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JCPOA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란 핵 문제에 대한 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성수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22 중동문제연구 Vol.21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JCPOA(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 and America's reversibility to JCPOA in the future. Its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ly, to examine the character of JCPOA from a perspective of ‘solutions to international conflict’ based on constructivism theory. Secondly, to analyze the key components of nuclear problems between Iran and America from a constructive perspective. Thirdly, to lay the foundations to analyze US policy toward the Middle East by recognizing how they proceeded with nuclear negotiations with Iran. The JCPOA was seen as one of the Obama administration's main achievements, but it was decimated when President Donald Trump unilaterally withdrew in 2018. However, since Biden's election as president, he has been making steady efforts to revive the proces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se two parties. 본 연구는 JCPOA(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와 향후 미국의JCPOA 복귀가능성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며,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주의 이론에 입각하여 '국제분쟁 해결'의 관점에서 JCPOA의 성격을 고찰한다. 둘째,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이란과 미국 간의 핵 문제의핵심 요소를 분석한다. 셋째, 이란과의 핵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어 욌는지를 인식함으로써 미국의 중동정책을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JCPOA는 오바마 행정부의 주요 성과 중 하나로 여겨졌으나, 2018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탈퇴하면서 와해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두 당사자 간의 갈등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KCI등재

        중동 난민을 바라보는 내부자적 시선: 시리아 난민 다큐멘터리 영화를 중심으로

        김수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21 중동문제연구 Vol.20 No.1

        Political conflict and anti-refugee sentiment on the refugee issue lead to a specific imagining of refugees. After the civil war in Syria, sparked by the 2011 Arab Spring, a number of documentary films related to the Syrian crisis and refugees have been produced both in and outside Syria.Based on Deleuze's perception that the cinematic movement-image stimulates human thinking,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Syrian Civil War and refugees which are reproduced in documentary films and attempts to reflect them through insider perspectives. Seven documentary films, including the films ”Taste of Cement” and ”One Day in Aleppo”, observe the situation in Syria as a mirror of self-reflection and self-projection. With insider perspectives these movies constantly force us to think and make us explore the implications between records and memories. The movies also urge the world to break through intentional oblivion and silence and recall memories of the Syrian crisis. 난민 문제에 대한 정치적 갈등과 반(反)난민 정서는 난민에 대한 특정한 이미지화와 함께 진행된다. 2011년 아랍 민주화 운동으로 촉발된 시리아 내전 및 난민과 관련한 다수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이 시리아 국내외에서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영화적 운동 - 이미지가 인간의 사유를 자극한다는 들뢰즈의 인식 위에 시리아 내전과 난민의 양상이 관련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재현된 방식을 살펴보고, 자기성찰을 통한 내부자적 시선으로 바라본 난민 스스로의 모습을 주제적·심리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영화 <시멘트의 맛>과 <알레포의 하루>를 포함한 7개의 다큐멘터리 영화는 자기 성찰과 자기 투사의 거울로서 시리아 사태를 관찰하며 내부자적 시선으로 우리에게 끊임없이 사유함을 던져주며 기록과 기억 사이의 함의를 오가게 만든다. 또한, 전 세계를 향해 의도적 망각과 침묵을 깨고 시리아 사태에 대한 기억을 소환해 낼 것을 촉구하고 있다.

      • KCI등재

        미·중 전략경쟁에 따른 위협인식 변화와 이스라엘-중동 외교 관계

        백승훈,김영빈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22 중동문제연구 Vol.21 No.1

        From its inauguration, the Biden administration has been trying to restore the U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politics. Biden administration assessed that the alliance system had been severely damaged by Trump's isolationist foreign policy. The US has declared that it will revive traditional liberalism and provide international norms through multilateral partnerships in dealing with global issues. However, U.S.-China relations continue to collide in the Middle East, showing an aspect of hegemonic competition. Within this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the change of the US position on the agendas of Middle East such as FDI, regional security, the JCPOA, and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are becoming important variables in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Middle East. Thu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Israel's Middle East foreign policy under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by utilizing the concept of threat perception,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foreign policy decisions and decision-making process. Moreover, this paper will analyze how the change of Israel's domestic politics and the threat perception is affecting neighboring countries’ foreign policies concerning Israel. 최근 미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슈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미국의 지도력 회복에 힘쓰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립주의 대외정책으로 인해 동맹 시스템이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고 판단하였다. 미국은 전통적인 자유주의적 세계관을 부활시켜 전 세계적 영향을 미치는 의제들에서 다자간 협력체계 및 동맹을 통한 미국 중심의 국제 규범을 다시 제공하겠다고 천명하였다. 하지만 미·중 관계는 다양한 분야, 다양한 지역에서 지속해서 충돌하고 있으며, 헤게모니 경쟁의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이러한 미-중 전략경쟁 구도 내에서 중동 역내 사안에 관한 미국의 입장 변화는 중동의 정치 역학 및 국제 관계에 아주 중요한 변수이다. 본 연구는 외교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끼치는 위협인식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미·중 전략경합 하의 이스라엘 중동 외교정책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또한, 이스라엘의 내부 정치 변동과 위협인식 변화가 주변국 외교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것인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위기의 중동, 미디어의 역할과 과제 -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

        김수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16 중동문제연구 Vol.15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ole of social media in the pro-democracy movements of the Middle East for the past 5 years between 2011 and 2016, and to propose its future role and prospects. For this aim, it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cial media users’ communication action in Egypt and Tunisia. Social media has changed and developed over the past five years under different political environments, wielding influences on social media users in the Middle East. This paper argues that socio-political crises drive people’s active and extensive participation. Considering the media’s importance and the future of democracy in the region, it asserts that the region requires legal protections for media, standardized media law, and private media aside from state-led media.

      • KCI등재

        아랍의 봄 이후 중동발 이주와 한국 내 예멘 및 아프가니스탄 난민 지위에 대한 소고

        백승훈,조정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23 중동문제연구 Vol.22 No.1

        The turmoil of the decade after the 2011 Arab Spring has changed the migration patterns of MENA that had long been a frequent phenomena of the region since early human civilization. Traditional dispersal was concentrated between MENA countries, and from MENA countries to Europe or North America. However, since 2011, as migration from the Middle East hasbeen dealt as human security and national security agendas of host countries, migration destinations for nationals from MENA countries have diversified. T the number of immigrants has increased from MENA countries to Korea after the Arab Spring. Therefore, based on international law, this study examines how to understand migration from the MENA countries after the Arab Spring and analyses the influx of Yemenis and Afghans which had a great impact on Korean society in 2018 and 2021. Through the legal analysis on the settlement of special contributors of Afghanistan and humanitarian stay permit to Yemeni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possible policy recommendations on refugees and immigration policies of Korea. 아랍의 봄 이후 10년의 혼란기는 오랜 세기 전부터 MENA 지역에서 빈번히 행해지던 이주 행태까지 변화시켰다. 기존의 이산은 MENA 지역 국가 간, MENA 지역 국가에서 유럽으로 혹은 북미 지역으로 집중되었었다. 그러나 2011년 이후부터는 중동발 이주 문제가 수용국의 인간안보, 국가 안보의제로 다루어지고, 기존의 주요 MENA 발 이주민 수용국의 이민 정책이 엄격해짐에 따라, MENA 지역 국가 국민의 이주 종착지는 다변화되었다. 아랍의 봄 이후 대한민국으로 유입되는 MENA 지역국가 국민의 증가가 그 실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법을 바탕으로 아랍의 봄 이후 벌어진 중동발 민족이산, 특히 경제적·정치적 또는 전쟁 난민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를 조망하고, 2018년 우리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던 제주 예멘 인도적 체류자 유입 사태와 2021년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정착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중동 지역 이주민들의 수용에 있어 한국의 난민 및 이민 정책의 보완점 및 함의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러시아의 시리아 내전 정책과 중동 영향력 확대 모색

        김강석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22 중동문제연구 Vol.21 No.2

        Given the foreign policy of Vladimir Putin supporting revival of a strong Russia, this study examines how Russia's intention to expand its influence in the Middle East was reflected in its policy on the Syrian Civil War. Russia’s intervention in the Syrian Civil War went beyond defeating ISIS, and instead was intended to provide a bridgehead for entry into the Middle East by defending the geopolitically important Assad regime. In addition, Russia attempted to secure its political position as a mediator of conflicts by leading various diplomatic initiatives. Above all, Putin sought to establish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major regional political actors such as Iran and Turkiye, which could contribute to Russia’s expansion of influence in the Middle East. 본 연구는 강한 러시아를 꿈꾸는 푸틴의 외교정책의 관점에서 러시아가 시리아 내전 기간 중동 영향력 확대를 위해 어떠한 전략을 모색했는지 분석하였다. 우선, 러시아의 시리아 군사 개입은 ISIS 격퇴 차원을 넘어 지정학적 중요성을 지닌 시리아 아사드 정권 수호를 통해 중동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정치적 의도를 갖고 추진되었다. 이외에도 러시아는 다양한 외교적 플랫폼을 주도하며 갈등의 중재자로서 정치적 입지를 확보하려 했다. 무엇보다 푸틴은 이란과 튀르키예와 같은 역내 주요 정치행위자들과의 협력관계 구축을 도모했다. 이와 같은 푸틴의 시리아 내전 정책들은 러시아의 중동 영향력 확대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마그립의 서브사하라 아프리카인 이주 문제: 이슬람의 인종주의 담론과 튀니지의 <반인종차별법>을 중심으로

        김효정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22 중동문제연구 Vol.21 No.1

        Ever since the mid-2000s, the migration of Sub-Saharan Africans into the Maghreb in North Africa has rapidly increased. Continuous emigration from Sub-Sahara Africa has occurred because of internal problems such as political instability, poverty and famine as well as external factors, namely restrictive emigration policies in European countries. Given this, the destination of the expatriates changing to the Maghreb. In 2018, the Anti-Racial Discrimination Law was enacted first by Tunisia in Arabian Islamic countries and reflects today’s reality just as it is-This is a bit confusing. Has the same law been enacted in other countries too?. This study, as a part of regional research on Maghreb, looks into the migration of Sub-Saharan Africans, which emerges as a social issue, and Tunisian society’s view and policy about it. The researcher aims to look into the present situation of African migrants in Tunisia in the Maghreb and analyze the country’s policy and system. 2000년대 중반 이후 사하라 이남, 서브사하라(Sub-Sahara) 아프리카인들의 북아프리카 이주가 증가하고 있다. 2018년 아랍국가 중 인종문제와 관련하여 최초로 제정된 튀니지의 <반인종차별법>은 서브사하라 아프리카인들의 마그립 이주 및 정착과정에서 불거진 사회적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은 튀니지를 대상으로 이 지역으로 유입되는 서브사하라 아프리카인 이주의 현상과 배경, 그리고 이들에 대한 마그립(튀니지)인들의 사회적 인식과 <반인종차별법>을 중심으로 한 문제해결 노력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마그립 이주 문제의 새로운 현상을 분석한다는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이슬람 사회가 다른 인종에 대해 어떠한 시각을 지니고 있는지, 유입된 이주자들의 문화 적응에 무슬림들은 어떠한 반응과 대책을 세우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트럼프의 중동 평화안, ‘번영을 위한 평화’와 역내 정치

        홍미정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22 중동문제연구 Vol.21 No.1

        This paper aims to gauge the realistic goal of the Trump Middle East Peace Plan by comparing and analyzing it with the Oslo Agreement and Road Map. This paper analyzes and utilizes data of various perspectives from public institutions, research institutes, and newspapers based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Nations, Israel, Palestine, the United Kingdom, Saudi Arabia, Qatar, Turkey, Egypt, Morocco, and France. This paper analyzed Trump's Middle East peace plan and Israeli, Palestinian, Arab States's responses to it. In particular, this paper identifies Israel's strategy of dividing Palestinians and the Middle East by analyzing different policies of Saudi Arabia and Qatar for Hamas, which Trump's peace plan identified as a terrorist to threat Israel's security. This paper argues that the goal of the Trump Middle East peace plan is to deprive Palestinians of territorial sovereignty and strengthen Israel's regional influence. -I’m not sure why this abstract is divided into 4 paragraphs, but for some reason I can’t change it. This should all be one paragraph. 본 논문은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한 중동평화안을 오슬로 협정 및 로드맵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트럼프 중동평화안의 현실적인 목표를 가늠해 보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은 미국, 유엔,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터키, 이집트, 모로코, 프랑스 소재 공공 기관, 연구소, 신문들에서 나온 다양한 시각의 자료들을 분석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트럼프의 중동 평화안, ‘번영을 위한 평화: 팔레스타인인들과 이스라엘인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비전’과 트럼프 평화안에 대한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아랍국가들의 대응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트럼프의 평화안이 이스라엘의 안보를 위협하는 테러 단체로 명시한 하마스에 대한 사우디와 카타르의 서로 다른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및 중동 분할 통치 전략을 밝혀낸다. 트럼프 중동 평화안의 목표는 팔레스타인의 영토 주권을 박탈하고, 이스라엘의 역내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글로벌 시장에서의 중동 석유산업 분석: 강점과 약점 및 기회와 위협 요인을 중심으로

        신상윤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19 중동문제연구 Vol.18 No.4

        This study analyzes the Middle East’s oil industry with the SWOT technique, by investigating its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The industry’s strengths include its reserves, low production costs, and the ability to form alliances with other oil-producing countries. Meanwhile, geopolitical risks and the region’s dependence on oil serve as weaknesses of the industry. Opportunities encompass efforts to develop technologies for the clean use of oil and an expansion of the global petrochemical industry. However, the shale revolution and climate change pose serious threats. Overall, the status of the Middle East’s oil industry will not quickly reduce soon. The oil-producing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re trying to achieve their goals of balanced growth by overcoming the weaknesses and threats, and by taking advantage of the strengths and opportunities. 본고는 분석 대상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해서 장점과 단점, 기회와 위협을 살펴보는, SWOT기법을 활용하여 중동 석유산업을 분석한다. 중동 석유산업이 가진 강점은 매장량, 낮은 생산 원가, 그리고 다른 산유국들과도 연대할 수 있는 능력이다. 반면 불안정한 지정학적 위험, 그리고 높은 석유의존도는 중동 석유산업의 약점으로 작용한다. 기회 요인으로는 CCUS 기술을 필두로 하는, 석유의 청정이용을 위한 기술 개발 노력과 각국의 정책적 지원, 그리고 향후 석유 수요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글로벌 석유화학 산업의 확장을 들 수 있으나, 셰일 혁명과 기후변화 대응은 강력한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동 석유산업이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그 중요성은 향후 상당 기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중동 산유국들은 석유 산업과 비석유산업의 균형있는 성장을 모색하면서, 서로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강점, 약점, 기회, 및 위협 요인들에 대하여, 약점 및 위협 요인들을 극복하고 강점과 기회 요인을 활용함으로써 기대하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KCI등재

        이란 영화 대본 분석을 통한 ‘rā’의 활용과 교육 연구

        곽새라,이세은,추다연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22 중동문제연구 Vol.21 No.3

        The postposition rā, which is traditionally considered a direct object case assigner and a marker for definiteness or specificity in Persian, is a difficult grammatical element for learners because of its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However, the way to teach this element has not been studied thoroughly. In this paper, we critically review previous linguistic analysis and textbooks on this element in order to see whether the analysis is useful for the learners. In addition, based on the pattern of errors in the use of rā by Korean learners of Persian, this paper is finds that the learning materials should provide concrete and explicit explanations of the element. Accordingly, the phrase or structures in which rā is used are classified and presented in detail, taking Iranian film scripts as a corpus since those scripts can provide various semantic and pragmatic contexts of rā. 페르시아어에서 전통적으로 직접목적격을 할당하고, 한정적, 특정적의미 속성을 갖는다고 분류되는 후치사 rā는 의미, 화용적 특성으로 인하여 학습자들이 습득하기 어려운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그 교육에 대한 방안은 그간 연구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rā에 대한 기존의 언어학적 분석과 어학 교재에서의 이 요소에 대한 설명이 학습자들의 rā 학습에 유용하게 사용되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인 페르시아어 학습자들의 rā 사용에 대한 오류 양상을 바탕으로 해당 문법 요소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시적인 설명, 그리고 해당 요소가 사용되는 구문의 빈도수에 따라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야 함을 파악하였다. 이에 rā 사용 문맥을 다양하게 추출할 수 있는 이란의 영화 대본을 코퍼스로 삼아 rā가 사용된 환경을세밀히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