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지투선도구와 북한나선특별시간 경제협력

        림금숙(Lin, jin―shu) 국제지역연구학회 2012 국제지역학논총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창지투(?吉?)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별시 간의 경제 협력의 배경과 추진현황 및 제약 요인에 관하여 토의하려고 한다. 창지투 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별시 간의 경제협력은 지린성의 “항구를 빌어 바다로 나가는 전략”을 실현하는 관건이며, 북한이 나선특별시의 개발 및 개방을 통해 경제 회생의 돌파구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며, 두만강지역 국제자유무역지대 건설에 중대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창지투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별시간 경제협력의 중점 과제로는 북한의 나진항을 통하여 중국의 동북지역과 남방지역을 잇는 다국적 운송통로와 몽골, 러시아, 중국, 한국, 일본 더 나아가 미주지역을 잇는 동북아지역 물류운송 통로의 구축; 자원개발과 수출가공을 중심으로 한 산업협력; 두만강지역의 다국적 관광협력; 두만강지역 국제자유무역 지대의 건설 등이다. 현재 창지투선도구와 나선특별시간 경제협력은 사회기초 시설 투자에 필요한 자금 조달, 북한 경내 도로, 철도, 항만 등 기초 시설 건설자금의 마련, 두만강지역 국제물류 통로의 원활한 운영에 소요되는 물류집산지의 건설, 산업단지 건설에 필요한 기업유치, 다국적 관광업의 활성화에 필요한 개방정책 등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두만강지역 다국적 개발 협력을 제약하는 주요 요인들로는 두만강 지역개발 이익을 둘러싼 주변국의 이해관계; 막대한 자금 수요에 비하여 외자유치의 미비; 북한의 열악한 인프라 환경과 체제개혁의 지연; 북한의 “핵개발”로 인한 동북아 지역의 복잡한 정치, 외교적 환경 등이다. 창지투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별시간 경제 협력을 진일보 추진하려면 북?중 두 나라 정부가 이 지역에 대한 특수한 정책을 실시하는 동시에 공동개발에 필요한 자금 지원의 확대와 아시아은행 등 국제 금융기구의 공적자금 활용이 필요하다. 북한 정부는 당초 중국의 심천특구 건설 경험들을 적극 수용하여 북한 실정에 알맞은 특구건설 대안을 모색하는 것 역시 중요한 과제이다. 나진항과 부산항을 연결하는 물류운송 루트의 구축은 한국이 동북아 물류중심 국가로 부상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단순히 관망하거나 북한이 중국의 영향권에 편입되는 것을 우려하는 자세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두만강지역 개발 협력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The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Changchun?Jilin?Tumen Pilot Zone and the city of Luoxian in DPRK is the ne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strategic target of the Changchun?Jilin?Tumen Pilot Zone, the promotion of the opening up of the city of Luoxian in DPRK, and the promotion of the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in countries in Tumen River area. In the process of Promoting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Changchun?Jilin?Tumen Pilot Zone and the city of Luoxian in DPRK, The construction of the logistic corridor is the focus, International tourism cooperation is an important carrier of bilateral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while the manufacturing industry cooperation which is mainly about processing trade is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Hence, Corridor construction has to be focused to accelerate international tourism and industrial cooperation, Promoting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Changchun?Jilin?Tumen Pilot Zone and the city of Luoxian in DPRK in a smooth and orderly manner.

      • 国際コミュニケーション研究の新地平 - 方法論的試論

        千葉悠志(Chiba Yushi) 국제지역연구학회 2014 국제지역학논총 Vol.7 No.1

        냉전시대의 국제정치가 짙게 반영된 초기의 국제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서구나 유네스코와 같은 국제기관의 도상국에 대한 미디어 개발원 조정책의 지침이 되어, 실제로 도상국에서의 미디어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국제커뮤니케이션 연구는 현실과 관계가 깊은 현실성 짙은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와 지금까지의 국제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대한 비판과 함께 새로운 연구의 방향이 모색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국제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흐름을 파악해 나가는 것과 동시에, 현재 국제커뮤니케이션 연구가 직면하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재조명한다. 더불어 종래의 국제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지역연구로서의 미디어연구’의 방법을 제시하며 그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ay the methodological foundation and to inquire new approaches for the study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Starting in the mid-twentieth century, many scholars started to develop the study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by focusing on non-Western and developing countries belonged to East Asia, South-East Asia, the Middle East, Latin America, Africa, and other regions. However, when it comes to analytical methods, the study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faces some methodological difficulties by the end of 1980s. Now, the study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needs methodological innovations. For this reason, this study has three aims. First, through arguing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it reveals the problems that previous studies had. Second, it argues that recent studies started to focus the topic of “regional media spaces.” Third, for a new horizon in the study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it suggests to take interdisciplinary approach.

      • 조선족연구의 현황과 과제

        李成日(Li Chengri) 국제지역연구학회 2014 국제지역학논총 Vol.7 No.1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조선족들은 농촌으로부터 도시에로, 동북부지역으로부터 연해지역으로 대거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에는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미국, 동남아, 러시아 및 유럽 등 각지에로 그 이동을 세계적 범위에로 점차 확대해 오고 있다. 현재 한국에는 50만 명 이상의 조선족 인구가 장기 체류하고 있으며, 일본, 러시아, 미국, 동남아 및 유럽 등 지역에 10만 명 이상에 달하여, 중국 이외의 국가와 지역에 60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이 외에 40만 명이 넘는 조선족 인구가 중국 동북부지역 외의 연해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인한 자유로운 인구 이동과 자기발전을 추구하고자 하는 개인적인 경제동기가 크게 작용하였으며, 특히 한중수교 이후에는 한국의 경제성장과 한국기업의 대중국 진출이 커다란 역할을 해 왔음을 지적할 수 있다. 오늘날 조선들의 대거 이동은 조선족사회의 경제, 문화 및 사회의식 발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이와 동시에 조선족 인구의 급감, 교육수준의 저하, 농촌사회의 해체 등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심지어 ‘조선족사회 위기설’, ‘조선족사회 해체설’까지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조선족 사회 발전에 대하여 ‘조선족사회 역할론’, ‘조선족사회 기회론’ 등 낙관적인 주장도 나오고 있다. 본고는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에 관한 중국, 한국, 일본 등 3개 국의 연구성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금후 연구과제 및 방향을 지적해보고자 한다. The paper seeks to investigate the leading causes of Korea-Chinese’s migration after reform and openness in China and analyze the patterns of social problems in Korea-Chinese area. Korea-Chinese have dramatically transferred from rural to urban as well as from northeast of China to eastern coast. In the same way, sinc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was established in 1992, the number of Korea-Chinese’s migration has remarkably increased over at 500,000. In addition, more than 100,000 Korea-Chinese settle down all over the world concerned Japan, Russia, USA, Southeast Asia, Europe etc. For Korea-Chinese on a migration into Korea, their status of migration is more likely to be determined by Chinese government’s national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s after accepting reforming and opening policy. Beside, the phenomenon of Korea-Chinese’s migration has been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fact that a number of Korea enterprises have successfully penetrate and occupy the Chinese market. On the other hand, varieties of social problems have been brought including under population, low-level education, non-farm business and discourage labor mobility in Korea-Chinese area in China. The findings highlight that Korea-Chinese’s migration has led to a significant change in economic, cultural, and political situations in China and Korea.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measures about social problems caused by Korea-Chinese’s migration and suggest the future study directions with effective resolution of problems.

      • The Concept Definition of “Northeast Asia” and the Analysis from Cultural Perspective

        Jianyi Piao,Yunpeng Ma 국제지역연구학회 2014 국제지역학논총 Vol.7 No.1

        동북아국제관계 연구 중에는 오랫동안 한가지 문제가 존재해오고 있다. 이는 바로 동북아의 개념과 그 지역 범위의 정의가 확실하지 않다는 것이다. 엄격한 지리학적 견해로는 이른바 “동북아” 지역이 존재하지 않지만, “동북아” 지역은 국제관계연구 중에서는 이미 지정학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동북아”의 내재적 의미, 즉, 동북아의 중심지역이 비교적 명확했지만, 그 경계는 매우 불분명했다.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의 범위를 확정한 기초 위에서 이 지역의 지리적 분포 및 지정학적 특징에 대하여 연구 결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동북아”는 하나의 지정학적 개념으로서 발전, 변화의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재 동북아 지역의 각종 요소들의 상호 작용의 결과는 동북아의 지역 범위 및 문화형태 등 특징을 결정할 것이다. A problem long existing in the research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is the ambiguous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northeast Asia and its area limits. In the strict sense of geo-related science, there is no so-called “northeast Asia”. Rather, “northeast Asia” is a geo-concept that has been gradually developed in the research of international relations. Current research has basically defined the connotation of “northeast Asia”, namely, its central area, but not its denotation. Based on the longtime research, the relatively clear area limits of northeast Asia have been defined in this paper-the north, west and south boundaries are spherical lines, while the east is characterized by northeast-to-southwest spherical diagonal, which contributed to its overall appearance as a spherical trapezoid. This paper further generalizes the geo-related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of “Northeast Asia”, based on which the paper put forward the thesis―the geo-features and the geo-related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is one of the most stable and cons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regional security of northeast Asia. As a geo-related concept,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northeast Asia” is its character with development and changes, further explained, the current elements interactive results in Northeast Asia region would determine the scope, culture form and other features in the next stage of Northeast Asia.

      • EU-Fördermöglichkeiten für Innovation & Forschung im internationalen Rahmen, von europäischen KMU und die Fördermöglichkeitenvon KMU bezogen aufspezifische Regionen(Bsp: Südkorea)

        Tae-Hung Chung,Sandra Thaler,Tajana Suku 국제지역연구학회 2014 국제지역학논총 Vol.7 No.1

        유럽연합-2020 성장과 일거리창출 전략에서 가장 우선적인 것이 혁신과 연구이다. 유럽연합은 1980년부터 연구와 기술개발관련에서 가장 핵심적 분야인 의학, 생물학, 산업발전에 필요한 지원프로그램을 국제적 협력연구를 통하여 개발하고 있다. 2014년도에 실시되는 호리존 2020 Horizon 2020은 유럽연합이 광범위한 경제적 지원을 통하여 유럽연합 자체의 학술적 연구분야를 국제적으로 최상으로 올리기 위한 새로운 혁신과 연구의 기본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다. 주로 높은 생산력과 일자리 창출을 주 목표로 하는 이 지원 프로그램은 인적자원의 확대를 중요시 한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에너지, 식품, 기후변화, 노후 문제 등의 해결책을 개발하기 위하여 유럽연합국가 뿐만 아니라 유럽의 다른 국가와의 협력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고는 호리존 2020에서 제공하는 유럽연합의 중소기업의 자체적 연구와 개발확대를 위한 세금혜택, 대출, 협동조합, 서비스 분야의 지속 가능한 지원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중소기업의 성장과 일거리 창출의 증가를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 프로그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중소기업이 지원요건을 채우지 못하여 혜택에서 제외되는 점을 대한민국 중소기업을 사례로 살펴보았다. 또한 많은 중소기업들이 지원정책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요건을 못 갖추는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중소기업을 위한 지원책이 보다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해지기 위하여 보다 다양하며 개별적인 심사와 지원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Innovation and research are some of the most important priorities within the “EU-Strategy 2020”. It is aimed to increase the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within the European Union. This paper wants to show the methods and strategy of the EU to support Innovation and research which should be coordinated properly within an internal market Another goal is the expansion of such research activities on European and international levels. Affirmative measures for European SM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ere developed to suppor them financially or educationally to make a global competition possible. This should be shown on current and past examples of affirmative measures for SMEs who were or are interested in business with the Republic of Korea, which has a free-trade agreement with the European Union. Several programs like “EU Gateway Korea” or special ETPs (Executive Training Programs) have been introduced for European company managers dealing with Korea.Nevertheless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 conditions to achieve this support from the EU were too high for many SMEs, which are mostly in a difficult financial and personal situation in reality.

      • Addressing Environmental Issues in East Asia Seas Region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Shin Won-Tae(신원태) 국제지역연구학회 2010 국제지역학논총 Vol.3 No.2

        이 논문은 국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동아시아 국가간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논하고 있다. 국제 환경문제 중에서도 기후변화는 우리시대의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국제사회의 어젠다를 지속가능한 발전에서 녹색성장으로 바꾸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녹색성장은 매우 심각한 문제인 에너지와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해결방안을 도입함으로서 달성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곧 해양에서 찾을 수 있다. 해양이 식량, 에너지, 유용자원의 보고라는 것을 인식할 때 우리의 미래는 활짝 열리게 될 것이다. 해양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한 나라의 관리실패는 곧 다른 나라에서 그 영향이 나타난다. 많은 동아시아 국가들이 국제 기준에 못미치는 관리역량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해양환경 관리를 위해 이들 나라들을 지원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사실을 인식할 때, 한국의 입장에서 국제협력을 위한 전략은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첫째, 현재 활동하고 있는 국제기구인 PEMSEA와 NOWPAP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둘째, 동아시아 국가의 담당자들에 대한 능력향상 지원; 셋째, 공정개발원조 자금의 해양과 환경분야에 투자; 넷째, 북한의 환경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 다섯째, 한국인들의 국제협력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국제 비즈니스 상황에서 언어중재자의 역할

        최진철(Choi, Jinchul) 국제지역연구학회 2013 국제지역학논총 Vol.6 No.2

        본고는 국제비즈니스 활동에서 나타나는 언어 문제를 다루고 있다. 실제로 지구상 모든 사람들이 공동의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한, 통역 역할을 하는 제3자의 도움 없이는 이성적인 의사소통은 힘들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문화와 국가가 다른 비즈니스맨들이 활동하는 국제비즈니스 상황의 대다수가 이러한 제3자의 언어중재를 통해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비용 등의 이유로 특별한 상황이 아닌 경우, 전문통역인을 통한 비즈니스 활동 보다는 해당 상황 속 행위자 중 어느 정도 이중 언어 능력을 갖춘 사람을 언어 중재에 활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상황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많지 않았던 것이 현실이다. 본고는 한국과 독일 기업 간 비즈니스 상황에 대한 현장 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비전문인에 의한 비즈니스 의사소통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방식의 언어중재는 어떠한 문제와 위험을 수반하고 있는지 고찰해볼 것이다. 이러한 현장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제 비즈니스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중재활동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조명해보고, 나아가 국제 비즈니스 상황에서 언어중재자의 역할 그리고 언어중재자가 갖추어야할 자질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deal with the language problems in international business activities. As long as all speakers in the world do not share a common language, they will ne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 the help of a third person who acts as an interpreter. A significant part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especially in international business activities is characterized by fact that the primary communication partners cannot reach to a satisfactory understanding without the help of a the third party who is assigned to translate. Due to financial concerns in many business cases, the person who usually works as an interpreter, is somehow bilingual and is working as an employee for one of the both business partners. In this case the neutrality of the language mediator is quite questionable; because of the sense of belongingness to a certain party in the transactional situation could affect on the translation process, and the translation might be therefore partially carried out. Based on two different case studies of Korean-German business relationship, this paper will show how such activities of a nonprofessional interpreter look like, and what kind of problems would be caused through the use of this kind of “language mediator”. Finally, this paper will try to find out, how we can redefine these linguistic mediation activities in international businesses, and how we can profitably use it for an international business project.

      • 중국 중부굴기의 정책변화가 산업이전과 내수시장에 미친 영향

        김경환(Kim, Kyung-Hwan),이선희(Lee, Sun-Hee),전중용(Jun, Jung-Yong),진용원(Jin, Young-Won) 국제지역연구학회 2012 국제지역학논총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하여 중부굴기정책의 변화를 확인하고, 산업이전과 소비시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2006년부터 시행된 중부굴기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지역균형발전의 정책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수출에 심각한 타격을 입자 중국정부는 내수확대에 주력하였고, 중부지역을 내수확대의 신성장점으로 삼았다. 그 일환으로 중국정부는 기존의 중부굴기정책을 보완하여 실질적인 성과를 기대하였다. 지금까지의 현황을 보면, 중국의 국내기업과 외자기업은 중부지역의 생산지로써의 이점을 살려 합작 혹은 독자형태로 중부지역으로 이전을 가속화하고 있다. 그리고 중부지역은 많은 인구와 동부지역과 맞먹는 소비성향으로 인해 소득과 소비가 동부지역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중부지역은 생산지와 소비지로써 중국 경제발전의 한축으로 성장할 것이다. 한국기업도 중부지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 of government policy arou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lso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transfer of industries and consumer marke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before the financial crisis, the government policy which was introduced in 2006 was just one of th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ies Seco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late 2008, the Chinese government supposes to change the direction of strategy from export-led development strategy into the demand market-led development strategy, and strengthen the support policy in the central region. Third, by the look of the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al transfer in the central region,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dvantages of each province, China"s domestic enterprises are transferring their plants. Such as Foxconn(富士康) and other foreign enterprises also because of low labor costs and tax incentives in central region continued to transfer plants to the central region. Fourth,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xpansion of domestic demand in central region, China"s domestic enterprises have recognized the central region is becoming the key areas of expansion of domestic demand. So they also increasing the transfer of production lines and expand the construction of the plant. Fifth, if the proceeds of the central region go on rising, the economic development still continue, the central region as the producer and consumer will become the main pillars of China"s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the Korean-invested enterprises should increase investment in central region of China.

      • 상호문화 학습을 위한 외국어교육에서의 지역학의 역할

        유수연(Yu, Su-Yon) 국제지역연구학회 2013 국제지역학논총 Vol.6 No.1

        본 논문은 외국어교육에서 상호문화 학습을 위해서 지역학이 어떤 위치를 갖는지를 개괄하고 지역정보와 외국어교육, 그리고 상호문화 학습의 관계를 밝힌다. 외국어 교육, 특히 독일어 교육에서의 지역학은 세 가지 조류가 있는데, 객관적 사실에 의거한 지역학, 의사소통적 지역학, 상호문화적인 지역학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조류의 지역학은 외국어 교육의 목적에 따라 변천하여 왔고 지금도 그 역할들을 수업현장에서 찾을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조류 중 어떤 것이 현대 글로벌 사회의 구성원을 위한 지역정보인지를 살펴본다. 또한 상호문화 학습을 위해서 지역정보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독일에서는 상호문화 학습을 어떤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로의 급속한 변화에 발맞추어 어떤 정책을 내놔야할 것인지를 논의해본다. In the German language education, there are three different characters of cultural studies for language learning, which are factual, communicative and intercultural study. These have changed for the purpos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roles of these can be found also now in the practice of German language classroom. Through active global and transnational interactions, our students will be confronted an international and cross-cultural business environment, in which colleagues and company members from the different geological and cultural areas would be working together. This study is attempting to introduce and discuss, what kind of roles are played by the geological and cultural studies for the intercultural leaning, how the intercultural learning is performed in the Germany for the purposes of language education, and also what kind of policies could be proposed for handling the rapid changing Korean society heading for multi-cultural society.

      • Coping with Cross-Cultural Challenges in Multinational Companies

        Choi, Jinchul 국제지역연구학회 2012 국제지역학논총 Vol.5 No.1

        기업 직원들 간의 문화차이는 다국적 기업 간의 협력 프로젝트에서 상호 행동의 오해나 그릇된 해석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나아가 이러한 오해는 서로 다른 문화권 출신 기업구성원들간의 갈등을 초래한다. 하지만 프로젝트 수행 구성원들 간의 갈등은 비단 그들이 속한 국가 간의 문화차이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그들이 속한 기업조직의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된 이해관계 및 독특한 조직문화(corporate culture) 등을 통해 유발된다. 본 연구는 한국과 독일에서 이행한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독일 다국적 기업의 독일본사와 한국지사 직원들 사이의 업무협력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기업 구성원들이 다국적기업 간의 협력 프로젝트를 실행하면서 그들의 상호문화 행위(cross-cultural action)를 어떻게 인지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그들의 국제 업무일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상이한 기업철학과 사업 분야를 가진 두 독일 다국적기업에 서 직접 조직의 구성원으로 일하면서 한국인과 독일인 간의 상호작용과 그들의 문화다양성(cultural diversity) 대처 양상을 한국인과 독일인의 관점에서 비교 연구하였다. 아울러 문화인류학의 연구방법인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을 통해 연구자가 문화 중재자로 한국과 독일 기업들 간의 프로젝트 활동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살아있는 현장 상황과 경험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Through active global business relations between companies, international project cooper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day. Project management between company units has become one of the central issues for international operation of multinationals. Based on different projects of their company, employees are frequently appoin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broad and work together with the colleagues and business partners from different cultures. Through this kind of transnational interactions, the employees must work and act at the same time here and there. These working situations provide the employees with an entirely new challenge. Based on the empirical field researches which were carried out in two different German companies in the electronics respective automobile industry,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how individual employees move in the international interactions between German and Korean business companies and which cross-cultural challenges they are confronted with in their international business life. The different cultural characters of the employee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can cause some misunderstandings and false interpretations. These sometimes result in a conflict between the company members from the different locations. This kind of conflicts is caused not only through the cultural differences, but also through the own business interest of the involved company units and their internal corporate cul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