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慶南 密陽地域 近代韓屋의 建築的 特性에 關한 硏究

        李相吉 밀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한옥은 한민족의 住文化를 반영한 독특한 형식의 우리 집을 의미한다. 조선후기 이후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근대기에 한옥은 정치 및 사회·경제면의 변동과 外來 住文化에 의해 前時期에 비해 급격하게 변모하였다. 1876년에 이루어진 개하으로 歐美 제국과 일본의 새로운 住文化가 전래되었다. 이에 따라 開港場과 서울을 중심으로 전통 한옥에 外來 住文化를 수용한 절충양식의 한옥이 나타나기도 했다. 근대한옥은 외적인 형태뿐 만 아니라 공간구성에서도 적잖은 변화를 보였다. 開港期 이후 일제강점기까지의 근대기 건축에 대한 연구는 주로 洋式·日式 및 韓洋·韓日 절충식 건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근대한옥에 대해서는 그 역사가 일천하고 일제 강점기의 유산이라는 등의 여러 이유로 제대로 연구되지 못했다. 근년에 들어와 관심 있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근대한옥(살림집)의 건축적 특성이 연구되기 시작했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항(1876년)이후 일제 강점기(1910~1945년)에 이르는 시기에 지어 건축된 한옥을 "근대한옥"으로 정의하고, 이 시기 밀양지역에 건축된 근대한옥을 마을 단위로 조사하여 건축적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항기이후 일제강점기하의 근대한옥의 존대양태와 모습으로 존재했으며, 그것의 건축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고찰하는데 있으며 부차적 목적은 근대 한옥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현대의 밀양시 지역이다. 조사는 마을단위로 했으며, 조사대상 마을은 밀양의 전통적인 씨족마을인 校洞·茶竹·靑雲·退老이었다. 이들 마을은 당시 사회적인 신분과 경제적 능력, 신분이 타 마을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연구는 상기 마을의 근대한옥 중에서 원형이 잘 남아 있거나 복원적 연구가 가능하며, 건립시기가 분명한 22棟의 근대한옥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본 연구에는 근대한옥에 대한 실측조사와 사진촬영 및 도면작업, 면접조사 및 분석의 방법이 적용되었다. 먼저 예비조사를 통해 근대한옥의 분포와 보존실태를 파악한 후 본 조사에서 연구대상 근대한옥의 실측 및 사진촬영작업을 했다. 이 연구는 크게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부분으로 연구의 목적과 범위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근대한옥의 형성배경에 대한 고찰로 밀양의 자연 및 인문환경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문환경의 경우 개항기 이전과 이후의 두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밀양지역 인문환경의 역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밀양지역 근대한옥의 형성배경을 고찰하기 위해 조선후기 특히 개항이후 일제 강점기의 정치·사회변화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근대한옥의 배치 및 평면, 입면, 구조상의 제특성을 효과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분석과 해석방법에 대해 서술했다. 제4장에서는 밀양지역 근대한옥의 건축적 특성을 사례가옥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먼저 밀양지역 근대한옥의 배치 및 외부공간 그리고 평면 및 내부공간 구성상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밀양지역 근대한옥의 입면 형식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창호의 종류와 창호의 폭과 높이간의 비를 분석했다. 구조형식에서는 안채와 사랑채의 구조와 상부 가구에 대해 분석하고, 기둥형태에 따른 사용위치를 고찰했다. 또한 안채와 사랑채의 柱間을 분석하여, 밀양지역 근대한옥의 柱間에 나타난 특성을 고찰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치유형 분석을 통해 밀양지역 근대한옥의 안채, 사랑채의 向은 주로 남향과 남동향 및 남서향을 채택했으며, 대문채에는 북서향이나 북동향이 채택되기도 했다. 마당 구성형식은 개개의 마당들이 공간적·기능적으로 전통적인 유교관습에 의한 남녀구분을 지키면서도 안채로의 출입은 사랑채를 지나야되는 등 남녀구분의 틀이 점차 약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棟 구성형식에 의한 배치유형에서는 모두 別棟形이었으며, 직렬형은 대체로 대지모양이 남북으로 긴 경우에 많았고 사랑채가 안채의 전면 좌우로 비켜 배치한 경우가 많았다. 병렬형은 대지모양이 동서로 긴 경우에 많았으며 안채가 사랑채보다 마당 뒤로 물러나 있는 경우가 많았다. 2) 평면유형에서는 안채와 사랑채의 棟형태가 'ㅡ자형'이 보편적이었고 특히 사랑채의 경우 안채에 비해 棟의 형태가 다양했다. 안채의 규모는 정면 6간 또는 7간이 보편적이었고 측면은 전후퇴가 발달한 1.5간이 대부분이었다. 사랑채의 규모는 대개 정면이 4간 또는 5간이었고 측면의 규모는 대개 1.5간이었으나 'ㄱ자형'·'T자형'·'ㄹ자형'등의 경우는 4간에서 7.5간 규모도 있다. 밀양지역 근대한옥의 안채에서는 겹집화의 경향이 두드러졌는데 특히 부엌과 건너방에서 室의 기능적·공간적 분화가 많아 근대한옥의 성격을 보인다. 3) 입면형식에서 안방과 사랑방 정면에는 공히 띠살 무늬의 양여닫이문이 사용되었으나 청방간에는 안채와 사랑채가 다르게 나타났다. 안채의 청방간에는 외짝·두짝의 키 큰 여닫이문이, 사랑채의 청방간에는 삼분합 이상의 들문이 시설되었다. 안방·사랑방 정면의 창호 폭에 대한 높이 比는 1:1.2에서 1:1.3정도로 폭에 비해 높이가 높다. 안방·사랑방 정면의 벽체 比는 1:1 정도로 정방형에 가까웠다. 안채와 사랑채의 입면구성 요소 중 기단의 높이가 마을별로 차이가 많은데 이러한 차이는 마을의 입지와 건축주의 사회경제적 성격에 따라 건축형식의 세부적인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구조형식에서는 밀양지역 근대한옥의 안채와 사랑채는 3량가가 대부분이고 5량가는 적었다. 안채보다 사랑채에서 5량가가 많았다. 대공은 안채와 사랑채의 대청상부에는 원형 판대공이, 청방간에는 제형 판대공이 주로 사용되었다. 안채는 모두 민도리계이며 주두와 소로를 수장한 사례는 없었다. 반면 사랑채는 소로와 주두를 수장한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일부 근대한옥에서 채택된 쪽소로나 전퇴 천장의 우물반자는 근대한옥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에 사용된 圓柱는 안채·사랑채 공히 前面 외진에 주로 사용되었고 사랑채가 안채보다 柱經이 큰 원주를 사용했다. 안채와 사랑채의 정면 도리간의 주간은 정면 전체의 매간이 동일한 경우와 각 室별로 동일한 주간을 가지되 내부의 도리간과 좌우 양끝간이 다른 경우로 나누어진다. 안채와 사랑채의 정면 주간의 크기가 모두 동일한 경우 안채보다 사랑채에서 사례가 많다. 각 실별로 주간이 다르고 좌우 양끝간이 다른 경우는 안채의 좌우 양끝간인 건너방과 부엌이 가운데 주간인 안방이나 대청보다 주간이 넓게 나타났다. 안방의 정면 규모가 □間일때 정면 2간 크기의 안방보다 1尺에서 2尺정도 큰데 이는 전체 간수를 중대시키지 않으면서 생활공간을 확대하기 위한 수법으로 보인다. 안방과 사랑방의 측면 보간은 큰 차이가 없었다. Han-Ok means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which was reflected by Korean residential culture. From the end of Cho-sun Dynasty to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ncy, Han-Ok was rapidly changed by the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s, and foreign residential culture. In 1876 when the Korean ports opened to foreign countries, they transformed their residential culture to Korea. As a result, the electic Han-Ok was transformed by foreign residential cultures first appeared the center provinces surrounding the Open ports and in Seoul. The contemporary Han-Ok transformed not only in exterior shape but also in the internal house layout. From the Open port period to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ncy, the research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Jorea had been focused on the mingling of western and Japanese architectural styles, and the electical Korean architectural style. Because of the Japanese occupancy, and the shortness of the period, the contemporary Han-Ok was not researched. Recently, some architectural historians have started to study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Han-Ok. This research defines the contemporary Han-Ok, built from the Open port period(1876), to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ncy (1910~1945).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revealed by on-site inspection of Miryang and its surrounding villages. The focus on the way the contemporary Han-Ok had existed from the period when foreing residential culture was transmitted period of Japanese occupancy and serves as the basic research data of the contemporary Han-Ok. The research is limited to the region of Miryang and based on inspection of each site. The explored areas are traditional clan villages called Kyo-Dong·Da-Juk·Tae-Ro·Chung-Won. Socially and economically. The high ranking people lived in these villages. The target villages with the twenty-two buildings, presumed to be of this period, are well preserved original houses or restorable houses in this architecture research. The research is executed in several ways : site inspection, the capturing photos, the drawings, and the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of the contemporary Han-Ok. Through the preminary investigation an aspects of the distribution and the preservation of appearance, the research of the contemporary Han-Ok was executed with the methods of capturing photos and the surveying of each house for house layouts, floor plans elevations, and sections. The owners of the houses and residents were interviewed, this research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as an introduction explaining the purpose and limits of the research. The second chapter is research about the background Han-Ok form, environments are two periods one before and one after the Open port each period was characteristic of civilization environments in historical aspects. In order to develop the background of form in the contemporary Han-Ok, taken into account te aspect of politics and society in Korean history from the open port period of Japanese occupancy. The third chapter, it shows the way to interpret and analyze the layouts, plans, elevations, and structure. The forth chapter is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Han-Ok in Miryang and on the characteristics in the outdoor layouts, spaces, plans and interior spaces. From the elevation of the contemporary Han-Ok, in order to research its characteristics the kinds of windows and doors, and the ratio of height and width were analyzed. This research is the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plan layout and site plan of the Han-Ok in Miryang. By on-site inspection, it is the measurement of twenty-two contemporary Han-Ok in Kyo-Dong·Da-Juk·Tae-Ro·Chung-Won village were analyzed. It is focused on the layout of the site plan, Ma-Da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 layout with An-Chae and Sa-Rang-Cha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The layout of the site plan consists of the site plan consists of the separated buildings. The general formation of Ma-Dang is not clearly separated with An-Ma-Dang and Sa-Rang-Ma-Dang. It is a general type. The plan layout was developed by adding the extension of building on both the front and the back of building. Expecially, the indise space was divided between kitchen and An-Bang. The majority types of Dae-Chung are closed space with sliding doors. The 6.5~7 span facade of An-Chae and the 4 spans facade of Sa-Rang-Chae is majority. From the result of the on-site inspection in Miryang city. The ratio of facade span to wall height on An-Chae and Sa-Rang-Chae is approximately one to one. The window ratio of width to height on the wall is approximately one to one. The front facade spans are from 2,100mm and 2,400mm. The side facade span is from 2,700mm and 3,000mm. The side facade span is 600mm and 900mm larger than the front facade span. The type of Dae-Gong are the wood plate Dae-Gongs, which are a trapezoid shape and a round shape, had been used.

      • 長期未執行 都市計劃施設 整備計劃에 관한 연구 : 密陽市의 都市計劃區域 중심으로

        魚宰熏 밀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도시계획시설은 도시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공공복리를 증진시키려는 목적하에서 도시계획사업 시행까지 토지사용이 부분적으로 제한되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을 살펴볼 때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조기집행 여부가 불투명하여 당해시설을 도시계획으로 지정·관리하여야 하는 공공성과 사유재산권 보장이라는 사익성이 대립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따라서 장기간 미집행된 도시계획시설의 권리구제 수단과 헌법재판소의 도시계획법 제4조의 헌법불합치 판정으로 인한 재산권보호수단, 이에 따른 도시계획법 개정으로 인한 문제점 및 대응방안을 실태자료를 통해 분석하여 미집행시설을 현 여건에 맞게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모색하여 보았다. 본 연구는 밀양시 관내의 4개 도시계획구역인 밀양·삼랑진·하남·무안을 중심으로 각 도시의 일반적 사항을 고찰하고, 이로 인한 도시계획시설의 특성을 살펴보고 현재 산재되어있는 미집행시설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그 발생원인에 대한 이해로써 출발하고자 한다. 또한 구역내의 도시계획시설 중 미집행율이 높고 미집행시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도로, 공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 밀양시 미집행 도시계획시설현황으로 도시계획시설 총 987개소 중 미집행시설은 725개소로서 시설수기준 73.5%, 면적기준 46.4%가 미집행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전체 미집행시설 중 도로시설이 673개소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공원 27개소, 녹지 15개소 순으로 나타났다. 2. 정비계획의 기본방향을 인식하고 4개 도시의 정체성을 고려하여 적용가능한 각 시설별 정비검토기준을 선정한 후, 시설별 사례를 들어 정비계획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도로시설은 3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가로망체계상 불합리한 시설에 대해 2개의 사례, 기술적으로 개설이 불합리한 시설 6개의 사례, 기존도로 활용이 가능한 시설 4개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공원·녹지는 각각 1개의 사례로 그 대표성을 가지는 미집행시설을 중심으로 모델을 제시하였다. 3. 정비계획 결과를 살펴보면 미집행시설 비중이 가장 높은 도로의 3개 유형 중에서 가로망체계상 불합리한 시설의 정비계획 결과는 폐지 44개소, 변경 43개소로 가장 많으며, 기술적으로 개설이 불합리한 시설이 폐지 18개소, 변경 25개소, 기존도로 활용으로 정비가능한 시설은 폐지 19개소, 변경 29개소로 파악되었다. 4. 재원조달 및 주변여건검토로 정비된 공원 및 녹지는 대체시설이 가능한 어린이공원 1개소, 철도변 완충녹지 1개소를 폐지하는 것이 타당하며, 변경으로는 근린공원 2개소, 완충녹지 2개소, 사업완료로 사유재산 보호차원에서의 기타시설 1개소를 정비계획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현 실태 자료가 향후 밀양시 도시계획결정이라는 공공성과 개인의 사유재산권 보호라는 사익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동시에 보다 건전하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지 기대해 본다. Urban Planning Facilities(UPF) is for sound urba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ublic well-being. So land owership will partially be limited by putting Urban Planning Business(UPB) in operation. However, this problem is being continued for a long time that land owner want to use the right of ownership which has been restricted by public well-be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a proper point of compromise. 1.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long-delayed UPF for the urban planning area in Miryang city, 725 of the whole 987 sites was unestablished. 73.5% is not installed in terms of the standard of the number of facilities. 46.4% is not in terms of the standard of the size. The road facilities is the highest, 673 sites of all the uninstalled. Next is 27 for parks and the last is 15 for the green track of land in the sequence. 2.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long-delayed UPF in the municipal planning for Miryang, the rate of a building lot is the highest in the four municipal planning sites. Also this occupies 66% in the whole sites 27,2875m². 3.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long-delayed UPF in the municipal planning for Samrangjin, a major arterial is the highest rates of unestablished size(86.2%) compared to the other sites. It is why the rate of industrial district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 4.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long-delayed UPF in the municipal planning for Hanam, the rates of the delayed facilities over 20 years are 70%. The rates of the unestablished local road overlapped a building lot is 81% which is the highest rates in four sites. 5.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long-delayed UPF in the municipal planning for Muan, the change of the site has been a bit since the initial urban planning, people working on the farm for a living. So this is the unestablished facilities over 20 years is 83% which is the highest rates. 6. Recognizing of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e long-delayed urban planning, the model was suggested the 13 cases based on the unestablish facilities. When I looked through the outcome of the directional improvement, I viewed that 81 sites is cancelled and 101 sites is changed. Weighted analysis is adequate in case that qualitative analysis is very hard, all things considered about the trait and financial status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to select the order for a practical planning.

      • 密陽江의 水邊空間開發에 관한 硏究

        안기완 밀양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조용한 농촌에서 출발하여 발전해온 밀양은 시가지 한 가운데를 가로 지르는 밀양강으로 인하여 천혜의 수변공간 자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래에 들어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수변공간개념이 도입된 공간적 이용이 전무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수변공간의 이론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분석·정립함과 아울러 밀양강 수변공간이 정립된 개념에 따라 도시기능과 조화를 이루면서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있어서 내용상의 연구범위는 수변공간의 다양한 분류중에서도 주로 도시의 수변공간으로 한정시켰으며, 공간적 연구범위는 밀양강을 대상으로 그 중 가장 개발여건이 좋은 삼문, 내이, 가곡, 사포, 예림, 모례, 살래, 빈지소의 8개 지구 수변공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밀양강 수변공간 개발의 기본방향은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이수와 치수를 위한 하천개발에서 환경기능을 도입한 친수공간으로 개발, 밀양시민의 휴식공간과 관광객의 유치 및 정서함양, 도시의 이미지 제고, 도시의 쾌적성 향상, 기존 관광자원과의 연결 등으로 하여 강변전원 도시로의 변모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밀양강의 수변공간 개발은 환경계획과 다목적 이용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성있게 개발하여야 하며, 밀양강 주변 8개 지구는 문화·위락·조각공원, 시민여가·휴식공원, 강변만남의 광장, 근로자 여가·체육공원, 종합관광지, 천변유원지 등의 개발 기본 구상안에 의하여 개발하고 밀양시 주변 대도시 시민의 휴식공간 제공과 레크레이션장으로서의 연계를 위하여 수변공간의 관광산업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입장료, 주차료 외 관광수입을 증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친수성을 도입하려는 노력은 축적된 경험과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여 지속적인 친수공간 창출안의 제공과 함께 계속되어야 할 것이며 아울러 국가적인 배려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accordance with the history of urban growth in the city that has been formed by focussing town life on waterfront of a river, in the Miryang River streaming through the downtown the planning of river environment to introduce the creative concept of waterfront has to be established in order to reflect geograph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o be put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 to induce a sound and comfortable amenities Results depending on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asic objects of the Miryang River's waterfront development are to focus on the transformation into a garden city at the riversided by developing waterfront as water site with environmental functions in the development of the river for water-utilization and flood control, the inducement of Miryang peoples' resting places and tourists, the fostering of citizens' and tourists' sentiments by offering a resting place, the reconsideration of urban image,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the link up with sight-seeing resources. 2. Waterfront in the Miryang River should be systematically developed by setting up the environmental plan and the multiple-purpose utilizin plan. 3. The 8 regions Sammun, Naei, Kagok, Sapo, Yelim, Morye, Salrae, Binjiso round the Miryang River might be developed on the foundation of a fundamental development plan and, by expanding these regions into the resting places and the recreational grounds of peoples in large cities around the Miryang River, positively carry out strategic tourism and increase the income of a tour besides an entrance fee and parking fee. 4. It is considered that the effort to introduce amenity, through the analysis of accumulative experiences and causes of failure, should be continuous with offering the durable plan to create water site, and besides, national concern be followed.

      • 밀양개의 형태학적 특징 및 Microsatellite DNA를 이용한 유전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

        朴宰賢 밀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밀양개의 일반적인 특징을 규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밀양개의 체형(체고, 체장, 흉위), 머리 및 눈의 형태, 모색, 귀와 꼬리의 형태 등의 형태학적 특징과 Microsatellite DNA형의 유전적 다양성의 출현빈도에 기초한 유전적인 특징을 조사하였다. 연구는 밀양지방에서 사육중인 밀양개 44두(6개월령부터 12세사이)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체형을 측정함과 동시에 머리 및 눈의 형태, 모색, 귀와 꼬리의 형태 등을 관찰하였으며 15개의 Microsatellite DAN marker에 대한 유전적인 다양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밀양개의 체고는 43-55cm(평균 49.5cm)로서 수캐는 44-55cm(평균 50.3cm), 암캐는 43-52cm(평균 48.1cm)로 나타났고 체장은 45-60cm(평균 54.3cm)로서 수캐는 45-60cm(평균 55.9cm), 암캐는 45-57cm(평균 52.6cm)였다. 또한 가슴둘레는 수캐가 51-64cm(평균 59.2cm), 암캐는 50-62cm(평균 56.3cm)로 측정되었다. 2. 머리의 형태는 정면에서 보았을때 44두 모두에서 역삼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눈의 모양은 삼각형 형태가 40두(90.9%)였고 초승달 모양이 4두(9.1%)로 관찰되었다. 3. 밀양개의 모색은 백색이 41두(93.2%), 황색이 3두(6.8%)로 나타나 두 색깔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부분이 백색으로 관찰되었다. 혀와 발톱의 색깔은 전 두수에서 각각 연분홍색과 분홍색이 관찰되었고 항문의 색깔은 연한 흑색이 40두(90.9%), 연분홍색이 4두(9.1%)로 나타났다. 4. 귀의 형태는 삼각형태로서 검사 전 두수가 곧게 서 있는 형태였으며, 꼬리의 형태는 반말린 꼬리가 25두(56.8%)로 가장 많았고 선꼬리(장대꼬리)가 15두(34.1%), 말린 꼬리가 4두(9.1%)로 나타났다. 5. 15개의 marker로 분석한 Microsatellite DNA 다형의 유전자 빈도에 기초하여 heterozygosity, PIC 그리고 PE를 분석한 결과 대립유전자의 수는 2~14개(평균 6.13개)로 검출되었으며 Expected heterozygosity와 PIC는 각각 0.455~0.863(평균 0.635), 0.348~0.837(평균 0.570)으로 나타났고 PEZ 10, PEZ 13, PEZ 17, FHC 2054의 marker는 PIC 0.7이상으로 관찰되었다. PE 1은 0.101~0.548으로서 15개 marker를 조합시 0.9895, PE 2는 0.174~0.710으로서 전체 조합시 0.9996으로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밀양개의 혈통보존을 위한 기초적인 활용자료 및 연구자료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height, body lenght, chest depth, head type, eye type, body color, eye type and tail type) and genetic diversity using 15 microsatellite DNA markers (PEZ 1, 5, 8, 10, 11, 12, 13, 15, 16, 17, 20, 21, FHC 2010, FHC 2054 and FHC 2079) in 44 random Miryang dogs(6 months~12 years old). Allele frequencies were estimated, and heterozygosity and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values were calculated basis of frequency data in order to analyze genetic diversity of Miryang dog. The exclusion probability was estimated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parentage test in Miryang dog.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height, body length, and chest depth of Miryang dog was 43-55cm(mean 49.5cm), 45-60cm(mean 54.3cm), 50-64cm(mean 57.9cm), respectively. Miryang dog was medium sized. 2. The miryang dog had reverse-triangle(100%) in head type, triangle (90.9%) and newborn moon(9.1%) in eye type. 3. Most of body color in miryang dog had white coat color(93.2%), light pink tongue color(100%), light black anal color(90.9%) and pink claw color(100%). 4. In ear type in miryang dog showed erect ear(100%), and half-curled(56.8%), upward(34.1%), curled(9.1%) in tail type, respectively. 5. Number of alleles observed at a single locus ranged from 2 (PEX 21 and FHC 2010) to 14 (PEZ 13), with averag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of 6.13. The expected heterozygosities of 15 microsatelite loci were estimated based on gene frequencies. The highest expected heterozygosity, 0.863 was estimated in PEZ 13 locus and the lowest, 0.455 in PEZ 21 and FHC 2010 locus. And the mean expected heterozygosity of 15 microsatellite markers was calculated as 0.635.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s (PIC) were estimated in 15 microsatellite markers. The PIC values were ranged from 0.348 (PEZ 21 and FHC 2010) to 0.837 (PEZ 13), and the mean PIC value was calculated as 0.570. Of the 15 markers, PEZ 10, PEZ 13, PEZ 17, FHC 2054 loci have relatively high PIC value (>0.7) in miryang dog.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icieney of parentage control, exclusion probabilities (PE) were calculated for each allele. The highest PE 1 and PE 2 in PEZ 13 locus was caculated to 0.548 and 0.710, respectively. And the total exclusion power in PE 1 and PE 2 were calculated to 0.9895 and 0.9996, respectively. These results can give basic information for perservation and research in Miryang dog,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Korean native dog and Asian dog breeds.

      • 密陽江 水位-流量曲線에 관한 硏究:

        배종희 밀양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23

        밀양강의 수위-유량곡선을 규명하기 위하여 94년∼96년의 자료와 97년 5월∼8월까지의 실측자료에 의하여 횡단의 변화 및 수문조사를 시행하고 이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94년∼96년 실측 자료에 의하여 밀양강에 적합한 유출특성을 분석한 결과 Q=a+bH+cH³의 식형에서 고도의 상관성이 판별되었다. 이는 저수위와 고수위의 두종류에 대한 구별로 r=0.9952 와 r=0.9990으로 나타났다. 2) 수위 유량곡선식은 5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의 표준편차와 상관계수를 중심으로 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갈수기, 평수기 및 홍수기 유량곡선식을 결정하였다. 갈수위(H<1.0m), Q = 23.1814-65.7166H+48.7932H² 평수위(1.0m≤H≤1.70m), Q = 182.505-349.4007H+174.968H² 홍수위(1.70m<H≤6.53m), Q = 11.6727+54.3775H+3.6095H³ 3) 실측유량과 예측유량의 비교에서는 5%내외의 오차가 발생하였으나 수위변곡점(H≥1.7m)에서는 일부구간이 20%내외의 오차가 있어 주의를 요함이 판별되었다.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run off concerning the Miryang River, cross-sectional and hydrologic routing were carried out. These were based on observation date collected during the years 1994-1996, and also on measurement data accumulated until May-August of 1997. The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 run off characteristic analysis based on measurement data obtained during 1994 to 1996 indicate that equation Q=a+bH+cH³is highly probable. This distinguishes low and high water level where corelation coefficient values were r=0.9952 and r=0.9990 accordingly. 2) Water level flow rate equations were analyzed in 5 different ways.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ased primarily on standard deviation and relation. Flow rate equations were separated into dry, normal and flood seasons. dry seasons(H<1.0m), Q = 23.1814-65.7166H+48.7932H² normal seasons(1.0m≤H≤1.70m), Q = 182.505-349.4007H+174.968H² flood seasons(1.70m<H≤6.53m), Q = 11.6727+54.3775H+3.6095H³ therefore, for conditions H<1.0m and 1.0m≤H≤1.7m, 2nd order equations were analyzed as being appropriate. 3rd order equations were selected for conditons 1.7m<H≤6.53m. 3) Observation flow rate and theoretical predictions showed error within 5%. However, near the point which the water level change, some regions displayed errors up to 20%, and thus were required careful handling. 4)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Miryang Dam and the under water diversion dam, continous analysis of the flow rate and further reconstruction of the equations is needed.

      • 快適한 生活環境造成을 위한 密陽市綜合開發에 관한 硏究

        金永奎 밀양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밀양시의 북동쪽은 산세가 험준한 산간지대를 이루고 있으나 남쪽은 낙동강, 밀양강 유역에 광활한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어 예로부터 산자수명하고 물자가 풍부하며 역사 문화 유적이 산재해 있는 살기좋은 고향으로 널리 알려져 왔으나, 조국 근대화 과정에서 지역개발이 소외되어 낙후된 전형적인 농촌형 도시로써 도시기반시설이 극히 취약하여 농촌경제가 피폐하고, 직장부족으로 인한 취업난, 교육문제 등으로 다른 농촌형 도시와 마찬가지로 이농현상이 극심하여 1960년대 인구 25만의 도시가 절반 가량이 줄어들어 현재는 인구 13만의 도시로 전락하였고, 인근 대도시에는 급격한 인구 증가로 획일적인 도시화와 공업화로 공해유발, 자연환경파괴, 만성적인 교통문제, 주거문제 등 수많은 도시문제가 유발되어 삶의 질에 대한 주민의식 변화가 강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인위적인 대도시 위주의 국가 발전전략에 따라 개발이 지연되어 밀양시는 반대급부로 아직까지 자연환경 보존이 양호한 상태이므로 이에 따른 지역특성이 반영된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밀양시종합개발 검토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및 기본방향은 21C를 맞이하여 대내외적으로는 세계화, 지방화, 정보화가 급속하게 진전되면서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환경중시의 신패러다임 대두 등 역사적인 전환점으로서 대내외적 여건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이들 변화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수많은 문화유적지, 풍부한 녹지공간, 수려한 하천공간, 깨끗한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있는 밀양시의 잠재력을 충분히 살려 지역경제 활성화로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고 보다나은 생활의 질을 위하여 주택, 공원, 하천, 수자원, 상·하수도, 환경보전관리 등 사회분야별 종합개발계획을 제시하여 유기적이고 체계성 있게 개발이 되어 쾌적한 전원 관광도시로 정착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보전과 개발을 위하여는 포괄적인 사업을 구체화 시켜 단계별로 실현 가능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며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사업시행을 위하여 국가적인 재정 및 정책배려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ached by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Miryang-si, which creation of its comfortable living conditions for the target year of 2016. 1. The basic plan was established, based on 250,000 presumptive population of the city in the target year 2016, but a diminution of 3000 initspopul ation occurred between the datum year 1995 and 1999. This indicates that its residents are migrating to bigger cities due to the city's economic impoverishment, job deficiency, education problem, etc, despite the visible results to make Miryang a better place to live in. 2. The housing prevalence in 1999 is 97.5%, which is not an indication of housing shortage, but this is a result of the population diminution mentioned above. Accordingly, an abrupt increase in population in the future may cause housing problems. However these could be fully resolved by housing construction on the developed building sites. 3. As the ratio of present park area per capita of 8.4 sq.m/person is less than 6 sq.m/person standard, active plans should be groped for the development of parks and resorts planned to fit natural conditions. 4. It is recommended that river maintenance plan target total 11 areas including 8 areas of Miryang River, 2 areas of Nakdong River, and I area of Danjangcheon. Also, the Miryang River (Sammoon, Naei, Gagok, Sapo, Yerim, Morye, Salae, Binjiso) area is recommended with first priority, the Nakdong River (Soosan, Samrang) area with second priority, and Danjangcheon (Geungok) area with third priority according priority planned by the maintenance model of the suburban area of the river. 5. The Miryang region has no problem in securing water resources and supplying city for its abundance of water sources due to the Miryang Dam. However, in dry seasons, the catchment of farming water is not easy and water pollution is possible at bends or stagnant parts of the river. Thus, an appropriate river drain pocily is necessary. 6. As for the sewerage system in 1999, the percentage of conduitpipe sewage disposal was as much as 36.4% and that of the sewage treatment at the plants was 1.8%. But sewerage system is expected to be extended and improved with the completion of the terminal sewerage treatment plants by 2000. Much revenue is expected to meet 100% of sewerage system over the city by the year 2016 with adoptions of a separation type that separates water from rainwater in new urban areas and changes of a confluence type into a separation type in existing urban areas. 7. Demand on and supply of energy is matter of national level. Power lines are recommended to be under grounded in consideration of appearance of the city. And convenience in living conditions should be sought by active promotion of extending city gas for domestic use. 8. As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it is desirable to conserve water quality by establishing sewage and waste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on each community and gradually promoting sewage and rain water separation sewerage system. Also, it is desirable to treat factory waste water, excrements, and livestock and farming waste water together at the termin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fter going through pre-treatment. Long-term Policies of diminution of pollution are demanded in minimizing garbage disposal through constructing large garbage incineration facilities and recycling. since the selection of garbage burial sites are not easy in reality.

      • 일부 PC방의 실내분진 발생에 관한 연구

        洪民憙 밀양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우리나라 PC방의 실내 공기 중 분진농도, 분진의 성분, 분진의 입도 분포, 그리고 분진의 형태 등을 분석하여 분진 발생추이를 파악하고 PC방의 분진폭로 예방대책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에 있으며,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부산지역과 밀양지역내 소재한 PC방을 대상으로 한 총 분진의 평균농도는 각각 0.3583mg/㎥, 0.2611mg/㎥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부산 소재한 PC방 실내의 분진농도가 밀양지역에 소재한 PC방 실내의 분진농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밀양지역 PC방 실내 환경이 열악하고, PC방 주변의 도로포장 상태의 불량, 그리고 국도 확장 건설로 인하여 분진이 비산되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집된 분진 성분은 부산지역에 소재한 PC방 실내에서 포집된 분진은 대체로 유리규산의 농도가 밀양지역에 소재한 PC방 실내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변 도로의 포장이 밀양지역보다 부산지역이 양호하여 주변 토양으로부터 토양 입자가 PC방의 실내 유입이 밀양지역에 소재한 PC방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밀양지역과 부산지역내 소재한 PC방 실내에서 포집한 분진의 성분은 주로 유리규산,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그리고 SO₃성분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 폐에 잘 침착되는 분진의 크기인 5㎛이하의 분진의 비율을 보면 밀양에 소재한 PC방 실내에서는 71.4% 나타났다. 부산에 소재한 PC방 실내의 경우 73.4%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에 소재한 PC방의 실내에서 호흡성 분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변의 많은 교통량과 도시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주사현미경에 의한 분진의 형태를 보면 부산과 밀양지역에 소재한 PC방의 실내 모두에서 일반적인 분진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유리섬유나 석면 등의 섬유상 분진이 검출되지 않았다.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Miryang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aim to describe the indoor air quality in PC room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es of particle by XRF, particle size analyz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hich were observed at some PC room environment, such as Busan and Miryang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The concentration of dust measured at Miryang were 0.3582mg/㎥ in PC room. Meanwhile, the concentration of dust measured at Busan were 0.2611mg/㎥ in PC room, respectively. The component of dust in the PC room by XRF analysis to identify major components showed that SiO₂, CaO, Fe₂O₃, Al₂O₃, and SO₃, respectively. The size distribution(less than 5 ㎛) of dust measured at Miryang were 71.4% in PC room. Meanwhile, the size distribution of dust measured at Busan were 73.2% in PC room. respectively. Experiments by particle size analyzer showed that particle size distribution had influenced on a PC room location.

      • 버스 터미널의 실내분진 발생에 관한 연구

        성상수 密陽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실내의 대기오염은 취사, 난방을 위한 화석연료의 연소뿐만 아니라 실내장식이나 가구 등이 다양한 오염원을 갖는다. 생활환경을 포함한 대부분의 실내 대기오염은 일반적으로 건물내의 공기의 질과 외부공기의 유입상태 및 실내 거주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기의 체적과 실내·외의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대기 중 부유분진에는 인체에 유해한 단환방향족 탄화수소, 중금속, 산성침착을 유발시키는 각종 음이온 등이 포함되어 있다. 분진의 제어를 위해 주요 오염원과 불특정 오염원에 대해 지속적인 배출규제정책이 시행되어, 대기중의 총부유분진의 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총부유분진의 수준이 감소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 분진으로 인해 느껴지는 체감 오염도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이는 그 동안 입자상 오염물질에 관한 기준이 총부유분진의 중량기준으로써 입자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터미널내의 실내공기 중 분진농도, 분진의 성분, 분진의 입도 분포, 그리고 분진의 형태들을 분석하여 분진 발생추이를 파악하고 터미널 내의 분진폭로 예방대책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는것에 목적을 부여하고 연구 결과를 아래에 요약하였다. 부산, 마산, 밀양 지역에 위치한 터미널을 대상으로 한 총 분진의 평균 농도는 각각 0.3977 mg/㎥, 0.5019 mg/㎥, 0.7509 mg/㎥ 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반적으로 부산, 마산의 분진농도가 밀양보다 낮게 조사되었는데 이는 도로 포장의 불량, 그리고 각종 건설로 인한 분진이 비산되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집된 분진성분은 부산, 마산 지역의 터미널의 실내에서 포집된 분진은 대체로 유리규산의 농도가 밀양에 위치한 터미널의 농도보다 낮게 검출되었는데 이는 주변 도로의 포장상태가 밀양보다 양호하여 주변 토양으로부터 토양입자가 실내로 유입이 더하기 때문인 것을 나타났다. 부산, 마산, 밀양의 터미널에서 포집한 분진의 성분을 살펴보면 유리규산,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등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의 건강에 가장 유해한 분진의 크기인 5㎛이하의 분진의 비율을 보면 마산 56.14%, 부산 55.4%, 밀양 54.43% 순으로 조사되었다. 마산, 부산이 호흡성 분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주변 교통량과 도시화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door air quality to bus terminal ei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particle by XRF, particle size analyz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hich were observed at bus terminal environment, such as Pusan, Masan and Miryang cit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oncentration of dust measured at Pusan were 0.3977mg/㎥, Masan 0.5019mg/㎥, Miryang 0.7509mg/㎥ in Bus terminal. 2. The component of dust in Bus terminal by XRF analysis to identify major components showed that SiO_(2), CaO, Fe_(2)O_(3), Al_(2)O_(3) respectively. 3. The size distribution(1ess than 5 ㎛ ) of dust measured at Masan 56.14%, Pusan 55.4% in Bus terminal. Meanwhile, the size distribution of dust measured at Miryang were 54.43% in Bus erminal. respectively Experiments by particle size analyzer showed that particle size distribution had influenced on a Bus terminal.

      • 수치해석을 이용한 밀양강의 유량곡선에 관한 연구

        尹吉主 밀양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하천수계에 대한 다양한 소프트웨 프로그램중 차세대 수문해석 프로그램인 HEC-RAS를 이용하여 밀양강의 유량곡선식을 개발하는 것으로 밀양(2)수위표를 기점수위로 하고 상류지역 보조수위표의 관측수위 및 유량과 HEC-RAS의 수치 수위 및 유량을 검토하여 신뢰성 있는 수위-유량곡선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밀양(2)수위표를 기점수위로 선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2km 상류에 제1보조수위표, 제2보조 수위표의 관측수위와 수치수위에 의한 수리 검토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이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는 수위-유량곡선식이 개발되었다. 1. 수위표-측정구간에서 적용된 조도계수는 0.030 및 0.034로 수치검토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값은 하천의 일반적인 조도계수의 값과 일치하였다. 2. 관측수위와 수리검토에 의한 결과의 차이는 0.1m 이내로 양호하였으며, 일부는 0.1m~0.3m의 오차분포를 나타내었다. 3. 남포동 수위표(밀양 2)에서의 관측수위는 원만한 분포를 보인 반면 보조수위표 1 및 2에서는 부포가 산발적이어서 상관성이 적었다. 4. 수위-유량곡선식(밀양 2 수위표)은 다음과 같다. 갈수기 : Q = 110.8047 - 282.3148H + 182.9406H² (0.79m?H?1.00m) 평수기 : Q = -34.0260 + 21.9779H + 20.1709H² (1.00m?H?1.70m) 홍수기(1) : Q = (-6.9265 + 8.4459H)² (1.70m<H?4.00m) 홍수기(2) : Q = 854.3660 - 362.4444H + 80.8371H² (4.00m<H?6.68m) 5. 수리검토에 의한 제2보조수위표(No. 14 + 050)의 유량곡선식은 다음과 같다. 갈수기, 평수기 : Q = 290.7968 - 183.9121H + 11.0243H³ (2.43m?H?4.00m) 홍수기(1) : Q = -787.399 + 230.2628H + 2.1959H³ (4.00m<H?6.00m) 홍수기(2) : Q = 256.2478 - 7.1589H + 3.7459H³ (6.00m<H?7.87m) 6. 수리검토에 의한 제1보조수위표(No. 14 + 150)의 유량곡선식은 다음과 같다. 갈수기 : Q = 277.4511 - 173.8449H + 10.2161H³ (2.45m?H?4.00m) 홍수기(1) : Q = -774.7553 + 212.3491H + 2.5146H³ (4.00m<H?6.00m) 홍수기(2) : Q = 1474.7994 -547.5118H + 78.0248H³ (6.00m<H?7.91m) To derive Rating-Curve formula of the Miryang river I selected Miryang (2) watermark as the water level of pivot point, performing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observed water lefel in comparison with numerically-induced water level at the 1st auxiliary watermark and the 2nd auxiliary watermark located in 2 kilometers up the river on the basis of this watermark, I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Coefficients of roughness which was applied to watermark-measurement range were 0.030 and 0.034, respectively, and they could be acceptable in numerical investigation, and also agreed with general coefficients of roughness in river. 2. the difference between watermark by observation method and water level by numerical investigation was within 0.1m and this result could be satisfactory. But in some range, the difference from 0.1m to 0.3m was revealed. 3. The water level by observation method at Nampldong watermark(Miryang(2)) had a constant distribution but the observed water level at the 1st auxiliary watermark and the 2nd auxiliary watermark in the Miryang river was distributed sporadically and had a low correlation between water level and discharge. 4. The Rating curve formula(Miryang(2) watermark) induced by numerical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The dry season : Q = 110.8047-282.3148H+182.9406H² (0.79m?H?1.00m) The normal season : Q=-34.0260H+21.9779H+20.1709H2 (1.00m<H?1.70m) The flood season (1) : Q=(-6.9265+8.4459H)² (1.70m<H?4.00m) The flood season (2) : Q=854.3660-362.555H+80.837H² (4.00m<H?6.68m) 5. The Rating curve formula of the 2nd auxiliary watermark in the Miryang river through numerical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The dry and normal season : Q=290.7968-183.9121H+11.0243H² (2.43m?H?4.00m) The flood season : Q=-787.339+230.2628H+2.1959H³ (4.00m<H?6.00m) 6. The Rating curve formula of the 2nd auxiliary watermark in the Miryang river through numerical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The dry season : Q=277.4511-173.8449H+10.2161H³ (2.45m?H?4.00m) The flood season (1) : Q=-774.7553+212.3491H+2.5146H³ (4.00m<H?6.00m) The flood season (2) : Q=1474.7994-547.5118H+78.0248H³ (6.00m<H?7.91m)

      • 再生紙멀칭 裁培가 雜草防除및 水稻의 生育과 收量에 미치는 影響

        金南雲 밀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07

        재생지멀칭 이앙재배시 잡초방제, 멀칭지의 분해, 지온변화 및 벼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1998년과 1999년 2년에 걸쳐 화성벼, 남천벼, 일비벼를 공시하여 밀양대학교 부속농장에서 무멀칭구, 제초구, 신문지멀칭구(1겹, 2겹), 재생지멀치구(120, 150, 250g/㎡), 비닐멍칭구의 처리구를 두어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멀칭에 의한 지온변화는 무멀칭구에 비하여 멀칭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고, 종이의 분해속도는 신문지 1겹이 가장 빠르게 분해되었으며 재생지의 경우는 약 100일 정도에 80% 이상이 분해되었다. 2. 잡초방제효과에서는 신문지 멀칭처리구의 경우 다소 잡초가 발생하여 방제효과가 적었고 재생지 멀칭처리구는 거의 발생하지 않아 제초제와 동일한 발제 효과를 얻었다. 3. 벼의 초장은 대조구가 멀칭처리구에 비하여 약간 큰 경향을 나타났으며, 종이멀칭처리구간에서는 신문지에 비하여 재생지멀칭처리구가 컸다. 4. 엽면적은 대조구가 다소 높았으며 모든 멀칭처리구에서는 거의 일정한 경향을 나타났으나, 무멀칭구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5. 분얼수는 멀칭처리구에 비하여 대조구가 높은 경향이었고, 무멀칭구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6. 지상부의 건물중은 관행재배구가 다소 높았고, 멀칭처리구는 거의 같은 경향이었고 무처리는 다소 멀칭구보다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7. 지하부의 건물중은 무멀칭구가 멀칭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구가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8. 벼의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대조구와 재생지멀칭구간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무멀칭구와 신물지멀칭구에서는 약 50% 이상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수당 영화수에서도 대조구에 비하여 무멀칭구가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9. 신문지 멀칭구의 수량은 243-305kg/10a인데 비하여 재생지멀칭구의 경우 448-459kg/10a이었으며 대조구는 468kg/10a 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ycled paper mulching on weed occurrence, growth and yield of rice. To obtain this, a single fold of newspaper or two folds of newspaper is used. Recycled papers with basis weight of 120, 180, 250g/㎡ were fabricated from recycled corrugate container. It took about from 27 to 70 days for the mulch paper to reach 50% decomposition according to type of mulch paper. Paper mulching was mor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weed than non-mulch. The plant height and leaf area was more or less high at the control, and is similar to in that of the paper mulch treatment. The number of tiller is high at the control in the comparison with non-mulch treatment. The number of panicle for plant is similar to the control in the case of recycled paper mulch treatment too. However, but it show decreasing tendency above 50% in both the non-mulch and newspaper mulch. Newspaper give the yield of 243-305Kg/10a while, recycled paper mulch and control give yields of 448-459Kg/10a and 468Kg/10a respectively.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paper mulching can not only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non-herbicidal weed control but only ensure as high yield as the conventional weed control method by herbicide in transplanting ric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