인문학 위기담론에 자극받아 2007년부터 시작되었다. 대학의 중요 인문연구소를 선별하여 각 연구소에 최적화된 아젠다를 집중 연구할 수 있도록 10년간 지원하는 대규모의 인문학 연구지원 사업이다. HK사업이 추구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實學적 인문학을 지향한다. 둘째, 세계적 인문연구소의 건설을 지향한다. 셋째, 연구 성과의 확산을 위해 노력한다. 넷째, 대학시스템을 보완한다.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은 1983년에 창립되어 35년 간 섬 연구에만 매진해 왔다. 2009년부터는 ‘섬의 인문학-공간인식 패러다임의 문명사적 전환-’이라는 아젠다를 중심으로 HK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섬의 인문학’은 아젠다의 핵심 골자이고,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문명사적 전환’은 그 副題이다. 핵심 아젠다 ‘섬의 인문학’의 이론적 얼개는 대개 다음과 같다. 첫째, 섬과 바다 관계의 일체성에 입각한다. 둘째, 섬의 양면성, 즉 고립성과 개방성에 주목한다. 셋째, 섬 공간에서 독특하게 구현해온 人間事의 모든 것(‘섬 문화’)와 그 토대(‘섬 생태’)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넷째, 섬 생활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한다. 부제인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문명사적 전환’은 아젠다 ‘섬의 인문학’을 실천하기 위해 설정한 선언이다. 21세기의 ‘해양의 시대’, ‘섬의 시대’를 맞아, 육지 중심으로 기울어져 왔던 이제까지의 공간인식의 패러다임을 섬과 바다를 포함하는 공간인식으로 확대․전환시켜갈 문명사적 과제를 선언한 것이다. 이 실천 선언에 따라 도서문화연구원의 9년간의 성과와 과제를 구체적으로 적시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