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원 지역 패류생산해역에 미치는 육상오염원의 세균학적 영향

        김판구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exportation of Korean fishery products has increased every year since 1990. For this reason, the shellfish growing area is increasing in Korea. Korea is the fourth largest producer of shellfish in the world, and the shellfish production volume was 52.8 million tons, making up 13.8 % of the total fishery products in 2019. However, food poisoning from eating shellfishes contaminated by microorganisms is often occurring. The bacteriological safety of shellfish is very important in the shellfish growing area because the shellfish growing area is often effected by land pollutant sources, stream water and domestic wat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bacteriological effect of land pollutant sources on the seawater and shellfish in shellfish growing area by rainfall at sea of Yangyang-gun, Gangneung-si and north sea area of Samcheok-si in East sea, Korea. The total 65 samples (28 samples of land pollutant sources , 6 samples of shellfishes and 31 samples of seawater ) were collected from Yangyang-gun in East Sea, Korea, before and after rainfall. And then, the counts of fecal coliform, coliform group and Escherichia coli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were evaluated. The range of fecal coliform in land pollutant sources, shellfish and seawater at the day before rainfall were 6.8~1,800 MPN/100 mL, 45~230 MPN/100 g and <1.8~430 MPN/100 mL respectively. The range of coliform group in land pollutant sources, shellfish and seawater at the day before rainfall were 22~1,800 MPN/100 mL, 70~330 MPN/100 g and 2.0~1,200 MPN/100 mL respectively. The range of E. coli in shellfish at the day before rainfall was 40~90 MPN/100 g. The range of fecal coliform in land pollutant sources, shellfish and seawater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39~11,000 MPN/100 mL, 70~1,800 MPN/100 g and <1.8~1,100 MPN/100 mL respectively. The range of coliform group in land pollutant sources, shellfish and seawater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68~ >160,000 MPN/100 mL, 260~3,300 MPN/100 g and 4.5~1,800 MPN/100 mL respectively. The range of E.coli in shellfish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60~210 MPN/100 g. The level of fecal coliform, coliform group and E. coli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were increased sharply at 1st day after rainfall compare to the day before rainfall. And then, slowly decreased at 3rd day after rainfall, and recovered as level before rainfall at 5th day after rainfall. The total 43 samples (15 samples of land pollutant sources, 4 samples of shellfishes and 24 samples of seawater ) were collected from Gangneung-si. The counts of fecal coliform, coliform group and Escherichia coli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were evaluated. The range of fecal coliform in land pollutant sources, shellfish and seawater at the day before rainfall were 22~6,200 MPN/100mL, 62~70 MPN/100 gand <1.8~34 MPN/100 mL respectively. The range of coliform group in land pollutant sources, shellfish and seawater at the day before rainfall were 54~35,000 MPN/100 mL, 230~390 MPN/100 g and 6.8~70 MPN/100 mL respectively. The range of E. coli in shellfish at the day before rainfall was 35~54 MPN/100 g. The range of fecal coliform in land pollutant sources, shellfish and seawater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49~17,000 MPN/100 mL, 700~1,300 MPN/100 g and <1.8~79 MPN/100 mL respectively. The range of coliform group in land pollutant sources, shellfish and seawater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110~54,000 MPN/100 mL, 2,200~5,400 MPN/100 g and 20~180 MPN/100 mL respectively. The range of E.coli in shellfish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160~280 MPN/100 g. The level of fecal coliform, coliform group and E. coli in land pollutant sources, shellfish and seawater were increased sharply at 1st day after rainfall compare to the day before rainfall. And then, slowly decreased at 3rd day after rainfall, and recovered as level before rainfall at 5th day after rainfall. The total 73 samples (29 of land pollutants and 44 of seawaters) were collected from Samcheok-si. The range of fecal coliform in seawater was <1.8-2.0 MPN/100 mL before rainfall, but was increased to <1.8-4.5 MPN/100 mL at 1st day after rainfall (55.8 mL/day). And then, the range of fecal coliform in seawater was increased to <1.8-6.8 MPN/100 mL at 3rd day and <1.8-2.0 MPN/100 mL as same level before rainfall at 5th day after rainfall. The influence radius of land pollutant sources affect to shellfish farm was 8 m- 93 m before rainfall, but was increased to 10 m- 98 m at 1st day after rainfall. And then, the influence radius of land pollutant sources was decreased to 6 m- 87 m at 3rd day, and 5 m- 65 m at 5th day after rainfall.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eawater evaluation from January 2018 to February 2021, the geometric mean of the count of fecal coliform in Yangyang-gun, Gangneung-si, and northen Samcheok-si were <1.8-4.5 MPN/100 mL, <1.8 –1.8 MPN/100 mL and <1.8-1.8 MPN/100 mL respectively, it is safe for hygiene standard. This is Gangwon-do's average sewage treatment rate is thought to be due to 98.4 % (as of 2020). From above results,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seawaters in the shellfish growing area at sea area of Yangyang-gun, Gangneung-si, and northern Samcheok-si were affected mostly by amount of discharge water of land pollutant source and the cell number of fecal coliform. However, although seawater and shellfish in the shellfish production area are affected by rainfall, they are stably maintained according to the Korea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KSSP) standards. These results show that even in the rainy season, bacteria in the shellfish-producing area of ​​Gangwon-do are well managed from soil contaminant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necessary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 supplemented and continuous sanitation management is necessary.

      • 江陵地域 廢寺址의 性格 硏究 : -역사고고학적 자료 검토를 중심으로-

        김진한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A Study on the nature of ruined temples in Gangreung area. Jin Han, Kim Department of History Graduate School of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ummary This article has been intended to find some Buddhist remai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Buddhism and its collapse in Gangreung area. Based on the purpose, we have tried to reveal the culture and thoughts of Buddhism, the foundation and transition of temples, the mutual relationship, and the approximate period of destruction, as well as the reason for it. To do so, we have comprehensively researched and analyzed bibliographies, archeological data, some of Buddhist remains and a variety of relics. In the middle of nine century of Gangreung area, a powerful family regarded as Gulsanmoon is Kim Ju won series, one of Gusansunmoon, supported to roughly estimate by overflow to build many temples. Since then, many stone works and the other remains showing the excellence of Buddist culture have been in existence throughout the history. It is estimated to be thirty seven places where the temples have been ruined in Gangreung area. One identified temple arrangement includes one tower and one temple ceremony, and no tower and producer of four-sided construction. The former one has been simplified by omitting inner gate and hallways. The latter one has been identified on the original place and is assumed to be the small one. Most of coalition formation of stone works in Gangreung area have been identified to be made in the former period of Koryeo dynasty and some other remains through investigation have been excavated, and most of them have been also identified to be made in the former and middle period of Koryeo Dynasty. Therefore, it is assumed to be the most active time to build temples in Gangreung area in the former and middle of Koryeo Dynasty. It has also been identified to be more than two attached map and tower and monument as we found Stupa material, the turtle base of a stone monument, and piece of memorial stone through our archeological achievement. We assume that most of the temples were destroyed or burnt down by the invasion of the Kitan in the thirteenth century as we tried to find the main reason for the temples to be ruined through our bibliographical and archeological research. Since then, we have yet to find any evidence of rebuilding but merely maintaining the Buddhist in a way of small hermitage. Gulsansa temple is assumed to be completely ruined during the second or third quarter of the fifteenth century, and the other ones have been estimated to be done so between the former and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as well. Throughout many bibliographies, stone works, and archeological data, it appears that Gangreung area has its Buddhism based on Zen Buddhism, Huayan School, and the myth of Ode mountain. The estimated period of Buddhism to spread out all over Gangreung area appears to be the former period of Goryo dynasty. However, as we have found some stone stupa and evidence of lack of stone pagoda excavated in Ok chun dong, we assume the end of united Shilla Dynasty to be the most active age to build many temples. Unfortunately, we have yet to find any similar remains which are related to the assumption. This article may leave a lot of holes for critics since we have limited our research on bibliographies and some of remains which scientific studies had been already made. For this reason, it may be essential to continuously make thorough bibliographical and archeological research more often to find out more information that this article may remain open to questions. If then, we assume that it will give a lot of support for more detailed investigation and the culture of Budhism in the eastern coast area including Gangreung. 江陵地域 廢寺址의 性格 硏究 金 鎭 韓 江陵原州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考古學專攻 본고는 우리나라로 유입된 불교가 강릉지역으로 전래됨으로써 조성되었던 사찰이 몰락하여 현재 전해지는 불교유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강릉지역의 불교문화와 사상, 사찰의 창건과 변천, 상호관계, 그리고 폐사시기와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종합적인 특성을 고찰하여 그 역사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자료와 고고자료, 현재 남아있는 불교유적과 다양한 유물을 종합적으로 정리·분석하였다. 강릉지역은 9세기 중엽에 구산선문 중 하나인 굴산문이 김주원계로 생각되는 강릉지역 호족들의 도움으로 범일에 의해서 개산되었고 이후 많은 사찰이 형성되었으며, 당시 다채로운 불교문화 수준을 보여주는 석조물을 비롯한 많은 유물이 현존하고 있다. 문헌과 학술조사를 통해 강릉지역에서 확인되는 사찰 및 폐사지는 총 37개소로 추정된다. 강릉지역 폐사지에서 확인되는 가람배치는 1탑1금당식과 무탑식 산지중정형의 두 가지 형식이 확인되며, 1탑1금당식 가람은 입지에 따라 중문과 강당이 생략된 간소화한 방법으로 조성하였다. 무탑식 산지중정형의 입지는 모두 산지에서 확인되며, 규모가 비교적 작은 암자 형식의 사찰로 보인다. 강릉지역에서 확인되는 석조물의 조성연대는 대부분 고려전기에 집중되어 있고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들의 중심연대 역시 고려 전기에서 중기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서 강릉지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불사가 진행된 시점은 고려전기에서 중기로 파악된다. 굴산사지에서는 고고학 성과로 부도재와 귀부, 비신편이 확인되어 각각 2기 이상의 부도와 탑비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찰들이 폐사된 원인과 시기는 문헌자료와 고고자료로 미루어 볼 때 13세기 전반 거란의 침입으로 강릉지역 전체가 큰 타격을 받을 당시 대부분의 사찰도 함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 이후 중창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작은 암자 형식으로 그 법맥을 유지하다가 굴산사는 15세기 2/4분기 또는 3/4분기에 완전히 폐사된 것으로 보이며, 다른 사찰들 역시 조선전기에서 중기에 폐사된 것으로 확인된다. 강릉지역은 선종과 화엄종, 오대산신앙이 어우러진 불교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었음이 문헌과 석조물, 고고자료 등을 통해서 확인된다. 불교가 강릉 전 지역으로 확산된 시점은 고려전기부터지만 굴산사지에 남아있는 석조부도와 옥천동에서 수습된 석탑부재의 양식으로 보았을 때 통일신라시대 말기부터 활발한 불사가 진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유구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본고는 현재 확인되는 문헌과 학술조사가 진행된 유적에 한하여 검토하였기 때문에 많은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철저한 문헌조사와 더불어 지속적인 고고학적 조사가 병행되어 본고에서 밝히지 못한 문제들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강릉지역을 비롯한 동해안일대의 불교문화와 유적 연구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 성과증진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 강릉시를 중심으로

        김동원 강릉원주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세계화 시대의 첨단 기술과 교통·통신의 발달로 세계는 하나의 지구촌으로 축소되었다. 전 세계는 국경을 넘나들며 인적·물적 상호 교류가 확대되었다. 이런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지역의 고유한 특성이 전 세계로 퍼지면서 보편성을 갖는 지역화 현상도 나타났으며 이 둘의 장점을 찾아 발전시킨 세방화(glocalism) 현상이 확산되면서 지방자치단체는 국제교류의 주체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맡을 수 있게 되었다. 강릉시는 수려한 자연환경과 문화자원이 풍부한 관광도시이며 2018년 동계올림의 빙상경기가 열리는 도시로서 국제적인 도시로의 발전을 지향하고 있다. 강릉시는 현재 세계적인 도시로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외적 환경에 놓여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강릉시의 자매결연 분석과 행정체제 분석, 국제교류 정책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교류 성과 증진에 필요한 정책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 사업을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법령과 제도, 조직과 인력 그리고 정책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첫째, 강릉시는 강원도 내 타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많은 국외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그러나 지역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중국 도시에 교류가 편중되어 있고 내용을 보면 대표단의 상호방문 등의 행정교류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기관장 및 지역 유력인사 들의 관광차원의 친선방문 등 의례·답례 차원의 비중이 높아 교류의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제교류의 행정적 체제의 분석결과로 법령과 제도에 있어서 강릉시는 관련 자치법규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과 인력에 있어서는 전담 조직과 인력을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연례 반복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변화하는 국제정세에 대비하며 총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추진하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책적인 측면의 분석 결과 강원도 내 주요 지방지차단체의 사례를 보면 정책 목표에 국제교류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설정했을 때, 국제교류 관련관심과 적극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와 관련하여 자매결연 분석 외에 교류사업을 통해 얻게 되는 성과와 그 발전 방안에 대해서 보다 심도 있게 다루고자 하였으나 다소 미흡한 점이 있었으며, 앞으로 지방자치단체가 국제교류를 추진하는데 있어 시행착오를 줄이면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강릉시 청년정책 현황 및 발전방안

        정광민 강릉원주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강릉시 청년정책 현황 및 발전방안 정 광 민 강릉원주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지역개발학과 경제사회개발전공 청년 실업 혹은 청년 취업난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 된 가운데 청년 일자리 문제와 청년들의 전반적인 삶의 수준을 해결하고 안정적으로 지속시키기 위한 ‘청년정책’이 절실하게 필요한 때이다. 본 논문은 기초 지방자치단체인 강릉시의 실효성 있는 청년정책의 방향성 모색에 목적을 두고 강릉시의 청년정책 현황 및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정책의 대상인 청년의 개념, 정책대상으로서의 청년, 청년정책의 개념을 살펴보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청년정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국의 기초 지방자치단체 중 비수도권이며, 산업기반이 비교적 취약하고, 조례제정에 따른 청년정책기본계획을 수립한 도시 중 강릉시와 문화적, 경제적, 자연‧환경적 입지가 비슷한 도시 네 곳으로 강원도 춘천시, 경상북도 경주시, 충청남도 서산시, 전라북도 남원시를 선정하여, 각 도시의 「청년기본조례」 및 청년정책기본계획을 강릉시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청년정책에 관한 선행연구 및 청년정책동향에 대한 문헌연구, 2차 통계자료와 전년도 통계자료에 대한 연구, 청년 관련 법규 자료 등으로 청년정책 동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강릉시와 춘천시, 경주시, 서산시, 남원시의 청년정책에 대한 관련 자료와 통계데이터에 대한 2차 자료 분석과 각 기초 지방자치단체의「청년기본조례」, 청년정책기본계획을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먼저 청년정책의 대상인 청년의 개념, 정책대상으로서의 청년, 청년정책의 개념을 살펴보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청년정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청년정책은 청년이라는 특정 연령을 대상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사회의 전 분야를 관통하는 정책으로 최근 청년문제가 광범위하고 심각하게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단순한 일자리 문제로 접근하기 보다는 청년들이 처한 상황전체를 살피는 포괄적인 개념의 청년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청년은 ‘신체적ㆍ정신적으로 한창 성장하거나 무르익은 시기에 있는 사람’으로 사전에 정의되고 있으며, 정책대상으로서의 청년은 연령범위를 중심으로 정의하게 되는데, 높은 청년 실업률과 얼어붙은 고용시장의 여건, 오랜 취업 준비기간 등의 현실이 반영된 연령범위를 필요로 한다. 최근 공포된「청년기본법」에서는 ‘청년이란 19세 이상 34세 이하인 사람’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의 「청년기본조례」에서는 연령 하단의 경우는 15세, 18세, 19세, 20세로, 연령 상단의 경우는 29세, 34세, 39세, 45세, 49세로 해당지역의 여러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규정하고 있다. 청년정책추진에 있어서는 중앙정부는 청년정책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 수립, 청년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그에 기반을 둔 정책 수립, 통합적 청년정책 추진을 위한 점검과 평가를 담당하고 지방자치 단체는 해당 지역의 청년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지역의 특성에 기반을 둔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 단체의 바람직한 역할이 될 것이다. 우리사회에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합당한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상황에 맞게 절충․보완하며 일관성 있게 추진해 나간다면 성공적인 정책이 될 것이다. 앞으로의 청년정책은 포용적 사회정책의 비전에 맞게 삶의 전 영역과 생애주기 전체를 아우르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 각 도시의「청년기본조례」및 청년정책기본계획을 강릉시와 비교‧분석하였다. 강릉시, 춘천시, 경주시, 서산시, 남원시의「청년기본조례」(춘천시는「청년발전지원조례」)는 모두 대동소이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도 비슷하다. 각 지역이 처한 상황과 기반이 다르므로 지역 고유의 특성을 살린 구체성을 지닌 조례의 제정이 필요한 부분이다. 다섯 도시의 추진사업과 예산을 살펴보면, 조례에 의해 수립된 청년정책기본계획의 세부추진과제 중 추진사업 분야를 살펴보면 강릉시와 춘천시는 주거·복지지원분야에, 경주시, 서산시, 남원시는 청년 창업과 일자리에 관련된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각 도시별 총예산 중 가장 많은 예산을 편성한 분야는 경주시, 서산시, 남원시의 경우 청년 창업과 일자리에 관련된 분야에 가장 많은 예산을 편성하였으나 강릉시는 첫 번째로 ‘역량강화 주거·복지지원’분야에 52%를 편성하고, 두 번째로 ‘일자리, 취·창업지원’분야에 33%의 예산을 산정하고 있다. 이러한 예산편성은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력하는 부분이 일자리창출임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청년정책기본계획의 청년예산과 2020년 청년예산을 비교해 보면 강릉시의 청년 1인당 예산은 2020년 48,951원으로 청년정책기본계획 예산 30,518원(2020년 예산대비 62.3%) 보다 많이 편성되어있다. 2018년 대비 청년인구는 감소하였으나 청년정책기본계획의 예산 대비 실제적인 예산편성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경주시의 청년 1인당 예산은 2020년은 46,199원이고 청년정책기본계획예산은 13,752원(29.7%)으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인구가 비슷한 강릉시와 비교해 보면 기본계획 예산이 현실성이 낮은 예산편성임을 알 수 있다. 서산시의 청년 1인당 예산은 2020년 기준 27,322원이고 기본계획 예산은 176,473원(645.9%)으로 2020년 예산보다 6배를 훨씬 넘는다. 남원시의 청년 1인당 예산은 2020년 기준 44,803원으로 기본계획 예산은 221,557원(494.5%)으로 2020년 예산보다 거의 5배가 많다. 강릉시와 경주시가 인구 20만이 넘는 도시이고 서산시는 17만, 남원시가 8만 임을 감안한다면 그 차이는 더욱 극명하여 서산시와 남원시의 기본계획상의 예산편성이 해당 지자체의 재정자립도와 무관하게 편성되어 그 실효성에 큰 의문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실무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청년정책과 유리된 현실성 없는 기본계획은 조례에 따른 요식행위로 비춰질 뿐이다. 현실성을 담보한 실제적인 계획이 필요해 보인다. 지금, 청년은 자율적 활동과 공정한 기회, 균형 잡힌 행복한 일상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해당 지방자치단체는 청년들의 특수한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정책방안을 도입하고 지역의 정주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지역의 청년 노동시장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며, 지방자치단체는 독립성과 자율성을 확보하고 지역단위의 고용정책들을 개발시켜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 환경과 인구구조 변화에 대비하는 장기적인 정책 준비와 청년의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지원 정책의 수립과 지역특수성에 기반한 지역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며, 이제는 지방자치단체가 고용정책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지역의 고용관련 단체와 함께 고용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에 특화된 정책을 펼쳐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청년문제를 우리 모두의 문제로 인식하고 함께 고민하는 포용적 자세가 필요하며 이를 청년정책에 반영하고 폭넓고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청년들이 더 이상 정신적․경제적으로 피폐한 상황에 함몰되지 않게 하는 실질적인 정책이 절실한 때이다. 본 연구가 강릉시의 청년정책의 수행에 좋은 영향을 미쳐 청년들이 꿈꾸며, 청년다운 삶,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구가하는 살기 좋은 강릉으로 거듭나는데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이용자의 의식에 기초를 둔 대중교통수단 서비스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강릉지역을 사례로

        이천우 강릉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Considering that the traffic problem in Gangneung can be solved by increasing the use of public bus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suggest the way to improve the standard of the public bus service in Gangneung based on awareness of citizens of Gangneung and the use of public buses that we have surveyed and analyzed. We used various statistic data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in operating public buses and proposed the current state of evaluation of public bus service of advanced foreign countries. Also, we conducted a theoretical research as well as an experimental study. A theoretical research was mainly depended on scientific journals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related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various data from bus companies, and other records and referenced the analysis of data and statistics issued by self-governing regional bodies. In order to conduct the experimental study an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operating public buses in Gangneung, we have surveyed and interviewed those who use public buses in Gangneung based on the evaluation indices of public bus service that we have set for this research. We have set the evaluation indices of public bus service as economical efficiency, trustability, promptness, convenience, comfort, and safety after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In the aspect of the economical efficiency, we have researched the opinion on the use of traffic cards and if people agreed with the fare, in the aspect of the trustability, if public buses arrive on time and how long they delay, and in the aspect of the promptness, if bus drivers observe the speed limit, if they reduce speed appropriately, and the number of connecting ride and the dissatisfaction of passengers due to the shortage of buses. The approaching time to the bus station, interval of allocation of buses, and the standard of bus station facilities were examined in the aspect of convenience, standard of cleanliness inside and outside the bus, air conditioning facilities, crowdedness in the bus, and if bus drivers are kind were examined in the aspect of the comfort. Lastly, in the aspect of the safety, an experience of riding the bus with a violent driver and an experience of traffic accidents while using a public bus were examined. Then, the results from the survey on evaluation indices of each public bus service were analyzed and the way to improve it was proposed. First, in order to improve economical efficiency, we have suggested introducing the discount of the fare for students (in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and discount for using collecting ticket and changing the rate of fare by the distance, the region, or by setting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s a specific sector. Second, in order to improve trustability, we have suggested introducing the traffic lights that favor buses, which is the most appropriate alternative considering the traffic and street situations of Gangneung, and the bus information system. Third, in order to improve promptness, we suggested that the route system be systematically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by dividing public buses into main routes and local routes. The second suggestion was that the route system should be changed into a rather simple independent route network by considering the traffic and street situations of Gangneung while it is currently the interconnected bus route network structure. Fourth, in order to improve convenience, we have suggested introducing the rearrangement of the interval of the allocation of buses and the bus information system. Fifth, in order to improve comfort, we have suggested the following plans: first, modernization of bus facilities such as maintaining cleanlines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periodic check and management, second,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passengers and activation of reporting service, and third, the temporary increase in the number of buses and the introduction of traffic lights that favor buses while the traffic is congested. Lastly, in order to improve safety, we have suggested the periodic check of buses, educating drivers about safety, and strengthening the policy of rewards and fines. Even though the city continuously encouraged the public transportation for the city traffic,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actually more advantageous to use private automobiles than the public transportation considering the policy of Gangneung.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standard of the service, the route system appropriate for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rate of use of public buses should be increas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es. 자가용승용차의 급속한 증가에 의한 도로상황 악화와 도로공급정책의 한계 성으로 인하여, 자가용승용차에 비해 도로점용면적과 수송능력면에서 월등한 우위를 점하는 대중교통 중심 교통체계 구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버스는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대중교통수단 가운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통수단이다. 이는 수송분담률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노선의 탄력성이 없는 궤도교통수단만으로는 기본적인 수송수요의 처리가 불가능하기때문이다. 시내버스는 도로공간의 효율적 이용측면에서 개인승용차에 비해 많은 이점을 갖고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양과 질에 대한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융통성을 지닌 효율적인 교통수단이다. 그러나 강릉시 시내버스는 질낮은 서비스로 인하여 이용자가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바, 시내버스 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자가용이 갖는 흡입요소-접근성, 편안함, 개인 공간 확보, 이동의 자유로움에 맞설 수 있는 기능을 버스에 부여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해야한다. 이를 통하여 자가용 이용자의 수단전환을 유도하고 교통소통 증진 및 환경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최근 정부는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교통문제를 완화하고, 대중교통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중교통수단 및 시설의 확충을 촉진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대중교통이 우선하는 효율적인 교통체계를 구축하는 등 대중교통에 대한 지원ㆍ육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교통편의와 복지증진에 기여코자 2005년 1월27일 「대중교통의육성및이용촉진에관한법률」 을제정하였다. 즉, 문제 해결의 열쇠는 대중교통 서비스 증진을 통해 자가용 승용차 이용자를 흡수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편익을 누리고 있는 개인승용차 이용자에 대한 적정한 수익자 부담원칙을 적용하여 대중교통수단의 승용차에 대한 상대적 경쟁력을 강화시켜주어야 한다. 본 연구는 강릉시의 도시교통문제는 대중교통 수단인 시내버스의 이용률을 제고시킴으로서 어느 정도 해소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 강릉시민의 시내버스 이용과 관련된 의식을 조사ㆍ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용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강릉시 시내버스 서비스 수준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 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중교통분야의 특성상 시내버스 운영실태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는 각종통계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해외선진국의 시내버스 서비스 평가현황도 제시하였다. 또한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으며 이론적 연구는 국내외의 대중교통관련 학술지, 버스회사의 각종자료, 기타문헌을 위주로 한 기술적 방법에 의존하면서 지방자치단체의 편찬자료와 통계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증적 연구방법을 위해서는 강릉시의 시내버스 운영실태와 강릉시 시내버스 이용객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시내버스 서비스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설문 및 면접조사를 하였다. 시내버스 서비스평가지표 설정은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국내ㆍ외의 시내버스 서비스 평가지표를 토대로 경제성, 신뢰성, 신속성, 편리성, 쾌적성, 안전성 의 6가지로 설정하였다. 첫 번째 경제성 측면에서는 버스요금수준에 대한 만족도와 교통카드 도입필요성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두 번째 신뢰성 측면에서는 시내버스가 운행시간표대로 정시에 정류장에 도착하는지 여부와 지체시 어느 정도 지체되는가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 번째 신속성 측면에서는 규정속도의 준수와 과속, 가감속 여부, 그리고 노선수 부족으로 인한 이용객의 불만, 환승 횟수에 대해 조사하였다. 네 번째 편리성 측면에서는 버스정류장까지의 접근시간과 버스배차간격 그리고 정류장의 시설수준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다섯 번째 쾌적성 측면에서는 여름철의 냉방시설과 겨울철의 난방시설의 청결수준, 차내ㆍ외부시설의 청결수준, 버스내 혼잡정도와 운전기사의 친절정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안전성 측면에서는 운전기사의 난폭운전 경험여부와 시내버스 이용 중 교통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서비스 평가지표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 중 첫 번째 경제성 측면에서는 중고생 및 대학(원)생들의 (대)학생할인요금제의 도입과 회수권 사용 할인혜택, 그리고 현재 균일요금제를 구간요금제나 거리비례제로 개선하고 행정구역 또는 지리적 구역의 노선을 하나의 권역으로 구분하여 운임을 적용하는 권역별 요금제의 도입을 개선방안으로제시하였다. 특히 좌석버스의 경우 요금수준을 현재연령에 관계없이 균일한 요금을 부과하는 균일요금제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를 연령별 차등 요금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두 번째 신뢰성 측면에서 개선방안으로는 강릉시의 교통 및 도로여건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대안인 버스우선신호제와 버스정보시스템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버스우선신호제는 버스의 운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신호등에 버스 진행신호를 우선적으로 연동시키는 교통신호 체계를 말한다. 즉, 교차로에 일반 신호등 외에 버스전용 신호등을 설치하여 버스의 속도와 흐름을 파악한 뒤 연동신호로 버스에 우선진행권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버스우선신호의 경우는 강릉시 교차로 중 한국은행앞사거리, 터미널앞사거리 등과 같이 복잡한 교차로에 적용하여 버스의 속도저하 및 주행시간을 단축시켜 버스 이용자들의 불편을 해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류장 대기시간과 정시성 확보를 위해 버스의 도착시간과 위치 등을 안내하는 버스정보시스템(BIS:Bus Information System)의 도입으로 버스 정시성(定時性) 확보, 운행속도증가, 정류장 대기시간 최소화의 효과를 가져오고 이로 인해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버스서비스의 수준이 한층 향상될 것이다. 세 번째 신속성 측면에서는 첫째, 시내버스를 간선과 지선버스로 나누어 수단별 특성 및 기능에 따라 체계적으로 노선체계를 개편해야한다. 둘째, 현재 강릉시의 버스노선망구조는 직접연결형(Interconnected)으로 강릉시의 교통 및 도로여건을 고려한 독립형 노선망 구축으로 노선을 단순화 시켜야한다는 두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 편리성 측면에서는 첫째,1일 운행회수의 기준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되, 배차간격의 허용치를 설정하여 이용수요에 따라 적용토록 배차관리를 하며, 버스의 운영 및 노선여건 등을 고려하여 최대 배차 간격과 최소배차간격을 설정하여 버스운행상의 탄력성을 도모해야 한다. 둘째, 업체가 1일 총 운행대수 범위 내에서 시간대별로 버스 운행대수를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버스배차간격 탄력제 도입 셋째, 버스정보시스템(BIS)의 도입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다섯 번째 쾌적성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으로 첫째, 버스시설의 현대화로 냉·난방 및 청결도유지, 회차시 반드시 청소 및 청결도 파악, 차내 혼잡도율 고려에 의한 쾌적성 향상 실내조명의 조도향상, 모든 차량에 매연처리장치 부착등 운영자측면에서 주기적인 점검과 관리, 둘째 고객의견 청취 노력 및 서비스 신고제의 활성화로 고객만족 경영을 도모, 셋째, 출ㆍ퇴근시간 및 등ㆍ하교 첨두 1시간동안 혼잡노선에 배차를 증차시키거나 버스우선신호제를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안전성 향상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은 두 가지로 살펴 볼 수 있다. 첫째 차량점검및 정비와 둘째로 운전자 안전 및 친절도 향상교육과 운전기사의 상ㆍ벌점 및 벌금제도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또한 시내버스 서비스 평가시 운전기사 친절도 항목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업체 및 운전자 스스로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 도시교통의 기본방향은 대부분의 도시가 마찬가지로 대중교통 중심과 대중교통 최우선을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지만 현실적으로는 여전히 승용차 소통위주의 정책으로 대중교통이 뒷전에 밀려나고 있는 실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내버스의 정시성을 확보하고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시특성에 맞는 노선체계를 확립하는 등의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시내버스의 이용률과 서비스 수준개선을 향상시켜 나가야 한다.

      • 강릉단오제 기록물 관리에 관한 연구

        박찬웅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강릉단오제는 유네스코가 세계적으로 보존해야할 문화유산으로 선정할 정도로 중요한 가치가 있는 강릉시의 문화자원이다. 강릉단오제는 국비, 도비, 시비 및 각 단체의 후원금과 행사 수익금을 통해 사단법인인 강릉단오제위원회와 강릉단오제보존회가 행사를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는 특정 조직의 개입 없이 시민의 대표인 강릉단오제위원회와 강릉단오제보존회가 중심이 되어 행사에 참여하는 개인 및 단체와 협의하여 강릉단오제를 발전해나가기 위한 것이다. 즉, 공공기관은 행정적,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보조적인 기능만을 담당하고 민간기관인 강릉단오제위원회와 강릉단오제보존회가 행사의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록관리에서 민간기관은 공공기록물 관리체계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인 관리체계에 의해서 기록을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의 생산, 관리, 보존, 활용은 업무담당자의 자율적인 판단에 의해서 진행되는 것이다. 이에 강릉단오제위원회와 강릉단오제보존회가 생산한 기록물을 관리하는 체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강릉단오제 기록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릉단오제의 전승과정과 구성내용을 분석하여 강릉단오제 기록의 가치와 특징을 도출하고, 강릉단오제 기록물을 생산하는 주요기관인 강릉시청, 문화재청, 강릉단오제위원회, 강릉단오제보존회의 기록물 관리현황을 조사하여 강릉단오제 기록물 관리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강릉단오제는 전승과정에서부터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지속적인 발전이 나타났고, 일제강점기에도 전승이 단절되지 않을 수 있었다. 또한 전승과정에서 나타난 일련의 변화들이 현재의 강릉단오제에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기록관리에 있어서 강릉단오제는 무형문화재의 특성을 고려한 원형보존의 측면과 강릉단오제 예산지원에 대해서 제출해야 하는 행정적 가치를 가진 기록을 관리하는 데 중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강릉단오제 핵심기록을 생산하고 있는 강릉단오제위원회와 강릉단오제보존회가 기록물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강릉단오제 관련 민간기록물을 수집할 수 있는 기록관리 프로세스, 수집정책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강릉단오제 기록물에 대한 공공영역만이 아니라 민간영역까지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강릉단오제 기록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자기효능감,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강릉시 방문 관광객을 대상으로 -

        고한두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관광객의 관광지 선택은 여행의사결정과정의 핵심단계이며, 자신이 추구하는 관광활동욕구 충족을 위하여 관광지 선택단계에서 개인적, 환경적 영향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하게 된다. 더욱이 COVID-19 팬데믹 상황과 같은 개인이 통제불가능한 환경에서 관광객은 지각된 위험은 최소화하고 지각된 가치는 최대화 할 수 있는 관광지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즉 자연자원 중심의 새로운 관광지 탐색, 아웃도어형 관광활동 증가, 가성비·소확행 관광소비 추구, 관광지 위생·안전 관심 증가 등 관광트렌드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강원도는 청정관광지로 인식되어 2019년 대비 연중 방문자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강릉은 강원도 대표관광지로서 지속적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강릉방문자수는 해마다 3천만 명 을 웃도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같은 통계들은 방문자의 수, 거주지, 활동유형, 소비액 등 관광객행동의 결과로 나타난 외형적 동향분석은 가능하나, 관광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개인적 요인을 파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관광객을 목적지로 유인하는 내면의 숨겨진 행동요인들과 변화된 가치관 등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자기효능감,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강릉방문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강릉시의 관광정책수립과 관광마케팅전략의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로부터 관광지 선택속성, 지각된 가치, 자기효능감, 관광만족, 행동의도의 하위측정요인을 추출한다. 둘째, 추출된 측정변수의 하위요인(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와 어떤 영향관계가 있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세부 분석내용은 관광지 선택속성의 구성요인들과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자기효능감, 관광만족과의 영향관계, 지각된 가치와 자기효능감과의 영향관계, 지각된 가치와 자기효능감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 등을 분석한다. 셋째, 관광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강력한 만족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넷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 사이에서 지각된 가치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측정하고 인과관계를 규명한다. 다섯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으로는 관광소비자행동분야에서 관광객 인지이론영역 가운데 지각된 가치와 자기효능감을 실증연구에 적용하였다는 의의를 지닐 수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강릉시의 관광정책 및 관광마케팅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차자료를 탐색, 분석한 문헌연구와 1차자료를 얻기위해 실증연구를 병행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시간적 범위로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21년 2월 15일까지 강릉시를 방문한 20대 이상 내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2021년 2월 17일부터 3월 29일까지 총 41일간 구글 온라인 설문조사(www.google.com)를 실시하였으며, 편의표집법을 통해 503명의 대상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공간적 범위로는 강원권 내에서 1위의 지명도를 가지고 있는 강릉시를 중심으로 하였다. 내용적 범위로는 학문적으로 관광소비자행동분야에 속하고 있으며 그 해당하는 부분 중 인지이론영역인 관광지 선택속성 중심으로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자기효능감, 관광만족, 행동의도 분야로 한정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통계프로그렘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한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과 가설설계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의 분석을 바탕으로 추출된 관광지 선택속성 구성요인이 지각된 가치, 자기효능감, 관광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모형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을 근거로 총 9개의 가설과 하위가설 20개를 수립하고, 조사설계를 통해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조사분석 결과, 가설 총 29개 중 12개는 채택, 17개는 기각되었으며,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릉관광지의 선택속성인 프로그램, 지각된 위험, 접근성, 물리적 속성 순으로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는 관굉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관광만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는 관광만족과 행동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입증되었다. 넷째,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는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의 관계에서 서비스품질, 접근성, 프로그램은 부분매개, 물리적 속성과 지각된 위험은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릉관광지 선택속성이 강릉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관광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지각된 가치를 통해 관광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다섯째, 여행의사결정과정과 관광객행동에 중요한 역할과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자기효능감은 강릉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선행연구(신형섭, 2019; 이경숙·전보람, 2018; 하흠, 2018; 박선심, 2016; 전형규, 2008)결과를 지지하였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의 비교해 가지는 학문적 의의는 관광객의 자기효능이론을 적용한 자기효능감 매개변수를 추가 구성하여 관광소비자행동분야의 인지이론영역차원으로 발전시켰고,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강릉관광지 선택속성별로 관광마케팅전략을 제시하고 있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강릉시를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독특하고 새로운 관광기회를 제공하여 강릉시의 관광수익 등 성과 있는 관광사업에 활용하길 바란다. 본 연구의 한계는 첫째, 조사대상에 대한 표본의 한계점이다. 둘째, 표본의 대표성과 일반화 한계점이다. 셋째,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자기효능감의 측정항목 개발의 한계점이다. 끝으로 향후 연구 방향은 첫째, 다양한 형태의 관광지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결과가 일반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에 대한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상호관계들은 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 관여도, 이전의 방문경험 등 여러 가지 변수들에 의해 조절될 것으로 보이므로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관광민족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해야 할 것이다. 셋째,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자기효능감의 차원을 단일차원에서 다차원으로 세분화시켜 측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 관광행태적 특성에 따라 다차원적 지각된 가치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관광지 선택속성, 지각된 가치, 자기효능감, 관광만족, 행동의도

      • 육상오염원이 강릉시 패류생산해역에 미치는 세균학적 영향

        김일회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exportation of Korean fishery products has increased every year since 1990. For this reason, the shellfish growing area is increasing in Korea. The bacteriological safety of shellfish is very important in the shellfish growing area because the shellfish growing area is often effected by land pollutant sources, domestic water and stream wat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land pollutant sources on the seawater and shellfish in shellfish growing area at north sea area and south sea area of Gangneung-si in East sea, Korea by rainfall. The total 43 samples (15 samples of land pollutant sources, 24 samples of seawater and 4 samples of shellfishes) were collected from north sea area (Jumunjin-eup) to south sea area (Okgye-myeon), Gangneung-si in East Sea, Korea. The coliform group, fecal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were analysed. The range of coliform group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at the day before rainfall were 54~35,000 MPN/100 mL, 6.8~70 MPN/100 mL and 230~390 MPN/100 g respectively. The range of fecal coliform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at the day before rainfall were 22~6,200 MPN/100 mL, <1.8~34 MPN/100 mL and 62~70 MPN/100 g respectively. The range of E. coli in shellfish at the day before rainfall was 35~54 MPN/100 g. The range of coliform group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110~54,000 MPN/100 mL, 20~180 MPN/100 mL and 2,200~5,400 MPN/100 g, respectively. The range of fecal coliform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49~17,000 MPN/100 mL, <1.8~79 MPN/100 mL and 700~1,300 MPN/100 g respectively. The range of E. coli in shellfish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160~280 MPN/100 g. The level of coliform group, fecal coliform and E. coli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were increased sharply at 1st day after rainfall compare to the day before rainfall. And then, slowly decreased at 3rd day after rainfall, and recovered as level before rainfall at 5th day after rainfall. The bacteriological level of seawater and shellfish was affected by level of fecal coliform and radius of half circle in land pollutant sources. Therefore, if the level of fecal coliform and radius of half circle in land pollutant sources increases, the level of fecal coliform of seawater and shellfish increases, too.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to bacteriological management of shellfish growing area from land pollutant sources at rainfall time and rainy season.

      • 강릉지역 2009-2018년 해풍 분류 및 발생 특성 분석

        황혜원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강릉지역은 지형적인 특징으로 인해 중규모 기상현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해풍은 하층 대기상태를 변화시켜 기온, 바람 일변화, 강수 등에 영향을 미 친다. 그러나 국내 해륙풍 연구들은 일부 에피소드 분석이나 수치모델링 연구에 한정되어 있다. 특히 강릉지역은 바다와 인접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지형적인 특성에 적합한 해풍 분류법과 장기적인 해풍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장기간 (2008-2018년)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강릉지역 해풍 분류방법을 제시하고 해풍의 장기 통계적 특성과 수직· 및 수평 구조를 이해하고자 한다. 강릉과 북강 릉 지점의 종관기상관측장비(ASOS)를 활용하여 강릉지역 해풍 발생빈도를 분석 하였으며, 북강릉의 수직측풍장비를 활용하여 해풍의 연직구조를 파악하였고, 동 해 부이자료를 사용하여 해양의 기압과 온도를 구하였다. 강릉지역 해풍 사례 선 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일 강수량은 10mm 미만, 2) 해풍발생시간은 일출시 간+1~일몰시간 이내, 3) 풍향이 0~110° 3시간 이상 지속, 4)육풍으로 전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야간에 3시간 이상의 110~360°의 바람 지속, 5) 육지와 해양의 온 도차가 양(+)의 값, 6) 해양과 육지의 해면기압차가 0.5hPa 이상일 때를 분류기준 으로 정하였다. 11년간 선정된 사례는 강릉이 595사례로 나타났으며, 북강릉은 890일로 강릉보다 해풍발생 횟수가 많았다. 계절별로 강릉은 봄 252사례, 여름 188사례, 가을 106사례, 겨울 49사례, 북강릉은 봄 358사례, 여름 279사례, 가을 181사례, 겨울 72사례로 주로 봄과 여름에 해풍의 발생빈도가 높았다. 그러나 7, 8월은 여름철 강수로 인해 빈도가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해풍의 월 변화 와 시간변화는 5, 6월에 해풍의 시작시간이 빨라지고 종료시간이 늦어져 해풍의 유지시간이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12월에 가장 해풍 진입이 늦고 해풍 유지시간 이 가장 짧았다. 2018년 4월 16일~18일 사례기간의 해풍의 일변화와 진입고도를 분석하였다. 오전 9-10시경에 해풍이 진입하여 오후 17시까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리고 3일간 800 m 이내의 고도까지 해풍이 유입됨을 보였다. 이상 의 해풍진입 사례들에 대한 해풍진입 여부에 따른 온도변화 이해는 여름철 폭염 예보개선, 레저나 스포츠 분야, 기상서비스 그리고 해안지역 대기질 예보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angneung region has various mesoscale meteorological phenomena due to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the sea breeze changes the atmosphere of the lower level and affects the temperature and wind chang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overall characteristics of sea breeze largely based on long-term (2009-2018) ground observation data. We used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data and additionally a Wind Profiler at Gangneung, Buoy at the East Sea. We proposed a selection criteria of sea breeze developing day. 1) Daily precipitation < 10mm, 2) wind direction is 0-110° at daytime for more than 3 hours, 3) wind direction is 110-360° at nighttime for more than 3 hours, and 4) Land and sea air temperature difference is positive, 5) Sea and land sea-level pressure difference < 0.5hPa. A total of 595 days was selected for the past 10 years with the proposed criteria; 252 days in Spring, 188 days in Summer, 106 days in Fall, and 49 days in Winter. It was found that sea breeze generally occurred mainly in Spring and Fall. The sea breeze events of April 16-18, 2018 were intensively examined. As a result, Typical tempor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re demonstrated such flattening of temperature during the midday by virtue of cooling by breeze. The sea breeze duration was about 9 hours with its height of 400-800 m.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temperature depending on whether sea wind has entered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astal temperature foreca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