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학에 대한 서설적 고찰

        황패강 강남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993 韓國學論集 Vol.1 No.-

        한국학은 한국에 관한 인문·사회·자연과학 각 분야의 통합적 연구로 <한국>의 성격을 구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학 대백과사전』, 『한국학 연구』, '한국학 연구소', '한국학 대학원'...등 '한국학'이란 용어가 많이 쓰이고 있으나, '한국학'에 대한 학문적 정의는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한국학 대백과사전』(을유문화사, 1972)에도 '한국학'의 정의를 밝힌 항목이 없다. 『한국학』(현암사, 1972)도 한국에 관한 14개 분야에 14인의 논문을 놓았을 뿐 '한국학'에 대한 별다른 설명을 볼 수 없다.

      • 포천군 학술조사 보고서

        강남대학술조사단 강남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994 韓國學論集 Vol.2 No.-

        학술조사를 통하여 새로운 자료를 발굴 정리함으로써 한국학 연구에 기여하고, 현장 실습을 통하여 재학생의 학구열을 고취시키며, 지역과 대학 연구기관과의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여 지방문화 창달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포천군 금수정 암각문에 대하여

        홍순석 강남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994 韓國學論集 Vol.2 No.-

        금년 5월 초에 최종규 포천문화원장의 위촉을 받아 포천군 금수정 암각문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후 6월 27일부터 30일까지는 강남대학학술조사단을 이끌고 금수정지역을 현장 조사하였으며, 나름대로 문헌 자료를 검토하고, 양사언 선생의 후손들을 만나 실증적인 자료를 찾아냈다. 이를 토대로 금수정 암각문 자료를 검증하였는바, 이제 그 결과를 밝히려는 것이다.

      • 유치환의 말기시에 나타난 명상과 순응주의

        방인태 강남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993 韓國學論集 Vol.1 No.-

        유치환은 시인 자신의 삶의 모습을 무척 진솔하게 시로 남겼다. 물론,이들 속에는 가족의 삶의 모습도 여러 편이 되지만, 자신의 명상을 통한 한 인간으로서의 시인 유 치환의 여러 편린들을 우리는 그의 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 성찰의 여러 모습에서 자주 발견하는 것 중의 하나는 자신에게 주어진 삶과 인간의 필연적인 죽음에 관한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이다.

      • 『선산지방가사집』해제 및 원본영인

        정은임 강남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993 韓國學論集 Vol.1 No.-

        여기에 영인하는 가사집은 1993년 경북 선산군 하계학술답사 기간중 발견된 자료이다. 해본은 고아면 봉한리의 김영억씨가 소장하고 있던 가사집으로 제첨이 없이 내용만 필사되어 있다. 『선산지방가사집』이라는 제목은 해제자가 편의상 붙인 것이다. 18.8×14.5cm크기의 저지에 한글체로 필사한 이 자료는 총30장(67면)으로 두편의 제문과 <회심곡>, <규중교훈가>, <금오산가>, <화조가>, <백발가> 등 7편이 가사가 실려있다. 그 중 <회심곡>이나 <화조가>, <백발가> 등은 내용에는 조금 차이가 있더라도 이미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으나, <금오산가>는 이 지방이 아니면 창작되어 질 수가 없으며, 또 지금까지 발간된 가사 목록에도 없는 것으로 보아 자료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 애국계몽운동과 사회진화론

        간복경 강남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993 韓國學論集 Vol.1 No.-

        독립협회는 19세기말 서구열강과 일본의 자본주의 세력이 우리 나라에 들어와 광산, 철도, 전선, 산림, 어장 등의 이권을 침탈하고 식민지화 하려는 과정에서 일시적 세력균형이 이루어 졌던 시기에 일단의 선진 지식인, 정당 관료를 중심으로 새로이 성장하는 국민의 힘을 모아 자강을 실현함으로써 자주독립을 지키려고 하여 만든 사회단체였다.

      • 경기도 훼철서원 조사보고서

        홍순석 강남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993 韓國學論集 Vol.1 No.-

        경기도내 현존하는 서원이나 훼철서원터에 대한 구체적인 실태는 필자가 조사를 실시하기 이전까지는 거의 파악되지 않은 상태였다. 규장각 소장의 고문헌 가운데 『열읍원우사적』이 있어서 참고가 됨직 한데, 불행히도 경기도편은 일실되어 살필길 없다. 현장조사보고서로는 일제하에서 조선총독부 주관으로 1920년 당시 전국의 취락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던중 저명한 동족부락 안에 그때까지 존속하고 있던 서원의 현황을 조사한 보고서 『조선の취락』(후편)이 있을 뿐이다. 이 자료를 통해 『증보문헌비고』의 소략한 기록을 보충할 수 있었으나, 그나마 여기에 조사된 자료는 몇몇에 불과하고, 자료로서도 불충분하다. 그 이후 6.25전란과 향촌사회의 변화에 따라 크게 달라졌음을 전제할 때 현존하는 서원의 실태조사는 전무한 셈이다. 근래에 와서 각 군의 군지를 편찬하면서 서원 항목을 별도로 다루고 있어 미흡하나마 대략의 사실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료가 고증되지 않은 사실을 그대로 전재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그 지방의 유림이 아닌 각 문중에서 배향해온 서원의 경우는 왜곡된 사실이 적지 않았다. 이러한 점을 감안 할 때 서원의 실태조사는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번의 경기도내 훼철된 서원조사는 이러한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물론 여러가지 제약상 대원군때 훼철된 서원만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는 제한적이다. 앞으로는 해당 행정당국과 각 문중의 적극적인 배려하에 현존하는 서원·사우에 관한 구체적인 실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소한 각 서원의 『서원지』라도 고증을 통해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 <인현왕후전>연구 현황 및 그 방향과 과제

        정은임 강남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993 韓國學論集 Vol.1 No.-

        <인현왕후전>은 <계축일기> <한중록>과함께 궁중문학이라 하여 우리 문학사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것은 궁중이라하는 특수한 사회를 토대로 하여 작품이 생성되었으므로 다른 작품들과는 쉽게 대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명칭은 작품의 배경에 초점을 두었을 뿐, 작품의 내용적 질서와 원리를 존중하여 구분된 것은 아니었다.

      • 한국자전의 실상

        이충구 강남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994 韓國學論集 Vol.2 No.-

        본고에서는 한국자전 성립의 사적 약술, 한국자전의 형음의 제시, 한국자전의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을 다루고자 한다. 한국자전 성립의 사적 약술에서는 한국에서 자전이 이룩된 과정 및 출간된 자전의 종류를 간략히 서술한다. 한국자전의 형음의 제시에서는 한자를 3요소로 나누어 한국자전에 제시된 形ㆍ音ㆍ義에 대하여 그 경향ㆍ특징을 살펴본다. 한국자전의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에서는 현재 사용되는 자전의 문제점과 앞으로 한국자전이 지향해야 할 점을 역시 형음의로 나누어 모색한다.

      • 『동인시화』에 사용된 평어 청절의 풍격에 대한 일고찰

        윤승준 강남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994 韓國學論集 Vol.2 No.-

        문학일반론이나 시론은 작품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서의 가치와 앞으로의 창작을 위한 방향 제시를 해 줄 수 있는 전망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야 한다. 시어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연구 결과 밝혀진 선인들의 한시에 대한 언명들이 실제로 작품 분석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연구의 방향 전환은 고전비평 용어에 대해인상적이고 직관적인 평가에 불과할 뿐이라고 하는 기존의 견해를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며, 우리 문학론에 의한 우리 작품의 분석과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문학론의 정립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의 시각에서 「동인시화」에 사용된 평어 "청절"의 풍격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