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학적 폐 손상시 상피세포 장벽의 특성

        서덕준,김준연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1992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1

        폐 상피세포 장벽은 다른 tight한 생체세포의 장벽에서와 마찬가지로 높은 조직저항을 보이며, 따라서 용매와 용질의 이동을 극히 제한한다. 이러한 수동적인 장벽의 특성은 폐의 여러조건에 의하여 심하게 변할 수 있으며 요즈음 폐 상피세포 손상의 장애시 그 기전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정상적인 tight 한 폐 상피세포 장벽은 간질액과 혈관내로 부터 용질이 빠져 나오는 것을 막음으로써 폐의 일차적인 기본 기능인 기체교환을 하는데 있어 정상적으로 폐표면을 항상 건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결과는 거의 모두가 작은실험 동물들의 전체 폐를 이용한 것으로 그 기전을 알기가 어렵고, 인체의 폐 상피세포에서의 물질이동에 대한 특성은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화학물질에 의한 인체 폐 부종의 기전을 알기 위하여 여러 실험 모델에서 얻은 결과를 통하여 추후 진단 및 그 자료 방침을 정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lveolar epithelial barrier permits only restricted passage of solutes examplified by a high resistance and equivalent pore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other tight biological barriers. These passive barrier properties may be markedly altered after insults to the lung, perhaps providing insights into the mechanisms of alveolar epithelial injury. The normally tight alveolar epithelium serves as an effective barrier against the leak of solutes from interstitial and vascular spaces into alveolar spaces, thereby helping to maintain the normal "dry" environment required for efficient gas exchange. Until recently, the majority of investigations of alveolar fluid balance relied on intact lung models.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se intact mammalian lung studies in vivo and in vitro, if useful, can be difficult to interpret mechanistically, largely because of the anatomical complexity of the lung. For more precise information about alveolar epithelial properties, studies of isolated preparations have been done, providing useful additional approaches to underlying transport mechanisms and pathways in the alveolar-capillary wall. In this review article, I introduced the methods being used for study of barrier function in addition to intact lung investigation. And I discussed the barrier properties of the alveolar epithelium relevant to alveolar fluid balance in chemically injured lung, citing the pertinent supporting experimental data where appropriate.

      • 실내 NO₂농도 및 NO₂개인 폭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Centering University and Personnel in Pusan 부산지역 모 대학교 및 교직원과 학생을 대상으로

        김동일,김준연,홍대용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1992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1

        부산의 도심지역에 위치한 모 대학교 및 교직원과 학생을 대상으로 1990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NO₂개인 폭로량과 그들이 활동하는 강의실, 연구실, 실험실, 사무실 등의 실내 NO₂농도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NO₂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난방형태, 난방기 가동시간, 환기형태, 조사장소의 면적, 연료소비량, 흡연습관 등의 변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NO₂에 대한 영향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영향인자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분류 해석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내 NO₂총 평균농도는 27.5±20.2 ppb 였으며, 각 건물마다 NO₂평균농도는 차이가 있었다 (p<0.05). 2. 난방기를 가동하는 장소에서 가동하지 않는 장소보다 NO₂농도가 높았으며, 발열식 보다 대류식 난방기를 사용하는 곳에서 NO₂농도가 더욱 높았다(p<0.05). 3. 창문을 열어서 환기를 하는 것이 실내 NO₂농도를 낮추는 데 효과가 가장 컸다. 4. 실내 NO₂개인 폭로량은 평균 57.8±41.0 ppb 였으며, 건물의 위치에 따라 NO₂개인 폭로량에 차이가 있다(p<0.05). 5. 교직원이 학생보다 NO₂개인 폭로량이 많았다(p<0.05). 6. 난방기를 가동하는 곳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은 가동하지 않는 곳에서 근무하는 사람들보다 NO₂개인 폭로량이 많았다(p<0.05). 7. 난방기 가까이에서 근무는 사람은 난방기에서 떨어진 사람보다 NO₂개인 폭로량이 많았다(p<0.05). 8.실내 NO₂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각 건물간 영향이 가장 컸으며, 다음이 난방형 형태, 환기형태 순이었다. 9. NO₂개인 폭로량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각 건물간 영향이 가장 컸으며, 다음이 난방형태, 난방기로부터 거리 순이었다. 10. 겨울철 실내에서 난방기를 가동할 때에는 환기(특히 창문을 이용)를 하는 것이 실내 NO₂농도를 낮추는 데 효과적이며, 난방기로부터 되도록 떨어져 생활하는 것이 NO₂개인 폭로량을 줄이는 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Indoor air quality is very important to human wellbeing because people spend much of their time indoors, in some cases indoor air quality i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at of outdoor. Many energy conservation strategies for residences involve reducing house air exchange rates. Reducing the air exchange rate of house can cause an increase in pollutant levels if there is an indoor pollution source. Recently nitrogen dioxide( NO₂)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indoor air pollutants. In this study, indoor NO₂levels were measur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evaluation and control on the health effect relevant to NO₂levels. The levels of NO₂were measured by the Palmes method on 279 subjects in a university located in Pusan city from February to March 199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indoor NO₂level was 27.5±20.2 ppb. 2. Personal NO₂exposure level was 57.8±41.0 ppb. 3. The mean indoor NO₂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at room with heater than without heater and significantly lower at vented room than in unvented room. 4. The personal NO₂exposur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at group with heater than without heater. 5. The factors affecting indoor NO₂concentration and personal exposure levels were location(by building), heating facility, mode of ventilation, residents(by building), distance from heater by the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artificial ventilation and distance away from heater were effective means for reducing indoor NO₂levels and personal NO₂exposure levels.

      •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이중-헴머형(Double-hammer type) 임펙트 렌치와 오일-펄스형(Oil-pulse type)임펙트 렌치 에어공구의 국소진동가속도 및 소음수준

        정재열,김정만 동아대학교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1997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산업발전 특히 자동차 생산량 증가에 따라 자동차의 대부분의 조립라인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에어공구 중 이중-헴머형 임펙트 렌치와 오일-펄스형 임펙트 렌치를 대상으로 국소진동가속도 및 소음 수준 그리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공학적 연구를 하여 앞으로 국소 진동가속도 및 소음수준에 대한폭로 및 공학적 자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자동차 조립라인(B/C 라인, TRIM 라인, 샷시 라인, 파이날 라인, 변속기 라인 등)에서 임펙트 렌치를 이용하는 작업자로 이중-헴머형(double-hammer type) 임펙트 렌치를 이용하는 작업자 34명, 오일-펄스형(oil-pulse type) 임펙트 렌치를 이용하는 작업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여 작업시 오른손과 왼손에서 국소진동가속도 및 소음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공정변수로 하루당 제품생산량, 단일공정에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볼트 또는 너트를 1 개 죄는데 소요되는 시간, 하루당 전체폭로시간, 단일공정에서 이용되는 볼트 또는 너트의 갯수 그리고 공구변수로 볼트 또는 너트의 용량, 분당공기소요량, 공구의 무게, RPM을 고려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오일-펄스형 임펙트가 볼트 또는 너트 1개를 죄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2.19초로 헴머형 임펙트의 2.47초 보다 짧게 소요되었으나 볼트 또는 너트를 1 공정주기 동안에 죄는 갯수가 많아 하루당 전체폭로 시간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2. 오일-펄스형 임펙트 렌치는 이중-헴머형 임펙트 렌치보다 볼트 또는 너트의 용량이 클때 이용되는 경향이 있었고 RPM이나, 분당에어소요량이 많아 임펙트의 볼트 또는 너트를 이중-헴머형 임펙트 렌치로 1개를 죄는데 필요한 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오일-펄스 임펙트 렌치의 소음 수준이 이중-헴머형 임펙트 렌치의 소음수준보다 약 8dB(A)정도 낮았다. 3. 오른손에 대해 이중-헴머형 임펙트 렌치에서는 Zh축이 8.24m/sec², 오일-펄스형 임펙트 렌치에서는 Xh축이 2.59m/sec²으로 가장 높은 국소진동가속도수준은 나타냈다. 왼손에서는 이중-헴머형 임펙트 렌치의 Xh 축이 9.60m/sec², 오일-펄스형 임펙트 렌치에서는 Yh축이 3.23m/sec²으로 가장 높은 국소진동가속도수준을 나타냈다. 4. 이중-헴머형 임펙트 렌치에서는 Xh, Yh, Zh 3축에서 오른손보다 왼손에서 공히 국소진동가속도 수준이 높았으며, 오일-펄스형 임펙트 렌치에서는 Xh축에서는 오른손이 Yh축에서는 왼손이 Zh에서는 왼손이 높은 국소진동가속도수준을 나타냈다. 5. 이중-헴머형 임펙트 렌치와 오일-헴머형 임펙트 렌치에서 공히 3축 중 Y축의 왼손과 오른손의 국소진동가속도수준의 상관계수가 각각 0.76, 0.86으로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제시되었다. 6. 반복성(repetitiveness)의 척도로서, 공정 1주기 동안에 볼트 또는 너트의 숫자에 대한 전체하루폭로시간을 표시하여 반복성과 진동폭로사이에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는데 공정 1주기 동안에 볼트 또는 너트의 갯수와 전체하루폭로시간에 대한 상관계수는 이중-헴머형 임펙트 렌치에서 0.84, 오일-펄스형 임펙트 렌치에서 0.50이었다. 7. 이중-헴머형 임펙트 렌치와 오일-펄스형 임펙트 렌치에서 전체가속도수준과 공구변수의 관계를 볼때, 오른손에서는 분당에어소요량, 왼손에서는 볼트 또는 너트의 용량이 공통적으로 설명력이 높은 변수이었다. 이중-헴머형 임펙트 렌치와 오일-펄스형 임펙트 렌치에서 소음에 대한 공구변수의 관계를 볼때, 분당공기소요량이 공통적으로 설명력이 높은 변수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troduce fundamental data of hand-arm vibration and noise exposure levels with impact wrenches(double-hammer impact wrenches and oil-pulse impact wrenches) used in automobile assembly lines considering the process variables and tool variables In studing, products per day, required time screwing the bolts or nuts per bolts or nut were considered as process variables, and capacity of bolts or nuts, air consumptions per minute, tool weights, RPM were considered as tool variables. Hand-arm vibration levels of 3 axis in each hand were measured using the instruments compling with ISO/DIS 5349 and noise levels were measured using a noise logging dosime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Required time to screwing the bolt or nut by oil-pulse impact wrenches is shorter than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but total daily exposure time of oil-pulse impact wrenches was higher than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because the number of bolts or nuts per cycle was many. 2. Oil-pulse impact wrenches have been used to screwing the large bolt or nut in comparing with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and required time to screwing the bolts or nuts were shorter than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because oil-pulse impact wrenches were using high RPM and large air consumption per minute. Noise level of oil-pulse impact wrenches was 8 dB(A) lower than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3. Dominant hand-arm vibration levels of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in each hand were 8.24 m/sec²of Zh axis in right hand and 9.60 m/sec²of Xh axis in left hand. Dominant hand-arm vibration level of oil-pulse impact wrenches in each hand was 2.59 m/sec²of Xh axis in right hand and 3.23 m/sec²of Yh axis in left hand. 4. In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corresponding hand-arm vibration levels of Xh, Yh, Zh axis in left hand were higher than hand-arm vibration levels of right hand in 3 axis. In oil-pulse impact wrenches, Xh axis of right, Yh axis of left, Zh axis of left were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hand-arm vibration levels of Xh, Yh, Zh axis in right and left hand. 5.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Xh, Yh, Zh axis of right and left hand hand-arm vibration levels in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and oil-pulse impact wrenches were commonly high in Yh axi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Yh axis in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and oil-pulse impact wrenches were 0.76 and 0.86, respectively. 6. As a measure repetitiveness, plotting total daily exposure time with the number of bolts or nut per cycle, direct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repetitiveness and hand-arn vibration exposur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number of bolts or nut per cycle and total daily exposure time in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oil-pulse impact wrenches were 0.84 and 0.50, respectively. 7. Considering the total acceleration level and tool variables in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and oil-pulse impact wrenches, air consumption in right hand, and bolt or nut capacity in left hand were commonly the variable that explainability was high. Considering the noise and tool variables in double-hammer impact wrenches and oil-pulse impact wrenches, air consumption per minute was-commonly the variable that explainability was high.

      • 유기용제 취급 사업장의 톨루엔 농도와 근로자들의 요중 마뇨산 배설량과의 관계

        김동일,김성희,이행렬,정갑열,이선우,김정만,유화순,김준연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1992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1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인쇄공장의 코팅부서, 신발공장의 제화부서 및 기계정비공장의 도장부서의 기중 톨루엔 농도와 근로자들의 요중 마뇨산 배설량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1990년 5월 1일부터 1991년 4월 30일까지 부산의 모 대학교 부속병원 건강관리과에서 특수건강진단을 받은 유기용제 취급부서 근로자 551명(폭로군)과 유기용제 취급부서가 아닌 곳에 근무하는 일반 사무직 근로자 56명(대조군)을 대상으로 작업종료 직후의 요중 마뇨산 농도 및 잡업종료 상당시간(1시간-24시간) 경과후의 요중 마뇨산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동시에 이들이 근무하는 작업부서의 기중 톨루엔 농도 및 특수건강진단 개인표를 참고로 신장, 체중, 혈색소, GOT, GPT 등도 함께 조사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폭로군과 대조군의 혈색소, GOT, GPT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1). 2. 작업종료 직후의 요중 마뇨산 농도는 폭로군에서 남자가 0.91±0.67g/l, 여자가 1.67±1.06g/l 이었으며 대조군은 남자가 0.46±0.21g/l, 여자가 0.49±0.24g/l로서 폭로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3. 작업 부서별 작업종료 직후의 요중 마뇨산 농도는 코팅부서가 남자 1.16±0.82g/l, 여자 2.55±0.16g/l이었고, 제화부서가 남자 0.98±0.58g/l, 여자 1.70±1.06g/l이었으며 도장부서는 남자 0.59±0.35g/l, 여자 0.74±0.56g/l로서 각 부서에서 공히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4. 작업종료 직후의 요중 마뇨산 농도가 1.0-1.9g/l 인 근로자들이 근무하는 작업부서내의 평균 기중 톨루엔 농도는 55.26±17.36ppm이었고, 2.0-2.9g/l에서는 81.12±22.34ppm 및 3.0-3.9g/l에서는 117.52±26.04ppm 의 톨루엔 농도를 정하였다. 5. 작업종료 기중 톨루엔 농도는 코팅부서 54.74±58.42ppm, 제화부서 53.84±28.28ppm , 및 도장부서 20.73±13.97ppm 의 순이었다. 6. 작업종료 직후의 요중 마뇨산 농도가 3.0g/l이상인 근로자들의 작업종료 상당시간 경과후 요중 마뇨산 농도는 모두 3.0g/l 미만이었다. 7. 작업부서내의 기중 톨루엔 농도(X)와 작업종료 직후의 요중 마뇨산 배설량(Y1)간의 상관관계수(r)는 0.8191(p<0.01)로서 정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회귀방정식은 Y1(g/1)=0.2985+0.0207X(ppm)이었다. 8. 작업부서내의 기중 톨루엔 농도(X)와 작업 종료 상당기간 경과 후 요중 마뇨산 배설량(Y2)간의 상관관계(r) 는 0.2954(p>0.01)로서 상관성이 낮았다.

      • Prevalence of Hepatitis C Virus Genotype as a Risk Factor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usan, Korea

        SHIN,Hai-Rim,SONG,Jue-Bok,SHIN,Woo-Won,JUNG,Kap-Yeol 동아대학교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1999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4

        최근 노년기에 간암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으로 보고된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 HCV)의 각종 간질환에서의 genotype 분포와 간염의 위험요인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동아대학병원 건강관리과에서 종합건강진단을 받기 위하여 내원한 검진자 중에서 anti-HCV 양성인 사람(28명), anti-HCV 양성인 헌혈자(7명) [35명, Carrier군] 및 동병원 내과에 입원하였던 만성간질환 환자들 [만성간염과 간경화증 환자 93명 (Chronic liver disease: CLD군), 간세포암 환자 78명(Hepatocellular carcinoma: HCC군)]이었다. 연구방법은 각각의 연구대상자군별로 연령 및 B형 간염 표식자, anti-HCV 양성률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간질환의 위험요인의 양성률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전제 anti-HCV 양성인 연구대상자 중에서 40명의 혈청에서 genotyping ELISA방법으로 HCV genotype을 조사하였다. CLD군과 HCC군 모두에서 anti-HCV 음성인 경우 anti-HCV 양성인 환자들에 비해 HBsAg 양성률이 높았으며, anti-HBs 양성률은 더 낮았다. HBsAg 양성인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CLD군 43.8세, HCC군에 53.4세로 anti-HCV 양성인 환자들의 평균연령보다 낮았다 (CLD군 49.6세, HCC군 62.8세). 간 질환의 위험요인이라고 알려진 과거 수술력, 수혈력, 침을 맞은 과거력들은 Carrier, CLD, HCC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0명의 anti-HCV 양성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HCV genotype을 조사한 결과 SG-1 type이 47.5%로 가장 많았으며, SG-2 type은 35.0%였다. SG-1/2 type은 7.5%, SG-ud는 10.0%를 차지하였다. 이들에 대해서는 polymerase chain reaction, HCV RNA sequencing 등을 통한 분석이 더 필요하다고 하겠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만성간염, 간경화에서 간세포암으로의 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이라고 할 수 있으며, 부산지역의 C형 간염 바이러스 중에서 SG-1형이 가장 많았다. 앞으로 간염 표식자들이 양성인 사람들에 있어서는 정기적인 추적조사로 간세포암으로의 진행을 조기 발견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HCV genotype과 간세포암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epidemiologic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hepatitis C virus(HCV) genotype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known risk factors and chronic liver diseases in Pusan, Korea. The blood donors(n=7) and health check-up examinees(n=28) with positive anti-HCV were recruited as carrier group(carrier, n=35). Those who took anti-HCV test(ELISA, Lucky HCD 3.0) among in patients from September, 1995 at December, 1996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were divided into chronic liver disease group(CLD, n=93)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group(HCC, n=78). Among anti-HCV negative subjects, the hepatitis B surface antigen(HBsAg) positive rates(73.7% in CLD, 80.0% in HCC) were higher than those of anti-HCV positive subjects(11.4% in CLD, 7.1% in HCC). The average age was younger in HBsAg positive cases(43.8 years in CLD, 53.4 years in HCC) than in anti-HCV positive cases(49.6 years in CLD, 62.8 years in HCC) The Positive rates of past histories of surgical operation, acupuncture, and transfusion among anti-HCV positive cases were higher than those of negative cases(p<0.01). Most prevalent HCV genotype tested by genotyping ELISA was SG-1(47.5%). The mean ages of each HCV genotyp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Most prevalent risk factor among each HCV genotype was acupuncture history. From this study, HCV genotype SG-1 was found to predominate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C hepatitis.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HCV genotype. More research to evaluate the HCV genotype and the role of liver diseases, especially of the hepatocellular carcinoma are needed.

      • 일부 중공업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에 관한 조사

        최무룡,백종민,김준연,김정만 동아대학교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1995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2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the extablishment of effectivce industrial safety programmes i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mpanies, accident records for 366 injured worker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1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incidence rate of industrial accidents was 2.98% per year 2. Accidents were common in the workers who are in thirties and twenties. 3.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services, the workers with jobs on above than 3 years was the most frequent victims(64.2%) 4. According to the view point of working time, the highest incidence was observed just before the end of the work(17:00-19:00). 5. According to the month of year, the incidence was higher in August(14.0%)and May(14.2%), and lowest in january(3.3%) 6. The most common type of accidents was overexertion(24.9%). 7. According to the job, the highest incidence was observed fabrication. 8. According to the site of injuries, the incidence was higher the truck (27.0%) and fingers(25.1%).

      • Palmes Tube를 이용한 지역별 NO₂농도와 직종별 NO₂개인 폭로량에 관한 연구

        김준연,박순우,김동일,장봉기,정경동,김두희,홍대용,정갑열,김용규,이종섭,유일수,김정만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1992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1

        Indoor air quality is important to human wellbeing because people their spend much of time indoors. Current efforts to reduce ventilation rates in building may conserve energy but may also passibly empair human health and welfare through increased levels of indoor contaminants. Nitrogn dioxide( NO₂)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indoor air pollutants. This report updates the assessment of NO₂concentrations at indoor & vehicle road and personal NO₂exposure levels by job groups in four urban cities. NO₂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the diffusion tube method on 671 subjects in four cities(Pusan, Taegu, Chinju. Iri) from Dec. 1988 to Feb, 1989 and from Dec. 1989 to Feb. 1990. The results of the study obtained were as follows. Ⅰ. Indoor & vehicle road NO₂levels 1. The mean NO₂level was 37.8±19.6(8∼189)ppb and the highest with 42.2±20.5ppb at Bus & Taxi. 2. The NO₂levels by area were as follows: Pusan city, 38.3±20.3ppb: Taegu city, 41.1±17.6ppb: Chinju city, 33.0±19.4ppb: Iri city, 35.8±20.6ppb. 3. The site of the highest NO₂level in Pusan, Taegu, Chinju and Iri city were as follows: Bus & Taxi, 45.4ppb: Vehicle road, 50.8ppb: Bus & Taxi, 37.5ppb: Bus & Taxi. 45.0ppb. Ⅱ. Personal NO₂exposure level 1. The mean level of personal NO₂exposure was 42.7 ±23.1(6∼145)ppb and the highest with 54.0±25.5ppb at office workers. 2. Personal NO₂exposure levels by area were as follows: Pusan city 44.8±20.2ppb: Taegu city, 50.6±24.3ppb: Chinju city, 47.1±23.2ppb: Iri city, 48.0±27.0ppb. 3. The job group of the highest personal NO₂exposure level in Pusan, Taegu, Chinju and Iri city were as follows: Office workers, 50.3ppb: Bus & Taxi drivers, 63.8ppb: Office workers, 59.8ppb: Office workers, 60.0ppb.

      • 직업병의 실상

        김준연,김동일 동아대학교 산업의학연구소 2000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5

        석탄산업의 쇠퇴로 직업병의 효시인 진폐증의 신규 발병자가 급격히 감소된 탓으로 직업병에 대한 사회적 환심이 다소 주춤하다가, 근년에 원진레이온 근무자들의 이황화탄소 중독이 직업병으로 판정 받으므로써 그 어느 때보다도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졌다. 직업병이 노사문제, 나아가서 사회 문제화되는 것은 대부분 직업병 자체의 심각성보다는 직업병을 인정받기까지의 투쟁에 가까운 노력, 전문가들의 직업병 인정요구에 대한 연쇄적 파장에 기인한 사용자, 근로자, 관계기판 및 의료계의 의견이 상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직업병이란 무엇인가? 에 대한 답변은 결국 현행 규정상의 직업병 인정기준의 내용과 범위에 따라 취해진다. 그러나 일반 근로자 뿐 아니라 의사들 조차 예방차원의 직업병 진단기준과 보상이나 치료를 위한 직업병의 인정기준을 혼돈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직업병 통계가 특수건강진단 결과상의 유소견자 수를 기준으로 작성되고 있어 실제의 직업병 발생 현황과는 거리가 멀다. 직업병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의학적 판단 이외에 보상문제, 동료 근로자들의 불만과 시위, 회사와 검진기환의 입장, 객관적 자료 제시의 요구 등으로 소신껏 직업병을 판정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1990년 이후 대표적 직업병인 원진레이온의 이황화탄소 중독, 직업병 인정여부에 있어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견해를 달리하였던 용접 작업자에서의 망간중독, 향후 발생자가 상당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VDT증후군에 대하여 각각의 정의, 실태 및 직업병 인정기준 등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직업병 실상을 기술하고자 한다.

      • Palmes Tube를 이용한 실내외 NO₂농도 측정

        정갑열,김정만,김용규,김준연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1992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1

        실내 공기오염의 주요인자의 하나인 NO₂에 대하여 부산의 도심지역(중구의 남포동, 광복동, 창선동)과 외곽지역(서구, 사하구)의 사무실, 식당, 다방(150개소)을 대상으로 하여 NO₂에 의한 실내외 공기오염의 정도를 파악하고 NO₂에 농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몇가지 인자에 대하여 조사함으로써 NO₂에 의한 인체장해의 예방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1988년 12월부터 1989년 2월까지 동계 3개월간이었고 NO₂에측정은 Palmes method 에 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심지역의 NO₂평균농도; 1) 사무실의 홀 : 0.045±0.032 ppm, 2) 식당의 주방 : 0.106±0.049 ppm, 홀 : 0.076±0.030 ppm, 3) 다방의 주방 : 0.082±0.033 ppm, 홀 : 0.077±0.041 ppm 및 4) 옥외 : 0.031±0.009 ppm이었다. 2. 외곽지역의 NO₂평균농도; 1) 사무실의 홀 : 0.036±0.019 ppm, 2) 식당의 주방 : 0.079±0.045 ppm, 홀 : 0.056±0.034 ppm, 3) 다방의 주방 : 0.054±0.024 ppm, 홀 : 0.042±0.024 ppm 및 4) 옥외 : 0.021±0.007 ppm이었다. 3.1일 연료 소비량별 홀의 NO₂농도는 5L 미만 0.037±0.017 ppm, 5∼ 10L 미만 0.047±0.027 ppm, 10∼ 20 L 미만 0.065±0.042 ppm으로 연료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홀의 NO₂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4. 환기를 실시하지 않는 홀의 NO₂농도는가 환기를 실시하는 홀의 NO₂농도 및 옥의 NO₂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01), 환기를 실시하는 홀의 NO₂농도는 옥외 농도와 유사하여 인공환기시 홀의 NO₂농도는 상당히 감소하였다. Recently nitrogen dioxide(NO₂)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ain elements among indoor air pollutants.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the fundamental data for evaluation and control on the health effect relevant to NO₂levels, the authors measured the indoor and outdoor NO₂levels by the type of subject(office, restaurant, coffee shop) with some factors related to the indoor NO₂levels. The level of NO₂was measured by Palmes method, and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150 subjects in the Pusan area from December, 1988 to Feburary, 1989.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indoor and outdoor NO₂levels at down-town 1) Hall of office : 0.045±0.032 ppm, 2) Hall of restaurant : 0.076±0.030 ppm, Kitchen of restaurant : 0.106±0.049 ppm, 3) Hall of coffee shop : 0.077±0.041 ppm, Kitchen of coffee shop : 0.082±0.033 ppm, and 4) Outdoor : 0.031±0.009 ppm 2. The mean indoor and outdoor NO₂levels at outskirt 1) Hall of office : 0.036±0.019 ppm, 2) Hall of restaurant : 0.056±0.034 ppm, Kitchen of restaurant : 0.079±0.045 ppm, 3) Hall of coffee shop : 0.042±0.024 ppm, Kitchen of coffee sho : 0.054±0.024 ppm, and 4) Outdoor : 0.021±0.007 ppm 3. The NO₂levels of Hall by daily fuel consumption were; 1) ∼5L: 0.037±0.017 ppm, 2) 5 ∼ 10L : 0.047±0.027 ppm, and 3) 10 ∼ 20L : 0.065±0.042 ppm The NO₂levels of Hal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daily fuel consumption amount. 4. The NO₂levels of vented Hal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₂levels of unvented Hall, which decreased when artificial ventilation was conducted, and the NO₂levels of vented Hall was similar to the outdoor NO₂level.

      • 대학교 교직원의 건강진단 결과의 분석

        박영희,김진옥,김정만,김동일,김준연,정갑열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1992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1

        개인이나 집단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 건강유지 및 질병예방을 위한 대책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1990년 3월 2일부터 7월 31일까지 부산의 모 대학교 부속병원에서 건강진단을 받은 부산의 모 종합대학교 교직원 931명을 대상으로 신체 계측치, 시력, 혈압, 혈액 및 뇨검사 소견의 성별, 연령별 평균치를 산정하였으며, 검사항목 상호간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검사 931명 중 정상범위에 해당되는 자는 672명으로 전체의 72.2%이었으며 유소견자는 259명(27.8%)이었고, 유소견자(259명)에 대한 2차 검진 결과 질환자는 121명으로 전체 피검자 931명에 대한 유병율은 13.0%이었으며, 각 질환별 유병율은 고혈압 5.5%, 간질환 5.3%, 기타 흉부질환 1.9%, 당뇨병 1.3% 등이었다. 2. 체중은 남자의 평균이 65.44kg이었고, 여자는 54.11kg 이었으며, 신장은 남자의 평균이 168.97cm이었고, 여자는 157.40cm 이었으며, 비만도는 남자의 평균이 2.47%이었고, 여자는 3.78%이었으며, 시력은 남자의 평균이 좌안 1.03, 우안 1.03이었고 여자는 좌안 0.94, 우안 0.92로 모두 남자의 시력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혈압은 남자의 평균이 123/82mmHg이었고 여자는 112/72mmHg이었으며, 혈색소는 남자의 평균이 15.57g/dl이었고 여자는 12.87g/dl이었으며, 식전 혈당은 남자의 평균이 85.39mg/dl이었고 여자는 78.80mg/dl이었으며,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남자의 평균이 182.23mg/dl 이었고 여자는 174.75mg/dl이었으며, SGOT는 남자의 평균이 24.35IU이었고, 여자는 19.97IU이었으며 SGPT는 남자의 평균 24.24IU이었고 여자는 평균 16.33IU이었다. 4. B형 간염 표면항원 음성인 군의 SGOT/SGPT는 평균 31.08/39.35IU로 양성인 군의 25.50/28.50IU보다 높았으며 (p=0.500), B형 간염 표면항체 음성인 군에서는 SGOT/SGPT가 31.18/39.74IU로 양성인 군의 27.75/31.84IU 보다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75). 5. 상관관계는 성별은 나이, 신장, 체중 및 혈색소등과, 연령은 혈압 및 혈당등과, 신장은 체중 및 비만도등과, 체중은 혈색소, SGPT 및 비만도등과, 혈압은 혈색소등과, 콜레스테롤은 SGPT 등과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1), SGOT/SGPT 및 혈압에 대한 회귀방정식은 Y(SGOT)= 9.1046+0.5511X(SGPT) 및 Y(Systolic BP)=40.790+1.0084X(Diastolic BP)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