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세전 수양’의 함의 변천을 통해 본 조선의 법 제정과 운용

        박경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2

        This paper traces out the features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Joseon law by examining the processes through which ‘adoption(suyang, 收養) before three [years of age]’ became a commonly-used term in the dynasty’s law governing adopted and abandoned children(遺棄兒), as well as through which the term’s social meanings and legal implications expanded. Goryeo’s laws on genealogical succession provided children adopted before three years of age with legal roles as the secondary successors of those without sons of their own. It was based upon this qualification that the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that these adopted children held equivalent to those of genetic children in the areas of inheritance and mourning clothing came to be stipulated clearly during Goryeo King Gongyang’s time (1389-1392). The phrase “thus made equivalent with one’s own child(卽同己子)” that originated in this era began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o be recognized as legal language denoting the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not only of those children at under three years old adopted as successors, but also of all children adopted at under three years old. Accordingly, it came to carry the force of law. Moreover, it came to be used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undergirding the establishment of legislation regarding adopted children. In late Joseon, this principle of ‘a child adopted before three years old is thus made equivalent with one’s own child’ was mobilized in policies and lawsuits dealing with abandoned children. To illustrate, in the case that one adopted an abandoned child under three years old as one’s own, once the legally-defined timeframe for claiming the child had passed, this logic of ‘equivalent with one’s own child’ could be and indeed was used as a legal basis for fending off any subsequent claims made by the child’s original owners, parents, or relatives. Tracing this process allows us to ascertai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Joseon law. First, the legal right developed in Goryeo to treat a child adopted before three years old as one’s own genetic child passed onto—and continued to develop in—Joseon as the foundational principle of laws governing adopted children. This, in turn, reveals that in establishing its law, the early Joseon state chose to adopt the legal reasoning advanced during Goryeo. Second,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law created in Goryeo stipulating the treatment of children adopted under three years old for the purposes of genealogical succession equally with genetic children transform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Joseon, into a law delineating the legal position of all children adopted at under three years old, we can see that early Joseon did not hew strictly to its policy goal of expanding the system of genealogical succession, but rather, that it adopted a more expansive attitude toward adoption that better reflected the realities of its society. Third, even as the Great Ming Code(『大明律』) already provided regulations regarding children to be adopted under three years old within its clause on exceptions to its prohibition of adoption of children of different surnames, it was in fact the passages from within Goryeo’s law regarding the legal position of those adopted under three years old that provided the fundamental principles received by, transformed within, and inscribed into Joseon’s laws governing adopted children. This shows that in establishing and operating its law, Joseon’s government chose from among earlier legal codes—including that of Goryeo—in addition to the Great Ming Code, in accordance with its needs and the legal question at hand. Fourth, that late Joseon policy discussions and lawsuits incorporated this principle of the legal position of adopted children into their arguments over the adoption of abandoned children attests to the fact that this principle—which... 이 논문에서는 ‘3세전 수양’이 조선시대에 양자녀 및 유기아 수양법에서 관용어로 사용되며 그 사회적 함의와 법적 영향력을 확대해가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조선시대 법 제정과 운용의 특징을 추적했다. 3세전 수양자는 고려시대 종법적 가계계승을 지향한 법에서 후사 없는 사람의 부차적 가계계승자로서의 법적 지위가 부여된 후 이 자격을 기반으로 고려 말 공양왕대에는 服制와 상속에 관한 법에서 자기 자식과 같은 법적 권리와 의무를 가지도록 규정되었다. 이때 출현한 ‘곧 자기 자식과 같게 한다[卽同己子]’는 문구는 조선 건국 후 가계계승을 위한 수양자 뿐 아니라 전체 수양 자녀의 법적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 법조문으로 인식되었고, 법적 구속력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추후 양자녀 관련 법 제정에 근거 원칙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한편 조선 후기에 ‘3세전 수양은 곧 자기 자식과 같게 한다’는 원칙은 유기아 수양에 관한 정책과 소송 현장에서 논거로 활용되었다. 즉, 3세전 유기아를 수양한 경우 자기 자식과 같게 해야 한다는 논리는 수양된 유기아를 법정 推尋 기간이 지난 후에 추심하려는 본주, 부모, 족친에 대항하는 법적 근거로 이용되었던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조선시대 법 제정과 운용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고려시대에 3세전 수양자에게 자기 자식과 같게 대우하도록 한 법적 권리가 조선시대 양자녀 관련 법의 주요 원칙으로 계승․발전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조선 전기 법 제정시 고려시대에 발전시켜 온 법적 인식을 계승하는 입장을 취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가계계승자로서의 자격을 가진 3세전 수양자에게 자기 자식과 같이 대우하도록 한 고려의 법을 조선 건국 후 수양 자녀 전체의 법적 위상을 규정하는 법으로 변환시켰다는 점에서 종법적 가계계승체제 확립이라는 정책 목표에만 매몰되지 않는 조선 전기의 현실 포용적인 입법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셋째 『대명률』에 이성 양자 입양 금지 규정의 예외 조항인 3세 이하 수양자에 대한 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 법의 3세전 수양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문구가 양자녀 관련 법의 주요 원칙으로 변용․정착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조선 정부에서 법 제정과 운용시 필요에 따라 고려의 법을 포함한 조선의 기존 법과 『대명률』을 적절히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양자녀의 법적 지위에 관한 원칙이 조선 후기 유기아 수양에 관한 정책과 소송의 논거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법조문으로서의 지위를 얻은 원칙이 정책적 필요에 따라 다른 분야 법을 지지하는 논거로 활용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지진기록의 등급별 시기 분포 및 한반도 2천년간 역사지진기록 목록화 연구

        김일권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1

        This study examines earthquakes recorded for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history during the Three Kingdoms’, Goryeo, and Joseon periods. By numbering each event it reviews the 1,733 earthquakes, which are listed according to the date of record. The events are classified on one hand by the magnitude from level A (magnitude Ⅷ-Ⅸ) 15 events, B(Ⅷ) 18 events, C(Ⅶ) 26 events, D(Ⅵ) 56 events, E(Ⅴ) 289 events, F(Ⅳ) 369 events, to G(Ⅱ-Ⅳ) 960 events, and on the other hand by the period in which they occurred. During the Three Kingdoms (57 BCE~935), Goryeo (918~1392), Early Joseon (1392~1622) and Late Joseon (1623~1910), having respectively the number 95, 148, 913, 577 for a total of 1490 events. Specifically the Joseon period record is organized in 100 year intervals, and the result shows the number of occurrence from high to low as following:16th c.(614), 17th c.(364), 15th c.(245), 18th c.(213), and 19th century(54 events). When examined in 50 year intervals, it resulted that the early 16th c.(435 events, 29%) marked the highest, the late 17th c.(243, 16) the second, and the lowest in the early 19th, the late 18th, and the late 19th centuries. Hence it is estimated that the last 150 years of the 500 year history of Joseon had the least number of earthquakes and therefore was the most stable period for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analysis of A-level magnitudes it focuses on the records of the 2nd year of King Danjong (January 15, 1455) and the 13th year of King Jungjong (June 22, 1518). There also was the year of unusually frequent earthquake activity in one region during King Myeongjong’s time (1565). The strong magnitude of earthquakes that occurred in the late Joseon were noticed, in particular, as they were concentrated during the eleven year period (1632~ 1643) and the 33 year period (1681~1727). Such unusual events are closely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ree examples of the time, Dongnae (May 30, 1643), Hapcheon (June 9, 1643), and Ulsan (July 24, 1643).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 provision of a research methodology regarding nature and society relationship in the complicated and diverse field of historical meteorology. 본 연구는 우리 역사 속에 기록된 지진의 상황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삼국, 고려, 조선에 이르는 한국사 2천년간 역사지진 기록 전체에 편호를 붙이면서 그 결과로서 기존성과를 보완한 총 1,733건을 새로 집계하였고, 아울러 이들 전체의 지진기록일을 목록화하여 제시하였다. 지진등급별 분포로 고찰하여, 고강도진으로 A 등급(진도 Ⅷ-Ⅸ) 15건, B(Ⅷ) 18건, C(Ⅶ) 26건, D(Ⅵ) 56건, E(Ⅴ) 289건, F(Ⅳ) 369건, G(Ⅱ-Ⅳ) 960건으로 집계하고 목록화하였다. 다음 시대별로 나누어, 삼국신라시대(BC57~935)는 992년간 95건(연당 0.1건 비율), 고려시대(918[936]~1392)는 475년간 148건(연당 0.3건 비율)이었고, 조선시대는 조선전반기(1392~1622)가 231년간 913건(연당 4.0건), 조선후반기(1623~1910)는 288년간 577건(연당 2.0건)으로 합계 1,490건이었다. 조선시대 지진기록 특성을 보기 위해, 100년 단위별 분포를 추산하였으며, 그 결과 ②16C가 가장 높은 빈도율(614건, 41%)을 보였고, 이후 ③17C(364건, 24%), ①15C(245건, 16%), ④18C(213건, 14%), ⑤19C(54건, 4%) 차례로 기록되었다. 이를 통해 높은 지진 빈도시기가 16C와 17C였고, 19C는 가장 적은 지진안정기로 추산되었다. 조선조 519년간(1392~1910)의 전체 1,490건은 연평균 2.9건 발생율에 해당한다. 다음 단위를 더 세분하여 50년 단위 구간별 통계를 내었으며, 그 결과 ③16C전반 구간(435건, 29%)의 중종-명종대가 현저히 높은 피크를 이루었고,(매년 8.7건 발생율) 다음은 효종-현종-숙종의 3대에 걸치는 ⑥17C후반 구간(243건, 16%, 연간 4.9건)으로, 조선후기 서리기상 변동 중 전반적 저온 현상을 보인 시대성과 일치하는 흐름이었다. 가장 낮은 지진빈도 구간은 차례로 순조-헌종의 ⑨19C전반대(7건, 0.5%, 연간 0.1건), 영조-정조의 ⑧18C후반대(15건, 1.0%, 연간 0.3건), 철종-고종의 ⑩19C후반대(198건, 13.3%, 연간 4.0건)로 나왔으며, 이를 통해 영조후반-정조-순조-헌종-철종-고종조까지 150년간(220건, 14.8%, 연간 1.5건)은 조선 5백년간 중 지진재해가 가장 적은 안정기라 추정되었다. 다음 조선시대 기록 중 고강도 지진기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전반기 A등급 기록으로 단종 2년의 <A07단종1455.1.15> 지진과 근 1년에 걸친 중종 13년의 <A08중종1518.6.22> 지진 상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만1년간 지속된 동일지역 연속지진으로서 <D36명종1565.5.18>의 평안도 상원 지진기록(6개월간 86일치 발생, 1.7일/1회)을 일지화하였다. 다음 조선후반기 고강도 지진기록이 인조대 11년간(1632~1643)과 18C 전후 33년간(1681~1727)에 집중되어 있는 특성을 주목하고서, 이중 예시로 인조 21년(1643) 상황을 좀더 구체화하여, 제1차 <B14인조1643.5.30> 동래대진, 제2차 <A10인조1643.6.9> 합천대진, 제3차 <A11인조1643.7.24> 울산대진으로 집약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는 향후 조선시대 역사학 연구나 기상학 분야에서 자연과 사회에 대한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역사기상학적 연구방법론의 하나를 개진한 연구의의가 기대된다.

      • KCI등재

        조선시대 지진기록의 등급별 시기 분포 및 한반도 2천년간 역사지진기록 목록화 연구

        김일권 ( Kim Il-gwon )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91 No.0

        본 연구는 우리 역사 속에 기록된 지진의 상황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삼국, 고려, 조선에 이르는 한국사 2천년간 역사지진 기록 전체에 편호를 붙이면서 그 결과로서 기존성과를 보완한 총 1,733건을 새로 집계하였고, 아울러 이들 전체의 지진기록일을 목록화하여 제시하였다. 지진등급별 분포로 고찰하여, 고강도진으로 A 등급(진도 Ⅷ-Ⅸ) 15건, B(Ⅷ) 18건, C(Ⅶ) 26건, D(Ⅵ) 56건, E(Ⅴ) 289건, F(Ⅳ) 369건, G(Ⅱ-Ⅳ) 960건으로 집계하고 목록화하였다. 다음 시대별로 나누어, 삼국신라시대(BC57~935)는 992년간 95건(연당 0.1건 비율), 고려시대(918[936]~1392)는 475년간 148건(연당 0.3건 비율)이었고, 조선시대는 조선전반기(1392~1622)가 231년간 913건(연당 4.0건), 조선후반기(1623~1910)는 288년간 577건(연당 2.0건)으로 합계 1,490건이었다. 조선시대 지진기록 특성을 보기 위해, 100년 단위별 분포를 추산하였으며, 그 결과 ②16C가 가장 높은 빈도율(614건, 41%)을 보였고, 이후 ③17C(364건, 24%), ①15C(245건, 16%), ④18C(213건, 14%), ⑤19C(54건, 4%) 차례로 기록되었다. 이를 통해 높은 지진 빈도시기가 16C와 17C였고, 19C는 가장 적은 지진안정기로 추산되었다. 조선조 519년간(1392~1910)의 전체 1,490건은 연평균 2.9건 발생율에 해당한다. 다음 단위를 더 세분하여 50년 단위 구간별 통계를 내었으며, 그 결과 ③16C전반 구간(435건, 29%)의 중종-명종대가 현저히 높은 피크를 이루었고,(매년 8.7건 발생율) 다음은 효종-현종-숙종의 3대에 걸치는 ⑥17C후반 구간(243건, 16%, 연간 4.9건)으로, 조선후기 서리기상 변동 중 전반적 저온 현상을 보인 시대성과 일치하는 흐름이었다. 가장 낮은 지진빈도 구간은 차례로 순조-헌종의 ⑨19C전반대(7건, 0.5%, 연간 0.1건), 영조-정조의 ⑧18C후반대(15건, 1.0%, 연간 0.3건), 철종-고종의 ⑩19C후반대(198건, 13.3%, 연간 4.0건)로 나왔으며, 이를 통해 영조후반-정조-순조-헌종-철종-고종조까지 150년간(220건, 14.8%, 연간 1.5건)은 조선 5백년간 중 지진재해가 가장 적은 안정기라 추정되었다. 다음 조선시대 기록 중 고강도 지진기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전반기 A등급 기록으로 단종 2년의 < A07단종1455.1.15 > 지진과 근 1년에 걸친 중종 13년의 < A08중종1518.6.22 > 지진 상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만1년간 지속된 동일지역 연속지진으로서 < D36명종 1565.5.18 >의 평안도 상원 지진기록(6개월간 86일치 발생, 1.7일/1회)을 일지화하였다. 다음 조선후반기 고강도 지진기록이 인조대 11년간(1632~1643)과 18C 전후 33년간(1681~1727)에 집중되어 있는 특성을 주목하고서, 이중 예시로 인조 21년(1643) 상황을 좀더 구체화하여, 제1차 < B14인조1643.5.30 > 동래대진, 제2차 < A10인조1643.6.9 > 합천대진, 제3차 < A11인조1643.7.24 > 울산대진으로 집약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는 향후 조선시대 역사학 연구나 기상학 분야에서 자연과 사회에 대한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역사기상학적 연구 방법론의 하나를 개진한 연구의의가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earthquakes recorded for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history during the Three Kingdoms’, Goryeo, and Joseon periods. By numbering each event it reviews the 1,733 earthquakes, which are listed according to the date of record. The events are classified on one hand by the magnitude from level A (magnitude Ⅷ-Ⅸ) 15 events, B(Ⅷ) 18 events, C(Ⅶ) 26 events, D(Ⅵ) 56 events, E(Ⅴ) 289 events, F(Ⅳ) 369 events, to G(Ⅱ-Ⅳ) 960 events, and on the other hand by the period in which they occurred. During the Three Kingdoms (57 BCE~935), Goryeo (918~1392), Early Joseon (1392~1622) and Late Joseon (1623~1910), having respectively the number 95, 148, 913, 577 for a total of 1490 events. Specifically the Joseon period record is organized in 100 year intervals, and the result shows the number of occurrence from high to low as following : 16<sup>th</sup> c.(614), 17<sup>th</sup> c.(364), 15<sup>th</sup> c.(245), 18<sup>th</sup> c.(213), and 19<sup>th</sup> century(54 events). When examined in 50 year intervals, it resulted that the early 16<sup>th</sup> c.(435 events, 29%) marked the highest, the late 17<sup>th</sup> c.(243, 16) the second, and the lowest in the early 19<sup>th</sup>, the late 18<sup>th</sup>, and the late 19<sup>th</sup> centuries. Hence it is estimated that the last 150 years of the 500 year history of Joseon had the least number of earthquakes and therefore was the most stable period for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analysis of A-level magnitudes it focuses on the records of the 2<sup>nd</sup> year of King Danjong (January 15, 1455) and the 13<sup>th</sup> year of King Jungjong (June 22, 1518). There also was the year of unusually frequent earthquake activity in one region during King Myeongjong’s time (1565). The strong magnitude of earthquakes that occurred in the late Joseon were noticed, in particular, as they were concentrated during the eleven year period (1632~1643) and the 33 year period (1681~1727). Such unusual events are closely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ree examples of the time, Dongnae (May 30, 1643), Hapcheon (June 9, 1643), and Ulsan (July 24, 1643).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 provision of a research methodology regarding nature and society relationship in the complicated and diverse field of historical meteorology.

      • KCI등재

        조선초기 受職女眞人 연구-세종대를 중심으로-

        한성주 조선시대사학회 2006 朝鮮時代史學報 Vol.36 No.-

        A Study on the Received the Office of Jurchens in the Early Chosun Dynasty-Focused into Sejong periodHan, Sung-joo 이 연구는 조선 건국 후 조선의 외교정책인 사대교린 체제가 확립되는 세종대까지 조선에서 관직을 받은 受職女眞人의 현황을 파악하고, 조선에서의 이들의 활용과 활동 및 이들에 대한 대우, 인식 등을 살펴보려 하였다.수직여진인은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가 자신에게 종군한 여진 대소추장에 대한 授職을 시작으로, 태조대에는 34명, 태종대에는 26명, 세종대에는 130여 명이 있어, 조선 건국 후 세종대까지 총 190여 명의 수직여진인이 파악되어진다. 특히 세종대에는 對여진관계의 변화에 따라 수직제도를 능동적으로 전개한 결과 그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즉 여진 세력의 이동과 두 차례의 婆猪江 정벌, 4군 6진의 설치로 인해 수직제도을 두만강압록강 유역 거주자와 중국의 관직을 받은 여진인에게까지 확대하였기 때문이었다. 이것은 4군 6진의 설치 이후 조선의 근경에 거주하는 여진을 복속시켜 변방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에서였다.따라서 조선에서는 수직여진인을 적극 활용하여 동류들을 회유하거나, 여진 정벌에 참여시키기도 하였으며, 간첩으로 삼아 적의 동정을 살피게 하거나, 변방을 방어토록 하기도 하였다. 국내에서 그들의 무력적 재능을 높게 평가하여 왕과 왕궁을 호위하는 侍衛로서 활용하는 등 수직여진인의 활동은 대내외적으로 다양하였다.이들에 대한 대우는 향화인에게 지급하던 일반적인 물품 이외에 두만강압록강 유역에 거주하던 수직여진인에게는 통교권을 보장해 주기도 하였고, 국내에서의 시위자 등에게는 녹봉 및 과전家舍를 지급하였으며 결혼을 시켜주는 등 우대를 하였다.한편 당시 수직여진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일부 여진 시위자들에 대하여는 무력적 재능을 높게 평가하는 긍정적 인식과 경제적 목적으로 자원 시위한 자들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상반되기도 하였다. 또한 시위로서 머물러 있던 여진인들이 각종 폐단을 일으킴으로써 이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화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수직여진인의 품계가 높아도 낮추어보고 두려워하지 않고 여진인들도 벼슬 높은 것으로 맞겨루지 못하였다.조선 건국 후 약 60여 년 동안 190여 명의 여진인들에게 수직을 실시한 것을 보면 수직제도가 여진 세력을 조선에 복속시키는데 있어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象村 申欽(1566~1628)의 道文觀과 思想的 특징

        오세현 조선시대사학회 2013 朝鮮時代史學報 Vol.66 No.-

        Studies of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hould begin with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 social status of Neo-Confucianism at the time, because the people's perspective upon the most important concept of the Joseon period, ‘Samun(斯文,This Culture of Ours)' was changing at the middle point of the dynasty. Coming into this period, the people were still trying to respect and preserve the inherent quality and virtue of 'literature,' but they also wanted to provide the concept of the 'Way of Life' with a higher status even above literature. The conflict between these two perspectives, which was essentially a conflict over the matter of how to interpret the merit of 'Samun(斯文,This Culture of Ours),' should be kept in mind so that we can explain how the Joseon society actually changed at the end of its early half, and how the early and latter halv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Literary capability in the past had been sometimes recognized as ‘less fundamental’ than the "Way of Life" studies, but their skills were vigorously sought for in the government as diplomatic needs arose. In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ople never doubted the notion of literature being the most efficient tool of realizing Confucius' ideals in the real world. Shin Heum(申欽) was the most typical good writer in the middle period when the value of literature and the role of the literary figures still stay after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influential good writer, Shin Heum’s reaction to the qualitative change of the Joseon dynasty, we can explain how the Joseon society actually changed at the end of its early half, and how the early and latter halv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hin Heum focus on the literary and it’s value of So Sik(蘇軾) who was unilaterally excluded on the forming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Way of life(道統). Jung Yi(程頤) who emphasis the superiority of studies of the Way of Life(Do'hak/道學) to the Literature was set up the core person of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Way of life. Shin Heum object the criticism on So Sik by a moralist in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 criticism is so unilateral and confined. Because Shin Heum’s view on the relation literature and studies of the Way of Life represent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literature, we need to attention about the vested rights of literature and the forming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Way of life and it means the conflict of the social value. The conservative party which was trying to protect the value of literature, and the new progressive stance to place the value of the Way of life studies above all else, were parting from each other in a grand display of divergence at the middle of the dynasty. Shin Heum displayed a positive acknowledgement toward the independent value of literature, as in their eyes Neo-Confucianism was coexisting with Buddhist and Taoist conditions at the time. Most of the Sa/Dae'bu figures of the early Joseon period, while being Neo-Confucian scholars in nature, associated themselves with Taoist practices and Buddhism without hesitation. 조선중기 사상사의 과제는 성리학의 사회적 위상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전기와 후기의 조선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인 키워드인 ‘斯文’의 인식에 대한 변화가 중기에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文’의 독자적 가치를 유지하려 했던 노력들은 전기부터 지속되었는데 중기에 이르러서는 ‘道’의 가치를 최상에 위치시키려는 움직임 또한 확산되기 시작했다. 조선중기 ‘斯文’의 해석을 두고 벌어진 문과 도의 줄다리기는 전기와 후기 조선사회의 질적 변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주제이다. 근본인 도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말단으로 인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문장은 事大交隣이라는 외교적 필요성에 의해 주목받았다. 공자가 강조했던 ‘文質彬彬’의 이상을 현실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바로 문장이라는 생각이 조선전기 내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신흠은 문장의 가치와 역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조선 개국 초 이래로 지속되고 있던 조선중기의 대표적인 문장가이다. 조선중기 대표적인 문장가인 동시에 영향력 있는 사대부였던 신흠이 이러한 조선사회의 질적 변화에 대응하는 모습을 통해 전기와 후기의 성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신흠은 송대 도통론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일방적으로 배제되었던 소식의 문장과 그 가치에 주목했다. 성리학의 도통론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문장에 대한 도학의 절대적 우위를 주창했던 程頤가 도통론의 핵심 인물로 설정되었던 반면 실제로 당시 사회에서 막중한 영향력을 지녔던 소식은 도학자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배제되었다. 신흠은 조선중기 도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던 소식의 문장에 대한 비판이 너무 일방적이고 협소하다고 반대했다. 신흠의 도문론이 도통론에 대한 文統論의 견해를 대변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문장의 지속적인 기득권과 성리학의 확산에 기반한 새로운 도학의 창출이라는 사회적 가치의 충돌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조선전기 유학의 전통을 고수하려는 이들과 조선후기 새로운 성리학 전통을 만들어가는 이들의 사상적 분기가 근본에 자리하고 있다. 신흠이 보여준 문장의 독자적 가치와 그에 대한 긍정은 성리학의 心學化에 바탕한 유불도 삼교의 공존 및 포용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조선전기 다수의 사대부들이 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노장철학과 불교에 대한 이해 및 동질화의 태도를 보였던 모습을 조선중기 신흠에게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신분 및 지역 갈등과 통합 노력

        신병주 조선시대사학회 2021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8

        During the Joseon Dynasty, social conflicts and efforts for integration developed in many ways. This article organized them into two sections, region and social classes, which were salient during the whole period. Especially conflicts and the integration efforts of Nobi(slave) and Seoeol(illegitimate son) and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Yeongnam and Honam region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in detail. Of course, the examples organized in this article did not point to all social conflicts and integration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It emphasized that efforts to integrate these conflicts gradually developed and eventually resulted in certain results. Through this, it was examined that efforts were made to integrate social conflicts in Joseon society steadily. For the argument, the main materials were the chronological materials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Ilseongrok(日省錄)”; the constitution of Joseon “Gyeonggukjeon(經國大典)”; the individual antholgy “Seongho Saseol(星湖僿說)”; diary material “Swaemirok(瑣尾錄)”. The conflicts of the Joseon Dynasty are still going on these days. It is caused by the degree of employment, education, and home ownership. And regional conflicts have developed into conflicts betwee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areas, large cities and small cities,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t is believ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apply the achievements of integrating social conflicts that developed during the Joseon Dynasty, such as the policy of guaranteeing human rights for slaves, the recruitment of government posts, and even selection of local talents. 조선시대 사회 갈등과 통합의 노력은 여러 방면에서 전개되었지만, 필자는 특히 전 시기적으로 그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신분과 지역의 두 개의 축으로 나누어 정리해 보았다. 신분 갈등에는 노비와 서얼의 갈등과 그 통합 노력을, 지역 갈등에는 조선초기의 개성 지역 차별과, 조선후기에 전개되었던 영남, 호남지역에 대한 차별과 그 통합에 대한 노력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물론 필자가 정리한 차별과 통합 사례는 조선시대 전체의 사회 갈등과 통합을 지적한 것은 아니었다.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이러한 갈등을 통합하려는 노력들이 점진적으로 전개되어 결국은 일정한 결실을 보았음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조선사회에서 꾸준하게 사회적 갈등을 통합하려는 노력을 전개했음을 살펴 보았다. 논증을 위해서는 『조선왕조실록』, 『일성록』을 비롯한 연대기 자료, 조선의 헌법인 『경국대전』, 『성호사설』 등 개인 문집, 『쇄미록』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선시대 신분 갈등의 양상은 오늘날에도 새로운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신분의 또 다른 모습인 직업이나 교육 정도, 주택 소유에 대한 갈등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간 갈등 양상은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와 중소도시, 농어촌 사이의 갈등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노비에 대한 인권 보장 정책, 서얼의 관직 등용, 지역 인재에 대한 고른 선발 등 조선시대에 전개되었던 사회 갈등의 통합을 위한 성과들을 현재의 시점에 맞게 적용해 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17세기 전반 滿洲로 歸附한 조선인들 - 『八旗滿洲氏族通譜』를 중심으로 -

        우경섭 조선시대사학회 2009 朝鮮時代史學報 Vol.48 No.-

        본고는 17세기 전반 한반도 서북 지역에 살던 조선인들이 만주로 귀화하여 청조의 유력 가문으로 성장해 간 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첫 번째 韓雲(韓潤)과 韓尼(韓澤) 형제는 1624년 일어난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망명한 경우로, 만주 귀화의 동기가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 사례이다. 반란의 주모자 韓明璉이 伏誅된 뒤 후금에 망명한 아들 한운과 조카 한니는 귀화 직후부터 조선 국경의 수비 상황을 토설하고 조선 정벌의 당위성을 역설하는 등, 적국 후금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며 가문의 기반을 닦아 갔다. 그리고 정묘호란의 선두에 서서 의주를 함락시키는데 공을 세웠을 뿐 아니라, 강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조선에 대한 재침을 건의하는 등 후금 내부의 반조선 의식을 주도하였다. 또한 그들의 후손들 역시 청조가 북경에 입성하고 차하르와 복건 지방을 정벌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대대로 관작을 세습해 감으로써, 한운 일가는 만주 지역 조선인들 중 유력 가문으로 정착할 수 있었다. 두 번째 新達理(金汝圭) 가문은 귀화 경위가 분명하지 않지만, 일개 귀화인이 만주에 정착하여 名閥로 성장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1620년대 평안도 일대를 휩쓸던 毛文龍 세력의 횡포를 피하여 형제들을 이끌고 후금으로 귀화한 것으로 보이는 신달리는 조선 출신 통사관들의 반후금 활동을 고발함으로써 만주족의 신임을 얻어낼 수 있었다. 그리고 신달리 자신이 병자호란의 선봉에서 강화도를 함락시키는데 기여하였고 그의 형제ㆍ자손들 또한 征明戰의 과정에서 혁혁한 무공을 세움으로써, 후금에 귀화한 조선인들 가운데 단연 두각을 나타내며 八旗의 상층부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였다. 신달리 가문은 17세기 후반~18세기에 이르러 청조의 중앙관직에 오른 후손들을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신달리의 손자 金常明은 강희ㆍ옹정ㆍ건륭 세 황제를 섬기며 정1품 領侍衛內大臣까지 오른 인물이었다. 그는 황실의 신임을 바탕으로 조선과 청나라의 외교 사안에 깊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영조의 世弟冊封 및 仁祖反正 辨誣事를 해결하는데 막후에서 커다란 도움을 주었다. 신달리의 동생 三達理의 증손인 金簡의 경우 工部尙書와 吏部尙書를 역임하며 『四庫全書』 편찬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로, 그의 누이동생은 건륭제의 총애를 받던 后妃 淑嘉皇貴妃였다. 황실의 외척으로서 청조의 핵심부에 위치했던 김간은 정조 즉위 직후 조선에서 보낸 討逆奏文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조선 측 입장을 대변하여 그 처리를 주선하는 등, 조선의 대청외교에 적지 않은 도움을 주었다. 김간의 아들 金縕布 역시 戶部尙書에 오를 정도로, 18세기 후반 신달리의 집안은 명실상부한 遼左名家이자 高麗望族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이후 1894년 청일전쟁이 일어나기까지 조선에 가장 심대한 영향을 미친 외부세력은 청나라였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면 한운과 신달리 같은 17세기 전반 ‘附虜人’들의 활동은 분명 주목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조ㆍ청 관계의 부침에 따라 다중적 정체성을 드러내었던 그들 附虜人들의 행적을 발굴하고 범주화하는 작업은 一國史의 시야에 갇혀 당쟁의 차원에서 조선후기 정치사를 해석하던 관점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역사의 전개 과정 속에서 조선왕조가 겪어야 했던 국제적ㆍ국내적 위기를 정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작은 실마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the Northwestern Koreans who were naturalized into Manchu and became one of influential family under the Q'ing dynasty in early seventeenth century. The Hanyun(韓雲)ㆍHanni(韓尼) brothers, the first case, had been implicated in the Yi Kwal's revolt in 1624 and fled to Manchu. This fact made their motives clearly known. Since naturalized, they firmly settled their family with collaboration with the Later Jin (後金) dynasty, the collaboration such as reporting Chosun's borderline defense system to Manchu leaders and rallying causes to invade Chosun. They led the first invasion of Chosun (丁卯胡亂) and contributed to the occupation of Uiju(義州), a borderline town. Even after the peace treaty, they continuously demanded invasion of Chosun, hawkish attitude that made them leading anti-Chosun figures. Their offspring also participated in Q'ing's occupation of Beijing(北京) and expeditions to Chakhar(察哈爾) and Fujian(福建) so that they could inherit officialdom and become powerful family among Manchu Koreans for generations. While the second case, Xindali(新達理) family is not clear in their motives to go to Manchu, it is an exemplary case that a low-profile person settled and arose as a distinguished family in Manchu. It seems that he moved to the Later Jin in order to avoid the Maowenrong(毛文龍) force who prevailed over Northwest Chosun in the 1620s. He secured Manchu's trust while accused Korean translators of their anti-Later Jin activities. Xindali himself became a spearhead in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Chosun (丙子胡亂) and contributed to the Kanghwa(江華) Islands. His brother and descendants also achieved military exploits in a war against Ming dynasty, the merits that made his family stand out among Manchu Koreans and prepared a road to the upper class in the Eight Banners Division (Baqi, 八旗). Xindali family began to produce high officials in Q'ing dynasty around lat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For example, Xindali's grand son, Jinchangming(金常明) served three emperors such as Kangxi, Yongzheng, and Qianlong while reaching the highest official. Xindali's brother, Sandali(三達理) had a great-grandson, Jinjian(金簡) who initiated a project of the Imperial Collection of Four (Siku Quanshu, 四庫全書) publication under Qianlong emperor while he became Minster to the Board of Works(工部尙書) and Minister to the Board of Civil Appointments (吏部尙書). His sister was the queen (后妃 淑嘉皇貴妃), who was beloved by Qianlong. With the deep trust on the part of the Q'ing court, they could exert great influence upon Q'ing and Chosun diplomacy and somewhat helped Chosun's diplomacy vis-a-vis Q'ing dynasty. From 1637 just after Q'ing invasion of Chosun, to 1894, the first Sino-Japanese War, the biggest influential factor to Chosun dynasty had been Q'ing dynasty. Considering this fact, "collaborators with barbarians (附虜人)" such as Hanyun and Xindali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might draw attention from historians. They show multiple identities with the fluctuation of the Chosun and Q'ing relation. A research into these "collaborators" would shed some lights on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isis that Chosun dynasty had to face among the East Asian history rather than the limited one nation and political history centering on factional strife.

      • KCI등재

        16세기 對明 私貿易의 정책 방향과 굴레 - 中宗代 明의 ‘조선사행단 출입제한 조치’를 중심으로 -

        구도영 조선시대사학회 2012 朝鮮時代史學報 Vol.62 No.-

        16세기 동아시아는 전 지역에 걸친 생산력의 확대와 경제활동 범위의 확장으로 지역 간 교역 욕구가 분출되던 시기였다. 이러한 변화는 폐쇄적인 대외정책을 고집했던 明의 정치적 입장과는 이질적인 흐름이었으나, 동아시아 전반에 걸친 국제교역의 확대는 결국 1567년 明이 국초부터 祖宗成憲으로 지켜왔던 海禁政策을 부분적이나마 해제시키는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16세기 각 국의 대명 무역 행태는 밀무역이나 약탈도 서슴지 않을 정도였는데, 이는 민간 세력이 독자적으로 벌이는 횡포가 아니었으며, 대명 무역이 가져오는 이익을 얻고자 하는 官 세력의 개입 하에 이루어지는 교역 형태였다. 동아시아 전반에 걸친 생산력의 증대, 이에 따른 구매력 증가, 그리고 교환수단으로서의 銀 유통구조의 확대 등은 조선도 예외는 아니었다. 조선은 국초부터 明에게 ‘禮義之國’으로 인정되어 監察의 법망에서 보다 자유로웠으며 이 때문에 여타의 조공국에 비해 자유로운 교역을 할 수 있는 특혜를 받고 있었다. 그러한 가운데 발생한 ‘玉河館外 외 출입제한조치’는 1522년(중종 17) 禮部 郎中 孫存이 조선의 通事가 明의 관본 서책 구입을 지나치게 원칙적으로 반응하며 시작되었다. 그런데 이 조치가 취해진 이후 조선인의 교역활동이 제한을 받게 되자, 이를 이용하여 명의 일부 상인들은 조선과의 교역을 독점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이들은 이미 확보한 독점적 이익을 지속하기 위해 조선에 대한 출입제한조치가 지속될 수 있도록 禮部를 매수하기에 이르렀다. 명의 官權과 商權의 유착관계로 인하여 출입제한 조치의 부당함을 호소하는 조선의 노력은 성취되지 못하였다. 그런데 이 사건에 대응하는 조선의 입장과 논리는 다른 동아시아 국가의 그것과 사뭇 달랐다. 신료들은 그간의 출입자유가 조선이 ‘예의지국’으로 인정받았기에 부여되었던 특혜였던 만큼, 출입제한조치의 발생은 조선이 예의를 잃었기 때문이며 그 원인은 재화를 탐하는 사무역 행위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사무역 때문에 조선에 대한 대우가 강등된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는 위정자들은 기존에 누렸던 예우의 회복, 즉 출입자유를 회복하기 위해 오히려 무역을 더욱 제한하고, 심지어 대명무역을 아예 폐지해야 한다는 강경한 의견을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성리학의 심화 속에서 조선은 예의지국이라는 대외적인 국가브랜드를 지키는 것이 대명 무역의 이익보다 중요한 것이었다. 16세기 사회경제적 환경이 변화하고 대명 사무역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면서 기존의 사무역 정책이 재검토되어야 할 시기에 출현한 출입제한조치는 사무역을 여전히 비합법의 영역으로 둘 수밖에 없는 하나의 상징적인 사건이 되었다. 즉 출입제한조치로 촉발된 ‘禮義之國’의 딜레마가 사무역 정책에 대한 다양한 고민과 입장 변화의 움직임을 봉쇄시켜 버렸던 것이다. 사무역의 확대는 시대적 대세였으나 정부는 그것을 끝내 외면하면서 정책적으로 통제하는 데에 힘을 쏟았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적 노력으로도 사무역이 철저히 금지되지도 못하는 가운데 이를 비합법적인 영역에 가둬버린 것은 결과적으로 정부와 백성에게는 이익이 되지 못하면서, 그것이 가져오는 막대한 차익을 일부 특권층과 부상대고만이 향유하게 되는 상황을 맞게 하였다. 명에게 ‘예의지국’이라는 평가는 그간 조선이 여타의 조공국보다 자유롭게 교역을 전개 ... East Asia experienced eruption of craving for trade across different regions with the increased productivity and the expanded range of economic activity in the 16th century. Although such changes were inconsistent with the political position of Ming which adhered to the exclusive diplomatic policy,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trade across entire East Asia played the role to partially mitigate the restricted trade policy adhered to by Ming from the early years since its foundation in 1567. The trade of each country with Ming sometimes took even the form of smuggling or plunder, which was not the tyranny committed independently by private organizations. It was a form of trade in which governmental power was involved in order to gain the profits from the trade with Ming. Joseon was not an exception in terms of the increased productivity, consequent increase in purchase power and the expansion of silver distribution. Joseon was acknowledged as a 'courteous country(禮義之國)' by Ming and consequently free from its inspection network. For this reason, Joseon was privileged to trade more freely than other tributary countries. Under this environment, the action of 'Limited Access besides Okhagwan(玉河館)' was caused by the excessively strict response of Joseon translator to the purchase of government-published books by Ming. However, as the trade activities of Joseon merchants were restricted by this action, some merchants of Ming used this situation to monopolize the trade with Joseon. Furthermore, they began to buy the Courtesy Department off to maintain their monopolistic privilege by sustaining the action of limited access. Due to the back-scratching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merchant of Ming, the effort to appeal the unfairness of the action of limited access was not successful. However, the position and rationale of Joseon in responding to this event wa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East Asian countries. The vassals asserted that the past privilege of free access had been granted to Joseon for Ming's acknowledgement of Joseon's courtesy and attributed the cause of the action of limited access to the loss of courtesy of Joseon which was in turn caused by the greedy private trade for wealth. The politicians who felt ashamed of the degraded treatment of Joseon due to private trade suggested that the private trade should be restricted more and even abolished. Under the condition at that time in which Neo-Confucianism was intensified, maintaining Joseon's national brand as a country of courtesy is more important than profits from the trade with Ming. As the socio-econom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16th century and the private trade with Ming was expanded in a full scale, the action of limited access which appeared during the period requiring reconsideration of past policy for private trade became a symbolic event in which private trade should be placed in the illegal domain. In other words, the dilemma of 'a country of courtesy' blocked the various considerations and the movement to change the position in private trade policy. Although The expansion of private trade was the needs of the times, Joseon government ignored it and put its efforts in controlling it with policy. However, while the private trade was not entirely prohibited even with such political efforts, restricting it within the illegal domain did not result in any benefit for both government and people but the situation in which very few privileged class and large wealthy merchants enjoyed huge benefits from it. Although the acknowledgement of 'a country of courtesy' by Ming was the cause for Joseon's freer trade than any other tributary countries, it was also the yoke which restricted Joseon in expanding private trade more actively. Joseon was the only country among tributary countries which placed private trade in the controlled domain, which was considered as a special trade form with M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ast Asian trade ...

      • KCI등재

        조선 朱子學의 理學的 담론과 특성

        권오영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69 No.-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scour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ctrines of Zhu Xi in Joseon Dynasty in the two structures: Manifestation Theory of Principle (libal-lon, 理發論), and the Penetration Theory of Principle (litong-lon, 理通論). Joseon Dynasty is the kingdom adhere to the doctrines of Zhu Xi focusing on the school of Principle (lihak, 理學). However, the doctrines of Zhu Xi in Joseon Dynasty has been only discussed in the two divided structures – Yi Hwang’s theory of the Primacy of Principle (ju-li-lon, 主理論) and Yi I’s theory of the Primacy of Material Force (ju-Qi-Lon, 主氣論), since Takahasi first established the criterion the issues after Japanese colonial era.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school of Principle in Joseon Dynasty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Yi Hwang’s and Yi I’s theory, as the Joseon scholars of the school of Zhu Xi were the ones pursuing the theory of the Primacy of Principle, who emphasized the Primacy of Principle over that of Material Force. After Yi Eon-jeok and Seo Kyung-deok, in the 16thcentury, firstcriticizedtheideaofMind (sim, 心) in Buddhism and that of Cosmic Vital Energy (qi, 氣) in Taoism, the Joseon scholars of the school of Zhu Xi newly interpreted them in their own perspective, embracing those ideas with the school of Principle. In Joseon Dynasty, the doctrines of Zhu Xi had been developed into the new and unique one,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with the theories suggested by Yi Hwang and Yi I; the former suggested the activeness and vitality of Principle with his Manifestation Theory of Principle, while the latter did the communication of Principle with his Penetration Theory of Principle. Furthermore, the doctrines of Zhu Xi in the Joseon Dynasty are based on Mindfulness (gyeong, 敬) and Righteousness (eui, 義). With their own uniqueness, the doctrines of Zhu Xi in Joseon Dynasty, through the thoughtful studies and controversies, shifted into the more dynamic one in fac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이 글은 조선 朱子學의 理學的 담론과 특성을 理發論과 理通論이라는 두 구도 속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조선은 理學 중심의 주자학을 신봉한 나라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후 다카하시 도루에 의해 조선 주자학은 주로 李滉의 主理論과 李珥의 主氣論의 두 구도 속에서만 논의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일단 조선의 주자학자들은 주기보다 주리를 강조한 주리론자들이고, 이 주리론 속에서 이황의 이발론과 이이의 이통론의 전개로 조선 주자학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조선 주자학은 우선 李彦迪과 徐敬德이 16세기에 불교의 心과 도교의 氣를 비판하고 이제 심과 기를 모두 이학 속에 포용하여 주자학적으로 해석해 나갔다. 이러한 주자학은 이황과 이이를 통해 중국과는 다른 조선의 독자적인 새로운 주자학 이론으로 발전해 나갔다. 이황의 이발론은 이학의 능동성을 제시했고, 이이의 이통론은 소통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 주자학의 주요 특성을 형성하였다. 또한 조선 주자학은 敬과 義를 강조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 경과 의에 토대를 두고 능동성과 소통성을 지닌 조선 주자학은, 조선 후기에 주자학자들에 의해 깊은 탐구와 논쟁을 거쳐 조선 말기에 이르면 국내외의 위기에 처하여 더욱 역동성을 지닌 주자학으로 변하였다.

      • KCI등재

        世宗實錄 地理志와 高麗史 地理志의歷史地理 認識

        조성을 조선시대사학회 2006 朝鮮時代史學報 Vol.39 No.-

        The cont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jong Sillok Chilichi located the capital of Kochoson to modern P'yongyang. Second,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modern P'yongan province belonged to Kochoson. Third, Sejong Sillok Chilichi located the capital of Mahan the modern Iksan. Fourth, Sejong Sillok Chilichi did not refer to Samhan's boundaries. Fifth, Sejong Sillok Chilichi lacated the first capital of Koguyo to Seongchon and did not refer to the lcatioin of the second capital, Kuknaeseong. Six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that the first capital of Paeckje was Chiksan and Paeckje moved to Kwangju in modern Kyunggi Province in the 14th year of King Ohnjo. Seven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that Koguryo's boundary had included Hamgyung, P'yungan, Hwanghae, Kangwon and Kyunggi Province. Eigh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that Paeckje's boundary had included Ch'ungch'unng and Cholla Province. Nin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Silla's boundary was Kyungsang Province. The contents of Koryosa Chilichi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yosa Chilichi located the capital of Kochoson's to modern P'yongyang. Second, Koryosa Chilichi thought the bundary of Koryo's P'ukgue had belonged to Kochoson. Third, Koryosa Chilichi located Mahan's capital to Keummajeo, modern Iksan. Fourth, Koryosa Chilichi thought Koryo had unified Samhan's boundaries. Fifth, Koryosa Chilichi located the first capital of Koguryo to Seongch'on. Sixth, Koryosa Chilichi thought that the first capital of Paeckje was Chiksan and Paeckje moved to Kwangju in modern Kyunggi Province in the 14th year of King Ohnjo. Seventh Koryosa Chilichi thought that the north to the Han River in Kyunggi had belonged to Koguryo. Eighth Koryosa Chilichi thought that the Paeckje's boundary had included Kyunggi and South Ch'ungch'ung, and Cholla Provindes 본론에서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고조선을 檀君朝鮮箕子朝鮮衛滿朝鮮의 三朝鮮으로 묶어서 파악하는 동시에, 고조선의 수도를 평양에 비정하였다. 둘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조선시대 당시 평안도 지역이 원래 고조선의 강역이었던 것으로 비정하였다.셋째 삼한 가운데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馬韓의 首都에 대하여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전라도 益山으로 비정하였다. 넷째 세종실록 지리지의 서두 및 각 道 서두의 沿革 설명에서는 삼한의 강역과 후대와 관련에 대한 언급이 없다. 다섯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고구려 첫 번째 수도 졸본은 평안도 成川 부근에 비정되었고 두 번째 수도 국내성의 위치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세 번째 수도는 평양으로 비정하였다. 여섯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초기 백제의 수도 변천에 대하여 백제의 처음 수도 위례성은 稷山이며 이 곳에서 온조 14년 南漢山(=廣州)으로 옮겼다고 하였다. 일곱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조선 세종 당시 함길도(나중 함경도), 평안도, 강원도(원래 貊 지역), 황해도, 경기도 지역을 고구려의 강역으로 생각하였다.여덟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백제의 강역을 충청도와 전라도에 비정하였으며 경기 지역은 고구려 영역이었다고 생각하였다. 아홉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신라의 강역은 경상도 지역에 비정되었다.열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 檀君朝鮮箕子朝鮮衛滿朝鮮을 三朝鮮으로 묶어서 파악하는 동시에 이들의 수도를 모두 平壤(고려 당시 西京)에 비정하였다.열한 번째 고려사 지리지는 고려 당시의 北界 지역을 고조선의 강역으로 보았다. 열두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 삼한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마한의 수도는 金馬郡으로 비정되었다. 열세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고려가 三韓 지역을 통일한 것으로 보면서 삼한의 馬韓, 辰韓, 卞韓 가운데 구체적으로 그 강역을 언급한 것은 辰韓만이다.열네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고구려의 수도에 대하여 처음 수도 졸본은 대략 成州(고려 당시; 조선시대 成川) 부근으로 비정하였다. 열다섯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초기 백제의 수도 변천에 대하여 처음 도읍지 위례성은 직산이며 직산에서 온조 14년 남한산성(오늘날 경기도 廣州)으로 이주하였다고 보았다.열여섯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고구려의 강역에 대하여 고려시대 양광도 지역 가운데 한강 이북은 원래 고구려 강역이었다고 간주하였고 고려 시대 교주도 지역은 본래 貊 지역이었으나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강역이 되었으며 고려시대 북계 지역은 원래 고조선 지역이었으나 삼국시대에 고구려 강역이 되었다고 보았다.열일곱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 백제의 강역에 대하여는 고려시대 양광도 가운데 한강이남 지역과 고려시대 전라도 지역을 원래 백제의 강역이었다고 생각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