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기택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2017 OSIA Standards & Technology Review Vol.30 No.1
최근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성 증 대와 보급 확대를 위하여 WAVE 통신뿐만 아니라 LTE 등 과 같은 이동통신을 융합한 다양한 V2X 통신 기술 및 서비 스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V2X 통신 기술은 고속으 로 자율주행중인 자동차에 주변 차량 정보, 돌발 정보 및 사 고 정보 등 중요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으로써, 차량간(Vehicle-to-Vehicle), 차량-인프라간 (Vehicle-to-Infrastructure), 차량-보행자간(Vehicle-to- Pedestrian) 및 차량-Home간(Vehicle-to-Home) 통신 등 교통 분야의 IoT 통신으로 다양한 안전, 편의 서비스를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에서는 다양한 V2X 통신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 한다.
김기정,이성원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2016 OSIA Standards & Technology Review Vol.29 No.1
SDI는 네트워킹, 스토리지, 컴퓨팅 리소스를 비롯한 폭 넓은 인프라를 통합 관리 및 제어하는 기술 및 개념을 의미한다. 현재 SDI를 대표하는 OPNFV의 구조와 이를 구성하는 오픈소스를 분석함으로써, 오픈소스 관점에서의 현재 SDI의 현황을 분석한다. 더 나아가 IT 사업자와 통신 사업자 관점에서의 SDI의 접근 방법을 살펴본다. 오픈소스와 사업자 별 접근 방식의 분석을 통해서 Computing, Networking, Storage, Orchestration 관점에서 SDI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 미래 SDI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본다.
홍정하,홍용근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2018 OSIA Standards & Technology Review Vol.31 No.1
호스트 중심의 통신과 인터넷 기반 네트워킹에 관한 기 본 가정을 뒤집어, 기존 인터넷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 작된, 새로운 형태의 통신 패러다임인 정보 중심 네트워킹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 ICN)은 통신 대상 정보 에 네임(Name)을 부여하고 이 네임을 기반으로 라우팅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네임은 통신 대상 정보의 식별자(identifier) 역할을 하며, 위치자(locator)와 독립적이다. 본 고에서는 정 보 중심 네트워킹에서의 여러 연구 이슈들 중에서 정보 요청 메시지 전달을 위하여 네임을 위치자 또는 다른 형태의 네임 으로 변환해 주는 네임 레졸루션 서비스 (Name Resolution Service, NRS) 기술 동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NRS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논의 한다.
윤주상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2013 OSIA Standards & Technology Review Vol.26 No.2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통신 및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인해 시공간을 초월한 사물, 인 간, 서비스를 연결 시킬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개발이 추진 중이다. 이에 맞추어 3GPP에서 는 M2M/MTC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향상 관련 기술 표준화를 진행 중이 다. 또한 IETF에서도 IoT 환경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의 경량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IoT 디바 이스 내에 상호 정보 교환이 가능한 경량화된 인터넷 프로토콜 구현 가이드라인 표준화를 추진 중이다. 본 고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3GPP MTC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기술 표준화 현황과 IETF 에서 진행 중인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기술 표준화 현황에 대해서 논한다.
정홍종,이성원,김동균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2013 OSIA Standards & Technology Review Vol.26 No.2
M2M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람들 중심의 통신 패러다임이 세상의 모든 사물로 확장되었으 며, 그에 따라 M2M 통신 기술의 활용하는 응용분야에 대한 고민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 중 에서도 지능형 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은 대표적인 M2M 응용 분야이 다. 특히, 기존의 ITS 기능에 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협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인 C-ITS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의 개발을 통해 교통의 안전성, 효율 성, 에너지절감 등을 대폭 향상시키고, 시스템의 신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C-ITS 서비스의 실현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서비스 관점에서의 국제 표준화가 반드시 필요하 게 되었으며, M2M 관점의 기술개발 및 표준연구를 통해 C-ITS의 서비스 표준 제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