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 이미지의 미학적 해명: 19세기 골지와 카할의 신경과학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이재준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9 No.1

        The relationships between technoscience and aesthetics are questioned by the fact that their theoretical intentions are different. However, the historical epistemology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historically constructed by variously intervening in its outsides shows the potential of coupling technoscientific images with the aesthetic. The article focuses on their representation of neuron images in the neuroscience debate of Golgi and Cajal in the 19th century. In these representation processes scientific knowledge has been transformed and structured not only by the aesthetic intervening, but by the intervention of materials, such as dyeing materials and experimental tools. In their analyzing the epistemic conventions of technoscientific images, Daston and Galison have rightly disposed the their images to historical-epistemic division of 'the mechanical objectivity', but could not properly explain the materiality intervened in the representation. On the other hand, their representation involved not only the aesthetic, but the materiality of the contemporary photographic techniques. This shows the historical aspect of technoscientific images related to the aesthetic through the materiality of the experiment, and instantiates the coupling of technoscience with aesthetics. 과학기술과 미학의 관련은 학문 영역의 지향점이 상이하다는 사실에서 의문시되었다. 그러나 과학 지식이 그 외부의 다양한 개입에 의해 역사적으로 구성된다는 이해는 과학기술 이미지와 미적인 것의 연결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19세기 골지와 카할의 신경과학 논쟁에서 실험 이미지의 재현 과정에 주목한다. 그들의 신경세포 이미지 재현에는 미학적인 개입만이 아니라 신경세포염색물질의 개입이 과학적 지식을 변형시켰다. 대스턴과 갤리슨의 ‘기계적 객관성’ 개념은 그들의 이미지 재현을 인식적․역사적 구분에 따라 적합하게 배치했으나, 물질적인 개입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 반면 골지와 카할의 이미지재현은 19세기 사진 기술이 사용한 물질들과 긴밀히 연결되었다. 이는 과학기술 이미지가 실험 재료의 물질성을 매개로 해서 미적인 것과 연결될 수 있는역사적 계기들을 보여주며, 과학기술과 미학의 접점을 예시한다.

      • KCI등재

        인문과학연구논총의 연구동향 및 다학문성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최상희,이재윤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1 No.3

        This study identifies research trends and influences based on the informetric analysis of data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Journal of Humanities from 2010 to 2019.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ublished papers in the Journal of Humanities, the subject areas of the cited journals by the Journal of Humanitie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ubject fields of journal articles that were citing the Journal of Humanitie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in subject areas of the Journal of Humanities were Korean and literature, Japanese and literature, historical studies, and religious studies. Futhermore, highly cited papers of the journal has an interdisciplinary influence on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pedagogy. 이 연구는 인문과학연구논총의 10년간 데이터 인용관계를 기반으로 연구동향과 영향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게재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인문과학연구논총에서 인용한 학술지의 주제분야를 살펴보았고 인문과학연구논총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고인용된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타 학술지 논문주제분야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게재논문의 주요 주제분야는 한국어와 문학, 일본어와 문학, 역사학, 종교학 등으로 다른 분야와 함께 다학문적으로 접근된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인용된 논문을 인용한 주제분야를 기반으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교육학을 포함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에 학제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근대인의 몸과 마음 길러내기: 안종화의 뺷초등생리위생학대요뺸(1909)를 통해 본 생리위생학의 수용과 변용

        오선실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2 No.1

        이 연구는 안종화의 소학교용 생리위생학 교과서, 뺷초등생리위생학대요뺸를분석함으로써, 비전문가라는 장벽에도 불구하고 생리위생학 수용에 높은 관심을 보였던 계몽지식인들이 서구 생리위생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전유했는지 추적한다. 이때 서구 근대 생리위생학은 전염병 통제라는 사회적 수요, 그리고 사회진화론의 과학적 근거라는 오해로 인해 계몽지식인들의 높은 관심을 받으며, 다른 서구 과학기술 지식에 비해 빠르게 수용될 수 있었다. 특히 실력양성을 표방한 각종 학회들이 발간한 학회지들은 계몽지식인들이 서구 근대 생리위생학의 실제 내용을 배우고 익히는 효과적인 학습 공간을 제공했다. 이러한 학회지에 토대한 집단 학습을 통해 생리위생학은 근대전환기 가장 주목받는 과학이론이자 계몽지식인이라면 누구나 알아야할 교양지식으로서 나름의 지식 체계를갖출 수 있었다. The study analyzes Ahn Jong-hwa's textbook on physiological hygiene for elementary schools, which is the result of group learning by enlightenment intellectuals, and traces how enlightenment intellectuals actually understood and inherited Western physiological hygiene. Western modern physiological hygiene was quickly accepted compared to other Western science due to the social demand for epidemic control and the misunderstanding of evolution. In particular, academic journals published byvarious academic societies provided effective learning spaces for enlightenment intellectuals to learn and deepen Western modern physiological hygiene. As a result of collective learning through these journals, physiological hygiene was the most popular scientific theory during the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and the cultural knowledge that any enlightenment intellectuals should know.

      • KCI등재후보

        비판적 사고, 다문화주의, 인문학 교육

        최훈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2 No.-

        Multiculturalism claims that multiple cultures have their own values and we must respect them. It can be thought that the universal value as critical thinking cannot function as the aim of education in that it overrides multiple cultures and doesn't admit their uniqueness.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values and roles of educating multiculturalism and critical thinking. After explaining why critical thinking must be the aim of education, I examine multiculturalism and feminism, which oppose the universal role of rationality of critical thinking. And then I claim that critical thinking can be universally judging criterion still in multiculturalism by showing that pluralism is different from relativism and absolutism. Lastly, I apply critical thinking to the discussion on multiculturalism: the anti-cruelty principle is an application case.

      • KCI등재

        재난, 비인간(nonhuman)과 인문학적 상상력: 야마시타와 라투르의 비인간 화자를 중심으로

        이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4 No.2

        This article discusses post-COVID humanistic imaginations suggested in Karen Tei Yamashita’s Through the arc of the rain forest and Bruno Latour’s Où suis-je? — Leçons du confinement à l'usage des terrestres. Yamashita helps readers overcome anthropocentricism through her nonhuman narrator, whose memory eventually becomes that of readers, while incorporating the traumatic stories of the underrepresented into history. Latour shows how “becoming a termite” can blur the human/nonhuman boundaries and allow readers to see the indivisible human-nonhuman relation. As a result, both authors suggest a possibility to include newmaterialism in the discussion on posthumanism. Meanwhile, Yamashita and Latour equip us with the creative imaginations for living in the new normal. 본 논문은 카렌 테이 야마시타(Karen Tei Yamashita)의 우림의 (무지개) 원호를 통과하여(Through the arc of the rain forest)와 브뤼노 라투르(Bruno Latour) 의 나는 어디에 있는가?: 코로나 사태와 격리가 지구생활자들에게 주는 교훈 (Où suis-je? —Leçons du confinement à l'usage des terrestres)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우리에게 제안하는 인문학적 상상력에 대해 살펴본다. 야마시타가 비인간화자의 기억이 독자의 기억이 되게 함으로써 인간 중심주의적 사고를 벗어나도록 이끈다면, 라투르는 ‘벌레 되기’를 통해 인간/비인간의 경계를 허무는 인문학적 상상력으로 이끈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대학 입학생의 글쓰기 경험에 대한 FGI 연구: 과제 수행 단계별 특성을 중심으로

        안서현,윤국희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2 No.3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전국 대학이 비대면 강의 중심으로 수업을 운영함에 따라 2020, 2021학년도 입학생은 대학 공동체와 동료 간 교류의 약화라는 조건 속에서 대학에 적응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학 공동체의 글쓰기 규약을존중하고 대화적 담론을 형성하는 것을 중시해온 대학 글쓰기 교육 역시 난관에 직면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입학생의 글쓰기 과제 수행 경험을 초점집단 인터뷰를 통해 청취 분석한 결과, 과제 수행 단계별로 동료 수강생과의 유대감 형성 실패, 동료 간 상호작용 부재, 전자자료에 대한 상대적 의존, 간접화된 상호작용 속역설적 실재감, 비대면 강의의 휘발성으로 인한 상호 집중 약화 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대면 학기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수강생들의 동료 실재감경험과 학습 공동체 형성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와 전산언어학

        박광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1 No.2

        Digital humanities (DH) is a response and an evolutionary reaction from studies on Humanities to the recent change, name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hange, however, comes with an intellectual challenge, a fusion with numerous neighboring fields of studies that have not been considered Humanities proper traditionally. Thus, at this point, it is apt to review those areas and expert knowledge that they offer and evaluate them for relevance to Humanities. This paper is an overview of key concepts in language-related fields, i.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It sketches how these technical sub fields emerge in a number of DH projects and proposes that the role of these neighboring areas is beyond simply being facilitative and may serve as a driving factor toward a fundamental restructuring in research scope, methodology, and framework in Humanities research. 디지털 인문학은 이른바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하는 급격한 변화의 시기에대한 인문학의 대응과 진화의 방향을 함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변화는 많은 인접 분야와의 융합을 거치며 생겨난 이질성으로 인해 인문학 연구자들에게는 지적인 부담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현 시점에서 인문학의 융합분야들을 살펴보고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협업의 제 방안을정리해본다. 인접 분야들 중에서는 특히 코퍼스와 자연어처리를 아우르는 전산언어학과 기계학습 분야가 인문학과 융합한 프로젝트 사례를 살펴보고, 이들 분야가 보조적 역할을 넘어서 인문학 연구의 영역과 연구체계의 근본적 재구조화를 촉진할 가능성을 전망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