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취약성, 지역사회자본 및 가족사회자본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김장민(Kim Jang Min),김신열(Kim Shinyeol)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취약성, 지역사회자본 및 가족사회자본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어떤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4차년도(2006년)원자료를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취약성, 지역 사회자본, 가족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과정을 분석하였다. 효과분해를 통해 지역사회 취약성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주요 경로를 제시하였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직ㆍ간접 영향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해 지역사회 취약성의 직접적인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지역사회 취약성은 지역 사회자본, 가족 사회자본을 통해 다양한 경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influence of neighborhood disadvantage and social capital embedded in community and family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this study developed models of mechanisms that neighborhood disadvantage had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and then tested the models by using the Korean National Child and Adolescent Panel Data(KYPS). The analysis method w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proposed model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amily social capital was a more suitable mediator and affected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than a community social capital. However, community social capital was a variable relieving negative effect of neighborhood disadvantage on family social capital, and a preceding variable related with family social capital. Furthermore, community social capital had effects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family social capital indirectly.

      • KCI등재

        중국의 가정교회와 기독교 사회복지

        이성기(Lee, Seong Ki),강창범(Kang, Chang Beom)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2 No.3

        1949년 중국 공산당 정부 수립 후 중국의 기독교는 관방교회인 삼자교회와 정부의 탄압을 피해 지하로 들어간 가정교회로 분화되었다. 가정교회는 불법임에도 정부의 묵인 내지는 방임과 개혁개방 이후 중산층의 성장과 시민사회의 형성에 따른 신앙 수요에 힘입어 교도 수가 삼자교회 교도의 3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중국의 기독교 사회복지는 합법 교회인 삼자교회가 하고 있는데, 매우 영세하다. 전국의 5만개 교회가 운영하는 사회복지시설이 283개밖에 안 되고, 2천3백만 삼자교회 기독교도들이 모금한 기부금이 연간 한화 126억 원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서 가정교회 합법화는 기독교 사회복지 발전의 획기적 전기가 될 수 있다. 교회의 사회복지사업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의 동원에 유리해지고, 사회복지사업을 합법적으로 전개할 수 있으며, 정부 재정지원도 받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중국정부는 지금까지 종교를 잠재적인 도전세력으로 보고 억압해왔지만 향후 국내외적으로 종교의 자유에 대한 압력이 점증하게 되면 가정교회 합법화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다. 관건은 합법화의 방법인데, 정부와 가정교회 상호간의 이해와 인정에 그 해법이 있다. The Chinese christianity has been divided into the three-self patriotic churches and house churches since 1949. The underground house churches have increased three times of the three-self patriotic churches in spite of their being illegal. The existence of the house churches is becoming a burden on China rising as G2. After all chinese government cannot help giving up the official system of three-self patriotic churches, accepting universal christianism, and legalizing the house churches. Meanwhile, Chinese christian social welfare is carried out by the three-self patriotic churches. But it is very poor. There are just 283 social welfare facilities managed by the three-self patriotic churches, and they donated 12.6 billion won per one year. In this situation, legalization of the house churches could be an epochal opportunity for the Chinese christians to develop their social welfare. Legalization could bring them advantages to mobilize both monetary and human resources, mange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get financial supports from government. The way of legalization ought to begin in mutual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government and the house churches.

      • KCI등재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

        최경일(Choi Kyung Il)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 리더십이 학교문화와 학교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매개로 하여 교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학교사회복지사가 근무하는 학교에서 재직하는 12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 리더십은 학교문화를 매개하여 학교사회복지사와의 협력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학교사회복지 서비스 욕구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의 협력에는 독자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와 학교사회복지사가 협력을 보다 잘 이루기 위해서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문화를 개선하고 교사의 학교사회복지 서비스 욕구를 신장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언했다. This study examines how school culture and needs to school social work services of teachers affect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le's leadership on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social workers and teachers. For this purpose, 122 teachers who in charge of school social work in their school were selected.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school principle's leadership indirectly, that is be mediated by school culture affect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social workers and teachers. And needs to school social work services of teachers didn't mediated school principle's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social workers and teachers but separately affect the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social workers and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practical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social workers and teachers about school principle's leadership, school culture and needs to school social work services of teachers.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문제가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관계의 종단매개효과

        박민경(Park, Min Ky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문제가 사회관계를 거쳐 비행행동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예방 또는 줄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2차, 3차, 4차, 6차년도의 종단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정서적 문제는 중3에서 약간 상승하다가 고3까지는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행행동은 중2에서 고1까지는 하락하다가 고3에서 다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관계는 중2에서 고3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관계 초기값과 변화율은 사회정서적 문제와 비행행동의 종단적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or reduce adolescents’ delinquency behaviors by performing longitudinal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 how their socioemotional problems influence the delinquency behaviors through the social relationship. Accordingly the 2<SUP>nd</SUP>, 3<SUP>rd</SUP>, 4<SUP>th</SUP> and 6<SUP>th</SUP> longitudinal data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CYPS)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As the methods of the analysis, latent growth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oemotional problems slightly edged up in the 3<SUP>rd</SUP>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gradually decreased by the 3<SUP>rd</SUP> grade highschool students. Second, socioemotional problems decreased from the 2<SUP>nd</SUP>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o the 1<SUP>st</SUP> 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began to move upward in the 3<SUP>rd</SUP> grade high school students. Third, social relationship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2<SUP>nd</SUP>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o the 3<SUP>rd</SUP> grade high school students. Fourth,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the social relationship had a mediation effect in the longitudinal relation between socioemotional problems and delinquency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I would suggest political and practical plans to reduce the Flight behavior.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갈등 인식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혜경(Jin, Hyeky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갈등인식, 지역사회소속감과 생활만족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4월부터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447부의 응답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사회갈등인식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지역사회소속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갈등인식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지역사회소속감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사회소속감이 낮은 경우 사회갈등인식이 생활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더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역사회소속감을 증진시킴으로써 사회갈등인식이 생활만족을 저해시키는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 등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필요하고 사회적으로는 소득불평등을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lations among the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 community belonging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s part of the study, high school students in Jeollamdo province were surveyed from April to June 2014 and 2,447 responses were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of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by SPSS 2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social conflict had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while community belongingness moderated the effect of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 on life satisfaction. A low sense of belonging, indicates a greater struggle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social conflict. Consequently, by promoting community belongingness, we can reduce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social conflict. Thu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belongingness should be recognized by social workers and educators,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dditionally, efforts need to be made in order to diminish inequality of income.

      • KCI등재

        디지털격차의 지식격차에 대한 영향 연구 -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지식격차를 중심으로

        이민상(Yi, Minsa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6 No.2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격차가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지식격차를 야기하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현재의 디지털 역량이 증가하면 지능정보사회 및 기술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정을 통해서 디지털 역량에 관한 변수들이 지능정보사회와 기술에 대한 지식수준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식격차 이론에서는 지식 획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사회 경제적 지위에 관한 변수들을 제시한다. 하지만 지능정보사회 및 기술에 대한 지식수준에 대해서는 디지털 역량에 관한 변수들이 사회 경제적 지위에 관한 변수들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역량 변수들 중에서는 사용 동기와 디지털 사용 기술이 지능정보사회 및 기술에 대한 지식수준에 영향을 크게 미쳤다. 이 연구에서는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지식수준 개선하고 개인 역량 강화를 위해서 현재 디지털 역량을 개선해 나갈 것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역량 교육에 대한 재조명, 공적 교육을 통한 디지털 역량 강화, 지능정보기술 체험을 통한 기술 활용 동기 부여, 지능정보사회의 기회에 대한 공감대 형성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digital gap is the cause of knowledge gap i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if the current digital competence is improved, the awareness of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technology will be improved. Regarding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variables related to digital competence have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knowledge i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technology. In the knowledge gap theory, socio-economic status variables affect the level of knowledge acquisition. However, variables related to digital competence had a greater effect o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nd technology than variables related to SES. Among the digital competency variables, the motivation and the skill for digital usage greatly influenced the level of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al knowledge and competency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current digital competency. For that, it suggested reinventing on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strengthening digital competency through public education, motivating for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by technology experience, and forming a consensus on opportunitie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 KCI등재

        저소득층 가구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빈곤탈출에 미치는 효과분석

        이성대(Lee, SeongDae),염동문(Yeum, DongMoo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가구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저소득층 가구의 빈곤탈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균등화소득에 따른 저소득층 가구 중 매해마다 한 번 이상씩 사회복지서비스를 받은 가구와 받지 않은 가구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빈곤탈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반사실적 자료분석(counterfactualdata analysis)의 경향점수 매칭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한 가구가 이용하지 않은 가구에 비해 빈곤에서 탈출할 가능성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서비스가 저소득층 가구의 빈곤탈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지만, 한국의 사회보장제도와 사회복지서비스가 대체로 잔여적 성격을 갖추고 있어서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빈곤탈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단순하게 해석하는 것은 한계를 가질 수 있어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study analyzed Korean welfare panel data from the 1st (2006) to the 4th (2009) in order to grasp the effects that how social welfare services make an effect on low-income households on exiting poverty. In addition, analysis on the effects on how social welfare services affect on the poverty exit for those who utilized the service one a year or more and those who haven"t used any services b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researched.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possibility of poverty-exit on the part of households having used social welfare services is reduced compared to those not having used the services. The result indicates that utilizing social welfare service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xit from poverty. However,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the social welfare system in South Korea were designed based on a residual welfare provision, so the simple interpretation on the result might have its limit. Therefore, limits and future tasks for the study are proposed.

      • KCI등재

        체제전환 이전의 리투아니아 사회정책에 관한 연구

        민기채(Min, Kicha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탈사회주의 국가인 리투아니아 사회정책의 특징을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체제전환 이전의 사회정책을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데 있다. 사회주의 이전과 사회주의 이후로 구분하여, 경제발전과 민주주의 분석에 기초한 10개 사회정책(연금, 건강, 질병, 실업, 산재, 가족정책(출산휴가, 가족수당, 아동수당), 공공부조, 교육, 주거, 돌봄)의 특징을 각각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고찰을 통해 리투아니아 사회정책의 미래를 전망하였다. 사회주의 이전에는 약한 비스마르키언 특징(연금, 건강, 질병, 산재, 출산휴가)이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사회주의 시대에는 비스마르키언 사회주의(연금, 질병, 산재, 출산휴가)와 사회주의(건강, 교육, 주거, 돌봄)의 혼합이라고 할 수 있다. 리투아니아는 사회주의 이전 시기에 약한 비스마르키언 모델로 출발하였고, 사회주의 시대에도 비스마르키언 특징은 사회주의와 혼합하면서 경로의존성을 구축했다고 할 수 있다. 리투아니아 복지체제의 도전 요인은 불안정한 복지정치, 재원의 투명성과 신뢰 부족, 해외이주로 인한 노동세대의 공동화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탈사회주의 국가들의 사회정책에 관한 연구들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olicies and to foresee the future in Lithuania, which is one of the post-socialist countries. For thes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two periods of pre-socialist and socialist,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was case study based on in-depth interview with local experts. This study analyzed ten social policies(pension, health, sickness, unemployment, industrial accident, family policy(maternity leave, family allowance, child allowance), public assistance, education, housing, care) and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olicies. And this study foresaw the future of the welfare regime in Lithuani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Lithuania has started weak Bismarckian characteristics(pension, health, sickness, industrial accident, maternity leave) in period of pre-socialist. And Lithuania modified into the hybridization of Bismarckian socialist(pension, sickness, industrial accident, maternity leave) and socialist(health, education, housing, care) characteristics during socialist. Lithuania started the Bismarckian and the tradition has the path-dependency in the era of socialist. Future obstacles of the welfare regime in Lithuania are the unstable welfare politics, the untrust to the finance, and the shortage of labor generation. This study could expect to activate the study to social policies of the post-socialist countries.

      • KCI등재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의 내·외적 진로장벽과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배영자(Bae, Young-Ja),심성지(Shim, Seong-Ji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내?외적 진로장벽이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진로포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4년제 대학 6곳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4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내적 진로장벽은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외적 진로장벽은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사회복지분야로의 진로결정을 보다 확고하게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on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spirations in this process. To attain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478 undergraduate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six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3-step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by using SPSS 12.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ffect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level directly nega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y exert indirect effects as well with career aspirations as mediation.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did not affect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level directly; however, they showed indirect, negative effects with career aspirations as mediation. Based on the study findings, a practical implication was presented that could help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maintain and develop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s more firmly.

      • KCI등재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장수지(Chang Su ji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을 기술적으로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망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을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망을 유형화한 후, 주관적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이때 연령과 성별이 갖는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함의를 고려하여 노인을 4개 하위인구집단(전기남성/전기여성/후기남성/후기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 집단 별 사회적 관계망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자료는 2006년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 기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은 65세 이상의 노인 4,15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전후기 남녀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 및 기능적 특징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그 각각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는 전후기 남녀노인 모두에게 대체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단, 자녀에 대한 밀착, 의존성은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갖지 않았다.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관계망의 핵심요소로 사회적 관계에서의 활동성, 자녀와의 관계에서의 독립성, 가족관계 만족도라는 심리사회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social network among old people and to analyze how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affect on the elderly's subjective quality of life(QO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population group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of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among sub-population groups. Research utilized the first-year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hich was carried out by Korea Labor Institute, in 2006. Analyses were conducted toward 4.155 seniors over 65 year-old. The results showed that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were different i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regard to the QOL,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male and female on the whole i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However, frequency of contact with and dependency on their children had not positive effect on the QOL. The key psychosocial factors that are essential in social network in old age for improving the QOL were drawn; activity in the social relationship, in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he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