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작 무용의상의 탈장르화 현상에 관한 연구 : '카오스'의 의상디자인을 중심으로

        김혜경,김흥경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6 디자인포럼21 Vol.9 No.-

        신무용을 모태로 태어난 창작무용은 여전히 용어정의조차 불확실한 상태에서 제 모습을 찾기 위해 새로운 변화를 거듭하며 과도기를 겪고 있다. 그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특징이 바로 장르해체 현상이다. 특히 퓨전이나 크로스오버 현상에 의해 새로운 춤문화가 형성되면서 장르의 해체화는 더욱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이러한 무용의 변화는 무용과 관련된 음악,무대,조명,의상,소품 등의 분야에도 큰 변화,발전의 기회를 가져다주었다. 본 논문은 이렇게 창작무용의 탈장르화에 따른 무용의상의 변화,발전 과정을 살며보았는데 그 전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의상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창작무용의상에 중심을 두어 전개하였다. 둘째,창작무용의 탈장르화에 의한 변화 과정을 알아보고,거기에 따른 무용의상의 변화 특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셋째,한국창작무용 ‘카오스’의 의상을 디자인하고 제작해서 실제 국립국악원 우면당에 올려봄으로써 탈장르화에 따른 현대적인 무용의상을 실질적으로 연구해보았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한국창작무용의 의상디자인은 현대무용의 의상디자인보다도 훨씬 폭넓게 다변화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다이내믹한 동작의 선을 돋보이게 하는 단순하고 가벼운 디자인으로 변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상체의 선을 살려주는 타이트한 디자인에 하체의 선을 적당히 감쳐줄 수 있는 폭넓은 치마 또는 바지 형태가 지배적임을 알수 있었다. 둘째,현대무용의 의상디자인은 한국적 요소들의 단순한 차용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우리 한국인의 정서와 미의식을 기준삼은 한국적 현대적 무용의상디자인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셋째,연극적 요소가 많이 가미된 작품이 다양하게 나타남과 동시에 일상적인 의상이 무대에 자주 선보이면서 무용의상과 일상복의 경계가 무의미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멀티미디어와 테크놀러지 혁명에 의해 최첨단 장비와 소재들이 등장하연서 의상디자인 역시 미래적이며 과학적인 디자인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창작무용의 탈장르화를 통해서 한국무용이 표현할 수 있는 폭은 넓어졌지만,질적으로 그 깊이를 더하기 위해서 범세계적인 안목과 더불어 우리 문화에 대한 진심어린 관심과 애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통감할수 있었다.

      • 인터넷 신문의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조에 관한 연구 : 신문사 레이아웃 중심으로 centering on the newspaper companies' layouts

        최진선,장순석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2 디자인포럼21 Vol.5 No.-

        본 논문에서는 정보전달매체로서의 효율성에 초점을 맞춰 인터넷 신문에 대한 디자인 기준들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주요 인터넷 신문 디자인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함으로써 현 인터넷 신문 디자인의 문제점 및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신문은 그래픽을 정보전달의 표현수단으로 사용하는 GUI이다. 매체가 다르다고 해서 그래픽 디자인의 기준이 변하는 것이 아니며,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이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정보를 시각화시켜 전달함으로써 정보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특히 시각디자인 적인 면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정보전달이 용이한지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러한 기준으로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외 인터넷 신문들의 디자인을 분석해 본 결과, 국내의 온라인 신문 사이트들은 대부분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엄청난 정보의 제공을 위해서 공간의 구성을 비효율적으로 할 뿐만 아니라 배너 광고 등의 부수적인 요소에 현란한 플래시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독이성을 떨어뜨려 사용자의 입장을 충분히 배려한 편안한 컨텐츠의 구성이 아쉬웠다. 또한 각 신문마다 오프라인에서 갖고 있는 자신들의 특성을 염두에 두지 않고 천편일률적인 구조로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구성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디자인적인 조정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인터넷 신문 디자인은 화려한 그래픽의 제작에 대한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입장에서 효율적인 네비게이션을 고려하여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이해하고 보다 적합하게 제시하는 것이다.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변모하고 있는 인터넷 신문 디자인을 위해서 현 인터넷 신문 디자인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파악하는 것은 의의가 있는 것으로 앞으로의 인터넷 신문 디자인 방향 모색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riteria to design internet newspapers that are focused on their efficiencies as information transferring media, to compare and analyze the major internet newspapers' design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current internet newspapers' design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their improvements. An internet newspaper is a GUI(Graphic User Interface) which uses graphic as a tool to express the transferred informations. No matter what is the selected medium, the criteria of graphic design are not changed. And,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using information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of new interface and by visualizing and transferring in the most appropriate manners to it.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information can be easily transferred in the aspect of visual design of user interface. The designs of domestic and foreign internet newspapers were analyzed by these criteria. It was found that most domestic online newspaper sites had several common characteristics. They organized spaces inefficiently to provide enormous informations. They used dizzy flash techniques on the incidental elements such as banner advertisement, which hampered easy reading. The researcher felt the lack of comfortable contents organization in which users could be cared.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all the researched newspaper companies operated monotonously structured web sites without think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 of organization, they lacked adjustments in design. In the design of internet newspaper, it is required not to produce splendid graphics but to understand and provide interface which is appropriate to users with consideration of efficient navigation. It is significant to analyze the designs of internet newspapers and to identify the required improvements for the continuously growing and changing internet newspapers' designs. It will be helpful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internet newspapers' design.

      • 매체 변화를 통한 사진과 디자인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

        임성택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2 디자인포럼21 Vol.5 No.-

        사진과 디자인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불가분의 관계이기에 상호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보다 완성도 높은 디자인이나 사진 작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 특이한 상황에 처해있다. 디자인과 사진이 한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가 디자이너와 사진가라는 성격이 다른 두 사람에 의해 진행이 되어지기에 서로간의 영역을 침범하거나 간섭하지 않는 이유이지만, 두 분야 모두에 관심을 갖고 발전 방향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 두 분야의 상호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문제가 바로 매체의 특성에 대한 부분이다. 이 부분은 단순히 발전된 기계나 최첨단 과학이 디자인이나 사진에 접목되는 과정을 살펴보자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매체나 기술을 기존 디자인 작업에서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자는 것이 그 주요 목적이라 하겠다. 좋은 디자인은 쉽게 변하거나 시대의 흐름에 휩쓸리는 것이 아니라고는 하지만 매체의 활용을 거부하는 디자인 또한 최적화된 디자인의 형태라고는 볼 수 없다. 최근 디지털 시대의 도래에 따른 디자인의 환경변화는 결국 디자이너 스스로가 해결해 나가야 하는 새로운 길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디지털 매체는 그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기존의 실수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커다란 문제점으로 부각된다. 결국 매체, 시대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이 시대를 대표하는 디자인이 될 것이다.

      • 인터넷 쇼핑몰 디자인 사례 중 게슈탈트(Gestalt)심리학을 적용 분석 연구 : 종합쇼핑몰 메인디자인을 중심으로

        여수진,장순석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3 디자인포럼21 Vol.6 No.-

        전자상거래를 통한 쇼핑몰은 허례허식보다 실용성을 중시하는 가치관으로 변화하면서 오프라인 매장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는 인터넷 상의 비즈니스를 촉진시켰다. 그러나 인터넷 쇼핑몰은 기술적인 측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고객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홈페이지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관심만큼 적절한 이론적 배경이 필요하며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웹디자인의 조형요소와 웹디자인의 특수한 영역인 UI(네비게이션 위주)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배경으로 게슈탈트 조형 이론을 통해 종합쇼핑몰의 메인디자인을 사례분석, 설문조사하여 발전 가능성에 대해 조망해 보고자 한다. 게스탈트 이론은 외부 자극에 의해 우리 망막에 맺혀지는 상들은 단일한 형태로 지각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형태에 대한 정보들이 기억되기 쉬운 상태로, 혹은 특징지워질 수 있는 어떠한 형식으로든, 배열 통합되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 원리를 간결성(Simplicity), 집단성(Grouping), 친숙성(Familiarity), 전경과 배경(Figure and Ground)의 법칙으로 정리였다. 이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종합쇼핑몰 메인디자인을 분석하였고 실증적 자료로 메인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설문조사 하였다. 사례 조사한 종합쇼핑몰은 CJ몰(http://cjmall.com), 엘지이샵(http://www.lgeshop.com), 그린몰(http://green.hellonara.com)이다. 규모와 디자인상의 질적차이를 명확히하여 게슈탈트 원리가 잘 적용된 사이트가 실제로 소비자에게 높은 선호도를 차지하는지를 명확히 입증하고자 하였고, 소비자 설문조사를 통해 게슈탈트의 조형원리 4가지가 고르게 적용되어 있는 CJ몰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4가지 요소 모두 미비하게 적용된 그린몰은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되었던것처럼 게슈탈트 원리가 적절하게 적용되었을 수많은 조형요소가 와글거리는 종합쇼핑몰 메인디자인에서 사용자들은 산만하지 않은 잘 정리된 좋은 디자인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들의 심리를 먼저 파악하여 합목적적으로 접근한 웹사트의 디자인은 궁극적으로 서핑에 그치지 않고 정보의 클릭률을 높이며 사이트 매출 신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s people give greater importance to practicality, the e-commerce in particular has grown as a major business comparable to offline shopping malls. Although Internet shopping malls in Korea now have equivalent or better technology than those 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an countries, their Web design lacks uniqueness. It is thus thought that it is required to study and improve the design of Internet shopping malls so that they will be more attracted to customers. In this study, formative elements in Web design were clarified, and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UI (focusing on navigation) that is a specific facet of Web design were also specified. In addition, Gestalt theory was used to analyze the homepages of major Internet shopping malls, and a questionnaire was answered to assess the potential of improvement in Web design of Internet shopping malls. Based on 4 rules of simplicity, grouping, familiarity, and figure and ground, Gestalttheory described that the elements in the information on a shape must be arranged and integrated in a certain form so that the images on the retina are recognized as a single image. Designs of 3 major Internet shopping malls in Korea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sign were analyzed to study the effects of the designs of their homepages on the behaviors of customers. The Internet shopping malls studied included CJ Mall.com (http://cjmall.com), LG Eshop.com (http://www.lgeshop.com), and Green Shopping Mall (http://green.hellonara.com). Web sites with clear differences in size and design were selected is to identify if the web sites to which the Gestalttheory was well applied are actually attracted to customers. It was found that CJ Mall.com ranked high in all of the 4 rules, having the best visual preference, and Green Shopping Mall had the worst visual preference. In conclusion, appropriate application of Gestalt theory allows Web site visitorsto get simplified and characterized image of the Web site and to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a desired form. Moreover, designing a Web site in consideration for customers' psychology will result in increase in click rates and sales.

      • 20세기 초 현대 미술이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Visual communication design)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입체파를 중심으로

        이정아,장순석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 연구소 2001 디자인포럼21 Vol.4 No.-

        현대 미술은 과거의 어떠한 모습들과도 다르게 전개되었다. 과거의 모습과는 완전히 단절된 모습을 보여주며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20세기의 현대 미술은 시각예술의 중심이 미술에서의 공리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바뀌며 그것이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 또 다른 새로운 시대의 시작에 있는 지금 그들이 보여준 변화에 대한 대처 모습들은 앞으로 디자인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에 대해서도 말해준다. 결국, 그들이 생각했고 나타내려 했던 것에 중심에는 인간이 있었다 또한 테크놀로지가 발달하고 글로벌화된 시대인 지금에도 역시 인간이 그 중심에 있다. 더불어 디자인이 추구하는 "새로움" 역시 변치 않았으며 아이디어와 컨셉을 시각적인 형태로 옮기고 정보에 질서를 부여하는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원시시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20세기 초반과 21세기를 시작하는 현재의 모습은 너무도 닮아있다. 그 상황이 전개 되는 것은 각각 틀리지만, 많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 속에 있는 것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혼란 속에서 문화는 더욱 중요하고 예술은 문화를 윤택하게 하고 생활을 풍요롭게 아름답게 만든다. 예술은 새로운 매체를 통하여 새롭게 태어났고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은 20세기 초까지 미술이 했던 역할을 수행하며 발전하였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초에 일어났던 현대미술과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은 우리에게 교훈이 되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에 인류에게 가장 큰 디지털 혁명의 시대가 되었다. 새로운 디지털 시대에 맞는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으로 발전되는 모습을 찾고 또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또 다른 시대에 오래도록 남을 수 있는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이 무엇인가를 20세기 초반의 모습을 살펴서 미래의 모습까지 투영해 보고 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을 살펴본다. The modern arts early in the 20th century developed differently from any other form of the past. It marched toward a new direction, showing extremely broken appearance from the past. In this modern arts, the focus of visual arts changed to regard utility in arts important, which developed into a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mong the various trends of arts early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cubism, futurism, dadaism, surrealism, and constructionism have developed centering around do stijl, laying emphasis on the art`s utilitarian aspect in human life. The prior style of them had influence on the posterior one another, assuming to reverse the thoughts like the social appearance in the 20th century. They also influenced on the current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phenomenon. In particular, since design is contacting the object 'consumer' at the nearest place, it cannot develop nor change if it neglects the social phenomenon. Like this,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arly in the 20th century suffered from the World War I and II, and developed in the vortex of political circumstances and values and chaos. The modern senses they showed have taken effect to us who are living in the 21st century to the full until now. And now when we are preparing another new millenium, their coping with the changes are guiding the direction to which the design should advance in the future. In the long run, there was a human being in the center of their thoughts and intentions. In addition, even now when technology has developed and globalized, there`s a human being in the center. Also the "newness" what the design pursues does not change the essence of visual communication which conveys idea and concept into a visual form and endows information with order from the primitive days until now. The appearances of that time early in the 20th century and now in the 21st century are much alike. Though the situation which has been unfolded is different each other, they assume a same appearance in lots of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changes. In this chaos, culture becomes more important and art makes the culture more plentiful and life more affluent and beautiful. Art is born again through new medium and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has performed the role which was played by the art until early in the 20th century. Nonetheless, the modern art and visual offers us instruction. It became an era of largest digital revolution to human kind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us, this thesis aims at defining for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which will fit for another new era to come and investigating the design`s way to go by projecting its appearance in the future.

      • 르네상스 요소를 응용한 현대의상 디자인

        김희선,최현숙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 연구소 2000 디자인포럼21 Vol.3 No.-

        본 연구는 르네상스시대의 복식을 미학과 관련한 전반적인 고찰을 통하여 당시의 복식의 특징을 다각도로 조명하고 파악하며, 그것을 토대로 르네상스 요소를 응용하여 작품을 디자인하고 제작함으로써 현대의상 디자인의 응용범위를 확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르네상스 시대의 미론은 객관주의 미론이 우세하였으며, 복식에 있어서의 객관주의의 미는 르네상스 시대 복식의 특징으로써 나타났고, 주관주의의 미는 르네상스 복식에 나타난 미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르네상스 복식의 특징 중 슬래쉬와 러프, 실루엣을 디자인에 응용하여 작품 1과 작품 2를 개발하였다. 작품 1은 벨벳과 주자 테이프를 연결하여 맞주름을 주어 입체감 있는 슬래쉬를 표현하였고, 봉제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치·연결하여 러프의 반복되는 리듬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의복의 숭고미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하여 검정색과 러프를 응용하였다. 작품 2는 르네상스 시대의 남자복식인 트렁크 호즈의 둥근 실루엣을 의상의 상체로 이동시켜 강조하였고, 소재의 무늬를 따라 비딩작업을 하여 르네상스 직물의 화려함을 재현하였다. 셋째, 작품 3과 작품 4는 회화와 건축물을 모티브로 하였다. 작품 3은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를 흑백화하여 현대적 분위기를 살렸으며, 의상에 드레이프성을 강조하여 조화로운 르네상스 시대의 이상적인 미를 나타내었다. 작품 4는 르네상스 시대의 건축물을 모티브로 하여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의상에 전이시켜 현대적으로 디자인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이론적인 고찰을 통하여 당시의 복식의 특징과 미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것을 토대로 르네상스 요소를 현대의상 디자인에 응용하여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현대의상 디자인의 응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었다. 풍부한 과거의 문화적 요소들을 파악하여 현대라는 시간적 조건과 세계라는 공간적인 조건을 접목시킨 의상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가 제시한 르네상스 시대 복식의 응용 이외에도 동서양의 다양한 시대 복식을 응용한 현대의상 디자인 연구로 창조의 영역을 넓힐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category of application of Renaissance elements to modern fashion design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Renaissance aesthetic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s of the er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in aesthetics, a most comprehensive method in the study of beauty are appli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Renaissance costumes. Based on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objective aesthetics seems to have been prevalent during the Renaissance era, and the objective aesthetics in apparels was expressed as form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ilhouette, color, material & details in the apparels of Renaissance era while the subjective aesthetics in apparels was retained as contextual meanings and the universal attitudes toward the beauty or arts in general. They include harmony, balance, sensuality, sublimity and humor. Also, since the formativ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enaissance apparels are still in use for modern fashion in design development and production into new styles, an empirical study was made on the modern designs with variety of applications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era. Second, in this study four works of art to which Renaissance elements are applied are presented in the two aspects. One is designed in the application of formative characteristic of Renaissance apparels such as slash, ruff, silhouette, color and material, and the other is designed in the introduction of motifs in coeval works of art of Renaissance such as painting and architecture into modern fashion.

      • Morits Collelius Ecsher 작품과 현대 패션 디자인 발상 연구

        황수영,김혜경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2 디자인포럼21 Vol.5 No.-

        본 연구는 판화 작가인 M. C. Escher에 대한 생애와 작품을 주제 별로 분류하면서 에셔 만의 독창적인 표현 기법과 공간에 대한 그 만의 획기적인 관점을 연구하고, 패션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새로운 시도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에셔의 공간 구조를 패션 디자인 발상에 응용하여 종전과 차별화 된 발상의 모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좀 더 풍부한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재료를 제시하여 창의적인 작품의 세계를 전개하는데 새로운 방향과 방법을 모색하는데 참고적인 자료가 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 연구는 먼저 에셔 작품의 세계를 미술의 영역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여 그의 독창적인 공간구조를 인식하고, 현대 패션 디자인 발상과 비교, 분석하여 에셔 작품에 적용된 발상의 요소가 디자인에 있어 어떠한 영역을 제시할 수 있고, 어떠한 가치를 부여하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에셔의 생애와 작품 형성 과정을 그의 편지와 일기, 작품 활동 중의 기록으로 이루어진 전기와 작품집을 근거로 제작된 문헌 및 자료를 통하여 요약 정리하였다. 에셔의 작품 세계는 초기의 풍경화 작품들과 기하학적 원리를 응용한 작품들로 크게 나눠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가하학적 원리를 응용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연구 범위를 설정하였다. 기하학적 원리를 응용한 작품들을 5단계, 즉 평면의 규칙적 분할, 무한 공간, 다면체, 공간의 관계, 반영된 세계로 작품 발상의 발전 과정과 에셔의 독특한 공간 해석에 관하여 주제별로 분류하고 현대 패션 디자인의 응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미술의 영역에서 크게 각광을 받지 못한 이유로 에셔 작품의 체계적인 분석과 미술사적인 고찰이 매우 협소하였다. 특히 에셔의 작품 제작 발상의 독창적인 공간 개념이나, 직접적인 소재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사례는 찾기 힘들었으며, 패션 디자인 분야에서는 그에 대한 연구가 패턴 연구로 매우 국한적이었다. 따라서, 에셔 작품의 발상과 유사한 현대 패션 디자인에서 응용된 사례들을 비고, 분석하여 패션 디자인에 참신한 발상법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연주복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 의상 디자인 연구 : Focusing on Musical Performances

        이연희,최현숙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 연구소 2000 디자인포럼21 Vol.3 No.-

        복식은 모든 시대에 살았던 사람의 삶의 양식의 표현이며 그들 생활문화의 가장 대표적인 산물이다. 또한 인간의 내면적 욕구와 미의식의 표현으로서 노출된 시대적 상황에 대한 반응 수단의 하나이므로 한 시대의 예술의 양식을 표현하는 중요한 장르를 구성한다. 공연예술 의상은 복식의 범주 내에서 의복의 두 가지 기능인 표현적 기능과 도구적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특수한 목적을 가진 의복으로, 일반의상과는 달리 연극이나 무용극 등 공연예술과 관련하여 특히 시각적 만족이라는 측면의 존재 목적이 뚜렷한 의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의상과 구별되는 차이점으로 인해 더욱 전문적인 관심과 연구가 요구되는 분야이므로 공연예술의상 전문 디자이너 양성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그러나 연극, 오페라, 무용 등의 분야를 위한 공연예술의상에는 어느 정도 관심이 기울어져 왔지만, 음악 연주 시 착용하는 연주복에 대하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거의 전문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악기별 동작의 범주와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구성과 디자인이 동작을 저해하지 않도록 기능적 고려를 만족시키는 연주복 디자인을 개발하며, 둘째, 연주 악기에 따라 관객이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연주복의 부위 및 분위기를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청각적인 즐거움 못지 않게 시각적인 즐거움도 제공할 수 있는 연주복 디자인을 개발하고, 셋째, 디자인 원리를 이용하여 연주자의 프로포션을 더욱 아름답게 나타낼 수 있는 연주복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있다. 넷째, 현재 고급 연주복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지나친 고가의 연주복의 문제점을 지양하고 합리적 가격에 창의적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 연구의 범위는 여성 연주자의 연주복으로 한정하였다. 그 이유는 남성 연주자들은 대체로 연미복을 착용하므로 여성복 보다 종류가 다양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공연예술 의상의 이해를 위하여 단행본, 잡지, 학위논문 등의 문헌자료를 통하여 공연예술의상의 개념 및 특성과 종류를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정기 간행물 및 공연 포스터, 팜플렛, 연주회 사진 둥 시각적인 일차 자료를 사용하여 현재까지의 연주복의 사진기록을 수집하고 이들 결과를 분석하여 연주복의 시대적 흐름을 조사한다. 셋째, 악기별 전문 연주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선호하는 연주복 조사의 기본 접근방식 및 설문조사 내용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작성한 설문 조사지를 음악대학원 재학생 및 학부 졸업 예정자 총 150명을 대상으로 연주자에 따른 악기별 선호 디자인과 취향 및 디자인상의 제한점 등을 분석하였다 넷째, 이상의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악기의 동작 종류별로 구분한 연주복 5작품을 직접 디자인하여 실물 제작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기별로 많이 움직이는 신체적 부분이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팔과 어깨의 사용이 많으므로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소매가 없는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둘째, 실루엣은 자신의 취향이나 신체적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첼로와 같이 악기 특성상 다리 간격을 넓게 잡아야 하는 연주자들은 스커트 폭이 넓은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셋째, 원단이나 부자재의 광택을 사용, 무대 위에서의 조명 효과를 선호하였다. 넷째, 연주자들은 심플하고 세련되면서도 자신의 개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다섯째, 현재의 연주복 시장은 다양하지 않은 디자인과 소재에 비해 가격이 너무 높이 책정되어 있음을 설문조사로 알 수 있었다. 이론적 배경과 실태조사 결과를 작품에 적용시켜서 악기별로 나누어 제작한 5점의 연주복은, 사진과 작품 설명을 본고에서 제시하였다. In the process of dress design for musical performer,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First, in dress design for musical performances, functionality ha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dress does not encumber nor hinder the performer. The sphere and types of movement of musical performance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musical instruments they play. Second, the attire for musical performances has to be designed to provide audiences with visual pleasure in addition to the auditory pleasure of the music; the overall atmosphere and the attire take priority in attracting audiences. Third, the dress at performances has to express and enhance the beauty of the performer; and this is accomplished through the designer`s artistry. Fourth, dress design for musical performances has to be creative and reasonably priced. At. present, this is a problem. The spher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attire for female performers since male attire is not a problem as the tuxedo is the us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for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ttire for artistic performer, we investigated the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attire for various uses through researching books, magazines, and research theses. Second, we investigated the trends of performance attire according to the times by using primary visual materials such as periodicals, posters, brochures, photos of concerts, etc. Third, by interviewing performers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s, we surveyed their preferred dress designs and used those designs as the basic data for a fundamental approach to research and for the contents of surveys. Also, we analyzed the preferred tastes and limitations in dress design according to the musical instruments being used. This study interviewed 150 students majoring in music including seniors who are scheduled to graduate. Fourth, we designed and produced five different styles of dress for musical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musical activities. We designed those five dresses based on logical background and research of the status quo in performance attir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five works are as follows; Work I is designed for piano players. With the application of a bustle style, it emphasizes side and rear appearance. Using an embroidery technique, it enhances the aesthetic effect. Work II is designed for violin, viola and flute performer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Empire style, it renders a statuesque effect to the performer. In this design, the neckline and lower part of the skirt are emphasized by emdroidery and beading techniques. Work III is designed also for violin, viola and flute performers with emphasis on the slender waist. An illumination effect is achieved through beading techniques. Work IV is designed for cello performers, emphasizing the skirt with beading techniques. Work V is designed for vocal performers, emphasizing the silhouette of upper body. A flower decorated by fashion painting technique is used on the skirt to attract the audience visibility. Becau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young performers, the dress designs in this study were simple. We hope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functional designs for various musical performers in different age groups as well.

      • 햄릿(Hamlet)의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이은경,김정혜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 연구소 2001 디자인포럼21 Vol.4 No.-

        연극은 인간의 경험을 관객과 함에 펼쳐놓는 살아있는 종합 예술이다. 새로운 미지의 세계를 표현하며, 극작가와 연출가, 무대미술가와 배우들이 새로운 컨셉에 맞추어 예술을 창출하는 작업이다. 무대의상은 여러 디자인 요소를 응용하여 작품의도와 인물의 성격에 맞게 여러 정보를 시각적으로 이미지화 하여 다양한 각도로 관객에게 전달한다. 연극의 고전이라 불리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중 "햄릿(Hamlet)"은 삶의 본질과 의미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인간의 본성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갖게 하는 작품이며 무대의상을 통해 다양한 연출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작품이다. 희곡에서 사용된 언어는 관객들에게 풍부한 상상력과 문제제기를 하지만, 인물의 상징성과 상황표현은 무대의상으로 시각화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에서는 "햄릿"을 새로운 시각으로 표현한 공연의상이나 그에 따른 학문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햄릿의 무대의상을 논제로 선택하여 "햄릿" 작품의 새로운 연출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햄릿"이 지니는 다양성을 고전적인 스타일의 복식요소와 색채 및 소재개발을 통하여 미래 지향적인 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는 무대의상을 디자인하였다.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한 작품의 연출 의도를 무대의상을 통해 효과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예술적이고 독창적인 무대의상을 창출하고 현대 무대의상의 표현영역을 확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무대의상의 특성과 역사, 디자인 요소를 문헌을 통해 고찰하고, 팜플렛과 인터넷을 통한 사진 자료들을 수집하여 국내외 공연된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출가의 작품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어온 햄릿 무대의상의 변천 과정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햄릿"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고, 복합적인 이미지에 중점을 둔 5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을 고찰 한 결과 "햄릿"의 작품해석은 연출의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여러 가지 각도로 해석 될 수 있으므로 항상 새로운 모습의 상이한 무대의상으로 창출되어 공연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햄릿 작품의 연출의도에 있어서 원작의 시대적인 배경에서 보여지는 고전적 이미지와 현대인의 감성에 부합하는 미래 지향적인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표현하고자, 고전적인 실루엣과 현대적인 소재를 무대의상에 도입함으로써 과거와 현대의 시공간적인 조화를 이룰 수 있었다. 셋째, 작품의 색채에 있어서 미래지향적 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는 은색과 보라계열의 차갑고 신비한 색감을 응용함으로써 등장인물의 성격과 심리묘사 및 새로운 연출 의도인 시대적 배경 설정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작품에 사용된 소재에 있어서 벨벳, 벨루어, 수직실크 등 중후한 소재와 광택성의 양가죽과 인공피혁 및 쉬폰, 노방 등 다양한 성격의 소재가 지닌 질감의 대비효과는 개성 있는 여러 가지 인물의 성격과 동일 인물의 심한 내적 변화를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또한 극중에서 현실과 영혼으로 이원화된 세계를 표현할 수 있었다. 다섯째, 올풀기, 패딩, 스모킹, 비딩, 터킹, 테이핑 등의 여러 기법을 사용하여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빛에 의한 질감의 부조 적인 음영효과와 풍부한 질감 표현을 효과적으로 확대할 수 있었으며, 독창적인 무대의상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었다. 햄릿을 희곡으로서 재조명하는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그에 호응하여 무대의상을 예술로서 인정하는 작업 또한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무대의상은 극에 대한 내용을 의상으로써 설명하고, 분위기를 이끌어 가는데 주 역할을 담당하여 연극에 있어서 보조품이 아닌 주된 요소의 하나로 자리 매김을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소재를 무대의상에 도입함으로써 독특한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계기로 새로운 소재개발에 의한 실험적인 무대의상이 계속적으로 연구되기를 바란다. A play is an art which shows human experience and interacts with spectators. And it is an artistic work for playwriters, directors, stage artists and actors to make a new world on the stage. The costumes give spectators in formations about the character. The Hamlet, one of the most well-known classic plays, written by Shakespeare, asks spectators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life and it is interpreted in so many different ways. The language which is used in a play allows spectators to internet the abstract meaning of the play.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and the situation of the play can be visualized through the costume. However, there is no enough study on the stage costumes depending on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play in Korea so far.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suggest different designs of the costumes, taking 'The Hamlet' as the theme For this thesis, costumes which show the various character of the play were made. These costumes are designed to have modern images as well as classical images of 'The Hamlet' using distinct colors and materials. Producing the artistic and unique costumes and opening a new stage of the costumes by approaching in a new way is the aim of this thesis. A lot of documents on the attribute and the history of the stage play and the element of design are studied For this thesis, and the photos are collected from the brochures, pamphlets and web sites. Furthermore, the history of the costumes of 'The Hamlet' which are designed variously by the intentions of the directors is researched. According to the study of the documents and other materials like web site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Hamlet' is made, and 5 costumes which contain various images were made. The conclusions of this thesis are, First, 'The Hamlet' is interpreted variously by the intentions of the directors. Therefore, the costumes of 'The Hamlet' are designed variously for different stages. Second, The classic silhouette of the costume with the modern material made a combination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s the era of the story and the modern interpretation are combined in the play. Third, It was possible to express the interpretation of the director and character`s personality, using cold colors, such as silver and purple which express modem images. Forth, the contrast of the various materials, such as velvet, velure, handmade silk, glossy sheepskin, artificial leather, shiffon and nobang was effective to express the change of the character`s mind and different character`s personality. Furthermore it could show the divided status into the reality and the spirit. Fifth, as using a new material made by fraying, padding, smoking, beading, tucking and taping, the light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s made unique character of the costumes. 'The Hamlet' is re-interpreted actively nowadays, so the costume of it should be re-designed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and taken as an important part of the stage art not an necessary. Because the costume of the stage play explains the environment of the play and leads the atmosphere of a play. It was possible to make an unique visual effect of the costume by using various materials through this study. I hope the experimental costume will be studied further using new materials based on this study.

      • 그리스 신화를 모티브로 한 한국창작무용 의상디자인개발

        한경혜,최현숙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4 디자인포럼21 Vol.7 No.-

        오늘날 신화에 대한 관심이 이전 어느 때보다도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표명되고 있다. 신화가 지역과 시간을 넘어서는 인류 공통의 꿈과 표현방식이라는 발견은 현대 인터넷시대에 정치, 경제, 문화, 학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신화를 만국공통의 기호로 채택케 하기 때문이다. 고대 상상력의 산물인 신화들은 신선한 독창적 작품에 끊임없이 이용되어왔다. 서구의 문학과 예술은 예로부터 그리스로마신화에서 수많은 예증과 상징, 영감을 빌어왔고, 현대사상이 즐겨 응용하는 신화는 종교, 민속학, 인류학, 사회학, 정신분석학과 미술 등이 공유하는 중요한 영역이며, 신화에 대한 지식은 문명을 형성해온 사상에 자연스러운 호기심을 만족시켜준다. 즉 여러 학문의 토대를 이루는 신화가 이들 학문의 사상을 한층 더 깊게 해주는데 이는 신화가 현대의 과학주의가 억압하고 있는 상상력을 해방시켜주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 교육에서는 음악과 마찬가지로 중대한 역할을 담당했던 무용이 신화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또 다른 예술양식이었다. 문화개방의 시대를 맞이하여 문화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전문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무대공연 예술분야는 종합예술로서 무대 구성을 이루는 요소들의 영역이 더욱 세분화되고 있다. 무대예술에 있어서 예술무용의 형태가 더 정밀화(精密化), 인공화(人工化)됨에 따라 무용, 음악, 시각예술은 각각 독립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세련되고 치밀하며 자연스런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종합예술인 무용공연에서 의상은 무용수와 가장 밀착되어 있고, 주제 표현의 수단과 무언의 언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전통성과 현대성이 결합된 독특한 장르를 칭하는 한국창작무용은 춤뿐만 아니라 의상에서도 전형적인 한국무용의 틀을 깨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창작무용공연 작품 「 ♂ + ♀ = 」을 위한 무용의상디자인개발 연구로서, 그리스신화의 인물들의 의상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여 작품의 내용에 맞게 의상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며, 이를 통해 전통적 한국무용의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표현방법을 모색하고 무용의상의 발전적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이론적 전개과정으로 무용의상의 고찰을 통해서 무용의상의 개념 및 무용의상의 조형미와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디자인 요소가 무용의상에 미치는 효과 및 요소상호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한국창작무용의 역사와 특성을 살펴보고, 그 표현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그리스 신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무용의상의 예술적인 표현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현대인의 감성에 맞는 기능적이고 독창적인 무용의상을 총5점 디자인하고 제작했다. 이론 및 실제공연에서 작품을 착용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의 동작의 특성과 무용수의 신체를 고려하여 디자인된 의상에 의해 무용 율동에 의한 움직임의 확대와 변화는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즉 무용의상의 디자인 전개방법에 따른 무용의상의 실루엣의 변화로 또 다른 무용의 조형미를 보여줄 수 있었다. 둘째, 전형적인 무용의상의 소재에서 벗어나 다양한 현대적 소재의 개발과 사용으로 풍부한 작품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무용의상의 색채에 있어서 인물의 성격과 잘 부합되는 색상으로 무대와 관객의 정서적 합일을 촉진시키는데 일조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무용의상의 색채는 다양한 이미지를 전달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무대의상에 있어서 조명의 효과로 인한 색상과 질감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적절한 소재의 사용은 조명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무용의상 디자인에 있어 현대패션에 표현된 여러 가지 요소들의 사용은, 현대예술의 실험적 요구에 부응하여 표현영역을 확대하는데 크게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Nowadays, the interest shown in mythology is more direct and aggressive than ever before. The reason for such interest is the discovery of mythology's power to express the dreams of all mankind beyond time and space. This discovery has led people working in politics, economy, culture in general, and academia to choose mythology as an international system of symbols for the Internet era. Although mythology can be said to be the brainchild of ancient imagination, it still continues to be used in fresh, creative works of art. The arts of the western world have borrowed many examples, symbols, and inspiration from Greco-Roman mythology. Also, the mythology that many modern schools of thought apply often is something religion, folklore, anthropology, sociology, psychoanalysis, and art all share in common. Consequently, the knowledge of mythology satisfies the natural curiosity which is the ideology that gave form to civilization. That is to say, mythology is the very backbone of various studies which enriches the ideologies given by them. This is because mythology liberates the imagination oppressed by modern scientific thought.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ancient Greeks put emphasis on music and dance, both important ways of giving flesh and blood to myth through art. As the opening of cultural barriers lays at hand, the anticipation of the public grows. Each and every field now acknowledges the need of professionalism, especially the stage and the theatrical arts,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as composite art. Dance as an art form is growing more detailed and artificial as time goes by, and attains an extremely sophisticated harmony and/or discord with music and the visual arts. That is why dance must keep in close company with lighting, costume, sound, makeup, and other such activities that are related to it. The costume is important in the way it is closest to the dancer on the stage, and that it expresses itself in a way that written or spoken word cannot. Dance has changed according to era, region, and its respective culture, and costume has changed alongside with it. Today, creative Korean dance has broken through the mold of typical Korean traditional dance in both dance itself and the costumes it employs, as an amalgam of traditionalism and moder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new ways of expression which overcome traditional korean dance costume,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possibilities that dance costume possesses. This is done by giving the costumes the mythological figures of the Korean creative dance performance 『 ♂ + ♀ = 』 a new analysis in the modern sense, and by designing and producing such costumes accordingly. The methods of research which are applied are as follows; by collective analysis of related books and theses, and searching for visual material to help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costume in various books and on the Internet. To thoroughly analyze this study and to expand upon the various theories it embodies through deliberate consideration of dance costume, the concept of dance costume itself is studied alongside the aesthetics and role of dance costume. Also, the history and quality of Korean creative dance is observed, whil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reative dance are inquired into accordingly. With such theoretical observation as a foundation, Greek mythology can be analyzed in the modern sense to expand the expressive territory of dance costume, thus developing functional creative dance costume that appeals to modern man's aesthetics. Based upon the research processes written above, the 5 works produced within this study are attempts to give new analysis to traditional Korean dance costume, with the image of the works being suitable to each and every piece of dance choreograph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dance costume considers the movement and body of the dancer, thus maximizing the change and enlargement of the rhythmic movements. In this way, the beauty of shape can be shown through the changes of the dance costume's silhouette. Second, abundant images were able to be expressed by the development and use of diverse materials produced by advanced technology, thus overcoming the typical materials dance costume has used so far. Third, by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lor of the dance costume and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who is wearing it, emotional unity between stage and audience can be created. It can be said that the color of dance costume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communicating diverse images. Fourth, the effect of stage lighting upon change in color and texture of dance costume was noteworthy, and the deployment of glossy materials maximized the effect of stage lighting. Fifth, the applica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modern fashion is regard to dance costume is important, in that satisfies the experimental demands of modern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