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남지역 비교우위산업의 전략산업화 방안

        朴世雲 昌原大學校 産業經濟硏究所 1995 産經硏究 Vol.12 No.-

        이 연구에서는 WTO체제 출범에 따른 시장개방의 가속화 및 민선 지방자치단체장 선출에 따른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경남지역의 비교우위산업을 분석하고, 비교우위산업의 국제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여러 가지 자료의 제약, 분석기법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이나 전략화 방안이 실제 적용되기에는 제한적인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논의되거나 제안된 주요사항을 간단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남지역 비교우위산업의 선정은 제조업부문에만 국한하였다. 비교우위산업 선정을 제조업 부문만으로 국한시킨 것은 경남지역이 주요 국가공단이 위치하여 공업화의 중심지이기 때문이었다. 제조업부문 중 비교우위산업을 선정하는 데에는 지역별 생산자원지수와 노동의 상대적 효율성 지수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경남은 노동 및 자본 모두가 전국 평균을 상회하고 있었으며, 특히 다른 지역에 비하여 풍부함으로 첨단전자제조업이나 산업기계제조업이 비교우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노동의 상대적 효율성지수는 경남의 제조업 전체가 전국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석유화학, 조립금속, 기타 기계장비제품, 기타 전기기계 등이 비교우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비교우위산업 중 다른 산업생산 기반설비로서 각 산업의 성장발전과 구조고도화에 기여하여 국가 경쟁력 기반을 구축하는 산업인 경남지역 기계산업의 전략산업화 방안을 포터의 다이어몬드모델에 입각하여 논의하였다. 첫째로, 경남지역 기계산업은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기술자 양성 및 기술개발이 중요하게 되었다. 기업과 대학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은 협력하여 기술자를 양성, 재교육하면서 기술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즉 산-학-연 협동이 활성화 되어야 하겠다. 이를 위하여는 기업체와 대학 및 정부출연기관이 자기실력, 자기 분수에 맞게 적절하게 역할분담하여 상호보완관계를 가져야 한다. 한편으로는 첨단기술 개발 못지 않게 하이터치(High Touch)제품 개발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둘째로, 품질개선 및 A/S강화로 내수기반을 확충하여야 하겠다. 셋째로, 부품 및 소재산업을 육성하고 지방 금융기관의 기능강화로 경남지역 기계산업에 대한 금융지원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넷째로, 기업가 및 전문경영자의 혁신노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국제적으로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는 기업가의 과감한 위험부담만으로는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없다. 전문경영자의 헌신적인 열정과 기술자 및 근로자의 뒷받침이 있어야 하겠다. 다섯째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는 기계산업의 구축이 선진국 진입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연구개발 등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하겠다. WTO체제하에서 수입대체 보조금이 엄격히 규제되기는 하나 지역균형개발, 기술개발 그리고 중소기업지원은 상당히 허용되고 있으므로 이를 기계산업육성에 전략적으로 연계되어야 하겠다. 한편으로 경남의 지역경제 발전이 지속되기 위하여는 차대산업을 육성하여 장래의 경제 환경변화에 대비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채택한 지역간 비교우위지수 산출방법은 단순하고 기법상 논란의 여지가 많으므로 보다 자세하고 심도 깊은 자료를 이용한 분석력이 높은 연구기법의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 특성에 대한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기홍 昌原大學校 産業經濟硏究所 2000 産經硏究 Vol.17 No.-

        최근 우리나라에도 인터넷 쇼핑몰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거래방식이 매우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어 조만간 전체 상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의 빠른 확산에 발맞추어 현재 인터넷 쇼핑몰의 구현과 운영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와 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쇼핑몰 구현의 기술적인 문제와 운영상의 문제 등 특히 지불시스템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의 필요성과 페이퍼들이 발표되고 있는 반면, 그 공간을 이용하는 주체가 되는 소비자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명확하고 통일된 기준이 없이 단지 이용자 수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포, 시장의 잠재력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을 중심으로 하여,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특성에 대한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인터넷 쇼핑몰의 활성화 연구에 기본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인터넷 쇼핑몰을 추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의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衡平理論에 있어서 統制位置와 歸因情報의 役割에 관한 實驗硏究

        李慶喜 昌原大學校 産業經濟硏究所 1988 産經硏究 Vol.5 No.-

        個人이 組織을 위해서 들인 것과 얻은 것의 비율을 다른 사람의 비율과 비교해서 같게 만들려는 경향이 있다는 주장이 衡平理論의 핵심이다. 衡平理論은 여러 理論들을 배경으로 해서 구성되었기 때문에 특히 初期에는 理論의 統合에 따르는 체계상의 미비점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그 후의 괄목할 만한 수정과정을 거쳐서 組織行動의 動機過程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는 理論중의 하나가 되었다. 특히 動機過程에 있어서 社會的 要因을 중요시 함으로써 다른 動機理論들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공헌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지금까지의 硏究에서는 이 理論이 예언하는 行動方向을 지지해 주는 硏究結果들이 많이 보고 되었다. 그러나 衡平理論은 아직도 치밀하게 체계화 되지 못한 면이 있어서 이 理論에 입각해서 組織行動의 方向을 구체적으로 예언하기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 즉 이 理論이 硏究ㆍ開發되어야 할 여지가 많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 올수록 이러한 많은 문젯점들이 수정ㆍ보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왈스터」와「베르사이드」(Walster & Berscheid & Walster, 1976)는「애담스」(Adams, 1965)의 전통적인 理論을 수정해서 現存하는 몇 개의 認知理論들을 통합할 수 있는 일반성 있는 社會行動理論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强化理論, 認知一貫性理論 등을 기반으로 해서 衡平理論을 새로운 형태로 再構成하고 있다.「애담스」(Adams, 1965)도 衡平理論이란 交換이 일어날 수 있는 어떤 社會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다른 학자들에 앞서서 지적한 바 있다. 이 외에도「레벤탈」(Levethal, 1976),「굳맨」(Goodman, 1977),「토나우」(Tornow, 1971),「모우데이」(Mowday, 1979),「캠벨」과「프리챠드」(Campbell & Pritchard, 1976),「엇니」와「키드」(Utne & Kidd, 1980),「애담스」와「프리드만」(Adams & Freedman, 1976),「바이스」와「엘더」(Weiss & Elder, 1984),「휴즈만」과「헷필드」그리고「마일즈」(Huseman & Hatfield & Miles, 1987)등 많은 學者들이 衡平理論의 수정과 개발에 많은 노력을 해 오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硏究들의 경향을 볼 때 衡平理論이 組織行動硏究를 위해서 보다 많 은 기여를 할 수 있는 理論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社會過程은 文化나 社會의 差異에 관계없이 그 중요성이 인정되는 것이지만, 각 社會文化마다 독특한 社會的 규범과 관습을 지닌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社會的 相互作用 過程에서 衡平規範이 지니는 의미를 이해하려면 각 사회문화권의 獨特性에 유의해야 한다. 우리 韓國社會는 社會的 變化가 극심하여 社會過程에 대한 이해가 組織構成員의 動機를 관리하는데 더욱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衡平理論이 보다 유용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한국의 社會文化的 背景에서 衡平의 規範이 어떻게 받아들여지며 혹은 이에 대한 代案이 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硏究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觀點에 비추어 本 論文에서는「애담스」의 衡平理論을 중심으로 그 핵심적 理論을 要約ㆍ檢討하여 보았으며, 또한 전통적인 衡平理論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변천ㆍ발전되어 왔는가도 檢討하여 보았다. 그리고 최근까지의 衡平理論에 대한 經驗的 硏究가 어떠했는가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이러한 衡平理論이 韓國的 文化와 狀況 下에서 어떻게 반응하고 적용되는지를 알기 위해서 産業體 부설 실업고등학교 學生인 女工들을 대상으로 實驗的 硏究를 수행하여 보았다. 이러한 實驗硏究의 結果는 대체로 전통적ㆍ핵심적 理論이 지지되고 있었으며, 특히 統制의 位置란 性格變數가 종업원 不衡平 緊張과 作業의 質과 量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상황변수인 歸因的 情報에 대해서는 그 有意水準이 낮아 硏究假說이 지지되지 못했지만 그 반응의 절대치의 差異에 있어서는 本 硏究의 假說, '內部的ㆍ意圖的 歸因集團이 外部的ㆍ非意圖的 歸因集團보다 긴장의 양이 많고 작업의 양과 질이 떨어질 것이다'라는 가설과 같은 方向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비추어 볼 때 한번의 연구결과로 확언할 수 없지만, 한국적 상황에서 실시한 실험연구의 결과도 西歐社會에서 실시한 실험연구의 결과와 비슷한 결과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硏究結果로부터 얻을 수 있는 經營管理上의 시사점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衡平理論은 企業經營者들로 하여금 企業組織에서 일어나는 社會的 過程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깨닫게 해주며 또한 직무동기가 사회관계를 통해서 역동적으로 결정되고 변화된다는 점을 강조해주고 있다. 즉 근로자들의 動機가 他人과의 比較過程에서 결정되고 있는 만큼 이들이 설정하고 있는 비교대상과 근로자들의 準據集團(reference group)에 대해서도 企業經營者가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둘째, 社會的 比較過程을 통해서 衡平의 知覺問題가 생기기 때문에 企業經營者는 종업원들이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확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여기에서 객관적인 공평성보다는 상황에 대한 종업원의 知覺이 더 중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종업원들로 하여금 衡平의 原則에 맞게 대우받고 있다고 확신시키려면 먼저 전반적인 衡平의 水準과 衡平의 결정요인들에 대한 그들의 지각내용을 알아야 한다. 그 다음에 지각의 內容에 따라 알맞는 方法을 선택해서 報償의 管理가 衡平의 原則에 맞는다는 점을 이해시켜야 한다. 세째, 금전적 보수체계를 管理하는데 있어서 衡平의 原理가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도입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기존의 보수체계가 衡平의 原則에 맞게 운영되는지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不衡平을 意圖的으로 형성시킴으로써 不衡平을 經營管理上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애담스」와「프리드만」(Adams & Freedman. 1976)는 不衡平을 수단으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를 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즉 不衡平을 意圖的으로 만들어냄으로써 상대방으로부터 衡平을 추구하기 위한 행동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대방에게 過多報償을 받고 있다고 느끼도록 意圖的으로 보상에 해당하는 결과들을 제공함으로써 상대방으로 하여금 보답하고자 하는 의무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다섯째, 종업원들을 획일적으로 다룰 것이 아니라 종업원들 個人的인 特性(personality)과 시간과 공간적 상황인 상황적 변수를 잘 통합하므로서 보다 종업원의 관리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Equity theory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ajor formulations relevant to predicting individual attitude and behavior in industrial/organizational setting. Though equity theories have been proposed by Homans(1961), Jacques(1961), Patchen(1961), and Adams(1963, 1965), Adams' formulation has stimulated great amount of researches because of its relatively explicit clarity and initial application to business relationships (i.e., employer-employee exchange relationship). Adams and his associated dealt with inequity rather than equity because they believed their theory was derived from the postulates of cognitive dissonance theory(Festinger, 1957). Adams(1965) defined inequity as follows: "Inequity exists for a person whenever he perceives that the ratio of his outcomes to inputs and the ratio of others' outcomes to others' inputs are unequal." Adams(1965) presented two assumptions based on cognitive dissonance theory. First, the presence of inequity in a person creates tension in him. The tension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inequity present. Second, the tension created in a person will motivate him to eliminate or reduce it. The strength of the motivation is proportional to the tension created. In other words, states of inequity lead to distress(guilt under overpayment and anger under underpayment) and a person acts so as to cognitively or behaviorally redress inequity in order to relieve their distress. Since Adams(1965) has postulated that the inequity perception is equivalent to the experience of dissonance, he derived six means of reducing inequity from the cognitive dissonance theory and his two postulates : (1) altering inputs, (2) altering outputs, (3) cognitive distortion of inputs and outputs, (4) leaving the field, (5) acting on the others compared, and (6) changing object of comparison. Several recent researchers(Goodman and Friedman, 1971 : Campbell and Pritchard, 1976 : Carrell and Dittrich, 1978 : Mowday, 1979) have indicated general support for equity predictions. They have also pointed out, however, that equity theory has some seriou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Man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modify and develop equity theory into a broader and more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of motivation theory by finding out the roles of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and situational variable. The focus of this paper will be upon the roles of two moderate variables (personality and situation) in business relationship of Korea. Especially, my interest will be upon the roles of attributional information and locus of control in the magnitude of inequity distress and inequity resolution. This study consists of five parts, that is, (1) Introduction, (2) A review of literature about equity theory, (3)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research hypotheses, (4) the method of experimental study, (5) the results of the analyzed data and tests of hypotheses, (6) concls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9 research hypotheses were derived in this study. H. 1-1 : The members of the test group who perceived inequity of underpayment will be more distressed than the members of control group. H. 1-2 : Therefore, the members of the test group will produce work of lower quantity and quality than the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H. 2-1 : Among underpaid members, members who attribute their inequity perception to internal/intentional causes(situations) will be more distressed than members who attribute it to extermal/unintentional causes(situations). H. 2-2 : Therefore, members who attribute their inequity perception to internal/intentional causes(situations) will produce work of lower quantity and quality than members who attribute to external/unintentional cause(situations). H. 3-1 : Among underpaid members, internals will be more distressed than externals. H. 3-2 : Therefore, internals will produce work of lower quantity and quality than externals. H. 4-1 : When we divide the test group into four groups as follows, the magnitude of inequity distress will be A>B>C>D. H. 4-2 : Therefor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ork will be D>C>B>A. It also means that locus of control is more powerful than attributional information in the magnitude of inequity distress an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ork. ------------------------------------------------------------------------------ situation internal/intentional external/unintentional personnality attributional information(s₁) attributional information(s₂) ------------------------------------------------------------------------------ internals(p₁) A (p₁, s₁) B (p₁, s₂) externals(p₂) C (p₂, s₁) C (p₂, s₂) ------------------------------------------------------------------------------ H. 5 : There will be interactional effect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attributional information. In true experimental design to test these hypotheses, 150 female employee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groups, and all extraneous variables were controlled, and dependent variables of five groups were compared. To test the hypotheses, t test for H. 1-1, 1-2, 4-1, 4-2, two way analysis of varance for H. 2-1, 2-2, 3-1, 3-2, 5 were used. According to result of the test of the hypotheses, H. 1-1, 1-2, 2-1, 3-1, 3-2 were supported but H. 2-2, 4-1, 4-2, 5 were not. The processing of data depended on Spss/Pc(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Personal computer). The result of the present research have implications that (1) Equity theory emphasizes that business management should realize that social process is generated in business organization and that job motivation changes and is decided dynamically through social relation. (2) Business management should find the methods to let employees have the confidence that they are treated equitably, for the perception of equity is generated through social comparison process. (3) In managing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we should find new methods which the principles of equity can be applicable, and we should appraise if present compensation system operat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quity. (4) We can use inequity as means of management by making up inequity intentionally. (5) We can increase the effect of employees management by not managing them uniformly, but by managing them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and situation. Now, we should note som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1) Because of the laboratory experimental design of this research, there were problems in external validity. (2)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experimental procedure by intervening the artifact effects. (3) Present study delt only with underpayment/time wage condition, and female employees. It should be expanded to other conditions, and male employees. (4) MACL was used in this research to measure distress, some researchers suspect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5) The ethical issues may be pointed as the limitation of the present research. The traditional formulation of the equity theory that inequity perception causes distress and induces equity restoration activity should be reformulated by adding moderate variables such as attributional information and locus of control. It can be argued that past equity research which frequently showed inconsistent result could have been explained better by finding the moderate variables used in this research. It is not argued here that attributional information and locus of control variables can explain all the unexplained variables in the past researches. Adding these variables in an equity formulation can help us solve a small protion of the problems that the equity theory is facing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