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년간의 목원대학생들의 가치관 변동에 관한 비교 연구 (1976-1996)

        박영복 牧園大學校 1997 論文集 - 牧園大學校 Vol.33 No.-

        이 연구는 목원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1976년부터 1996년까지 매 5년마다 동일한 내용으로 연구자가 직접 만든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한 20년 간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목원대 학생들의 가치관 변동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와같은 연구를 수행하게된 목적으로 먼저 거시적인 측면에서 대학생(청소년기) 시절에 형성된 규범의식이나 가치관은 일생동안 지속된다는 점과 이 시점에 있어서 올바른 가치관과 자아정체감의 확립이 그들의 청장년기 및 노년기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한다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미시적인 측면으로 대학생들의 가치관은 현실문제에 민감하고, 수용욕구가 강렬함과 동시에 저항의식이 있는데 대학생들의 가치관을 대학생, 신앙관, 이성 및 결혼관, 국가관 등으로 구분하여 어제까지의 결과 (1976-1996)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비교·분석함으로써 그들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하여 효과적인 교육의 목표를 설계하고, 올바른 가치관과 방향을 제시, 대학생활을 효과적으로 영위케 할 수 있는 유익한 자료와 방안추출에 일조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연구내용으로는 이론적 배경으로 가치관의 형성과 대학문화, 사회변동과 대학교육, 시대의 변화상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설문지를 통한 조사영역으로는 대학생활, 신앙관, 이성 및 결혼관, 국가관 등을 알아보았다. 20년 동안 5년마다 실시된 설문지를 통해서 분석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생활로서 대학에 다는 목적은 “좋은 직장을 갖기 위해서”가 전체 평균 3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목원대학교에 들어온 소감은 “그저 그렇다”는 응답이 42.7%로 거의 반수가 긍정적인 호감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다행으로 생각한다”는 28.3%만 응답했는데 이러한 현상은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생활 만족도에서도 “불만족스럽다(40.6%)”, “그저 그렇다(35.5%)”가 역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불만족의 원인으로는 “설비가 부족하다.(33.7%)”, “강의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24.0%)”고 과반수 이상의 학생이 지적하였다. 교육환경에 있어서는 “부적합한 곳이다”고 응답한 학생이 15.8%, 31.4%, 55.6%, 69.8%, 70.4%로 계속 증가현상을 나타냈다. 특별활동에서는 과거에 비하여 “적은 편이다”고 응답한 학생이 감소추세는 보이지만 역시 전체 평균 64.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용돈사용에 있어서는 클럽활동비, 군것질, 술담배(25.5%), 교과서 및 교재구입비(21.8%), 이성교제비(18.4%), 의류, 장신구(17.5%), 운동, 교양, 취미 등 (16.5%)의 순서로 나타났다. 신앙관에 있어 채플의 유익성에 대한 물음에는 40%가 긍정적인 응답, 60%가 부정적인 응답으로 반응하였다. 또한 채플시간의 출석제동 있어서도 “기독교 대학이므로 당연하다”. 가 7.9%만 응답하여 역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바람직한 신앙생활에 있어서도 8.4%만이 “보수적이어야 한다”하고 응답하였으며 “자유로워야한다.”는 62.1%로 아주 높은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채플에 참석한 후 느낀점에 대한 설문에는 15.9%만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기독교 학생의 술담배에 대한 견해에 있어서는 “절대 금해야 한다.”가 단지 15.4%로 나타나 개방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성 및 결혼관에서는 30.7%가 현재 이성교재를 하고 있으며, 결혼관 연애의 구분에 대한 질문에도 31.1%가 “구별해야 한다”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결혼 적정연령에는 36.2%가 “정해놓을 필요가 없다”고 응답하여 현 시대의 상황을 잘 표현해 주고 있었다. 배우자의 전공과 직업에 있어서는 66.9%가 “학력과 직업보다는 인간다와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적인 자녀수에 있어서는 “1남 1녀”가 33.1%로 선호하고. “구별없이 한명”은 24.7%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동거문제에서는 “찬성한다”가 56.9%, “그때가서 생각해볼 문제이다”가 26.0%로 신중하고 합리적인 반응을 보였다. 국가관의 영역중 먼저 정치와 종교와의 관계에 있어서 “분리해야 한다”가 41.3%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으며, “상호 협조해 주는 것이다.”는 37.1%로 역시 높은 반응을 보였다. 국기에 대한 경례에서는 전반적으로 “국가의 상징이므로 해도 좋다.”가 61.1%, 이와 반대로 “엄연히 우상숭배이므로 반대한다.”는 7.7%로의 반응을 나타냈다. 통일 문제에서는 “통일독일의 경우처럼 상호교류가 먼저 선행되면 가능하다”가 57.3%로 가장 많은 반응을 보였으며 “반드시 통일이 된다”는 응답자는 22.6%에 불과했다. 또한 “통일은 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비관적인 반응을 보인 응답자는 8.4%였다. 통일의 시기에 있어서 “6년∼10년”(30.7%), “다음세대”(28.2%), “11년∼20년”(21.9%), “1년∼5년”(13.5%)의 순으로 나타났다.

      • 이호운과 목원대학교의 신학교육

        김흥수 목원대학교 신학연구소 2006 신학과 현장 Vol.16 No.-

        이호운 목사(1911-1969)의 생애는 만주에서 보낸 중고등학교 시절과 국내외 대학에서의 신학수업 기간을 제외하면 교회목회(1936-1941)와 교육활동(1945-1949, 1952-1969)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그는 그의 생애의 가장 중요한 시기인 30대 중반부터 50대 후반까지의 시기를 미국에서 공부했던 3년을 제외하고는 교육활동으로 보냈으며, 그것도 신학교육에 종사했다. 그의 신학교육 활동은 강남대학교(1947-1949), 감리교신학대학교(1952-1956), 목원대학교(1956-1968)에서 전개되었는데, 대전에서는 교수로서 그리고 학교 책임자로서 신학교육을 책임지는 위치에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농촌 교역자 양성이라는 목원대의 신학교육의 목표와 이상을 실험하고 구체화하였다. 이 글은 이호운 목사가 가장 심혈을 기울여 일했던 목원대학교에서의 신학교육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를 살펴보려고 한다. 1950년대에서 60년대에 걸친 목원대학교의 신학교육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제기된 감리교회의 농촌선교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것이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수행하고 그것을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의 전통으로 만든 것은 이호운 목사였다.

      • KCI등재

        신입생 ICT 리터러시 역량진단을 통한 소프트웨어 기초교육 방안 모색

        최정희(Jeong Hee Choi),구진희(Jin Hee Ku)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3

        이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진단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 교양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대전 소재 M대학교의 2021년, 2022년, 2023년 신입생 3,48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ICT 관련 선행학습에 따른 성적 비교, 전공계열별 성적 차이 분석, ICT 리터러시 역량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년간 전체 응답자 3488명 중 940명(27.05%)이 ICT 관련 프로그램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ICT관련 학습 경험 비율이 높은 공과대학, 사범대학, 미술디자인대학은 ICT 리터러시 역량진단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학습 경험비율이 낮은 음악대학, 테크노과학대학은 평균점수가 낮게 나타나 ICT관련 선행 학습 경험은 ICT 리터러시 역량 점수와의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영역별로 정답률을 비교한 결과, 접근영역과 윤리영역의 정답률은 다른 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관리영역과 공유영역은 다소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컴퓨팅 사용환경이 PC에서 모바일로 옮겨가면서 데이터 저장, 소프트웨어의 사용 및 개발 환경 등이 클라우드 컴퓨팅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으로는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에서 블록 코딩 언어의 활용 가능성, 파이썬 언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수요증가를 반영하여 기초 및 심화 교육과정 필요성, 컴퓨터 사용환경 변화에 따른 자원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 필요성 등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s of ICT literacy diagnosis for college freshme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college liberal arts software curriculum based on this. Data collection targeted 3,488 new students at M University in Daejeon in 2021, 2022, and 2023, and compared grades based on ICT-related prior learning, analyzed diff erences in grades by major, and analyzed differences in ICT literacy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940 (27.05%) out of 3,488 respondents over the past three years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 in ICT-related programs. The average score of the ICT literacy competency diagnosis of student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college of education, and college of art and design, who had a high proportion of ICT-related learning experience, was high. While the average score of students at the college of music and college of technoscience, who had a low proportion of ICT-related learning experience, was low. In other words, ICT-related prior learning experience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ICT literacy competency scor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by area,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access and ethics area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areas, bu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management and sharing areas was somewhat lower. These results are believ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as the computing environment is moving from PC to mobile, data storage, software use, and development environments are changing to focus on cloud computing. In addition,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include the possibility of using block coding language in basic software education, the need for basic and advanced curriculum reflecting the increase of social interest and demand for the Python language, and resource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omputer use environment.

      • KCI등재

        대학 토론대회 운영 현황 및 시사점

        박고운(Ko Woon Park),고혜림(Hye lim Koh)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비판적 사고와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을 위한 중요한 활동의 하나로 여겨져 왔던 토론은 현대의 시민사회, 민주사회에 이르러서는 그 의미가 더욱 중요해졌다. 한국에서 대학 토론대회는 1970년대 후반, 대학 연합 토론대회를 시작으로 확대되었다. 다만 초기에는 비판적 사고와 의사소통 능력 강화보다 토론의 문법적 형태를 강조하였다. 1990년대 중반 각 대학마다 토론 동아리 혹은 토론대회 등이 조직되었으며 2000년대에 이르러 토론대회의 질적 수준도 더욱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토론대회 역시 더욱 다양화되었다. 교내 토론대회를 진행하는 대학은 대표적으로 부산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 단국대학교, 부경대학교 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교내 토론대회를 10년 이상 진행한 대학으로 교내 토론대회의 발전된 모델을 제시하면서 역사적으로 교육적으로도 대표성을 띤다고 볼 수 있는 세 곳 대학을 선정해서 비교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로써 본고에서는 부산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충남대학교의 교내 토론대회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대학 교육에의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대학의 교내 토론대회 운영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각 대학의 독서토론대회 운영 실무자와의 인터뷰 및 웹사이트에 게시된 토론대회 자료에 관한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현황 조사는 대학 교내 토론대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대학 교육에 있어서의 토론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며, 교육적 함의를 재확인하는 등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Debate, regarded since ancient Greece as one of the important activities for cultivating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modern civil society and democratic society. University debate competitions in Korea expanded in the late 1970s starting with the university union debate competition. However, in the early days, the grammatical form of discussion was emphasized rather than the strength of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Debate clubs or debate competitions were organized in each university in the mid-1990s, and by the 2000s, the quality of the debate competitions was high. Debate competi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have also become more diversified. Busan National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a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re representative universities that have held on-campus debate competitions for more than 10 years. Among them, we would like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by selecting three universities that are historically and educationally representative while presenting an advanced model for on-campus debate competitions as universities that have held such competitions for more than 10 years. As a resul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on-campus debate competitions at Busan National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university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university's in-school discussion competitions, in this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ractitioners of reading discussion competitions at each university and a content analysis method of discussion competition data posted on their websites was performed. The status survey can provide several improvements such as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university discussion competitions, reminding the importance of discussions in university education, and reaffirming educational implications.

      • 의사소통 공간으로서의 클리닉 현황과 의의

        조용림(Jo, Yong Lim)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18 지식과 교양 Vol.- No.1

        대학생들은 교양과 전공 지식을 극대화하여 사회에 진출하고자 모든 능력을 쏟고 있다. 대학에서는 심화된 전공 교육과 다양한 교양교육으로 그들의 노력에 답하고 있다. 그 길잡이로 교양 교육의 강화를 외치고 있다. 사회적으로 갖추어야 할 필수 요소가 의사소통 능력이기 때문에, 대학 관계자와 학생들은 글쓰기 능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현재 목원대학교에서는 글쓰기․말하기 관련 <토론과 글쓰기>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 교양 필수로 1년 두 학기에 각 2학점씩 개설되어 있으며, 수강 인원은 30명 내외이다. 이 교육과정은 토론(말하기)과 글쓰기가 통합된 수업으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을 위해 마련되었다.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글쓰기 클리닉은 2014년 4월 22일 개소하여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첫 해 294건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매학기500여 건 이상글쓰기 첨삭을진행하고 있다. 글쓰기 클리닉은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이다. 대학 생활에서 많은 쓰는 학술적 글쓰기부터 취업을 위한 실용적 글쓰기를 개인지도 받을 수 있다. 말하기 클리닉은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기초의사소통역량을 높이기 위해 구축되었다. 2015년 개소하여 2017년까지 매 학기 300여 건의 말하기 코칭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대학 재학생을 위한 말하기 코칭 기관은 다른 대학보다 앞서 설치한 것에 큰 의의가 있으며, 이 곳에서는 취업 면접, 대인관계 개선, 정보전달 말하기, 설득하는 말하기, 공감을 위한 말하기 등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말하기 훈련을 할 수 있다. College students are trying their best. They want to build their knowledge of liberal arts and majors and advance into society. University faculties are preparing for students efforts with advanced major education and a variety of liberal arts education. College need for strengthening Liberal arts Education as a guide. That way, students can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college relationships and decision making skills. The Writing Clinic is a nonsubject program for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writing. You can get a lot of academic writing from college life to practical writing for employment. The Speaking clinic were established to improve students speaking skills and to increase basic communication skills. Here you can practic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peaking skills such as job interviews,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formational communication, persuasive speaking, and speaking for empathy.

      • 목원 신학의 방향에 대한 고찰

        박노권 목원대학교 목원신학연구소 2004 신학과 현장 Vol.14 No.-

        목원신학 50년을 지내고 새로운 반세기를 시작하게 되는 이 시점에서, 동문목회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신학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여러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학부의 정원을 축소하고, 학생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던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우수한 학생 모집과 동문과의 관계를 보다 긴밀히 하고자 하는 노력 등이 있어왔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신학대학과 대학원의 교육과정이 긴밀히 연계되어, 학부에서는 철저한 기초소양교육(신학 기초와 교양)을 실시하며, 대학원에서는 전공심화교육과 실천적인 목회 훈련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점차 개선되어가야 할 필요가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서 동문들의 설문조사결과를 근거로 신학대학/대학원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 제언도 하였는데, 앞으로 이런 제언을 가지고 더욱 깊이 토론할 수 있다면 우리 학교의 발전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목원신학이 더욱 뿌리를 깊게 내리고 농촌목회 뿐만 아니라 세계를 품을 수 있도록 나아가기 위해서는 학교측의 노력뿐만이 아니라, 설문조사결과에서 92%의 동문들이 학교일에 적극 돕겠다는 의사를 표현한 것처럼 동문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이번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하고 제어하면서 목원신학의 앞날에 무한한 가능성과 희망이 있음을 보면서, 본 글을 통해 목원신학대학(원)의 모든 동문들이 목원에서의 신학 교육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져본다.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 및 첨삭지도의 현황과 지향점 : 서울시립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곽상인(Gwak, SangIn)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1 지식과 교양 Vol.- No.8

        이 글은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수업 운영방식을 포괄적으로 소개하고, 그 지향점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현재 서울시립대학교의 글쓰기 교육 체계가 어떤 과정을 통해서 구축되었는지를 살필 것이다. 두 번째로 실제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글쓰기 교육이 주차 별로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래서 구체적으로 학생들에게 어떤 과제가 부여되고 어떤 점을 중심으로 하여 첨삭이 이루어지는지를 살필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울시립대학교는 첨삭제도가 있어서 T.A.가 교수자의 첨삭을 돕는다. 이 제도의 시행과정을 살피는 것도 글쓰기 교육의 현장을 드러내는 데 유의미하다고 하겠다. 이상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하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글쓰기 교육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두 영역으로 나뉘어 운영되는 것을 확대해야 한다. 예체능 계열에 속한 학생들을 ‘예체능 계열’로 따로 그룹화해서 운영할 필요가 있겠다. 두 번째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제도의 접근성을 높여서 학생들이 수시로 이 제도를 활용할 수 있게끔 만들어야 한다. 세 번째 첨삭조교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첨삭 수당을 높여야 한다. 학생들과 첨삭조교의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려면 경제적인 투자가 불가피할 것이다. 네 번째 교수자마다 글첨삭 및 평가기준이 달라서 서울시립대학교만의 특성을 담은 표준첨삭표를 만들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to the method of writing classes at the University of Seoul and to examine its direction. To achieve this goal, I will first examine how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system of University of Seoul has been established. Secondly, I will look at what writing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every week at University of Seoul, so specifically, what tasks are assigned to students and what points are focused on correction. Finally, the University of Seoul has an editing system (T.A.) to help teachers to write. The examination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is system is also meaningful in revealing the field of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n order for writing education to proceed more efficiently at University of Seoul, it must be expanded beyond the existing two fields, Humanities Society and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bind the students belonging to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separately into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Secondly, an online Writing-Clinic system should be made more accessible to students so that they can use it any time. Thirdly, the correction allowance should be increased along with education on correction assistants. Economic investment will be inevitabl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correctional assistant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make a standard correction table that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of Seoul. This is because each professor has different standards for writing correction and evaluation. By complementing these problems, more efficient writing education will be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