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0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6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교육에서 필수적인 아동의 문제해결능력의 증진에 대한 연구를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초등 교사 교육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학년별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여, 대학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이 증진되는지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실과교육학과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측정을 위해서 Th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level Z가 사용되었다.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한 결과 평균은 15.51이었으며, F검증을 한 결과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학년별 문제해결능력의 평균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해결능력의 7개 하위 영역별 수준 역시 학년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은 학년에 상관없이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거의 동질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대학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이 신장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 체육교육과 교육과정 개선의 방향과 과제

        김만의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1

        체육교육은 학교 내에서 체육 문화의 전통에 학생을 입문시키는 유일한 교과이다. 이러한 문화의 전수는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문화 입문기인 초등학교 시기의 체육의 긍정적인 체험은 아동의 움직임 욕구의 실현과 스포츠 생활화의 태도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세계적인 추세와도 상통하지만, 특히 우리 나라의 경우 초등체육의 파행적인 운영은 문화 전수의 기회 박탈은 물론 체육의 정체성마저 위협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체육의 위기 극복 방안을 모색하는 일련의 연구 중 하나로서 교사교육기관의 교육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먼저 체육교사교육의 동향을 살펴보고, 대구교육대학교 체육과교육 과정의 체제와 운영의 실제와 (예비)교사들의 입장에서 바라 본 그것들의 문제점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의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기초연구

        이원희,최명숙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8 No.1

        본 연구는 교육대학 교육과정 개선의 위하여 대구교육대학교의 교수, 재학생, 그리고 대구·경북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대구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되거나 고려되어야 할 중점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결과는 전국의 교육대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설문 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초대로 현행 학생들의 수업부담을 줄이기 위한 총 이수학점의 축소, 예·체능교과의 전담제 도입, 교육실습기간의 연장 및 현장과의 연계등이 가장 큰 고려 사항으로 지적되었다. 문제는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에 대해서는 교수, 학생, 교사의 의견이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는가 보다 구체적인 측면에서는 상호간의 양보와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이를 조정하는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하겠다.

      • KCI등재후보

        장애대학생 교육권 보장을 위한 국내외 원격교육 지원 상황 연구

        홍성두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7 No.4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distance education support for guaranteeing the right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experiencing serious difficulties through the COVID-19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the Ministry of Education - universities - learners – teachers. And, based on these contents, we trie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when establishing a distance education support plan in Korea. To this end, we reviewed the recommenda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response of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the case of establishing a plan to support distance education by domestic universities, the case of online learning strategy for learners, and the case of guidelines for developing distance education contents for professor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made six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right to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2020,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Universities in Korea showed great adaptation and change in the establishment of response strategies and distance education support plans in 2021. Howev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where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implemented for a long time, the specificity of the guidelines and plans is much lower. In overseas cases, specific learning strategies and content development guidelines were prepared for distance education learners and instruct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obtained. First, in order to support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pecific guidelines for developing content for distance education in countries that have been implementing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a long time. Second, the development of distance education contents for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sidering the integrated educational situation within the university. Third,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as a program that can mix face-to-face + non-face-to-face as much as possible. Fourth,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provide specific guidelin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ofessors. Fifth, each university should prepa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use remote classes on how to use various software when using their own learning management system content pages.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를 통해 교육권, 건강권, 거주권 등 다양한 권리 측면에서 심각한 침 해를 당하고 있는 장애대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국내외 원격교육 지원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기구, 교육부, 대학, 학습자, 교수자 측면에서 장애대학생 원격교육 지원 과 관련된 내용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원격교육 지원 방안을 수립할 때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기구의 권고사항, 교육부의 대응, 국내 대학의 원 격교육 지원 계획 수립 사례, 장애대학생 학습자들을 위한 온라인 학습전략 사례, 장애대학생 교수자를 위한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 지침 사례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국제기구에 서는 장애인들의 교육권과 관련된 핵심 권고 사항을 국제사회에 제시하였다. 이런 국제사회의 대응과는 별개로 우리나라 교육부와 대학에서도 장애대학생 원격교육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런 원격교육 지원 계획 수립의 노력들은 코로나19 대응 초기였던 2020년에 비해 2021년에 더욱 커다란 적응과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장애대학생들의 원격교육을 오랫동안 실 행했던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지침이나 계획들의 구체성이 떨어졌다. 반면에 해외 의 장애대학생들을 위한 원격교육 지원 사례에서는 장애대학생 원격교육 학습자와 교수자를 위 한 구체적인 학습전략과 콘텐츠 개발 지침이 마련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 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장애대학생 원격교육을 오랫동안 실행해 온 여러 국가들의 구체적인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 지침들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대학생들을 위한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은 대학 내 통합교육적 상황을 고려한 유니버셜 디자인을 기초로 하는 것이어야 한 다. 셋째, 장애대학생들의 원격교육은 최대한 대면+비대면 혼합 가능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부는 장애대학생들과 교수자들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각 대학들은 자체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할 때마다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각종 소프트 웨어 사용 방법에 대한 원격수업을 장애대학생들이 이용 가능하도록 준비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블렌디드 러닝 체육수업에 대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인식과 개선방안

        정성우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블렌디드 러닝 체육수업에 대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B교육대학교 1학년 176명을 대상으로 유목적적 표집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개방형질문지와 심층면담을 이용하였으며, 2021. 9. 1.(수)~12. 17.(금)까지 15주 동안 비대면과 대면 그리고 블렌디드 러닝 체육수업을 운영하였다. 자료 분석은 귀납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원자료가 가지는 의미를 부호화, 개념화 그리고 범주화하여 용어를 선정하였다. 블렌디드 러닝 체육수업에 대한 교육대학교학생들의 인식을 이해하기 위해 심층 면담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대학교 학생은 인터넷 환경 미비, 수업 준비 및 수업 내용 이해, 학생 개개인의 상황 파악 그리고 학생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블렌디드 러닝 체육수업을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둘째, 교육대학교 학생은 코로나19의 교육환경 변화, 교사의 수업부담 해소, 교수·학습도구로서의 가치 그리고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학업성취 향상은 코로나19 상황이라는 특수한 환경 속에 체육교육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교육대학교 학생은 최첨단 인터넷 환경개선을 위한 지원, 다양한 학습자료 구비 그리고 평가 방법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블렌디드 러닝 체육수업 운영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사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편성과 블렌디드 러닝 체육수업의 체험 기회 확대, 수업 나눔 그리고 체육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최첨단 정보기기 활용방법은 블렌디드 러닝 체육수업의 성공적 정착과 운영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韓·美 大學音樂敎育制度의 比較硏究 : 敎科課程을 中心으로 mainly on the music curriculum

        金鍾煥 대구교육대학교 1981 論文集 Vol.17 No.-

        以上에서 韓·美兩國의 大學音樂敎育制度에 對하여 主로 敎科課程上의 및 가지 問題를 比較하고 兩國의 共通點과 差異點을 考察해 보았는데 다음에 그 內容을 差異點에 對해서만 要約해 보고자 한다. 1) 大學音樂敎育의 目標와 學科의 構成에 있어서 ·目標 ① 韓國의 大學音樂敎育의 敎育目標는 專門音樂人의 養成을 指向하면서도 보다 包括的인 人間性의 發達을 期待하는 全人敎育의 理想이 强調되고 있다. ② 美國에 있어서는 大學音樂敎育의 目標가 韓國에 比해 보다 具體的으로 專門音樂人으로서의 社會的 役割分野를 明示하고 있다. ·學科의 構成 ① 韓國의 音樂大學 또는 大學院 音樂學科에서는 卒業과 同時에 音樂의 學位(音樂學士, 音樂學碩士)를 授與하며 그 學位課程內에 몇 개의 專攻學科를 두고 있으나 美國은 이러한 Degree course外에 Diploma course를 따로 設置하고 그 課程아래 여러 가지 多樣한 專功分野를 두고 있다. Diploma course는 音樂의 實技中心課程을 履修하고 一定水準의 音樂演奏能力을 證明하는 卒業證書制度로서 구라파에 있어서 音樂의 實技中心敎育을 하는 Music Concervatory 와 같은 system이다. ② 美國의 音樂大學에서는 이와 같은 Degree와 Diploma course外에도 非正規學生, 現職音樂敎師, 또는 學位를 取得한 音樂人에게 새로운 資格을 얻는데 必要한 特別 program을 多樣하게 開設하고 音樂의 開放大學으로서 平生敎育의 길을 열어놓고 있다. 2) 專功分野의 設定과 學位의 種別에 대하여 ·專功分野의 設定 ① 民族固有의 傳統音樂을 가진 韓國에서는 國樂의 專攻學科를 가진 音樂大學이 많은데 比해 美國은 이에 該當하는 專攻學科가 없다. ② 韓國의 音樂大學은 專攻學科의 區分이 包括的인데 比해 美國은 보다 細分되어 있다. 따라서 專攻의 種類가 韓國에 比해 越等하게 많고 多樣하다. ③ 韓國의 音樂大學에서는 大學院 課程에서 音樂의 博士學位 課程이 없으나 美國에는 音樂學, 音樂敎育學, 音樂理論, 作曲, 演奏分野에 이르기까지 專攻別 博士學位 課程을 두고 있다. ④ 美國의 音樂大學에서는 音樂藝術의 關聯分野인 舞臺디지인과 셋딩, 舞臺演出, 藝術監督, 樂器의 調律 및 製造工學 등을 專攻 course로 設定하고 있는 大學도 많다. ·學位의 種別 ① 韓國의 音樂大學에서는 專攻의 區別없이 學部課程을 履修하면 音樂學士, 大學院碩士課程을 마치면 音樂學碩士, 그리고 敎育大學院에서 音樂敎育을 專攻하면 敎育學(音樂敎育專攻) 碩士學位가 授與되는데 音樂專攻 分野의 學位는 이 세가지 種類밖에 없다. ② 美國의 大學에서는 音樂의 各 專功分野에 따라 學士, 碩士, 博士 등의 學位가 있고 그 種類는 前揭한 學位 program에서 보는 바와 같이 越等하게 많고 多樣하다. 3) 敎科目의 履修와 學點에 대하여 ① 音樂學士學位取得에 必要한 敎養, 專攻, 自由選擇의 全課程中 專功課程의 學點比率이 韓國은 美國에 比해 적게 配當되고 있다. ② 專功課程의 履修學點中 專功實技 履修에 必要한 學點比率이 韓國은 15%, 美國은 28% (Diploma course는 34%)로서 韓國이 적다. 4) 專攻敎科目의 開設과 그 種類에 대하여 ① 音樂의 基礎過程乃至 理論分野의 敎育에 있어서 韓國은 敎科目이 細分되어 있는 反面 美國은 보다 包括的인 傾向이 있다. 美國의 大學音樂敎育에 있어서의 이러한 傾向은 1960年代 後半頃부터 美國의 音樂敎育界에 胎頭된 Comprehensive Musicianship (包括性있는 音樂家的 素養)의 理念에 立脚하여 各 大學의 音樂敎科課程이 많이 改編되어진데서 오는 結果이다. ② 學位取得을 爲해서 履修해야 할 專功課程의 敎科目들이 韓國은 美國에 比해 그 種類가 많다. 例컨대 韓國의 音樂大學敎科課程에서 보이는 詩唱·聽音, 音樂分析, 和聲, 鍵盤和聲, 對位法, 樂式論등의 獨立된 敎科目을 美國은 Music Theory 로서 單一敎科로 묶어 統合的인 指導를 하고 있다. 5) 敎職課程의 履修와 音樂敎師資格免許에 대하여 ① 韓國은 敎育法과 文交法令의 規定에 따라 音樂敎師資格證의 種類가 全國 同一하나 美國은 州에 따라서 資格要件은 물론 資格證의 名稱과 種類가 各各 다르다. ② 韓國에서는 大學學部 레벨의 音樂 專攻者에거 發給되는 音樂敎師資格證으로는 中等學校 2級正敎師 뿐이며, 敎育大學院(音樂敎育專攻)을 修了하거나 2級正敎師資格證을 가지고 3年以上의 敎育經歷을 가진 후 240時間 以上의 硏修敎育을 받음으로써 1級正敎師의 資格을 取得할 수 있다. 이에 比해 美國은 中·高等學校는 물론 國民學校의 音樂 專擔 敎師, 音樂奬學士, 音樂行政官 등의 資格證에 이르기까지 여러 種類의 資格證 制度가 있다. 그리고 初級의 資格으로부터 上級資格證의 取得도 州에 따라서는 大學의 夏季 또는 冬期의 季節 大學에서 所定의 學點을 取得할 때 發給되는 制度가 있다. ③ 敎職專門課程의 敎科目中 韓國은 音樂科 指導法의 한 개 敎科만 履修하는 反面, 美國은 總履修學點中 그 折半은 音樂敎育學分野의 여러 敎科目을 履修케 하고 있다. 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system of the college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America, and to point out the diffirence in its guality. My study was mainly dependent on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music college in Korea and America,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compare the purpose of the college music education. 2. To compare the major fields and degree programs. 3. To compare how proportionately the credit point requirements for graduation, which requirements are composed of general education, major course, and free elective programs are allocated. 4. To compare the kinds of major subjects offered in the undergraduate division and graduate division. 5. To compare the courses of the certification for music teachers and the teacher education subjects. According to the above study, I was able to find out the distinctive features on the college music educational system between Korea and America. Consequently, on the basis of my study. I commented a few problems in our educational system and college music curriculum. Futhermore, to improve our music educationl system against these problems, some recomendation was also suggested, and I hope these my suggetions are available for the improvement of our country's college music education.

      • 父母의 養育態度에 關한 一調査硏究 : Chiefly on the education in infancy 幼兒期敎育을 中心으로

        安福禮 대구교육대학교 1979 論文集 Vol.15 No.-

        本調査硏究는 어린이의 바람직한 行動特性形成을 爲한 基礎的인 生活樣式의 習慣化에 關한 父母의 養育態度를 中心으로 調査 考察한 것이다.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生育의 事情 養育의 態度를 알기 爲하여 다음과 같은 生育의 關한 몇 가지 事情을 알아 보았다. 1) 授 乳 授乳에 있어서 人工營養의 使用은 都市가 農村보다 使用率이 높았다. 그러나 全體的으로는 3地區 모두 母乳가 絶對多數였다. 母乳에 있어서는 農村이 都市보다 그 率이 높았다. 授乳方法은 大體로 規則的인 方法을 支持하고 있었다. 2) 離 乳 離乳에서는 1年前後에서 30%의 離乳率을 보이고 있다. 離乳時期는 都市가 農村보다 빠른 傾向이 있다. 이것은 後日 自立性에 미칠 養育態度의 一面이기도 하다. 離乳方法은 强制的인 方法보다 無理없는 離乳方法을 要求하고 있었다. 3) 排便 排便에서는 좀더 意識的이고 强制的인 傾向을 보이고 있지만「體罰」은 드물다.「말로 꾸중」과「稱讚」等의 몇 가지 方法을 使用하고 있었다. 이때 稱讚은 都市보다 農村이 낮은 率을 보이고 있었다. 4) 업어줌 업어주는 사람은 主로 어머니였다. 農村이 都市보다 그 率이 낮다. 都市에서는 아파트地區가 그 率이 높았다. 農村에서는 祖母의 投割을 빼 놓을 수 없다. 5) 就寢樣式 就寢에서는 어머니와의 同寢이 絶對的인 數値를 보이고 있고 農村이 都市보다 그 率이 낮았다. 그러나 農村은 아버지와의 同寢率이 都市에 比해 높았다. 이같이 어린이와 父母 特히 母와의 生活은 密着되어 一體感 속에서 그 影響은 매우 크다. 이렇게 볼 때 養育態度는 生活 속에서 表現되며 그대로 生活樣式의 習慣化로 連結된다 하겠다. (2) 養育의 擔當者 1) 主된 擔當者 直接問接으로 接觸하여 좋은 習性과 살아가는 原理를 익히게하는 養育의 主導者는 말할 것 없이 아버지와 어머니였다. 더욱이 어머니는 授乳, 排便, 食事, 인사, 着衣, 就寢에서부터 놀이와 말 배우기, TV보기, 이야기 하기, 책 읽어주기에까지 生活의 主導者였다. 다음이 아버지였고 다음이 祖母와 언니·누나였다. 都市에서는 아버지의 投割을 無視할 수 없고 農村에서는 할머니·언니·누나의 도움을 無視할 수 없었다. 2) 接觸態度 接觸態度에서 都市의 어머니가 農村의 어머니보다 더 接觸的이고 于涉的이었다. 特히 아파트의 母가 甚한 傾向이었다. 都市의 아버지는 農村의 아버지보다 더 許用的이었다. 또 農村의 아버지는 都市의 아버지보다 가장 무섭다는 表現으로 되어 있어 都市의 아버지보다 權威的이고 嚴格的인 態度의 一面을 보이고 있었다. 그것은「누가 텔레비젼 프로그램 選定을 하느냐」에서 都市는 아이 自身이고 農村은 아버지로 되어 있는 事實이 그것을 立證해 주고 있다. 母의 生活은 어린이의 生活 그 自體였고 家庭에 있어서의 모든 社會生活의 主宰는 어머니였다. 故로 父母 特히 母의 垂範的인 態度는 重要하며 그것은 具體的, 實際的, 行動的으로 주어지는 것으로서 養育態度의 重要한 敎育的 意義를 가지게 하는 것이다. (3) 幼兒의 狀態 幼兒의 習慣化된 行動出現에서 父母의 養育態度를 엿볼 수 있다. 幼兒의 狀態把握의 方法으로서 그들의 性格, 自立 및 惡癖 等에 關하여 알아 보았다. 먼저 1) 性 格 性格에 있어서 幼兒에게 나타나기 쉬운 性格特性으로서는「明朗」「活動的」「强意志」「自己固執」「氣가 弱함」「銳敏」等의 特性이 보였다. 都市兒의 性格特性은 意志가 弱하고, 氣가 없고, 小心 주저가 많고 固執性이 强하고 어리광 等의 特性을 보이고 있고, 農村兒의 性格特徵은 울지 않는 便이며, 神經質인 面이 적고, 意志가 强하고, 말이 적고 小心 주저하지 않는 便이었고 活動的이었다. 이같은 都市 農村의 性格特徵의 差異는 바로 父母의 養育態度에서 오는 것이라고 하겠다. 卽 都市父母의 小心許用的이면서 過乘期待的, 干涉的인 養育態度와 農村父母의 權威的이고 嚴格的인 封建性을 띤 養育態度에서 온 것이라고 解釋된다. 2) 自 立 自立에 있어서는 혼자서「걷기」「식사하기」「세면 세수」「옷 입고 벗기」「혼자서 놀수 있다」등의 自立像을 보았다. 위의 自立의 時期가 모든 項目에서 農村보다 都市가 대단히 빠른 것으로 나타나 보이고 있다. 이는 亦是 父母의 接觸態度에서 結果지워진 것이라고 하겠다. 都市父母의 自立에 對한 關心깊은 一面의 態度이기는 하나 過乘速成은 안될 줄 안다. 3) 惡 癖 어린이들에게 흔히 잘 보이는 나쁜 버릇은「손가락 빤다」「밤에 운다」「밤에 오줌」「단정하지 않다」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都市는 農村보다 나쁜 버릇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높은 율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都市의 現象은 干涉的이고 過保護的인 父母의 態度表面에서 오는 一面이라 할까 性急한 야단스러운 態度는 其他의 나쁜 버릇을 惹起시킬 素因이 되지 않을까 하는 解釋도 해 보는 것이다. (4) 養育의 方針 養育의 方針이란 日常生活에서 起床, 就寢, 食事, 禮節, 規則 等에 關한 社會的 行動과, 尊敬, 正直 等과 같은 社會的 價値基準을 習慣化, 內面化하는 養育에 있어서의 原則을 말한다. 1) 期待하는 人間像 期待하는 人間像에서「장래 어떤 사람이 되기를 원하는가」에서는 自己個性과 能力의 發揮人, 孝道하는 사람, 스스로 생각하여 行動하는 사람, 社會奉仕人, 愛國人, 勤勞人의 順으로 되어 있다. 낮은 率을 보이고 있는 것은 純眞着實하고 他人에게 好感을 주는 項目들이었다. 都市가 스스로 생각하여 行動하는 것을 强調한데 對해 農村은 孝道人을 强하게 要求하고 있다. 卽 個人主義中心에 對한 家族指向主義였다. 2) 養育方針의 意見差 養育方針에 關한 父母間의 意見의 差는 그다지 보이지 않고 있고, 이것은 祖父母와 兄 사이에 있어 서로 별다른 意見의 差가 없다고 되어 있다. 다만 農村에서 祖父母가 多少 關與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3) 方針의 決定者와 意見의 主導者 都市에서는 母의 意見이 絶對的이고 農村에서는 父와 母의 意見이 半半이었다. 이같은 現象은 오늘날 母와 女性의 地位와 投割이 크게 달라졌음을 뜻한다. 家庭의 養育에 있어서의 어머니의 投割과 主導는 絶對的이었다. 이같은 養育과 그 方針決定에서 나타난 都市 農村間의 差異點은 오늘날 變遷하는 社會가 주는 時代的인 社會性에서 온것이라 하겠다. (5) 養育의 方法과 理由 養育方法으로서는「垂範과 同一視」「理解와 自覺」「賞罰」等의 方法이 있겠으나 여기서는 賞罰을 中心으로 養育의 方向을 보았다. 1) 方 法 「꾸중을 주는 사람」에서는 어머니의 꾸중이 絶對的인 數値를 보이고 있으며 農村에서는 아버지의 꾸중도 相當하였다. 封建的 特徵의 一面이라고도 하겠다. 「꾸중하는 방법」에서는「타이른다 고 하는 幼兒의 理性에 依한다는 方法이 主로 되어 있다. 體罰은 極히 드물다. 여기서는 都市와 農村의 差異가 거의 없다. 이같은 방법에 對한「幼兒의 反應」은「大體로 말을 잘 듣는다.」로 되어 있다.「말대꾸」는 都市에서 많고,「큰 소리로 운다」와「울면서 잘못을 빈다」는 農村에 많았다. 順從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反應은 多少 對照的이었고 그것은 養育態度의 差異에서 오는 것이라고 하겠다. 卽 都市의 父母가 더 受容的이고, 農村의 父母가 더 統制的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겠다. 養育方法에서「稱讚」은 매우 큰 比重을 차지하고 있었다. 어머니의 稱讚이 제일 많았고, 다음이 아버지였다. 農村에서는 祖母의 稱讚이 대단하였다. 大體的으로 稱讚은 家族 共同의 것이었다. 稱讚의 方法은「말로서 칭찬」이 첫째였고, 다음이「머리를 쓰다듬는다」「안아준다」의 愛撫的 方法이었다. 物質과 興味에 依한 方法은 極少數였다. 愛撫的方法은 都市가 많고 農村은 低率이었다. 2) 理 由 「꾸중과 주의를 주는 理由」를 물었다.「훌륭한 사람이 되라고」가 大邱 90%, 孝睦 70%, 軍成 67%로서 越等한 數値를 보이고 있고, 다음이「父母의 責任」이 大邱 5%, 孝睦 16%, 軍成 25%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農村에서 그 率이 높았다. 이같은 理由는 條件이 없었다. 哀情과 責任을 느낄 뿐이었다. 父母의 眞實한 모습과 態度를 말 해주는 것이었다. (6) 校育環境 環境的 意味는 養育의 雰圍氣와 社會化를 爲한 方法的인 問題와 關聯이 깊다. 1) 놀이場所 「집안」이 大邱 53%, 孝睦 37%, 軍威 29%였다. 孝睦, 軍威는「집밖」이 大部分이다. 主로 學校運動場과 집밖 골목길 그리고 놀이터였다. 아파트地區인 孝睦과 農村地區인 軍威가「집밖」이 많았다. 놀이 場所 問題는 成長發達에 適合한 곳인지 疑問이다. 2) 놀이 相對 「집안」에서는 大體로 兄弟姉妹가 對象의 70%를 차지하고 있다.「집밖」에서는 親舊가 80% 線을 차지하고 있다. 兄弟間의 友愛는 90%線을 보이고 있어 圓滿한 友愛關係의 社會性의 發達을 推測할 수 있겠으나, 兄弟 싸움에서도 相當한 數値를 보이고 있어 綜合的인 樣相 속에서 意味깊은 成長過程을 생각할 수 있겠다. 3) 놀이 種類 놀이 種類는 多樣하였다. 그것은 活氣띈 놀이의 樣相을 보이고 있어, 그 속에서는 놀이를 通한 競爭, 友情, 協同, 社會性 等의 敎育的 價値를 發見할 수 있다 하겠다. 4) 慣習的 行事 年中行事에서 父母의 祈願的인 모습과 즐거움을 엿볼 수 있고, 또 養育態度의 一面을 찾아 볼 수 있는 것이다. 各行事에서「한다」의 出現率만을 알아 보았다.「生日祝賀」에서는 大邱 84%, 孝睦 71%, 軍威 44%이며「秋夕」에서는 大邱 76%, 孝睦 82%, 軍威 62%이고「크리스마스」에서는 大邱 63%, 孝睦 54%, 軍威 49%이었다. 大體的으로 都市에 比해 農村이 低率이다. 여기서는 都市와 農村의 敎育的 雰圍氣의 樣相을 보이고 있고 敎育態度와의 一聯을 알게 하는 것이다. 5) 信仰的 行事 子女敎育에서 宗敎的 投割의 一面을 보았다.「교회나 절에 가게 한다」에서는 大邱 38%, 孝睦 53% 軍威 43%의 關心을 보이고 있다. 大邱가 孝睦·軍威에 比해 弱하다. 또 宗敎敎育에 關한 實踐狀況에서는「매일 가게 한다」와「종종 가게 한다」를 合한「하게 한다」와「안 하게 한다」의 率이 半半이다. 이같은 父母의 信仰的 關心度는 全生活過程을 通해 基低的 土臺가 된다는 뜻에서 敎育的 意義가 크다 하겠다. 이같이 敎育的 環境의 一面을 보았다. 生活環境은 곧 敎育環境이다. 父母들의 놀이生活의 環境造成과 年中行事나 宗敎的 態度表現에까지 關心을 기울여서 敎育的 環境 造成에 意圖的인 努力이 要求된다 하겠다. (7) 養育態度의 世代差 養育態度가 世代的으로 變해 나가는 一面과 比較的 不變의 一面을 보았다.「變化가 있다」와「없다」가 모든 地區에서 다 認定되고 있다. 卽 變化와 不變이 맞서고 있다. 또 都市는「變化가 있다」에서 農村보다 率이 높고 農村은「變化가 없다」에서 都市보다 率이 높다. 또 都市는 農村에 比해 進取的이었고, 農村은 都市에 比해 傳統的이었다. 結局 過程의 差는 있으나 大體的으로 養育態度는 變해 나가려는 一面과 傳統性을 지키려는 一面을 다 가지고 있다 하겠고, 이것은 養育態度의 世代差는 肯定的이며 權威主義에서 民主化의 過程 속에 있음을 認定하게 한다 하겠다. (8) 養育態度의 問題性 子女養育에 있어서 父母는 自身들의 誠意와 보람을 크게 느끼고 있으며, 매우 자랑스러운 것으로 나타내 보이고 있다. 그리고 養育態度는 매우 積極的이며 進步的인 것이었다. 그러나「장래에 어떤 점을 걱정하는가」의 물음에서는 社會風潮, 親舊關係, 地城社會의 惡影響, 메스 커뮤니케이션의 影響, 學校敎育의 缺陷, 父母의 素養不足 等이 모든 條件들을 걱정하고 있었다. 이같은 條件들을 變遷하는 社會에서 子女敎育에 있어서 어떻게 克服할 것인가의 問題는 매우 深刻하며 어려운 問題性을 안겨주고 있다 하겠다. This research is attempted to give a help to the effective methods to form desirable characters of children's behaviour in their infancy, through the analytic inquiry into the parental attitude in bringing up their children. In this changing society, this kind of problem should be always studied as a new problem in its realistic mean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 matters treat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circumstances of upbringing (2) The person in charge of upbringing (3) The state of an infant (4) The course of upbringing (5) The way of upbringing and the reason for it. (6) The environment of upbringing (7) The generation gap of educational attitude (8) The problems of educational attitude Therefore the object examined here was three hundred parents, who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istricts they belong to: city, apartment region, rural community.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in bringing up their children the parental attitude has a direct influence on habituating to a desirable mode of behavior in their children's daily life. It is also shown that the two kinds of parents in city and country differs in their educational attitude. Accordingly, children show different reactions. As a result, in bringing up their children, the parental attitude is much significant, for habituating themselves to a desirable behaviour is the foundation of developing good personalities in their future.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on the part of the mother, for the mother's role is direct, real, active and concrete more than the father's. As a conclusion, I suggest that in bringing up their children the parental attitude be amended according to reactions of their children.

      • KCI등재후보

        미술과 교육과정 실태와 운영방향 : 2002학년도 신입생 적용 전국교육대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중심으로

        정동철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8 No.2

        2002학년도 신입생부터 시행하기 시작한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이 어디에 있는가를 알아보고, 교육과정 각 영역별 (교양과정, 전공과정, 심화과정, 졸업논문 등)로 그 실태를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거기에 대한 문제점과 운영방향을 찾아 제시한 논문이다. 그리고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관련 영역 교과목의 명칭 설정, 교과목 내용의 개요 분석 시간 수 및 학점 배당에 대한 각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점·유사점·상이점 등을 찾아 앞으로의 개선 및 운영방향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 學校體育敎育 强化를 위한 國家 施策의 成果分析 : 國民學校 體操競技를 中心으로 Centered on a Primary School Gymnastics Competition

        金日煥 대구교육대학교 1975 論文集 Vol.11 No.-

        表題로써 學校體育敎育 强化를 위한 國家 施策과 連關지어 各 市·道別 國民學校 體操競技의 發展相, 施設, 指導者 問題, 그리고 이와 깊은 관계가 있는 全國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 등에 대한 實態調査의 結果는 前節의 分析 및 解釋을 通해서 大體的인 傾向을 살펴 보았으나 이를 土臺로 해서 그 大要를 結論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各 市·道 國民學校 體操競技의 實態 (1) 1972年 以前에도 各 市·道 體操協會에서는 國民學校 體操競技의 重要性을 認識하고 每年 體操大會를 開催한 市·道가 50%(5개 市·道)인 데 反해서, 全혀 開催한 事實이 없는 市·道가 40%(4個 市·道)이다. 그리고 1972年의 學校體育敎育 强化 方案, 第1回 스포오츠少年大會의 開催 등 學校體育 振興을 위한 國家 施策이 發表된지 不過 4年이 지난 1975年 10月 現在, 全國的으로, 國民學校 體操 티임이 60개(男子 26, 女子34)로 늘어 났으며 施設面에서도 크게 向上되었다. 즉 1個校에서 男子 施設 完備가 12개校 男子 施設 完備가 16個校, 女子 施設 完備가 17個校로서 全國的으로는 45個校에서 體操競技를 위한 施設을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特히 技術面에서는 飛躍的인 發展相을 나타내고 있다. 表4에서와 같이 國民學校 全國 上位 티임의 水準(難度面에서)은 男子의 경우 매트운동에서 90%(9個 市·道), 뜀틀운동에서느 80%(8個 市·道)가 一般 및 大學과 같은 水準이라고 지적하고 있으며, 女子는 매트운동에서 70%(7個 市·道), 뜀틀운동에서 60%(6個 市·道)가 男子의 경우와 같이 一般 및 大學의 水準이며 特히 女子의 平均臺運動은 60%(6個 市·道)가 國際級 水準이란 奇跡을 낳았다. (2) 外國 女子 體操選手들의 年齡과 특히 우리 나라 女子 體操選手들의 發展相을 考慮하여 表9에서와 같이 國民學校 女子 種目에 女子 平均棒의 必要性을 質疑한바 70%(7個 市·道)가 贊成을 表示하고 時期尙早가 20%(2個 市·道)의 順으로 보아, 꼭 實踐에 옮겨야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둘째 全國敎育大學 體操施設 現況 이것은 學校體育敎育 强化 方案에서 "體育 施設의 擴充에는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에 優先 投資한다."와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은 體操 競技場으로 活用한다"에 根據를 두고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을 調査한 바 表11-1과 같이 男子 6種目, 女子 4種目의 完全한 施設을 갖추고 있는 곳이 13%(2個 大學), 男子 6種目의 施設을 갖춘 곳이 6.7%(1個 大學), 그리고 75%(12個 大學)가 아직 施設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表11-2와 같이 國民學校 體操競技의 可能性에 대해서는 46.7%(7個 大學)가 可能하며 53.3%(8個 大學)가 不可能하다로 나타났다. 이러한 現狀은 飛躍的으로 發展하고 있는 國民學校의 實情에 비추어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이 너무나 未備함은, 表7에서와 같이 各 市·道 大表티임을 指導할 수 있는 敎師의 數가 不足한것과도 깊은 關係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體育 振興을 위한 國家 施策 그대로,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은 體操競技場으로도 活用할 뿐만 아니라 敎師의 資質 向上을 위해서도 반드 完備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four years after the national policy for strengthening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we have now an increased number of 60 gymmastics teams and 45 schools which are provided with gymnastic equipmens and facilities throughout the nation. 2. the primary school gymnastic level of high technical skill comes nearly to tha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especially the female balance beam developed to about the international level. 3. considering fact that the 60% of such technical development relies nearly on the team coaches, the complete provision of facilities and the strengthening of gymnastic by the Junior Teachers College are urgent for the improving of teachers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