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술후 통증관리에 대한 전정맥 마취의 효과

        연준흠,이상석,유진용,김정원,홍기혁 대한정맥마취학회 1998 정맥마취 Vol.2 No.4

        서론: Propofol과 fentanyl을 이용한 전정맥마취방법과 전통적인 흡입마취제를 이용한 마취 방법에서 수술후 통증관리에 대해 전정맹마취방법을 전통적인 흡입마취방법과 비교하였다. 방법: 미국 마취과학회 환자분류 1∼2급에 속하는 척수수술이 예정되어 있는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임의로 두 군으로 나누어 제 1군은 propofol과 fentanyl을 사용한 전정맥마취군, 제 2군은 isoflurane, N_2O, O_2를 사용한 흡입마취군으로 하였다. 수술후 처음 통증을 호소하는 시간, 수술후 4시간, 8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에 통증정도를 시각통증등급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가 수술후 처음 통증을 호소하는 시간은 1군에서 72.1±8.7분으로 2군의 7.3±1.6분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으며 (P<0.01) 수술후 4시간, 8시간의 시각통증등급은 1군에서 4.1±0.9, 3.1±0.7로 2군의 5.6±1.2, 4.3±0.8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낮은 시각통증등급을 보엿다 (p<0.05). 결론: 정맥마취제인 propofol, fentanyl을 이용한 전정맥마취방법이 흡입마취제를 이용한 방법보다 수술후 통증예방 효과가 잇어 선행진통방법에 있어 유효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 Fentanyl 과 Midazolam 을 이용한 전정맥마취

        진홍용 대한정맥마취학회 1999 정맥마취 Vol.3 No.1

        서론: 흡입마취제를 이용한 전심마취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면제인 midazolam과 강력한 진통제인 fentanyl을 이용한 전정맥마취를 시행하고 이 마취방법에 따른 혈역학적 변화, 혈당치, 동맥혈가스의 변화, 간,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 마취중, 후의 합병증 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미국마취과학회 신체등급 분류상 1, 2급에 해당하는 40명의선택수술을 받을 환자에게 마취유도 용량의 midazolam과 fentanyl을 정주하고 vecuronium으로 기간내 삽관 후 조절호흡을 시행하고 midazolam과 fentanyl을 각기 다른 infusion pump를 사용하여 수술시간 경과에 따라 이 약제들의 투여량을 조절하면서 전정맥마취를 시행하였다. 수술종료 10분전에 fentanyl을, 피부봉합 종료직전에 midazolam을 중단하였으며 발관후 회복평가지수가 10점이 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시간경과에 따른 수축기혈압, 확장기혈압, 평균동맥압, 심박수, 동맥혈가스, 혈당치의 변화, 마취로부터의 각성시간, 회복시간을 측정하고 마취중, 수술후 2, 24시간의 합병증 유무를 조사하였다. 수술후 제 3일에 간, 신기능 검사내용인 혈청 GOT, GPT, γGTP, alkaline phosphatase, BUN, creatinine을 측정하여 술전 대조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수축기혈압, 확장기혈압, 평균동맥압은 마취유도후 10분간 감소하였고, 피부절재후 1시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심박수는 마취유도후 6분간 증가하였다(p<0.05). 혈당치는 수술중, 술후 60분 동안 증가하였고 술후 제 3일에 alkaline phosphatase, BUN은 감소하였다(p<0.05). 마취중에 움직임, 개안, 찡그림이 있었고 술후 2, 24시간에는 오심과 구토, 두통 등의 합병증이 있었다. 마취각성시간은 12.4±7.8분, 회복시간은 40.7±14.5분, 회복평가지수가 10점에 도달한 시간은 29.5±13.7분이었다. 결론: Midazolam과 fentanyl을 이용한 전정맥마취는 흡입마취의 부작용을 배제하면서 흡입마취와 유사한 조절성을 가지므로 마취중의합병증 및 술후 호흡억제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이 약제들에 관한 정확한 투여량의 조절 및 투여방법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흡입마취를 대신할 수 있는 좋은 전신마취방법중의 하나로 사료된다. Background: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TIVA) with various kinds of sedatives and potent analgesics has many advantages such as no air pollution, no hepatorenal toxicity and good postoperative pain relief compared with inhalation anesthesia. Methods: TIVA with fentanyl and midazolam was applied to forty patients in ASA class Ⅰ and Ⅱ. The changes of hemodynamics, arterial blood gas, blood sugar level, hepatorenal function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perioperatively. Emergence time, recovery time and duration from arrival on recovery room to postanesthetic recovery score of 10 were checked. Results: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pressure and mean arterial pressure decreased during 10 minutes after induction, and they increased during 1 hour after surgical incision, and heart rate increased during 6 minutes after induction (p<0.05). The blood sugar level increased during operation and postoperative 60 minutes, and the levels of alkaline phosphatase and BUN decreased on postoperative third day (p<0.05). The chief complications of TIVA during anesthesia were movement, eye opening and grimace, while nausea or vomiting and headache were the major complications at postoperative period. Emergence time was 12.4±7.8 minutes, recovery time was 40.7±14.5 minutes, and duration from arrival on recovery room to postanesthetic recovery score of 10 was 29.5±13.7 minutes. Conclusions: TIVA with fentanyl and midazolam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general anesthetic methods in the case of contraindication to N_2O and volatile anesthetics, but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quantify the appropriate dosage of fentanyl or midazolam to minimize perioperative hemodynamic change and complications.

      • Propofol 과 Fentanyl, Ketamine 을 이용한 전정맥마취와 흡입가스를 이용한 전신마취의 비교

        최영환,원종인,조인찬,박영철 대한정맥마취학회 1998 정맥마취 Vol.2 No.3

        서론: 흡입 마취제의 해로운 영향 때문에 전정맥마취가 이미 대두되고 있으며 그 중 최근에 propofol과 fentanyl, ketamine을 병용한 전정맥마취가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정맥마취와 흡입가스에 의한 전신마취를 시행한 후 술후 환자설문을 통하여 술중 각성과 부작용, 만족도에 대해 비교해 보고자 했다. 방법: 수술시간 2시간 이하의 하복부 수술 예정인 남녀 80명의 환자를 두군으로 분류하여 대조군(E 군)은 enflurane-N₂O-O₂를, 실험군(P 군)은 propofol-fentanyl-ketamine을 이용하여 마취를 실시하고 술후 2시간과 24시간에 환자를 방문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마취 유도시의 수면 작용에 대한 평가는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이 훌륭하였다고 하였으며, 술중의 각성은 양군간에 한명도 없었다. 술중 꿈의 빈도는 실험군인 P 군에서 빈도가 높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술후 두통과 현기증, 오심과 구토는 대조군인 E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술후 시각이상은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동일 마취제의 선택을 고려하여 P군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며 주 원인은 술후의 오심, 구토, 두통,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었다. 결론: Propofol-fentanyl-ketamine을 이용한 전정맥마취는 흡입가스를 이용한 전신마취보다 술중의 각성이나 꿈의 빈도는 차이가 없으면서 술후의 합병증이 낮아 환자에게 더 좋은 만족도를 줄 수 있었다.

      • 지속적으로 정맥에 투여된 Clonidine 의 술중 및 술후 진통효과

        정찬종,이승철,이황재,박한석 대한정맥마취학회 1999 정맥마취 Vol.3 No.1

        서론: Clonidine을 단독 진통제로써 경막의강으로 지속 주입하여 술증 혈역학적 안정성을 도모하고 술후 우수한 진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는 clonidine과 propofol를 정맥으로 지속 주입하여 술중 및 술후의 혈역학적 변화와 진통 작용 등의 임상 효과를 enflurane/N_2O 마취와 비교하였다. 방법: 대상 환자는 30∼35세, ASA 신체상태 1또는 2급, 전자궁적출술을 시행받는 30명을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두 군으로 나누었다. 1군에서 마취유도는 lidocaine 1 ㎎/㎏, thiopental 5 ㎎/㎏, succinylcholine 1 ㎎/㎏으로, 마취유지는 N_2O 2 L/min-o_2 1 L/min-enflurane 1.0∼2.0vol%로 하였다. 2군에서 clonidine 5 ㎍/㎏을 15분간에 주입한 후 clonidine 1 ㎍/㎏/h의 속도로 지속적으로 정맥 주입하였다. 마취유도는 clonidine 주입과 동시에 lidocaine 1 ㎎/㎏, propofol 2 ㎎/㎏, succinylcholine 1 ㎎/㎏으로, 마취유지는 O_2 3 L/min하에서 propofol 5 ㎎/㎏/h로 하였다. 술중 및 술후의 혈역학적 변화, 카테콜라민 농도, 술후에 사용한 진통제량, VAS 통증 점수, 부작용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마취중 두 군간에 혈압은 유사하게 유지되었지만, 심박수는 2군에서 1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유지도었다(P<0.001). 피부 절재나 복부 견인시 2군의 26.6%에서 propofol이나 fentanyl의 추가 투여가 필요하였다. 자궁 절개동안 2군의 53.3%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150㎜Hg 로 10분이상 지속되었지만 기준치 20%범위 내에 있었다. 술중과 술후에 카테콜라민치는 2군에서 증가되지 않았다. 술후 VAS 통증점수는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술후 12시간까지 사용된 진통제량은 2군에서 1군보다 유의하게 적었다(P<0.001). 술후 초기에 혈압과 심박수가 2군에서 1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P<0.001), 2군에서 서맥이 46.7%에서 발생되었지만 다른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Clonidine과 propofol를 정맥으로 지속 주입과 propofol이나 fentanyl를 추가 사용하여 수술자극에 혈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술후 초기 12시간까지 효과적인 진통 효과를 보여 주었다. Background: Epidural clonidine, used as a sole analgesic agent, provides analgesia for surgical pai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modynamic and analgesic effect of clonidine administered by continuous intravenous infusion in perioperative period compared with enflurane-N_2O anesthesia. Methods: Thirty patients, ASA physical status 1 or 2, aged 30~50 yr, undergoing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ere randomly assigned to inhalational anesthesia with enflurane-N_2O (group 1) or intravenous anesthesia with clonidine and propofol (group 2). At induction, clonidine infusion was started at the dose of 5 ㎍/㎏ in 10 ml during 15 min, followed by 1 ㎍/㎏/h (5 ㎖/h) during the operation. Intraoperatively, increases in blood pressure or heart rate not responding to propofol bolus (0.5 ㎎/㎏) were treated with a bolus of intravenous fentanyl (1 ㎍/㎏). Postoperative analgesia was assessed by recordings the Ⅳ PCA requirements and visual analogue scale at 1.5, 3, 6, 12, 18, 24, 48 h. Sedation scores and side effects were also recorded. Results: During anesthesia, blood pressure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2 than in group 1 (P<0.001). During surgery, 26.6% of patients in group 2 required propofol or fentanyl, but 53.3% of patients in group 2 were in the range of 140~150 mmHg of systolic pressure during 10 min or longer. The concentrations of plasma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in group 2 did not increase during intraoperative and early postoperative period. PCA requirements were significantly less in group 2 than in group 1 during first 12 h after surgery (P<0.001). No severe bradycardia, hypotension and sedation developed in both groups. Conclusion: Intravenous clonidine and propofol with supplementary propofol or fentanyl could maintain hemodynamic stability to surgical stimulation. It produced an effective analgesiaa during early postoperative period.

      • 목표농도조절주입 ( Target Controlled Infusion ) 을 이용한 Propofol 마취유도

        길호영,양정화,유홍성,김태견,이성익,이승준,윤영준,박영주 대한정맥마취학회 1999 정맥마취 Vol.3 No.2

        서론: 목표농도 조절주입은 약물의 정주방법을 단순하고 향상된 조절 방법으루 투여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투여 방법이다. 주입된 약물의 효과는 작용처의 농도에 의해 결정되는 이는 혈중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TCI를 이요한 propofol 마취유도를 위해 다양한 목표농도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마취유도 여부를 용량-반응 연구를 통해 분석함으로서 한국인에서 midazolam으로 전처치 한 경우 propofol 마취유도 시 적절한 목표 농도를 설정하는 동시에 활력징후의 변화 및 부작용에 대해 관찰하였다. 방법: 계획수술이 예정된 미국마취과학회 신체분류 등급상 1, 2에 속하는 체중 45∼100㎏, 연령 18∼55세의 남녀환자 6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 신 간장 질환이 있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마취전처치로 마취유도전 1시간에 glycopyrrolate 0.2 ㎎ 및 midazolam 0.07 ㎎/㎏을 근주한 후 마취유도 시 목표농도를 3, 4, 5, 6 ㎍/㎖로 하는 네 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각 15∼18명씩 임의로 배정하였다. 마취유도의 성공 여부는 약물주입 시작부터 3분이내에 눈을 떠보라는 요구에도 반응이 없는 경우로 정하였고 약물 주입동안 1분 간격으로 혈압 및 맥박, 10초 이상 지속되는 무호흡의 여부를 관찰하고 동시에 약물주입으로 인한 통증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마취유도 성공 시 마취유도 시간, 컴퓨터 주입기 화면에 표시된 마취유도 용량, 측정용량, 각성농도를 1.2 ㎍/㎖로 하였을 때의 상황민감성감소기를 관찰하였다. 결과: 목표농도 3 ㎍/㎖로 설정된 경우 환자의 25, 4 ㎍/㎖시 5.8.8%, 5 ㎍/㎖시 77.8%, 6 ㎍/㎖시 100%에서 성공적인 마취유도를 보여 목표농도 증가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2=0.98). Propofol의 마취유도를 위한 효과농도에서 EC_50은 3.87 ㎍/㎖, EC_95은 5.71 ㎍/㎖을 나타내었다. 각 군의 마취유도시간은 139∼166초로 각 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혈압, 맥박, 말초산소포화도와 주입 시 통증의 정도, 무호흡의 빈도, 부작용의 관찰도 각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Midazolam 전처치한 한국 성인의 경우 TCI를 이용한 propofol 마취유도는 목표농도 5∼6 ㎍/㎖에서 대부분의 대상환자가 활력징후의 개선이나 부작용 감소 등의 장점을 보이면서 성공적인 마취유도를 보였다. Background: Target Controlled Infusion (TCI) is designed to achieve a predicted target blood concentration based on population pharmacokinetics and it provides the closest approximation for any individual patients. This study determined which target is appropriate for propofol induction using a TCI in korean adult patients premedicated with midazolam. Methods: Sixty six patients (ASA Ⅰ or Ⅱ, 18~55 years) premedicated with midazolam were allocated randomly to receive an infusion to achieve and maintain a target blood concentration or 3, 4, 5 and 6 ㎍/ml using a TCI. Induction time was measured as the interval from the start of the infusion to loss of verbal contact and induction within 3 min was considered as successful. Calculated concentration, induction dose, context sensitive decrement time, vital signs, pain score and side effects were checked and compared each other during induction period. Results: The success rate when the target was 3 ㎍/ml was 25%, 58.8% and 100% when targets were 4 ㎍/ml, 5 ㎍/ml and 6 ㎍/ml respectively. Effective Concentration (EC)50 for induction was 3.87 ㎍/ml and EC95 was 5.71 ㎍/ml. Calculated concentration, induction dose, context sensitive decrement time in 3, 4, 5 ㎍/ml group showed no differences among groups, but 6 ㎍/m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other groups. Vital signs, pain score and side effects showed no differences among groups. Conclusions: Target concentration of 5 ㎍/ml would successfully induce anesthesia in the majority of patients premedicated with midazolam without major hemodynamic changes.

      • 정형외과 외래수술 환자의 마취관리

        양홍석,김대영,정화성,이동명,최윤 대한정맥마취학회 1998 정맥마취 Vol.2 No.1

        서론: 외래마취는 1906년 영국에서 시작하여 최근 미국에서는 60% 이상을 외래환자로 수술과 마취를 시행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도 1980년 후반기부터 일부 대학병원에서 소규모로 실시하였으나 최근 외래수술센터가 설립되면서 점차 증가되고 있다. 저자들은 정형외과에서 외래마취관리에 관한 경험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7월부터 1997년 6월까지 1년간 정형외과에서 외래수술을 시행한 환자 311예중에서 마취과의사가 관련된 216명을 대상으로 하여 환자의 상태, 마취방법, 마취약제, 술후 합병증 등을 분석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환자는 정형외과에서 수술을 시행한 3061예 중에서 외래수술은 311예(10.2%)를 시행하였으며 마취과 의사가 관련된 경우는 216명(69.5%), 외과의사가 직접 국소마취로 시행한 경우는 95예(30.5%)였다. 전신마취에서 사용약제는 propofol 88예(62.0%), enflurane 45예(31.7%)이었고 부위마취가 74예(34.3%)였다. 수술후 입원한 경우는 4예에서 입원하였다. 결론: 정형외과의 외래수술을 위한 마취관리는 환자의 연령, 수술부위와 마취수기 등에서 다른 분야와 차이가 있으므로 마취과 의사는 유연성과 창의력이 있는 자세로 증가되는 외래수술의 지속적 발달을 위하여 요구사항에 대한 도전적인 반응이 필요할 것이다.

      • 간질수술에서 Pofol^�과 Diprivan^� 의 비교임상연구

        배정인,손은익,이창영 대한정맥마취학회 1998 정맥마취 Vol.2 No.4

        서론: 간질수술시 이용되는 propofol은 마취유도가 신속하고 의식회복이 빠른 정맥마취제이다. 의식회복 후 절제할 간질부위를 정확하게 확인한 후 가장 근접한 부위까지 절제함으로 후유증을 적게할 수 있다. 간질수술환자에서 propofol제품인 Pofol^?? (동국제약, 한국)과 Diprivan^?? (ICI Pharm, Co, UK)을 이용하여 전정맥마취를 시행한 후 혈역학적 변화 및 효능을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두군 모두 12명의 환자를 각각 대상으로 하였으며 마취유도는 2㎎/㎏를 일회용량으로 주입하고 마취유지는 100 mcg/㎏로 하였다. 수술단계는 6단계로 분류하였다. (Ⅰ: Carniotomy, Ⅱ: Electrocorticography, Ⅲ: Functional mapping, Ⅳ: Cortical resection, Ⅴ: Post-resection, Ⅵ: Craniotomy closure). 결과: 두군 모두 동맥혈가스 분석과 활력징후를 분석하였따. 의식회복시간은 Diprivan^??군(10.6±3.22min.)보다 Pofol^??군(8.9±2.64min.)에서 약간 빨랐다. 다른 결과는 두군간에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Pofol^??과 Diprivan^?? 모두 수술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간질수술에 이상적인 정맥마취제이다. 의식회복시간은 Diprivan^??보다 Pofol^??이 약간 빨랐고 술중 뇌피질파 및 기능적 뇌지도화검사시 약간 도움이 되었다.

      • Midazolam 사전 정주가 Propofol 에 의한 마취유도 및 기관 내 삽관 시 Bispectral Index 와 혈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함석희,최영규,김동욱,김건식,권무일,신광일 대한정맥마취학회 2000 정맥마취 Vol.4 No.1

        서론: 환자의진정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Bispectral Index (BIS) 감시장치는 마취제 및 유해 자극과의 관계성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중이다. 저자들은 propofol로 마취 유도를 하는 동안 midazolam의 사전 정주 여부에 따른 기관내 삽관 전후의 BIS치와 혈압, 심박수를 측정하여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방법: 미국 마취과학회 신체등급 분류 1, 2에 속하는 18-60세의 환자중 수술시간이 두시간 미만인 남녀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제1군, n=10)은 마취유도시 일시용량으로 propofol 2 ㎎/㎏을 투여한 다음 12 ㎎/㎏/h을 지속 주입한 군, 실험군(제2군, n=10)은 마취 유도 2분전에 midazolam 0.1 ㎎/㎏을 투여한 다음 12 ㎎/㎏/h을 지속 주입한 군으로 하였다. 마취유도제로 사용한 propofol은 40초 이상에 걸쳐서 정주하였으며, 이때 다른 정맥로를 통하여 근이완제인 vecuronium을 0.15 ㎎/㎏ 투여한 다음 약 5분 이상에 걸쳐 100% 산소를 이용하여 보조호흡과 조절호흡으로 유지하다가 BIS치가 40전후인 경우 기관내 삽관을 시도하였다. 마취유도전, midazolam(또는 생리식염수) 투여후 2분, propofol 1 또는 2 ㎎/㎏ 및 vecuronium 0.15 ㎎/㎏ 투여 후 3-5분, 기관내 삽관후 1분, 삽관후 3분 및 5분에 BIS치, 혈압 및 심박수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BIS 및 수축기 혈압은 midazolam을 사전정주한 군에서 일시적으로 감소되었다. 양군에서 propofol로 마취유도하는 동안 20% 정도 감소하였다. BIS는 기관내 삽관 5분 후에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결론: Midazolam 사전정주는 기관내삽관시 심혈관계 반응을 둔화시켜 주었으며, BIS는 정맥마취 동안 최면상태늘 예측하기에 좋은 감시장치라고 사료된다.Background: The bispectral index (BIS) has been used as an indicator of sedative state and has been considered to be related to be related to anesthetic agents and noxious stimulus. In this study, we measured BIS, blood pressure (BP) and heart rate (HR) during induction of anesthesia (IA) with propofol, with and without midazolam pretreatment. Background: The bispectral index (BIS) has been used as an indicator of sedative state and has been considered to be related to be related to anesthetic agents and noxious stimulus. In this study, we measured BIS, blood pressure (BP) and heart rate (HR) during induction of anesthesia (IA) with propofol, with and without midazolam pretreatment. Methods: A study design was used in 20 ASA physical status 1 and 2 patients aged from 18to 60 years undergoing short (2 h) operation times. In the control group (group 1, n = 10), propofol 12 ㎎/㎏/hr was infused continuously ofter propofol 2 ㎎/㎏ as an intravenous bolus for IA preceded by normal saline. In group 2 (n = 10), propofol 12 ㎎/㎏/hr was infused continuously after half-strength propofol 1 ㎎/㎏ as an intravenous bolus for IA preceded by 0.1 ㎎/㎏ midazolam 2 min before. Patients received intravenous propofol for IA over 40 seconds. During the infusion, vecuronium (0.15 ㎎/㎏) was given 3 - 5 min before intubation. The assistant and controlled ventilation were maintained with 100% oxygen over 5 min, and continued until BIS decreased to 40 and intubation was called for. The BIS, BP and HR were measured 2 min after midazolam or normal saline infusion, 3 - 5 min after propofol with vecuronium and 1, 3 and 5 min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Results: The midazolam pretreatment produced transient decreases in systolic BP and the BIS. During IA with propofol, BP decreased 20% in both groups. BIS decreased significantly 5 min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Conclusions: Midazolam pretreatment attenuated the cardiovascular response to intubation, so BIS is considered a good monitor as a predictor of hypnotic state during intravenous anesthesia.

      • Propofol-N_2O-O_2 마취시 PK-SIM 컴퓨터 모의실험을 이용한 상황민감성 반감기와 Propofol 주입시간 및 각성의 비교

        길호영,황성미,이승준,김대우,한태형,박영주 대한정맥마취학회 1999 정맥마취 Vol.3 No.2

        서론: 최근의 여러 문헌에 의하면 상황민감성 반감기(context-sensitive half-time, CSHT)는 약물을 일정기간 주입한 후 약물농도의 감소를 임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측정밥법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마취로부터의 회복의 유용한 판정방법으로 PK-SIM 컴퓨터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상황민감성반감기를 시뮬레이션하고 이를 propofol의 주입기간과 마취로부터의 진정한 회복과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정형외고 수술이 예정된 18∼55세 미국마취과학회 신체분류 등급 1 및 2의 95명을 propofol의 주입기간에 따라 다섯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 60분 이내, 2군 60분∼120분, 3군: 120분∼180분, 4군: 180분∼240분, 5군 240분∼300분. 마취는 Prys-Robert's의 방법에 따라 유도하고 propofol-nitrous oxide (67%)-oxygen (33%)로 마취유지 하였다. Propofol 주입은 피부봉합 종료시 즉시 중단하였으며 주입시간을 기록하였다. 주입시간, 상황민감성반감기, 마취로부터의 회복시간을 비교하였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관찰하였다. 결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효과처 농도는 3.3 ㎍/㎖이었다. 각군의 각성시간은 8.7∼11.8분이었고 상황민감성반감기는 6.4∼9.5분이었다. Propofol 주입기간과 각성사이의 상관계수는 0.95이었고 상황민감성반감기와 각성시간 사이의 상관계수는 0.9 (P<0.05)이었다. 결론: Propofol 주입기간, 각성시간 및 상황민감성 반감기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황민감성반감기는 propofol을 주마취제로 이용한 전심마취의 회복시 마취로부터의 각성의 예견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Several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context-sensitive half-time (CSHT) as a more clinically relevant measure of decreasing drug concentrations after a constant infusion of a given du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imulate the CSHT using a PK-SIM computer simulation program and compare this with duration of propofol infusion and real awakening time from anesthesia for the evaluation of CSHT as a useful tool of prediction of recovery from anesthesia. Methods: Ninety-five ASA class Ⅰ or Ⅱ adult patients (18~55 yrs) scheduled for orthopedic elective surgery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5 groups according to duration of infusion of propofol. Five groups were Group 1: less than 60 min, Group 2: 61~120 min, Group 3: 121~180 min, Group 4: 181~240 min, and Group 5: 241~300 min. Anesthesia was induced and maintained with propofol-nitrous oxide (67%)-oxygen (33%) according to Prys-Roberts' method. Propofol was discontinued immediately after skin closure and duration of infusion was cheked. Duration of infusion, CSHT, and awakening time from anesthesia was compared and evaluated correlations among them us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Effect site concentration of propofol derived from computer simulation was 3.3 ㎍/ml. Awakening time for each group was 8.7~11.8 min and CSHT for that was 6.4~9.5 m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duration of infusion of propofol and awakening was r=0.95 and that between CSHT and awakening time was r=0.9(p<0.05). Conclusions: There were strong relationship among duration of infusion of propofol, awakening time and CSHT. It seems that CSHT could be a good predictor of awakening from propofol-based general anesthesia.

      • 만성통증 환자의 신경차단술을 위한 Propofol 목표농도 주입법을 이용한 진정수면

        이윤석,오완수,강정권,우승훈,연준흠,김정원,홍기혁 대한정맥마취학회 1999 정맥마취 Vol.3 No.3

        서론: Propofol 정맥마취는 다른 마취제와 비교할 때 깨끗하게 각성하기 때문에 외래수술을 위한 마취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당일 귀가를 예정하고 수술실에서 신경차단술을 시행받는 환자들에서 propofol 목표농도 주입법을 사용하여 진정수면을 적용하였다. 적절한 진정수면 깊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뇌파의 bispectral index (BIS) 점수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차단술 환자들의 propofol 진정수면에 대한 만족도와 임상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통증클리닉 외래로 방문하여 수술실에서 신경차단술을 받는 40명의 성인 환자를(18∼75세)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중 맥박산소포화도, 맥박수를 측정하고 저자들이 변형시킨 경비산소투여기로 산소를 분당 5 L로 투여하면서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하여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BIS 센서를 이마에 부착하였다. Lidocaine 40 ㎎과 ketorolac 30 ㎎을 정주하고 propofol 목표농도 주입을 시작하였다(목표농도=3.0 mcg/㎖, 유도시간=3분). 손에 쥐고 있던 베개를 떨어뜨리는 시점을 진정유도로 간주하고 이때의 효과부위농도(effect site concentration at induction, Ce_I)와 BIS 점수(BIS_I)를 기록한 뒤, 이후로의 진정 깊이는 propofol 목표농도를 Ce_I로 부터 0.8∼1.6배까지 임의로 조정해서 조절하였다. 신경차단을 위한 바늘 천자 부위에 통증치료의에 의한 국소마취제 침윤 때 효과부위농도(Ce at lidocaine infiltration, Ce_L)와 BIS 점수 (BIS_L), 이때 환자의 저항성 움직임 여부를 기록하였다. 시술이 끝나면 propofol 주입을 중단하였다. 환자가 호명에 반응하여 눈을 뜨고 대답을 할 수 있는 시기를 회복으로 평가하였고 회복에 걸린 시간과 이때의 효과부위농도(Ce at recovery, Ce_R), BIS 점수(BIS_R)를 기록하였다. Propofol 총 투여시간과 총 사용량을 기록하였다. 환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6단계로 구반하였고 회복실에서 약 1시간동안 관찰한 뒤 보호자와 함께 퇴원시켰다. 결과: 진정유도에 걸린 시간은 5.8±2.4분, Ce_I는 2.0±0.6 mcg/㎖, BIS_I는 68.1±15.9였다. 회복에 걸린 시간은 4.7±3.0분(평균±표준편차)이었으며 회복실에서의 오심과 어지러움으로 퇴원이 늦어진 환자가 두 명 있었다. 환자들의 시술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5 [0](중위수 [사분범위])로서 우수하였다. 국소마취제 침윤 중 저항성 움직임을 보인 환자는 19명이었다. 움직임 여부에 따른 Ce_L, Ce_L/Ce_I, BIS_L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Propofol 목표농도 주입법을 이용한 진정수면 하에서 신경차단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다. 그러나 안전한 진정수면을 위해서는 맥박산소포화도, 호흡수의 감시가 필요하며, propofol 진정수면만으로는 BIS를 감시하고 있더라도 국소마취 침윤 때 나타나는 환자들의 저항성 움직임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를 요한다. Background: Propofol has been known to be proper in ambulatory anesthesia as its well-known rapid recovery characterized by "clear-headedness". Authors conducted a sedo-hypnosis by propofol target-controlled infusion in to whom the neural blockade was given. Bispectral index (BIS) of EEG was monitored to measure the depth of sedo-hypnos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atient's subject feeling for propofol sedo-hypnosis and its safety. Methods: Fourty adult patients (18~75 year-old)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y were scheduled the elective neural blockade in operatihg room. We obtained the informed consent. Without premedication, they arrived at operating room via outpatient clinic. After proper positioning, pulse oximetry, pulse rate, respiration rate and BIS score were monitored. Following lidocane 40 mg and ketorolac 30 mg ⅳ, propofol was administered by target-controlled infusor (initial target concentration 3.0 mcg/ml, induction time 3 minutes) Loss of hand grasping power was regarded as induction of sedo-hypnosis. BIS_I (BIS at induction) and Ce_I (effect-site concentration at induction) of propofol were noted. After induction, target concentration was adjusted randomly in a range of 0.8 ~ 1.6 times Ce_I. BIS_L and Ce_L (BIS and Ce at local infiltration) were also noted. Withdrawal movement immediately following local anesthetic infiltration to needle puncture site was noted. Propofol infusion was ceased when the procedure was finished. Recovery time, BIS_R and Ce_R (BIS and Ce at recovery) were evaluated. Patient's overall satisfaction was classified into 6 classes by numeric rating scale. Patients were moved to recovery room and discharged home when matched with discharge criteria. Results: Induction time, Ce_I and BIS_I were 5.8±2.4 min, 2.0±0.6 mcg/ml, and 68.1±16.9, respectively. Withdrawal movement during local anesthetic infiltration was occured in 19 patients. Recovery time was 4.7±3.0 min (mean±standard deviation). All patients were met by discharge criteria within 4 hours. Patient's overall satisfaction was 5 [0] (median [interquartile range]). Conclusions: Patient's satisfaction for propofol sedo-hypnosis during the neural blockade was high. There's no impediment in one day discharge. Monitoring of pulse oximetry and respiratory rate will be needed for safe practice. Patient's withdrawal movement cannot be predicted in propofol alone sedo-hypnosis, even by BIS monito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