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고려시대 海東耆老會의 성립과 "耆老"의 의미 변화

        오치훈 ( Chi Hoon Oh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4 사총 Vol.83 No.-

        『破閑集』의 저자 이인로가 참여했던 海東耆老會는 고려중엽 퇴직한 문신 관료들이 여가를 즐기고자 만든 詩會 모임이었다. 기로회는 중국 당·송에 있었던 것인데, 고려에서는 해동기로회가 최초의 기로회였다. 그런데 해동기로회를 전후하여 ‘耆老’라는 단어의 의미가 변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해동기로회가 결성되기 이전인 고려전기에 耆老는 ‘나이 많은 늙은이’라는 의미였으며, 사회적 약자로서 휼양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耆老는 모든 노인을 지칭하는 단어가 아니었다. 노인 중에서도 庶民을 뜻하였는데 관인 가운데 耆老에 해당하는 자들은 ‘國老’라고 하였다. 때문에 사료에서는 國老에 대비하여 庶民 耆老는 ‘庶老’라고 표기하였다. 해동기로회 이후로 耆英會, 耆舊會라는 명칭의 모임이 줄곧 결성되는데, 이는 고려후기 퇴직한 문인관료들의 사적 네트워크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耆老가 단순히 노인을 뜻하는 단어가 아니라 國老와 유사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고려후기 사료에 등장하는 耆老는 고려전기의 庶老가 아니라 60세 이상의 宰相 또는 致仕한 사람을 뜻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는 耆老가 국정에 참여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처음 결성되었을 때의 해동기로회는 단순한 여가모임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럼에도 耆老가 현실 정치에 참여할 수 있게 된 것은 해동기로회의 구성원이 퇴직한 고위 관료들이었던 것과 관련된다. 해동기로회는 무신정권의 비호아래 유지될 수 있었으며, 기로회 회원들은 지위를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집정자와 관계를 지속하였다. 기로들은 비록 퇴직한 재상이지만 무신집정자와 연결되어 있었고, 이들이 문신관료로서 지니고 있던 권위와 지식인이라는 상징적 의미는 무신집정자 입장에서도 국정운영에 도움이 되었다. 무신집정자의 퇴직관료 모임에 대한 후원은 이와 같은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집정자 및 국왕과 연로한 고위관료들의 관계가 고착되면서 형성된 것이 바로 고려후기 기로의 정치참여 형태로 계승되었을 것이다. 해동기로회의 역사적 의의는 바로 이 점에 있었으며, ‘耆老’의 의미가 ‘國老’로 변화하게 된 것도 이러한 결과에서 비롯한 것으로 생각한다. Haedong Gi``ro-hwe(海東耆老會) in which Yi Il-Lo(李仁老, 1152~1220), the author of P``ahanjip(『破閑集』), participated, was a poetry meeting of the mid Goryeo(高麗) era organized by civil officials who retired in order to enjoy their pastime. Gi``ro-hwe originally existed in the Tang(唐) and Sung(宋) Dynasties of China and Haedong Gi``ro-hwe was the first Gi``ro-hwe in Goryeo era. Attention needs to be paid because around when Haedong Gi``ro-hwe was created, the meaning of Gi``ro(耆老) changed.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when Haedong Gi``ro-hwe was not organized yet, Gi``ro meant old people and were the subjects to relieve and nurture as the social weak. However, Gi``ro did not refer to all old people. Among old people it meant plebeians and among government officials those who were Gi``ro were called Gungro(國老). Therefore, historical records wrote plebian Gi``ro as Seoro(庶老) in contrast to Gungro. There were also meetings with the names Gi``young-hwe(耆英會) and Gi``gu-hwe(耆舊會), which were formed after Haedong Gi``ro-hwe was organized, and they were private networks of civil officials who retired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Amid such atmosphere, Gi``ro naturally came to have a similar meaning to Gungro, not a word simply signifying old people.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era, Gi``ro which emerged in historical records was not Seoro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era but 60-years-old or older prime ministers or those who resigned government posts. In addition, at this time Gi``ro often took part in state affairs. When it was first founded, Haedong Gi``ro-hwe was just a meeting for pastime. The reason why Gi``ro was able to partake in real politics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members of Haedong Gi``ro-hwe were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ho retired. Haedong Gi``ro-hwe was able to be maintained under the protection of the military regime and continued relationship with administers as a method to keep their position. Although Gi``ros were retired prime ministers but connected to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and the former``s authority as civil officials and symbolic meaning as intellectuals were helpful for government operation by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Support by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to the meeting of retired public officials may be understood from such perspectives. Moreover, relationship among such administers, the king, and elderl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ould have been handed down as the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Gi``ro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era. This was the historical meaning of Haedong Gi``ro-hwe and it is considered that such result led to the meaning of Gi``ro being changed into Gungro.

      • KCI등재

        중화민족다원일 체론의 등장과 동북공정의 논리적 모순

        김종박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2 사총 Vol.77 No.-

        中國, 於1949年成立中華人民共和國. 同時根據社會主義民族觀宣布其是多民族國家. 倂開始苦慮證樣去統一多民族的中國倂建設成一個統一的多民族國家. 於是,他們通過憲法宣布實施重視民族問題的"民族平等權", "民族區域自治制度". 各民族之間是平等的,消除民族間的對立關系, 相互融合, 融洽努力構成一個統一的民族. 所謂的統一民族"中華民族"就此誕生. 因爲是統一的, 所以卽使實施民族自治制度也不會影響統治體系. 就是所謂的一國內以一個民族形成"民族大家庭". 但是, 通過他們的少數民族政策可以得知, 在統一的多民族國家內也無法取得獨立的自治運營權. 換言之就是不許和國家統治權分離, 必須接受國家的統治與命令. 可以看出是與社會主義民族觀是一脈相承的. 無可避免的"民族大家庭"這一槪念非常據邏輯性. 徹徹底底的輸進了中國的國家觀裏. 但是, 問題出現在"民族大家庭"是自古以來就存在的, 還是, 中華人民共和國成立之後才出現的. 也不斷地成爲了論點. 這也不得不說是一個與歷史無關的政治問題. 結果, 中國宣布以現在的中國國土領域爲標准, 在此範圍內發生過的所有曆史現象都屬於中國曆史. 從此, 中國果敢的開始了整治編造與曆史歪曲. 可以看出中國在根據社會主義民族觀建立民族大家庭倂要建設一個完美的統一的多民族國家,這就是多磨的苦心積慮的. 處處可以趙出"統一的民族國家論"在邏輯上的矛盾。不僅, 給他們自己的歷史, 而且, 給其他國家歷史也帶來需要編造, 歪曲的慘劇. 擧一個例子. 蒙古族侵略中國, 打敗宋朝, 在中國領土上建立起元朝. 因此, 蒙古族建立的元朝也可以是蒙古的歷史. 但是, 按照中國現在的邏輯來看此事發生在中國領土上, 所以就是中國歷史。提到成吉思汗, 他從來沒有踏過中國領土. 但是, 就因爲他是蒙古族的祖先, 就可以把他視爲中華民族的祖先瑪?就會有人提出成吉思汗的曆史也是中國歷史的笑話. 如此看來, 中華人民共和國成立當初爲了圓滿的統治而推出的"統一多民族國家論"這存在著諸多矛盾. 矛盾的中心就是爲社會主義民族觀的"民族平等"和"民族自治制度"。而且, 據此爲理論依據, 存在著凡是現國土範疇內發生過的歷史都是中國歷史的詭辯和所謂"民族大家庭"的詭辯. 而且, 現實就是他們以"中華民族多元一體論"爲依據支持"統一的多民族國家論"。東北工程歸根結底也就是"統一的多民族國家論"指使下的一個歷史詭辯. 純粹的歷史硏究與政治性歷史硏究有著天壤之別. 歷史與政治需要區分開來. 曆史淪落成政治的奴禮是不可取的。還有, 東北工程中所提到的"地方政權"這一用語, 在歷史當中是聞所未聞過的. 不正好是在强調, 現在所實施的中國少數民族"民族自治制度"實際上是民族統一名義下的中央集權統治當中的一環磨?難道, 過去皇權統治時期地方政權有著更大的立足之地?朝貢、冊封制度原來自國家與國家之間的外交政策. 所以, 根據朝貢設立"地方政權"只能說明是邏輯上有錯誤.

      • KCI등재

        강진철의 시대구분론에 담긴 역사이해방식

        김선미 ( Kim Seonmi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강진철은 1960년대 한국사 시대구분 논의를 주도한 학자 중의 한 사람이다. 그의 시대구분에 대한 논의는 1966년 『震檀學報』 29·30합집에 발표한 「韓國史의 時代區分에 대한 一試論」과 1967년 12월과 1968년 3월 두 차례에 걸쳐 한국경제사학회에서 주최한 `한국사의 시대구분론`이라는 주제의 심포지움에서 발표한 「高麗田柴科體制下의 農民의 性格」의 두 편의 글에서 잘 드러난다. 4·19혁명 이후 한국사학계에는 민족사학의 발전 속에서 일제하 식민사학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사의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을 적극적으로 비판하고 한국사를 주체적이고 발전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런 한국사학계의 분위기 속에서 강진철은 사적 유물론을 기반으로 한 시대구분을 제시하며 세계사적인 역사발전의 기본 법칙이 한국사에도 원칙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국 사회의 발전과정을 설명하였다. 강진철 시대구분의 특징은 국가권력의 일반 농민에 대한 收取樣式에 주목하였다는 점이다. 수취양식이 국가권력 대 농민이라는 생산관계에 의해 규제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수취양식의 역사적 성격과 내용에 따라 고대와 중세를 구분하였다. 그가 시대구분의 기준을 수취양식에 둔 것은 한국 사회가 세계사적인 보편 법칙 따라 발전하였다는 점을 전제하였으나 한국사에서 노예제의 실체를 실증하기 어렵다는 1960년대 이전의 시대구분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한국 사회에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일반 농민이 주된 생산주체이고 일반 농민이 부담한 租稅·貢賦·力役이 일반적인 수취양식이었던 구조 안에서, 그는 한국사회의 계기적 발전을 상정하였기 때문에 수취양식의 성격과 이에 따른 농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국가가 농민을 파악하는 수취의 중점을 人丁에 둔 삼국부터 고려시대를 고대노예제적 사회구성체로, 토지에 기준을 둔 조선시대를 중세봉건제적 사회구성체로 규정하였다. 이처럼 강진철은 고대노예제와 중세봉건제의 개념을 확대시켜 고대와 중세의 기준을 새롭게 설정하였다. 일반 농민을 생산주체로 파악하고 농민에 대하여 관념적·의제적이지만 국가권력의 지주적인 성격을 인정하여, 국가권력 대 일반 농민의 수취를 매개로 구현되는 생산관계를 하부구조로 파악하였다. 강진철 시대구분의 또 다른 특징은 고대에서 중세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 요인을 무신정권기 이후의 農莊의 형성·발달과 私的土地所有의 확대에서 찾았다는 점이다. 농장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토지에 대한 지배 의욕이 수취관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하고 인간의 노동력을 수탈하는 기조는 쇠퇴하였다. 또한 공동체가 해체되고 토지의 집단적 소유가 지양되면서 토지의 개별적인 사유의 형태가 진전·확립되었다. 농민경제의 성장과 토지소유관계의 발전에 따라 토지소유자는 지주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고대노예제적인 성격의 농민이 중세농노적인 성격의 농민으로 변화되었다. 이처럼 강진철은 고려후기를 한국 역사 발전의 전환기로 보고 있다. 농장의 형성으로 인한 사적 토지소유의 확대와 생산주체인 농민의 노예적 존재에서 농노적 존재로의 성격 변화가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의 전환을 하는 발전적 계기로 작용하였다고 하였다. 강진철의 시대구분론은 1960년대에 한국 사회의 주체적인 발전을 실증하려는 당시 한국사학계의 시대적 요구가 반영된 결과였다. 이제 이러한 요구에서 벗어나 21세기에 한국사를 연구하는 우리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축적된 기존의 견해를 수렴하여 한국 전근대 사회에서 `고대`와 `중세`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성격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내재적 발전론의 관점을 넘어서 한국 전근대 사회의 성격을 새롭게 규정하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Jin-chul Kang was one of the scholars who led discussions in 1960s on dividing time periods in the Korean history. His views are well documented in `an argument on dividing eras of the Korean history` published in the combined volume 29 and 30 of `Jindanhakbo(震檀學報)` in 1966, and `the nature of farmer`s status under Jeonsigwa land system(田柴科) in Goryeo dynasty`, which he presented in December 1967 and March 1968 at a symposium organized by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History. He was critical of `the theory of stagnation` that regarded Korean society as a static one that lacked inner momentum for development. From a perspective of the world history, he embraced the law of historical evolution, and noting that the law could apply to the Korean history, proposed how to divide time periods of the Korean history based on historical materialism. What is notable about his chronological division of history is that he used the government`s method of collecting offerings from farmers as criteria. Accordingly, he argued that an ancient society is a society where the government collection focused on human labor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hrough the reign by military officials in Goryeo dynasty), and a medieval society as a society where the focus shifted from labor to land (Joseon dynasty). Another characteristic of his view is that he saw that the growth of farms and a subsequent expansion of private land ownership in the late Goryeo dynasty triggered a transition from the ancient to the medieval society. Following this change, land owners became more like landlords, and farmers more like serfs. Jin-chul Kang`s arguments during the 1960s on dividing eras in the Korean history came amid efforts to overcom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and to view the Korean history in a more constructive light. Going forward, greater efforts are needed to go beyond identifying innate growth momentum of the Korean history, and enlighten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modern Korean society.

      • KCI등재

        미국 역사교과서 논쟁을 통해 본 교과서 발행제도의 문제: 한국의 역사교과서 논쟁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김정욱 ( Jeong Uk Kim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5 사총 Vol.84 No.-

        올해 한국 교육계 최대의 논란의 대상은 단연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일 것이다. 뉴라이트 사관에 기초한 이 책은 낡은 사관과 더불어 교육교재라기에는 미흡한 질로 논란을 야기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현행 검정제도가 자유주의적 다양성을 명분으로 내세운 특정 정파의 정치적 선전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악용되는 선례를 남기게 됨에 따라 교과서 발행제도의 개선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그리고 이는 자연 전문 연구자와 출판사에 집필의 자유를 광범위하게 부여하고 있는 미국의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지난 백여 년간 미국의 교과서를 둘러싼 논쟁을 역사화할 때 표면적으로는 이상적으로 보이는 제도 역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윤의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출판사에 교과서 내용구성의 자율성이 주어졌을 때 이들은 ‘진실’을 교육하고 전문가의 지식을 최대한 활용하며 새로운 학문적 연구를 소개하는 것에 우선적인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 논쟁을 회피하려는 출판사는 이익집단으로부터의 압력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교과서의 내용을 구성해왔다. 그리고 1960년대 이후에는 더욱 다양해진 압력집단에 적응하면서 교과서 기술에 있어서 절충주의라는 특유의 구성원리를 강화하며 실제로는 사회적 역관계에 있어서 현상유지를 옹호했던 것이다. 이러한 고찰은 국가와 정치권력이 역사를 쓰는 것만큼이나 시장과 자본이 역사를 쓰는 것이 위험하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따라서 현재의 검정제도에 대한 대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며, 교과서 집필에 최소한의 공적 개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현행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One of the hottest issues in Korea this year is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Gyohaksa Korean history schoolbook. Based largely on the historical view of a political faction called the New Right, this schoolbook became the subject of controversy due to its low quality as a textbook. Accordingly, Korea``s textbook screening system was criticized for being misused as a method to guarantee political promotion under the excuse of liberal diversity. As a result, many scholars who realized the problems of the present textbook screening system are looking for a new system of schoolbook publication. For this reason, the U.S. process of adopting school textbooks which is supposed to give a large amount of autonomy to authors and publishers and grantee diversity and academic freedom, is attracting Korean scholars`` attention. However, historicizing controversies surrounding American history schoolbooks over one hundred years helps us realize the problems in this apparently ideal system. When publishers whose main goal was to make a profit, were given a significant amount of autonomy, they did not have much interest in teaching ``truths`` or making the best use of the knowledge of professionals and introducing new findings in academic circles. Rather, publishers often submitted to pressures from interest groups and revised their textbooks. Since the 1960s they have relied more on eclecticism to neutralize pressures from diverse interest groups and actually advocate the status quo. Understanding this American experience makes us realize this. That market and capital write history is as dangerous as the government and political factions do. Accordingly, we have to correct the present textbook screening system in Korea rather than try to abolish all public intervention in the making of textbooks.

      • 발전 경제학의 대안적 경로 -군나르 뮈르달의 경제학적 사유의 특징과 한계-

        오경환 ( Oh Kyung Hwa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0 사총 Vol.99 No.-

        20세기 중반 이후 경제학적 사고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 것은 소위발전경제학(development economics)이었다. 냉전 초기의 첨예함과 맞물려 발전경제학은 근대화 이론(modernization theory)의 핵심적인 경제적 내용이 되었다. 하지만 발전경제학의 역사 전체를 단선적이고 일방적인 서사로 환원하는 데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발전경제학의 역사에 대한 단선적 서사는 냉전 시기에 대한 특정한 견해, 즉 미국 주도의 세계 자본주의 질서의 형성과정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냉전 시기가 담보한 다양한 역사적 가능성과 실천적 모색을 은폐시킨다. 이 논문은 발전경제학의 발전경로를 보다 복잡한 맥락에서 추적하려는 시도로 스웨덴의 대표적 경제학자인 군나르 뮈르달의 발전경제학을 검토한다. 뮈르달은 1930년대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정권의 핵심적인 이데올로그였을 뿐 아니라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경제적 재건에 참여한 관료였고 미국의 인종주의에서 아시아 경제 개발에 이르는 다양한 주제에 정력적으로 참여했던 지식인이었다. 발전경제학의 역사에서 뮈르달이 갖는 중요성은 그가 미국적 자본집약형 모델이 아닌 사회민주주의적이고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적 유럽형 모델을 구축했으며 발전을 단순한 거시적 지표의 성장이나 서구 역사적 발전단계의 답습으로 보는 입장을 엄밀한 경제학적 입장에서 거부하고 이러한 지표의 상승이 전 사회적인 변화와 순환적이며 누적적으로 결합되었음을 밝혀내었다. 하지만 뮈르달의 발전경제학에서 역시 사회공학적 이상의 근원적으로 폭력적인 성격에 대한 반성이나 복잡하게 재구성된 “발전”을 가능케 할 실천적 입론, 발전 자체에 대한 반성을 찾아 보기는 어렵다. The developmental economics was of crucial importance in the unfloding of the economic thought in the later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n the acuity of the Cold War, developmental economics formed the fundamental economic insight in the body of knowledge, “modernization theory.” Yet delineating history of developmental economics in a linear lopsided narrative, as many historians often do, is to privilege certain historical vantage regarding the Cold War and the US global capitalist hegemony, which in turn hides many vibrant historical possibilities and explorations in the Cold War. To resuscitate nuances in the development of developmental economics, this article turns to Gunnar Myrdal, who was not only a Nobel laureate and premier economist but also a central theorist for 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 Myrdal’s intellectual path threaded a variety of issues: traditional macroeconomic and econometric problems, population questions, American racism and development of South Asia. His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developmental economics is that he pursued a social democratic and social-engineering model of development, distinct from the American capital-intensive model, while denying the concept of development as simple increase in the productive outcomes and recasting development in very culturally specific circular cumulative causations. However, it is also hard to find in his writings consideration of the fundamentally violent nature of social engineering, reaslistic and policy measure to pursue his own reconstructed concept of development, or reflection on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tself.

      • KCI등재

        지중해 지역문명 간 교류 연구의 정책적 활용

        김정하 ( Kim Jungha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지중해를 닫힌 바다로 인식할 것인지 아니면 `열린 바다` 또는 `열린통로`로 정의할 것인가의 문제는 유럽지역의 역사연구전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자는 연구의 지리적 경계를 지중해와 그 주변지역으로 제한한다(유럽과 아프리카 사이에 위치한 지중해). 반면 후자는 지역문명간 교류의 관점에 따른 해석의 결과이다. 역사연구에 있어 지리적인 경계와 문화적 경계는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두 관점의 역사해석은 전혀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현대 유럽지역이 직면하고 있는 일련의 문제들(아프리카 난민의 유럽 유입, 그렉시트(Grexit)와 브렉시트(Brexit) 등 유럽연합의 내적 위기)이 지중해의 고·중세사에 대한 역사해석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문제들의 많은 부분이 유럽 중심의 세계사 해석에서 기인한다는 것이다. `열린 통로`의 관점은 문명 간 교류의 관점이며 또한 경쟁적 협력의 관점이다. 이에 근거할 때, 지중해의 고·중세사는 문명과 야만의 경계나 고대 그리스 도시 문명의 바다가 아니라, 아프리카-유라시아의 수많은 지역문명들이 상보적(相補的) 교류와 접변의 과정을 통해 성립된 관계균형의 역사였다. 이것은 지중해-유럽지역의 역사연구에 대한 제고를 의미한다. 첫째, 역사연구에서 드러나는 차이의 의미는 `차별`이 아니라 `다양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둘째, 지중해의 역사를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적 구도로 해석하는 것은 역사왜곡에 해당한다. 셋째, 지중해 역사에 대한 해석은 경쟁적 협력의 구도에 근거해야 한다. 넷째, 지중해의 고·중세에서 알렉산드로스 제국, 로마제국 그리고 프리드리히 2세 시칠리아 왕국은 공존의 다문화 실현을 위한 실험이었다. 역사의 발전에는 전쟁과 같은 폭력적인 수단도 동원되었지만 그 이면에서는 활발한 교류도 병행되었다. 역사왜곡은 역사의 양면을 함께 고려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충돌의 역사적 의미를 진화(또는 발전으)로 오판하게 된다. 북아프리카 난민의 문제는 역사에 대한 잘못된 해석에서 기인한다. 인종 간 차별은 타자에 대한 일방적인 거부이며, 문화 간 우열의 논리는 지배-피지배의 논리를 정당화시키는 근거로 활용될 뿐이다. 해석을 달리하면 새로운 정신세계가 드러난다. 역사연구의 경우에도 관계요인들의 상보적 구도(경쟁적 협력의 구도)는 유럽지역의 문명적 위기에 대한 대안이 될 것이다. Whether to recognize the Mediterranean Sea as a `Closed Sea` or to define it as an `Open Sea`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research tradition in Europe. The former limits the geographical boundaries of the study to the Mediterranean Sea and its surrounding regions (the Mediterranean Sea between Europe and Africa).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is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interchange between local civilizations. In historical studies, geographical boundaries and cultural boundaries do not coincide. Therefore,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two perspectives shows completely different result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problems of the ancient and medieval Mediterranean in the context of the series of problems faced by modern Europe (The influx of african refugees in Europe, `Grexit` and `Brexit`). In other words, most of the problems are due to Euro-centrism. The view of open sea is a viewpoint of interchange between civilizations and also a viewpoint of competitive cooperation. Based on this, in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the Mediterranean was not the boundar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nor the sea of ancient Greek city civilization. Many local civilizations in Africa-Eurasia were the history of the balance of relationships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lementary exchange and contact. This implies an improvement in the history of the Mediterranean-European region. First, the meaning of difference in historical studies should be interpreted as diversity, not discrimination. Second,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the Mediterranean as a dichotom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is a distortion of history. Third, interpretation of the Mediterranean history should be based on the composition of competitive cooperation. Fourth, in the ancient and medieval periods of the Mediterranean, the Alexander Empire, the Roman Empire and the Sicilian kingdom of Friedrich II were experiments for the realization of coexistence of the Mediterranean multi-culturalism. In the development of history, violent means such as war were mobilized, but there was active exchange in the background. History distortion occurs when both sides of history are not considered together. At this point,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nflict is misinterpreted as evolution (or development). The problem of North African refugees comes from misinterpretation of history. Inter-racial discrimination is a one-sided rejection of the other, and the logic of cross-cultural superiority is only used as a justification for the logic of domination-domination. Different interpretations reveal new history. Even in the case of historical studies, the complementary composition of the relevant factors (the framework of competitive cooperation) will be an alternative to the European civilization crisis.

      • KCI등재

        냉전사 연구의 궤적: 정통주의에서 담론적 전회에 이르기까지

        오경환 ( Oh Kyung-hwa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5 No.-

        이 논문은 냉전에 대한 기존의 역사적 접근을 정리하고 최근 대두한 새로운 인식론적 전회(들)을 분석하며 이 특집에 실린 다른 논문과의 연계 속에서 냉전사에 대한 담론적 전회를 모색한다. 지금까지 냉전사 연구는, 그 성과에도 불구하고, 냉전 자체의 설명력의 과도한 활용을 통해 냉전 시기 전개된 다양한 정치적·사회적·문화적 변화를 동어반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냉전사의 기획은 이제 냉전 자체의 재정의를 필요로 하고 있다. 냉전 시기라는 단순한 시대 지정에 의한 기술(記述)과 냉전적 구조라는 환원론적 분석을 넘어 냉전 자체의 역사화와 해체, 재구성이 필요한 지점이다. 냉전의 역사화와 해체적 재구성을 위해서는 국제정치학이 상정한 냉전의 행위 주체, 특히 국민국가를 보다 작은 단위의 실천(practice)로 분절화하고 이들 안에서 다양한 행위 주체성을 발굴해 내는 것을 의미한다. 복수의 행위 주체성이 추동하는 냉전의 역사화는 이미 진행되어온 냉전사의 “문화적 전회(cultural turn)”와 “전지구적 전회(global turn)”를 더욱 심화시키며 나아가 “담론적 전회(discursive turn)”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냉전 기간 생산되는 지식, 특히 사회과학 지식은 냉전적 상황에 대한 반응만은 아니었다. 이들은 냉전 구조 자체를 강화하거나 재생산하기도 하고, 나아가 냉전적 구조에 균열을 일으키기도 하며, 냉전 이후에도 지속적인 영향력을 가져왔다. 냉전 기간 지식의 진리-주장(truth claims)과 정치가 맺는 복잡한 관계를 탐색하는 것은 냉전의 복잡다단한 구조와 전개를 비-환원적으로 분석하는 단초가 될 것이며 냉전이 우리 시대에 갖는 지속적인 지적 영향력과 함의를 유추할 수 있는 역사적 근거가 될 것이다. 나아가 냉전사의 담론적 전회는 지식 자체 뿐 아니라 지식생산·유통 제도와 기제에 초점을 맞추어 냉전을 분석하여 냉전이라는 역사적 대상 자체가 담론적 구성물(discursive construct)이며 냉전 체제가 생성하는 지식은 냉전에 “관한” 것일 뿐 아니라 냉전 자체를 “구성”하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냉전 당대의 냉전사의 성립과정과 소련 문서고 개방 이후 냉전사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냉전의 사회과학 지식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이 논문은 냉전사의 담론적 전회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at surveying existing literature in Cold War history and analyzing epistemological turns, for the possibility of a discursive turn in Cold War history. Despite its accomplishments, the Cold War history so far cannot escape tautological explanations of a variety of Cold War phenomena through reciting the Cold War. The enterpis of the Cold War history requires a radical redefinition through historicization,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Cold War, beyond simple description according to chronological designation as well as reductive analysis. The historicization and deconstructive reconstruction of the Cold War re-articulates the nation-states, primary agencies in the Cold War history, into multiple practices and rediscovers a variety of hitherto overlooked agencies. The historicization of the Cold War based on multiple agencies will further the cultural and global turns, while pointing to a possibility of the discursive turn. The knowledge, especially social specific corpus of knowledge, produced in the Cold War was not simple reaction to the Cold War: it also fortified, reproduced or even cause cleavages in the Cold Wat structure, while having lasting impacts in the post-Cold War socie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th-claims of the Cold War knowledge and the Cold War politcis may be the starting point for non-reductive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This discursive turn may also inform us of the fact that the emphasis on the knowledge production and circbulation in the Cold War reveal the very discursive nature of the Cold War itself, testifying that the Cold War knowledge was not only “about” but also “constitutive of” the Cold War itself.

      • KCI등재

        고려시대 화폐정책의 변화와 물가산정 방식

        김도연 ( Kim Doyeo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0 No.-

        본고에서는 고려시대 화폐제도 변화와 그 기간 동안 물가산정 방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려시대의 화폐가 제도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갔으며, 같은 기간 물가산정의 변화를 살핌으로서 고려시대 화폐유통의 단면을 살피고자 했다. 고려왕조는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금속화폐의 유통을 시도했다. 성종은 동왕 15년에 철전을 유통했고, 숙종은 동왕 7년에 공식적으로 동전을 유통했다. 그러나 두 금속화폐는 모두 유통에 실패했다. 다음 왕인 목종과 예종이 화폐유통이 실패했다 선언했다. 이러한 사실은 물가 관련 사료에서도 잘 나타난다. 고려초에서부터 동전이 유통되던 숙종 때가지 철전과 동전으로 물가가 계산된 기록은 전혀 없다. 이는 실제도 시장에서 두 화폐의 역할이 매우 제한적이었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금속화폐 주조 이전처럼 물가기록은 米와 布의 교환 비율로 서술되었다. 반면 숙종 6년에 표인되어 유통되었던 은병은 조금 다르다. 은병은 시장에서 은의 가치대로 유통되던 일종의 물품화폐였던 것을 명목가치를 부여해 국가에서 직접 주조하고 유통함으로써 법정화폐에 편입한 것이다. 은병제도는 충혜왕 원년에 소은병제를 실시할 때까지 큰 제도적 변화없이 유통되었다. 그래서인지 예종의 후사인 인종 10년의 기사에서는 물가산정시에 제일 먼저 은병을 기준으로 미곡의 가치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충혜왕 원년까지의 물가산정에서는 은과 은병이 기준이 되어 미곡의 가치가 계산되었다. 이전까지 布와 米의 교환가치를 기준으로 계산되었던 물가산정 방식이 은 혹은 은병이 포함되는 구조로 바뀌었던 것이다. 특히 원간섭기였던 고려 후기에는 원의 지폐인 보초까지 유입되어 고려화폐 유통에 변화가 생겼지만, 은병제도는 계속 유지되었고 물가산정 방식도 은병 혹은 은과 米혹은 布의 교환비율로 산정되었다. 다만 은의 해외 유출과 보초의 유입은 은가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에 따라 가치가 보다 작은 소은병제도가 충혜왕때에 등장하였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공민왕대에 이르면 이전 시기보다 은가가 무려 3배 이상 등 귀한 상태에서 은병을 기준으로 하는 기존의 화폐제를 유지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던 듯하다. 여기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살피겠지만, 결국 공민왕대에는 은전 주조 논의가 있었지만 실패했고, 그 뒤에는 저화 유통 논의도 있었지만 실패하고 말았다. 기존의 은병제도도 없어지고, 새로운 화폐제도는 논의에만 그치던 이 시기에는 물가산정 방식도 변화하였다. 바로 布대 米의 교환가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변화된 것이다. 이 당시는 실질적으로 국가가 유통하던 화폐가 없던 시기였던 고려 전기와 마찬가지로 물가산정 방식이 布대 米로 표현되었다. 다만 고려 전기에는 다양한 포의 종류와 다양한 곡물이 언급되었던 것에 반해 이 당시는 간결하게 布와 米로만 표현되었다. 다양한 종류가 아니라 한가지로 통일되었다는 것은 이들 물품화폐가 단일품목으로 가치 표준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물품의 화폐화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과정이기도 하다. 정리하자면 고려시대는 시기에 따라 조금 다르지만, 米와 布중심의 물품화폐와 금속화폐인 은병, 칭량화폐인 은, 원간섭기 외부에서 유입된 원의 寶?등 다양한 화폐가 공존하며 유통되던 시기였다고 하겠다. The Goryeo Dynasty tried to distibute metallic currency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Seongjong(성종) coinaged iron coins, and Sukjong(숙종) coinaged copper coins. But peolple of Koryeo didn`t use those coins, two kinds of coins were failed. Mokjong(목종), the next king of Seongjong and Yejong(예종) the next king of Sukjong declared those coins were failed. We can reconfirm those historical fact by the record of price estimations. From the early era of Goryeo to Sukjong era when copper coins were tried to be circulated, there is no price calcualtions record expressed by iron coins or copper coins. This means that those coin`s role in the market was very restrictive. Sukjong tried to another kind of metallic currency called Eunbyung (은병). Eunbyung is silver currency that was circulated well in Goryeo Era. That is the differency between those coins and Eunbyung. Especially, the price estimations were expressed by silver or Eunbyung those periods. This means silver currency was acting its role in Goryeo Era. But the situation was changed by Yuan Empire(원). Yuan intervened in the domestic affairs of Goryeo not only politics but also economy. Yuan`s paper money Boacho was inflowed in Goryeo. But Goryeo Dynaty kept their monetary policy of silver currency. Especially king Choonghye(충혜왕) coinaged Soeungbyung(소은병)- light silver currency. And during the same period, price estimation expressed by silver currency. When Yuan lost its power in both china and Goryeo, Goryeo was also losing it power in Korea. And value of silver rised up very high. So Goryeo Dynasty gave up its silver currency and price estimations were recorded by rice and fabrics.

      • 강진철(姜晋哲)의 전시과체제(田柴科體制) 이해와 그 의미 -『고려토지제도사연구(高麗土地制度史硏究)』를 중심으로-

        오치훈 ( Oh Chihoo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강진철(1917.7.6.~1991.3.20.)은 한국사회를 발전시킨 내적 요인을 구명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고려시대 토지제도에 관한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1980년에 출판된 『高麗土地制度史硏究』는 지금도 고려시대 토지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읽어보아야 하는 필독서가 되었다. 강진철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고 고려시대 경제사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高麗土地制度史硏究』를 중심으로 강진철의 연구를 재평가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설정하려고 한다. 한국의 중세 사회인 고려시대에 모든 토지는 국왕의 소유이며 개인은 소유권이 없었다는 것이 일제 강점기 식민사학의 학설이었다. 강진철은 이를 비판하고 양반전을 중심으로 私有地라는 의미로서 私田이 있었음을 증명하였다. 民田도 사유지이기는 했지만 고려시대에는 民田을 公田이라고 불렀다. 또한 강진철은 촌락공동체 문제에 큰 관심을 가졌다. 농업 생산력이 발달하지 못한 사회에서는 공동 단위의 농업 경영이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토지의 소유도 공동 단위로 형성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아직 소가족 단위의 개별 토지 소유가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고려 후기에 들어서 공동체가 해체되고 토지지배관계가 성장하면서 개별 소유가 가능해졌다. 전시과의 붕괴와 농장의 형성은 이 시기에 이루어진 것이다. 현재의 연구 수준에서 강진철의 학설 중에는 비판을 받아 수정된 부분도 적지 않다. 그러나 公田과 私田의 구분 문제, 공동체와 농업 경영의 상관성은 여전히 유효한 연구 주제이다. 앞으로 이에 대해서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고 보다 많은 연구를 진행하기를 바란다. Jin-chul Kang (1917.7.6.-1991.3.20.) devoted his life to researching the land system of Goryeo dynasty as a way of seeking an inherent momentum that drove development of the Korean society. His book `Goryeotojijedosayeongu (高麗士地制度史硏究: A Study on History of Land System in Goryeo Dynasty)` was published in 1980 and remains a must-read to understand the subject. In centenary commemoration of his birth, we reassess his research based on the said book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hoping to revitalize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Goryeo economy. The Goryeo dynasty corresponds to the Middle Age in Korean history, and the dominant view of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as that all lands were owned by the king and individuals did not have ownership. Jin-chul Kang criticized this view, and demonstrated that there was privately held land called `sajeon (私田),` quoting from a literary work, `Yangbanjeon (兩班田)`. `Minjeon (民田)` was also privately held, but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was called `gongjeon (公田).` Jin-chul Kang was also deeply interested in the issues of village community. In a society with limited agricultural productivity, community-wide agricultural management was necessary, and accordingly, land ownership was also made at a community level. In Goryeo dynasty, the timing was not ripe yet for small families to individually own land. However, by late Goryeo dynasty, communities were disassembled and as land controlling relations evolved, individual land ownership became available. The collapse of Jeonsigwa and emergence of the farm(農莊) took place during this time. Some of Jin-chul Kang`s arguments have been criticized and revised. Still the distinction between `gongjeon` and `saje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and agricultural management continue to be relevant research topics, and further research need to be conducted.

      • KCI등재

        중세 지중해 문명교류 유형 연구

        김정하 ( Kim Jung-ha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5 No.-

        지중해는 ‘자급자족이 불가능한 경제권’의 바다였다. 연안지역에 건설된 수많은 마을과 도시들은 전쟁과 동맹을 반복했지만 이는 서로를 필요로 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지중해는 열린 바다의 대외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바다는 결코 고립된 문명이 아니었다. 외부로부터 지속적인 영향이 유입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문명적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아울러 역사적으로 지중해의 지리·문화적 경계는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지중해 역사에 대한 연구에서는 부분들의 전체라는 관점보다는 전체속의 부분들에 대한 고찰, 즉 부분들 간에 전개되는 ‘경쟁적 협력’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점을 바꾸면 새롭게 보인다. 어떤 시선으로 해석하는가에 따라 역사에 대한 이해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문명 간 교류의 관점 또는 long term prospective의 관점에서 지중해의 문명교류를 살펴보았다. 중세 지중해 문명교류의 사례로는 세 가지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안달루시아의 접변형 교류유형, 시칠리아의 중첩형 교류유형, 예루살렘의 등배형 교류유형. 세 교류유형의 공통점은 종교적으로는 유일신 종교이며 Abrahamic religions라는 사실이다. 또한 유대교, 기독교 그리고 이슬람이 공존하였으며 이들 모두에게 정치와 종교는 사실상 삶을 지배하는 단일요인이었다. 안달루시아는 8세기 초반부터 15세기 말까지 이슬람이 지배를 받았지만 동시에 역사적으로는 이슬람의 지배와 기독교세계의 재정복 활동이 공존하였다. 사회적 다양성의 요인이 매우 풍부했지만 사회적 유동성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종교, 정치, 이념, 인종의 관점에서는 갈등의 사례들이 빈번했지만, 문화와 경제의 분야에서는 교류와 접변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시칠리아의 교류유형에서는 외세에 의한 지속적인 지배가 역사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이미 고대부터 시칠리아의 독립적인 정치권력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역사적 현실을 고려할 때 시칠리아의 교류유형은 여러 요인들이 함께 섞이는 못한 상태로 단순히 공존하는 특징을 가진다. 예루살렘은 세속적으로는 동서문명 간 교역의 중요한 관문이었으며 종교적으로는 기독교세계와 이슬람 문명 모두에게 성지순례의 도시였다. 문화 간 유사성과 차이가 분명하게 존재했다. 하지만 역사의 흐름에 있어 차이는 다양성이 아니라 차별과 갈등의 의미로 해석되었으며, 특히 19세기 이후 이러한 대결구도의 관점은 더욱 강화되었다. The Mediterranean was a sea of economic areas where selfsufficiency was impossible. Many villages and cities on the Mediterranean coast repeated their war and alliance each other. However this was due to the need for each other. In addition, the Mediterranean Sea had an identity of the open sea. This sea was never an isolated civilization. There was constant influx from outside, which kept the Mediterranean civilizational freshness. Historically,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boundaries of the Mediterranean have not always coincided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Mediterranea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competitive coopera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s that make up the whole rather than to divide the Mediterranean into so many parts and study each part. If you change your perspective, it looks new.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differs depending on what perspective you are interpreting.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interchange of civilizations in the Mediterranean in terms of long term prospective viewpoint. There are three types of medieval Mediterranean civilization exchanges: Andalusian Interaction Type of Intercultural Exchange, Sicilian Superposition Type of Intercultural Exchange and Equidistance Type of Intercultural Exchange. The commonality of the three types of interchange is that they are religiously monotheistic religions and Abrahamic religions.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coexisted, and to all of them, politics and religion were in fact the only factor that dominated history. Andalusia was ruled by Islam from the beginning of the Eigh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5th century. However at the same time historically the domination of Islam and the ‘Reconquista’ of the Christian world coexisted. Although social diversity factors were very abundant, social liquidity did not meet expectations. In terms of religion, politics, ideology, and race, conflicts frequently occurred, but exchanges were taking place in the fields of culture and economy. In the Sicilian cultural interchange type, the continued domination by foreign powers was a decisive factor in determining the historical identities. From ancient times, Sicilian independent political power did not exist. Considering this historical reality, the Sicilian interchange pattern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various factors merely coexist in a state where they can not be mixed together. Jerusalem was an important gateway to trade between East and West, and religiously, it was a city of pilgrimage to both the Christianity and Islamic civilization.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vident. However, differences in the history have been interpreted not as the factors of diversity, but as meanings of discriminations and conflicts, especially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