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성교육 원리로써의 홍익인간 교육이념 소고

        김태석 ( Kim Tai Su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연구소 2022 뇌교육연구 Vol.30 No.-

        최근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되고,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이 시행되는 등 인성교육에 관한 관심은 어느 때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인성교육은 사회적ㆍ문화적인 차원에서 여러 의미를 내포한 추상적이고 다의적인 개념으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분야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인성교육에 관한 관심 및 노력에 비해 교육적 측면에서의 내용 구성에 관한 체계화가 부족한 상황이고, 이와 관련된 분야에서 여러 논란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 시 인성교육에 관한 기초적인 단계부터의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여겨진다. 이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에 관한 교육적 방향을 재고하고, 기본이 되는 원리체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성교육에 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고, 이들 연구의 검토를 통해 제시된 핵심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폐쇄적이고 이기적인 사고체계에서 포용성 있는 이타적인 사고체계로의 전환이 중요한 요소라고 파악할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인성교육의 특성 개발을 위한 교육적 원리를 탐색하였는데, 교육기본법의 교육이념에 제시되어 있는 홍익인간이 이러한 교육적 목표의 기본개념을 내포하고 있어 기초 원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홍익인간 교육이념에 자기성장과 이타적 사고체계의 개발을 조화롭게 발현할 수 있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어 인성교육과 부합될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이 과정에서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존재론의 철학적 개념을 적용하여 인성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이해체계를 구성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인성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고찰을 진행하고, 새로운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personality education because there are many debates on t he policies o f i t i n Korea due to t he l ack o f understanding s. The personality education seems to draw much attention nowadays in Korea. However it is not easy to access because of the ambiguity and polysemy. So this study tries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which could be fitted to Korean circumstance.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from self-centeredness to altruism is figured out as the principal characteristic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ed researches. The crucial point is that the altruism dose not mean to be inclined to self-sacrifice and that the altruism include self-development and self-expansion which would be connected to the consideration of others.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 Hong-ik-in-gan, the ideals of education which is stated in the fundamentals of education act in Korea, is introduced as a basic principle. The Hong-ik-in-gan could give the harmonization of the self-growing and the consideration of others. It results in the altruism behavior. In addition, Martin Heidegger’s philosophical opinions of the Existential-ontology, are used for the systematization of the idea about the harmonization between self and others. the opinions could give the viewpoint of the idea of the 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them. So it could be applied to the combination with the principle, Hong-ik-in-gan.

      • 장생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목표 탐색의 과정과 결과

        신혜숙 ( Hye Sook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S No.-

        이 글은 노년기 학습자를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장기적인 목표아래, 기초연구를 통하여 교육적 목표를 선정해가는 탐구과정 전반을 드러내는데 목표를 두었다. 기초연구를 준비하기 위하여 초기 분석의 목표를 확인하고, 의미를 명료하게 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학제적 접근과 문헌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노화’와 관련된 이론적·실제적 환경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파악하는 단계로 나아갔다. 이러한 개별연구와 협동연구를 병행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노년기 학습자를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의 목표로서 ‘성공적인 노화’를 선정하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었다. 또, 기초연구를 수행한 연구진은 뇌교육의 ‘장생’ 개념이 ‘성공적 노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합의하고, 향후 이를 위하여 뇌교육을 교육적 소재로 삼고자 하는 교육적 프로그램의 이름을 ‘장생프로그램’으로 명명하기로 하였다. 이 글의 의의는 학제적 연구의 과정을 드러내는 동시에 교수 체제설계의 절차상으로는 초기 분석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뇌교육을 노년교육에 접목한 이론적·실제적 사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target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performing a basic interdisciplinary research which is a part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for the older learner. As a chief researcher, I selected the themes of ``first-end analysis`` on the view point of ``Instruction Systems Design``, and also managed the whole process of this basic research from organizing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eam to calling them for cooperative works. Before the starting of team research, we consented that to fix the meaning of ``educational goal seeking`` to abstract level and focus on the ``aging`` that is famous for main theme of gerontology. We performed "environment analysis" related to the phenomena of ``aging`` and "learner analysis" related to the meanings of ``aging`` with reviewing. Through these processes of individual and cooperative seeking, we concluded that we have to accept ``successful aging`` as the appropriate aim of educational programs for gerontology, and also ``Jangsaeng`` concept of brain education contains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for ``successful aging`` innately. So, we reached an agreement that to name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successful aging`` with brain educational matters as ``Jangsaeng program``. With this paper, the academics and practitioners on education can see the real first-end analysis`` case study and the interdisciplinary individual and cooperative research processes on educational gerontology.

      • 뇌과학 지식이 적용된 전생애 다중지능계발 교육

        류숙희 ( Sook Hee Ryu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6 뇌교육연구 Vol.1 No.-

        이 글의 목적은 뇌과학 지식이 다중지능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고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뇌의 발달경향성을 정리하고, 다중지능의 개념과 발달과정, 그리고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고찰하였고, 다중지능 프로그램에 뇌과학 지식이 주는 시사점을 추려서 정리하였다. 뇌의 발달과 교육, 그리고 다중지능의 발달과 교육은 서로 다른 측면을 중시하고 있는데, 전자는 유전적인 정보와 심리적 환경, 물리적 환경, 학습의 영향을 강조하고 있으며, 다중지능 발달과 교육에서는 상징체계의 습득과 생산, 주변의 인적·시대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성취수준의 변화에 초점을 두었다. 앞으로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는 뇌발달을 고려하여 전생애의 발달시기에 적절한 교육내용의 배열과 뇌교육에서 추천하는 교육방법들이 응용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plication of the appliance brain science to Multiple Intelligence Educati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ncludes Linguistic, Logical-mathematical, Spatial, Musical, Bodily-Kinesthetic, Interpersonal, Intrapersonal, and Natural Intelligence. There is the difference on development orientation and educational aims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education programs and brain development program. To develop the brain, hereditary information, nourishment, hormones and learning are important. To develop the multiple intelligence, acquisition and creation of symbol system is importan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Multiple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brain science knowledge for whole life span has to include appropriate arrangement of education activities and educational method.

      • 다문화사회의 평화교육 과제와 뇌교육의 의미: 문화 간 이해를 중심으로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9 뇌교육연구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가 제기하는 문화 간 이해의 과제를 평화교육이라는 보다 확대된 교육적 범주 안에서 조망해 보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법으로서 뇌교육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는 데 있다.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질적 문화 간의 `평화로운 공존`은 사회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필수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뇌교육의 목적과 방법은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가능하게 한다. 즉, 뇌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홍익인간`은 다문화사회에서의 인간이해에 방향성을 제공함으로써 이질성이 조화의 씨앗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뇌교육의 체험적 방법론은 평화적 감수성을 함양하여 평화로운 관계의 일상적 실천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우리의 교육적 전통을 재해석한 뇌교육이 다문화적 상황에서 평화교육의 넓은 범주를 아우르는 기본교육모델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meaning of brain education for a peace education which is a super ordinate category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We are on an unavoidable journey to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So, there is an urgent need of a plan for peaceful coexistence among the people of various cultures. The goal of the brain education, `Hong-ik-in-ghan(弘盒人間)`thought has a very significant implication about understanding the human be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n it changes the heterogeneity into the source of harmony instead of trouble. Furthermore, the experiential learning in view of practical method put the human on the daily life which is filled with peaceful relationship. Finally, the brain education which come from our educational tradition has a possibility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fundamental model for peace education in multicultural era.

      • 뇌교육 실행연구의 가능성 탐색

        김명섭 ( Moung Seob Kim ),신혜숙 ( Hye Sook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9 뇌교육연구 Vol.3 No.-

        실행연구는 이론과 실천을 통합함으로써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실행연구는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양적 접근 방식과 질적 접근 방식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중, 질적 접근을 통한 실행연구에 관심을 두어 논의를 전개하고 있으며, 여기서 다루는 실행연구는 질적 접근을 통한 실행연구에 한정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실행연구는 연구자가 참여자의 일상에 함께 존재함으로써 참여자의 역할과 연구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식을 취한다. 연구자가 곧 참여자가 되는 실행연구의 방식은 참여자와의 거리를 밀착시킴으로써 참여자에 대한 해석과 이해를 충분히 이끌어낼 수 있고, 또한 참여자와 문제인식을 공유함으로써 현실 개선을 위한 방법을 함께 모색해나갈 수 있다. 뇌교육은 내향적 체험 활동을 통한 과정적 맥락을 중요시하고 있는데, 이 같은 뇌교육의 과정적 맥락을 연구에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실행연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행연구를 뇌교육에 적용하여 보았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세 가지로 논의될 수 있다. 첫째, 실행연구는 반성적 사고 과정을 통해 뇌교육 실천지를 개발할 수 있다. 둘째, 실행연구는 교육의 맥락에 맞는 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셋째, 실행연구는 뇌교육의 내재적 의미를 탐구할 수 있다. Action research aims at the actual improvement by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It us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s discussed with focusing on action research through qualitative approach. Here, we make it clear to confine to action research through qualitative approach. Action research holds the way that the researcher play roles of both participant and researcher, sharing with a participant`s daily life. This method of action research can draw enough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 because researcher and participant become close together during the practice. Also, it is possible to find the solution for actual improvement together by sharing the recognition of problem with a participant. Brain education values procedural connection through inward experience, and it is desirable to apply action research so that this procedural connection can be reflected in study sufficiently. Applying this action research to brain education, we can get three effects to discuss. First, action research can develop the practical knowledge of brain education through a reflective thought process. Second, action research can develop the brain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connection with education. Third, action research can find the internal significance of brain education.

      • 뇌교육의 전제와 의미

        신혜숙 ( Hye Sook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9 뇌교육연구 Vol.3 No.-

        이 글의 목적은 실천이 일어나는 상황과 과정을 모두 조망하는 유기체적 관점을 통해 실제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을 이해함으로써 교육의 총체적 의미를 찾는 것이다. 구체적인 교육활동의 이해를 위해 심신수련을 비롯한 고유한 교육방법을 써서 `홍익인간·이화세계`의 교육목표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상적·실천적 체계인 `뇌교육`을 선정하였다. 먼저 뇌교육 활동에 내재하는 핵심적 아이디어인 `뇌운영체계` 개념을 발견하고, 이 개념에 내포된 여러 가지 전제들을 차례로 분석한 후, 부분이 아닌 총체로서 뇌교육 활동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의 의미를 발견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교육적 실천의 주체인 뇌와 인간은 교육적 실천을 위해 주어지는 환경이자 그 실천을 통해 구성해 가는 맥락으로서의 세계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보적 관계를 맺는다는 사실과 교육 활동은 이 상보적 관계를 상생의 관계로 발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공적 가치를 지향하는 교육은 뇌의 총체적 발달을 통해 인간의 자기의식이 지니는 함정에서 벗어나게 해 줌으로써 세계를 변혁하는 과정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를 찾아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swer a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of education?" based on an organic perspective that see the elements and the process of education as a living system. For this purpose, brain education activities that aims realization of an idea of `Hong-ik-in-gan-E-hwa-sae-gae: help each other, rule without force` is selected, and concept of `Brain Operating System` is analyzed as the core concept of brain education. The analysis to find out the presuppositions and synthesis to find out meaning of brain education and ideal education is done repeatedly. To summarize the results are: Firstly, it presupposed that human brain needs educational development, human being as not to be born as the subject but to be born as to become the subject through continuous efforts, and the world as the given environment and the constructive settings and contexts for praxis. Secondly, it presupposed that brain, human being, and the world are complementarily related. Thirdly, it presupposed education as guiding activities that direct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mong them toward the goodness. Based on these presuppositions, it found as the meaning of brain education that brain and human being as educational subject transact with the world a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ontexts, and ideal brain education has the capacity to direct them toward the synergy effect. To conclude, educational praxis based on public virtues has the capacity to guide brain toward whole development, human being toward getting out of the pitfall of self consciousness, and to make the world renew the physical/constructive body continuously.

      • 벤자민인성영재학교 교육과정 효과검증 연구

        오미경 ( Mi Kyoung Oh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 No.S

        본 연구는 최근 학교교육이 객관적 지식이나 정보 위주의 교육으로 인간성을 상실하고 파편화된 인간을 양성해 내는 교육현실의 한계에 대한 변화의 시도로 새롭게 개교한 벤자민인성영재학교의 교육과정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벤자민인성영재학교는 뇌과학, 심리학, 교육학 및 철학을 융한한 뇌교육을 적용하여 대안학교와 전환학년제의 성격을 띄고 운영되고 있다. 연구대상은 벤자민인성영재학교 1기생 16명과 그들의 부모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이 시작되기 전과 교육과정 5개월 후에 성격검사와 인성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격검사에서는 책임감, 이타성, 관대함, 우주만물과의 일체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 인성검사에서는 우울감의 감소, 가족관계와 사회관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벤자민인성영재학교 교육과정이 인성교육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Benjamin School curriculum for Character Education that has two integral properties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and transition year(1 year) based on ``Hong-ik-in-gan`` spirit. For this study, 16 high school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re compared with comparative group which are consist of 16 normal high school student. The scales were Junior Temperament & Character Inventory(JTCI 12-18) and Korean Personality Rating for Children(KPRC). Pre-test post-test comparisons were conducted through t-test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Benjamin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say Benjamin School curriculum positively influenced on responsibility, helpfulness, compassion and trans personal identification in the scale of the JTCI. And there is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in depression, family relationship and social relationship on the KPRC scales.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ossible mechanisms of benefit and an alternative method of present school education curriculum that has many problems.

      • 학교, 시스템 혁신만이 살길이다

        김기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지구평화연구소 2017 평화학논총 Vol.7 No.2

        교육은 이미 우리 안내 내재되어 있는 씨앗 속 생명을 싹트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국가나 학교는 자신들의 필요에 맞도록 씨앗을 만드는 교육을 해 왔다. 그러나 산업사회 이후 진행되었던 모더니즘 철학에 기반한 국가주도의 학교교육시스템은 포스트 모더니즘으로 변화한 사회에 더 이상 적용할 수 없게 되었다. 최근의 세계교육은 사회적 구성주의 교육철학에 기반하여 수동적으로 가르치기만 했던 가르침 중심의 teaching에서 능동적인 배움을 중시하는 learning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한국의 공교육현장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이 최근 몇 년 동안 일어나고 있다. 소위 혁신학교 운동이 그것이다. 사회적 구성주의에 입각하여 학습자가 학습하는 방식, 교사가 가르치는 방식이 달라져 가고 있으며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일고 있는 PBL수업, 액션러닝, 주제통합학습, 플립러닝은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혁신학교를 일반화하기 위한 시·도 단위 교육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업혁신의 열기는 혁신학교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과거 수동적이고 획일적인 교육을 비판하면서 등장했던 열린교육이 실패했던 것과 비슷하게 관료적 권위적인 시스템은 그대로 있기 때문이다. 마치 하드웨어가 변하지 않고 있어서 아무리 좋은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다 하더라도 별 소용없게 되는 경우와 비슷하다. 당연히 하드웨어, 즉 시스템을 바꾸어야 한다. 이제 학교교육은 학습내용과 방법적인 면에서 그리고 시스템 운영 면에서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방식의 교육체제로 거듭나야 한다. 완전히 다른 방식의 교육체제를 위해서는 당연히 현재 체제의 폐기가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교육의 변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은 교장 승진제도이다.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현재의 교육체제를 그대로 둔다면 다양한 교육활동들도 꽃 피우지 못한 채 시들어 갈 것이다. 본 글에서는 현재의 시스템을 그대로 두고는 어떤 혁신적인 내용도 생명력을 잃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교육활동의 중심에는 수업이 있지만 창의적인 수업을 위해서는 민주적 학교운영 등의 제도개선이 필수적인 선결요건임을 강조한 것이다. 그것도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방식의 교육제도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완전히 다른 방식의 교육제도는 현재 학교교육 시스템의 부분적인 개선이 아니라 폐기를 의미한다. 국가주도의 중앙집권적인 교육제도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철학에 기반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활동, 또 그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고쳐져야 한다. 그것은 현재 시스템의 폐기를 의미한다. 요컨대, 미래의 학교는 시스템의 변화와 함께 궁극적으로 교사와 학생들이 주도하는 학습혁명으로 귀결될 것이다. 교육은 국가 및 학교의 주도로 그들의 필요에 맞는 씨앗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미 학습자들 속에 존재했던 씨앗의 생명을 싹 틔우는 일이다. 그러려면 지금 이 순간, 교장 승진제도를 포함한 시스템을 혁신하는 일이 시급히 요구된다.

      • 존 듀이 교육사상과 뇌교육론의 상호 지향성에 관한 고찰

        고일석 ( Ko Il-su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연구소 2020 뇌교육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존 듀이 교육사상의 상호작용과 교호작용 이론에 의한 성장, 가치, 이상론과 뇌교육론의 원리와 방법, 그리고 목표와의 지향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통합적이며 실천적인 사상을 배경으로 하는 듀이 교육사상을 통해 뇌교육론을 조망해 보는 것은 일상적인 자기교육과 공동체교육 실천을 지향하는 뇌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확인하고, 의미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듀이의 교육사상과 뇌교육론의 의미를 해석하고 설명하는 해석적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 듀이의 교육사상과 뇌교육론은 성장론과 건강론, 가치론과 행복론, 이상론과 평화론 등 목표와 이념, 그리고 비전의 관점에서 학문적이며 실천적인 함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이는 듀이의 교육사상과 뇌교육론이 공통적으로 지향하고자 하는 ‘하나의 이상이며, 비전’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intentionality between growing theory, theory of value, and ideal theory, which are based on John Dewey's interaction and transaction theory, and the principle, method and objective of brain education theory. The overview for the brain education theory through Dewey’s educational thought, which is based on integrative and practical ideas,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and giving meaning to, the foundation of the brain education, which is in pursuit of the practice of regular self-education and community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er embraced the interpretive approach to interpret and explain the meaning of the Dewey’s educational thought and the brain education. As a result, the Dewey’s educational thought and the brain education theory imply the scholarly and practical suggestion in terms of the objective, ideology, and vision. What they commonly pursue is ‘the united ideology and vision’.

      • 벤자민인성영재학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권효숙 ( Hyo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 No.S

        이 연구는 교육의 내용과 형식면에서 독특한 사례성을 가진 벤자민인성영재학교 학생들의 학습경험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벤자민학교 학생들의 학습경험의 맥락으로서 시간, 공간, 신체, 관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어떤 학습경험을 구축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탐색을 위하여 학교교육과정 전개 장면에의 참여관찰, 학생 및 교사들과의 인터뷰, 그 외 관련된 다양한 문서자료를 수집하였다. 학교의 교육활동은``홍익인간``으로 압축할 수 있는 교육목표를 중심에 두고, 뇌교육의 이론과 방법을 그 실질적 토대로 삼고 있어 학생들의 학습경험 구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생들은 뇌교육적 가치와 태도를 토대로 형식적·내용적 유별성을 갖는 학교생활을 통해 통찰적 거리두기의 시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탐색의 시간과 공간, 그리고 그것을 몸에 아로새겨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벤자민학교의 시도와 교육적 시공간을 만들어내는 학생들의 성취는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제반 문제들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시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learning experience of the students in the Benjamin School of Character Education, that shows unique cases in terms of its educational contents and structure. Specifically, it examines how time, space, body, and the relationship, as the contextual elements of the learning, interacts each other and how the students shape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he context. In order to explore that, participant observations on the several school filed, which their curriculum were implemented,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teachers were conducted and various documents and written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ts educational goal, in a word of ``Hongikingan``, and the theory and methods of Brain Education influence the construction of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s the core and practical basement. The students experience that theirselves are changing by the uniqu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school life that is based on the value and attitude of the Brain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students are getting understood that the learning has diverse form and locates everywhere, and the meaning of becoming a learning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