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설 관리감독자 안전 업무와 사고 예방에 대한 관계 분석 연구

        최병덕(Byeong Deok Choi),박종용(Jong Young Park)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22 재난안전논문집 Vol.2022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제조업과 다른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는 건설 현장에서 관리감독자가 수행하는 안전 업무가 사고 예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국내 건설 현장에 근무하는 관리감독자와 안전관리자,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내용을 근거로 통계 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으며 설문조사와 통계 분석결과 가설1, 가설3, 가설4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1 관리감독자의 역할은 유해위험작업의 관리 감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관리감독자의 법적직무는 유해위험작업의 관리 감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안전관리 책임 명확화는 유해위험작업의 관리 감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관리감독자의 역할은 근로자의 안전의식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 관리감독자의 법적 직무수행 수준은 근로자의 안전의식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6. 안전관리 책임 명확화는 근로자의 안전의식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결론 : 건설 현장의 중대재해를 근절시키기 위해 관리감독자의 역할이 바르게 이행되어야 하며, 안전관리의 책임이 명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하도급사 소속의 관리감독자인 팀장, 반장의 안전 업무를 명확히 지정하여 통제하여야 하며, 아울러 안전수칙을 준수하지 않는 모든 개인도 재해예방을 위해 반드시 최소한의 규제가 따라야 한다는 사회적 정서가 정착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In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the safety work performed by management supervisors at construction sites that have a different organizational system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affects the prevention of accidents. Method :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supervisors, safety managers, and workers working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Result : The hypothese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survey, hypothesis 1, 3, and 4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ypothesis 1, the role of the supervisor will affect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hazardous work. Hypothesis 2, the legal duties of the supervisor will affect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hazardous work. Hypothesis 3, clarification of safety management responsibilities will affect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hazardous work. Hypothesis 4, the role of the supervisor will affect the change in safety awareness. Hypothesis 5, the level of legal duty performance of supervisors will affect the change in workers' safety awareness. Hypothesis 6, clarification of safety management responsibilities will affect changes in safety awareness. Conclusions : In order to eradicate serious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role of the manager and supervisor must be properly performed, and the responsibility for safety management must be clear and specific. To this end, the safety tasks of the team leader and working group leader, who are the management supervisors of the subcontractor, must be clearly designated and controlled. In addition, it should be preceded by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entiment that all individuals who do not comply with safety rules must be held responsible for accidents.

      • 건설현장의 감성안전교육 활성화를 위한 감성지능 프로그램 평가영역 개발 연구

        Kyoung-Soo Kim,Byoung-Kil Lee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21 재난안전논문집 Vol.2021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재해 저감을 위하여 감성지능 활용을 통한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연구방법 : 건설현장 관리자들을 패널 전문가로 설정한 후 감성지능 4영역 4수준에 대한 요소별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 선정을 위해 델파이 1차~3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3차 조사에서는 교육과정 평가영역을 확대하여 AHP분석을 이용해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델파이 1~3차 조사에서 “내가 겪은 사건기록”, “상황극에서 ‘나’라면 문제해결 방향”, “감사의 말 전달”, “릴레이 칭찬”, “아차사고 실수 말할 수 있다” 프로그램 등 5가지가 선정되었다. 둘째, 관리자 전문가 집단의 의사결정에 따른 건설현장 특성이 반영된 교육과정 평가영역의 종합 중요도 순위로 법정교육시 감성안전교육의 혼합 적절성, 관리감독자 능력개발의 적절성, 교육이수자 만족도 조사의 적절성, 감성안전 교육방법의 적절성 등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 평가영역에 대한 1순위는 감성안전 교육과정(80.0%)으로 감성지능 하위요인이 현장의 특수성 극복을 위해 작용이 가능한가에 대한 평가이다. 2순위는 감성안전 교육성과(66.6%)로 교육목표가 안전을 실현하기 위한 교육성과를 지향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3순위로 감성안전 교육내용의 타당성 (60.0%), 4순위는 감성안전 교육방법(40.0%)과 감성안전 교육관리(40.0%)로 확인되었다. Purpose :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applying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use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reduce disasters for construction site workers. Method : Construction site managers were selected as panel experts as research methods, and Delphi s 1st to 3rd surveys were conducted to select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each el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4 areas and 4 level. In the 3rd round of research, the curriculum assessment area was expand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using AHP analysis. Result : First, 5 programs were selected in Delphi s 1st and 3rd surveys: Record of events I experienced , Problem-solving directions if I were in a situational play , Delivering Words of Appreciation , Relay Compliments and I Can Say Near Miss Mistakes . Second, The overall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evaluation area,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site by a group of managers experts was confirmed by the appropriateness of inserting emotional safety education in legal education, development of managerial supervisor skills, adequacy of educational satisfaction survey and emotional safety education methods. Third, the first priority in the evaluation area of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s is the Emotional Safety Curriculum(80.0%). The second place is emotional safety education performance(66.6%). The third place was found to be the feasibility of emotional safety education(60.0%), and the fourth place was identified as the emotional safety education method(40.0%), and safety education management(40.0%).

      • 중·소 건설현장 재해예방을 위한 공종별 위험체감도 및 안전중요도에 관한 연구

        Sun-Tai Kim,Yoo-Mi Moon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22 재난안전논문집 Vol.5 No.-

        연구목적 : 근로자의 안전의식,제도변화,위험체감도,작업위험도 및 안전중요를 공정별로 분석하여 재해를 예방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항목의 타당성을 위하여 델파이분석과 공종별(15개) 인원 300명을 대상으로 변수의 상관관계수 합계와 각각의 문항으로 나누어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 제도변화에 따른 안전중요도 종합 분석 결과 금속창호공종에서 근로자과실 책임부여가 중요요인으로 확인 하였으며, 조적공은 안전관리자 선임기준확대가 1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수장공에서 근로자관실 책임부여가 3위로 분석되었다. 결론 : 근로자의 과실 발생 시 책임 10%를 부여하는 제도의 신설 가정과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을 근거로 안전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15개 공종에서 근로자 과실 책임부여, 사업주 책임확대가 포함되었다. 이 결과는 근로자 책임부여와 사업주 책임을 확대하면 재해가 낮아진다는 결과이다. 우리나라의 현행 법은 근로자 과실이 있더라도 산업재해보상보험을 100% 보장 해주고 모든 과실을 사업주에게 책임이 있는 제도이다. 근로자 본인 스스로에게 책임을 부여 하면 재해는 줄어 들 것이라 판단된다. Purpose : It is to prevent disasters by analyzing workers' safety awareness, institutional changes, risk sensitivity, work hazard and safety importance on a process-by-process basis. Method :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items, 300 people of Delphi analysis and co-species (15) were divided into the sum of the correlations of the variables and the respective questions to derive the importance. Result :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afety importance due to the change in the province, the granting of responsibility for workers' negligence in the metal window construction type was confirmed as an important factor, and the expansion of the standard for the appointment of safety manag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the No. 1 priority. In addition, the assignment of responsibility to the Workers' Office in the chieftain was analyzed as the 3rd place. Conclusions : An analysis of safety importance based on the new assumption of a system that grants 10% liability in the event of negligence of workers and the revise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found that 15 categories included the granting of employee negligence liability and the expansion of employer liability. The result is that expanding worker accountability and employer accountability lowers disasters. The current law of our country is a system that guarantees 100%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even if there is negligence of the workers, and the employer is responsible for all negligence. It is believed that if the workers themselves are held accountable, the number of disasters will be reduced.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건설현장 VR체험안전교육에 대한 연구

        Choi,Ho Kil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20 재난안전논문집 Vol.2 No.-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건설 산업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VR체험안전교육을 통하여 안전보건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재해율을 저감시키는데 있다. 연구방법 : 건설현장에서 시행중인 체험안전교육에 VR체험안전교육을 포함하여 실시하는 그룹(A그룹)과 그렇지 않는 그룹(B그룹)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영향도와 만족도, 효과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시대의 VR체험안전교육의 발전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A그룹과 B그룹의 영향도와 만족도, 효과도를 분석한 결과 영향도와 만족도 부분에서는 B그룹이 A그룹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효과도는 B그룹이 A그룹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연구결과에 따라 이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1)교육과정 측면에서 첫째. 현장 특성을 고려하여 업종별로 현장밀착형 교육내용을 시행하고, 둘째. 교육대상을 구분하여 적용하고, 셋째. 지속적인 VR 교육자료 및 콘텐츠 개발과 공유의 활성화, 2)교육환경과 교육매체 측면에서 첫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안전보건 전문가의 참여, 둘째. VR체험안전교육 시설 확충, 셋째. 우수한 VR체험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3)정책 및 제도적 측면에서 첫째. VR체험안전교육을 법정 교육의 범위 안에서 시행, 둘째. VR체험안전교육에 대한 정부투자 지원 등 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to reduce the accident rate through VR experience safety training accordi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ethod: Analyzes the impact,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through surveys of workers in the group (Group A) and those who do not (VR Group) including VR experience safety training in the experience safety training at the construction site.Based on the results, we will look into the development of VR experience safety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ag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impact,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A and B groups were analyzed.The impact and satisfaction of the group B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 group, and the effect degree was higher in the B group than the A group.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development plan for this is presented.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the field-based training contents are implemented for each industry type.The education subjects are divided and applied, and third.Continuous development of VR educational materials and contents development and sharing, 2) First, in term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edia.Involvement of health and safety professional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Expansion of VR experience safety education facility, third.Development of excellent VR experience safety education program, 3) First, policy and institutional aspect.Implement VR experience safety education within the scope of legal education, second.Government investment in VR experience safety education.

      • 건설현장의 재해요인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Yeon-Gun Kim,Yoo-Mi Moon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22 재난안전논문집 Vol.5 No.-

        연구목적 : 선행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재해요인을 세분하게 설정하여 재해요인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경기도 평택 S반도체공장 신축건축현장의 근로자 및 협력업체, 안전감시단 등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내용을 토대로 분석을 위하여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관리체계안전인식을 독립변수로 한 1단계 모형결과 유의수준은(p<.000)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27.8%로 재해요인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2단계 모형결과 안전교육을 입력하였을 때 유의수준은(p<.000)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39.3%로 1단위 증가함에 따라서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3단계 모형결과 위험요소처리를 입력한 결과 유의수준은(p<.000)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47.2%로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4단계 모형결과 안전과 공사기간을 입력한 결과 유의수준은(p<.000)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56.4%로 변화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단계별 설명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1단계 투입 관리체계안전인식, 2단계 투입 안전교육, 3단계 투입위험요소처리, 4단계 투입 안전과 공사기간 모두 유의하였다. 이는 안전문화에 56.4% 설명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한계로 다양한 관점에서 안전문화의 저해요인을 선정하여 폭 넓은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Purpose : Disaster by setting up the main causes of accidents that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previous studiesThe purpose is to derive the factors that influence phosphorus on safety culture. Method : A survey was conducted on 315 workers, suppliers, and safety monitors at the new S semiconductor plant in Pyeongtaek, Gyeonggi Province, and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25.0 program for analysis based on the contents. Result :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first stage model result with the management system safety percep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is (p<).000) was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7.8%, explaining the change in the cause of the disaster. As a result of the second-stage model, the significance level when safety education was input (p<).000) was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9.3%, explaining the change as the unit increased. As a result of entering risk factor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third stage model result, the significance level is (p<).000) was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7.2%, explaining the change. As a result of entering safety and construction period as a result of the four-stage model, the significance level is (p<).000) was significant, and 56.4% of explanatory power was found to explain the change, confirming that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step by step. Conclusions :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ll of the first stage input management system safety awareness, second stage input safety education, third stage input risk factor treatment, and fourth stage input safety and construction period were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safety culture has 56.4% explanatory power. As a limitation of research,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elect obstacles to safety culture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conduct extensive research.

      • 기초안전보건교육이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권(Young Kweon Kim),박종용(Jong Young Park)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22 재난안전논문집 Vol.2022 No.4

        연구목적 : 기초안전보건교육이 실시된지 10년이 지났지만 보수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어서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 불안전한 행동을 줄이기 위해서 보수교육이 반드시 필요하고, VR(가상현실)/AR(증강현실)을 활용한 보수교육을 실시할 때 교육적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방법 : 건설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보수교육과 불안전한 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VR(가상현실)/AR(증강현실)을 통해 조절효과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 기초안전보건교육과 보수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줄이는데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VR(가상현실)/AR(증강현실)을 활용한 조절효과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기초안전보건교육의 보수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재해를 예방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이며,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VR(가상현실)/AR(증강현실)를 활용한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 It has been 10 years since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as conducted, but maintenance education has not been conducted, so workers' unstable behavior has not decreased. Re-education is essential to reduce unstable behavior, and educational effects are expected to be great when conducting conservative education using VR (virtual reality)/AR (Augmented reality). Method : A survey was conducted on 311 workers working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correlation between re-education and unstable behavior was analyzed,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also investigated through VR (virtual reality)/AR (Augmented reality). Result :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re-education were analyzed to have an effect on reducing workers' unstable behavior, and there was also a moderation effect using VR (virtual reality)/AR (Augmented reality). Conclusions : Providing re-education for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ill contribute a lot to prevent disasters, and education using VR (virtual reality)/AR (Augmented reality) is necessary to enhance educational effectiveness.

      • 건축물 3종 안전점검 사례분석에 따른 기법 및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Park,In Seo,Jeon,Kyung Sik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20 재난안전논문집 Vol.2020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건축물 3종 정기안전점검의 현장점검·보고서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연구를 위해 건축물 3종 정기안전점검의 현장점검·보고서 문제점을 진단점검 기술자에게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여 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현장 구조체 외부에 마감재로 시공되어있어 구조체의 확인이 불가한 상태이다. 이로 인하여 점검대상 시설물의 현장조사시 결함여부에 대한 조사가 곤란하여 객관적인 평가에 문제점이 많다. 따라서 최초 설계시에 유지관리을 고려한 마감재선정, 점검구 배치가 바람직하다. 주요구조부에 대한 추가적인 점검구설치, 리모델링공사시 점검구 설치 등 이 필요하다. 복사 붙여넣기식 보고서는 많은 수의 보고서 작성시 유사한 결함과, 기존에 점검시에 결함내용과 동일한 결함조사 내용으로 판단하고 점검기술자가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므로 인하여 건물특성에 적합하고, 유지관리에 도움이 되지않는 문제점이 있다. 결론 : 관리주체의 의식교육, 마감재에 의한 구조체 확인한계, 점검기술자의 교육, 저가수주에 의한 기술자 및 점검시간 부족방지를 위해 대가의 현실화, 3종 시설물 평가 Check list의 개선, 시설물 관리주체의 의도에 따른 점검, 복사 붙여넣기식 보고서, 종합결론과 조사내용과 불일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mprove on-site inspection and report of three-classes buildings. Metho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problems with field inspection and report of three-classes buildings were organized into five-point clock scale for the diagnostic inspection engineer and conducted a survey of 79 people. Results: The structure cannot be verified as it is constructed with finishing materials outside the site structure. As a result, there area many problems in objective evaluation as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whether a facility is defective during an on-site inspec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select the finish and deploy the inspection tools considering maintenance at the time of initial design. Additional inspection tools for major structural parts and installation of inspection tools for remodeling work are required. Copying and pasting reports are considered to be similar in the preparation of a large number of reports, and are considered to be the same defect investigation details as the previous inspection results, and the inspection engineer prepares the report, which is suitable for building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and is not conducive to maintenance.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 of consciousness education of the managing body, verification of structure by finishing materials, education of inspection engineers, improvement of the checklist of three types of facilities evaluation, inspection of the intention of the managing body of the facility, and comprehensive conclusion and survey contents and inconsistency are needed to prevent shortage of inspection time.

      • 드론활용을 통한 건설현장 재해저감에 관한 연구

        임범준(Beom-Jun Lim),박종용(Jong-Young Park)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20 재난안전논문집 Vol.2020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형화, 초고층화, 복잡화된 건설현장에서 드론의 활용으로 재해율을 저감할 수 있는지를 선행연구와 설문지조사 방법을 통해서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목적에서 도출된 항목들을 평균 15년 이상의 안전관리자들에게 포커스인터뷰(FI)을 통하여 연구문제에 대한 항목을 선정한 후, 5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건설현장 근로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결과 전체 응답자 64명에게 건설현장에서의 드론의 활용으로 재해율이 저감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15개 문항의 평균은 3.74점으로 건설현장 드론의 활용으로 재해율을 저감할 수 있다는 드론의 중요성을 예상할 수 있었다. 결론 : 전체적인 분석결과 대형화, 초고층화, 복잡화된 건설현장에서 드론을 활용하면 ‘안전관리자의 부족현상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전점검 시간도 단축 할 수 있다’라고 본 연구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현장에서 드론의 도입과 활용이 증가하게 되면 고령화가 진행중인 건설노동현장에서 2022년까지 목표로하는 사고사망만인율 절반줄이기에 한발자국 다가갈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and questionnaire survey to find out whether drones can reduce the accident rate in large-scale, high-rise and complex construction sites. Method: The items derived from the research objectives were selected on the research questions by the focus interview (FI) to the safety managers over 15 years on averag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7As a result of the analysis, 64 respondents were able to reduce the accident rate by using drones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average of 15 questions was 3.74, which means that drones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accident rate by utilizing construction site drones.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overall analysis, the use of drones in large-scale, high-rise, and complex construction sites will not only secure shortage of safety managers, but also shorten safety inspection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f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drones in the construction site increases, it will be a step closer to reducing the fatality rate of accident death aimed at 2022 in the construction labor site that is aging.

      •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1) 구축과 재해예방효과

        오병한(Oh Byoung Han),최병정(Choi Byong Jeong),한명환(Han Myong Hwan),임환택(Lim Hwan Taek),조태구(Cho Tae Gu)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17 재난안전논문집 Vol.1 No.1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KCSHA 18001)은 사업주가 자율적인 의지로 안전보건분야를 경영의 한 부분에 포함시키고 자사의 유해위험요인을 예방하기 위하여 위험성의 정도에 따라 투자예방순위를 경정하되 PDCA cycle에 따라 각각 단계별로 안전보건활동이 운영되도록 체계화된 시스템을 말한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과 운영을 통해 건설업체의 재해율은 100대 건설업체의 평균재해율보다 약 50%정도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성과를 나타내고 있어 이와 같은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스마트 안전기술 도입이 떨어짐 사망사고 저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성은(Seung-Eun Kim),박종용(Jong-Young Park)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22 재난안전논문집 Vol.4 No.-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법 개정과 현장에서의 자율적인 안전활동 시스템을 구축하고 근로자에게 지도/교육/감독 등을 추진해 왔지만 떨어짐 사망사고를 줄이기에는 역부족임을 증명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표본 대상은 건설업체 종사자이며,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을 위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떨어짐 사망사고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개구부에 대한 떨어짐 재해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위험하다고 느끼며 스마트 안전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떨어짐 재해가 예방될 것으로 기대하며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벽부는 설비적, 관리적 요인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건설산업의 체질 개선을 위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클린사업장조성사업 등) 및 로드맵 제시 등 경제적 손실 추정액을 선제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민간 현장을 포함한 전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중대 재해를 스마트 안전 기술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결해야 할 시점이라 판단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ountermeasures as it proves that it is insufficient to reduce falling deaths, although it has established a law revision and an autonomous safety activity system in the field and promoted guidance/education/supervision to workers. Method : The sampl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truction company workers, and surveys were conducted mainly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analysis of falling deaths was conducted. Result : The perception of falling disasters for openings felt generally dangerous, and the use of smart safety equipment was expected to prevent falling disasters,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nd the outer wall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facility and management factors. Conclusions : In order to improve the construction industry's construction structure, institutional efforts are needed to preemptively inject economic losses such as active support (clean workplace construction project) and roadmap, and it is time to actively respond and resolve major disasters at all construction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