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공공기록물의 관리 실태 및 발전 방안 : 국립 공주대학교를 중심으로

        박효숙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각 대학에 관련된 기록들은 해당 대학이외에서의 체계적인 보존관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각 대학의 관리소홀로 인한 기록의 산일 및 소멸은 직접적으로 그 대학의 역사적 기록물의 상실로 이어진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교사편찬을 간행하고 있다. 공주대학교 역시 50여년의 역사를 가진 대학으로서 1998년 50년사를 편찬한 바 있다. 편찬의 근거 자료는 공식적인 기록물을 참조하여 편찬된 것이 아닌 대부분 구술에 의해 서술된 것들이거나 사문화된 문서를 참조하여 서술된 것들이다. 이러한 편찬 참조 자료는 원소장자에게 돌려주고 현재는 발간 당시의 사진 자료집 이외에는 기록물 원본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자료관리는 공공기록물의 관리에서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학의 공공기록물 관리 현황을 살펴본 것이다. 실태 분석 결과 대학의 기록물 관리는 생산단계부터 체계적인 관리가 되고 있지 않으며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보존, 관리 또한 법률에서 규정한 사항들을 이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상황을 개선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대학 내 기록물 관리에 대한 인식의 확산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본 연구 결과, 대학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기록관리문화의 정착이다. 현재와 같은 우리의 현실에서는 대학기록 관리대상 범위의 연구는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기록관리문화의 정착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기록물 생산을 가급적이면 지양하는 행위와 기록물을 단순히 행정의 투명성을 위하여 생산되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논리가 아니라 제대로 관리된 대학기록물은 역사자료이자 문화의 보고이며, 교육자료 활용, 사회 연구 등 관련 연구분야의 정보자원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둘째, 전문관리기관 설립 대상 기관으로의 규정이다. 대학의 특성을 감안하면 대학은 자료관이 아닌 전문관리기관으로 운영이 되어야 한다. 법률에 의한 자료관은 관리하여야 할 대상기록이 법적으로 분명하며 (준)영구 기록물은 정부기록보존소로 이관하고 있다. 현실은 (준)영구 기록물을 제외하면 보존기간 경과라는 이유로 모든 기록물이 폐기되어왔던 상황이다. 대학에서 중요기록물을 보존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를 설립하여 효율적인 기록관리를 해야 한다는 기록물관리에 대한 인식수준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에 (준)영구 기록물을 자체 보존하지 않는 자료관 설립기관으로 지정한 현 법률은 기록물관리기관 설치를 주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해당 대학의 기록물은 그 대학에 보존될 때 자료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록물의 가치를 발휘하기 때문에 대학자료관은 전문관리기관 설치 대상기관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셋째, 기록관리시스템의 구축이다. 대학 내 다양한 기록물을 관리할 수 있는 기록관리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 기록물의 관리는 생산단계의 기록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생산기록물 현황분석결과 중요한 행정기록물이 생산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록물은 보존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생산단계부터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지금까지 시행해온 기록물 관리에 대한 법률은 행정기관이나 교육기관을 막론하고 모두 일률적인 기록물관리를 하여왔다. 대학은 여러 형태의 다양한 기록물이 생산되는 기관이다. 따라서 다양한 기록물을 생산단계부터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록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대학기록물처리일정표가 제정 되어야 한다. 분류기준표의 도입배경 http://www.archives.go.kr/(기록물분류기준표 운영요원 교육교재) 에서 볼 수 있듯이 앞으로 시행될 분류기준표는 현행 공문서분류번호/보존기간표(1997)를 대체하는 제도이다. 공문서분류번호/보존기간표는 기능별 10진 분류법에 입각하여 사용상의 불편과 오분류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중앙기관 위주 작성으로 지방자치단체·각급학교 등의 업무 반영이 미흡하며, 약 5년 단위로 수정 및 증보(增補)되어 변화하는 행정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로 대체하는 제도인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시행될 분류기준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공문서분류번호/보존기간표보다는 기록물의 생산·보존·활용측면에서 보완된 기록물제도이다. 하지만 분류기준표의 단위업무사안조사는 현재 업무담당자의 조사표 작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업무담당자의 관점에서 보존기간을 정하고 보존기간을 책정한 것이다. 대학의 기록물에 대한 업무담당자의 관점은 기록물관리 담당자 및 대학 내 교육가, 대학 관련 연구자들의 관점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보존연한을 산정하여 획일적인 표준안을 서둘러 마련할 일이 아니다. 일반 행정기관과는 달리 대학은 공공기록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록물을 관리하기 위한 기록물의 자치적 운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대학기록물처리일정표 제정을 위한 제도적 규정이 제시되어야 하겠다. 지금까지 사례연구로 대학의 실태분석을 통한 대학기록물 관리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기록물관리법에서 자료관은 행정적인 업무처리와 관련된 기록으로 관리범위를 한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대학의 기록물은 단순한 행정적인 업무처리 중에만 생산되지 않는다. 오히려 정규적인 행정업무외의 교수활동이나 학생활동에서 대학의 활동을 입증할 수 있는 기록들이 생산되고 축적된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를 기초로 대학 공공기록물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및 대학의 다양한 기록물의 특성에 따른 대학기록물 자치를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제시되길 바란다. This study is mainly carried out concerning the public records and archives which have been treated as an object to be managed in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Agencies Act. On the basis of a current analysis on the cre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records and archives, the management state, then follow-up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have been sought. In an effort to analyze the current management state in a concrete way, the processing results of public records and archives in Kong Ju University for the year of 2002, have been adop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Based on many problems which have been exposed in the wake of the survey of management state on records and archives in Kong Ju University, some plans for the sake of the improvement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the university, have been suggested. The result of this current analysis has it that neither the systematic management for the records and archives of the university has been carried out since the creation of records and archives, nor have been made any institutional devices to conserve and manage them and to implement the regulations, prescribed in the law. As a result,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records and archives,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taken in advance. First, laying a foundation for the recognition of the records and archives is necessary, not for the behaviors that hesitate to create records to evade the responsibility, and not for the general logic that the creation of records is needed only to enhance the administrative transparency, but for the fact that the well-managed records and archives of the university, serve as not only a historic and cultural data warehouse, but also an information source of educational data and other related researches such as the social study. Second, in a bid to manage various types of records and archives on the campus, a records management system should be installed. The analytic study of current records management state found that any administrative records were not created. For that reason, not only the conservation of the records and archives, but also the management of them since their creation, is necessary. Because the university can create various types of records and archives,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m. Third, an order table for the treatment of the university's records and archives should be made out. The Record disposal schedule, maybe adopted in the near future, is one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s which makes up the weak points in terms of the creation, conserv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cords and archives, while the record schedule are currently used to manage them. However, the unit survey of working issue on the Record disposal schedule, is only conducted by the person in charge carrying his/her self-produced survey list, so the conservation period of them is set on his/her own judgement. The person in charge may have some different point of view on the records and archives from other records managers, faculty members, and related researchers on the campus. Therefore, the person in charge should not make haste to set a unilateral standard, fixing the conservation period of his/her own will. Unlike other gener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he university should be allowed to govern itself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not only of the public records and archives, but also of the various types of records. To this end, the institutional regulations should be suggested first to make out the order table for the records and archives of the university. Forth, the university should be designated as an object institution to set up an archiv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Agencies Act a record center is just allowed to manage some legally approved records, and the semi-permanent and permanent records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archival institution. Except the semi-permanent and permanent records, till now, other records have been discarded under the pretext of the expiration of validity period. The current law that doesn't permit the record center to hold the semi-permanent and permanent records, may act on as one of the unfavorable factors to hamper the installation of a records management center. On the ground that all records and archives should be conserved in the pertinent university to strengthen the application and utility value of them, the university records center should be designated as the object institution to set up the archival institution.

      • 대학 시설 및 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연구 : 공주대학교를 중심으로

        안경섭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oriented society, the present university education have changed into a student-centered and interactive education curriculum which focuses on self-control and initiativeness from the previous single-directional education. Therefore, mor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university facilit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school are being required. However, universities in Korea have insufficient data on education facilities and equipments and this is being a detrimental factor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education quality. Likewise, university facilities should be planned simultaneously and by equal weight with the education plan. Thus, as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in universities are diversified and modernized, systematic and professional university facility administration and space management are being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definition of university facilities, the changing process of university facilities and the changes in university environments through a documentary survey on academic papers and special works. Also, in order to look into the actual conditions of overall space management of universities in Korea, the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y space management and computerized system in national universities and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with Kongju national university. From the result, the problem in facility management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could be divided into the problems in facility management department and the problems in facility management system. As for the problems in facility management department, unbalance in department structure due to unusual position distribution, heavy workload and unfair distribution of workload, position based workload distribution and weak correspondence to the demand for new facility are the problems found. Regarding the problems in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sufficient specialists in facility management, shortage of economic resources for facility management, ex-post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absence of professional facility management technology, absence of standardiz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re the problems observed. Hence, for more efficient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save budget by stationing the specialized human resource and economic resource to the right places and to optimize space utilization together with building up a systematic asset management system. To ease the problems of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study provided plans to improve the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as follows. First, for betterment of facility management department, the study provided plans on reformation to healthy structure, balanced distribution of human resource, flex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utsourcing. Second, for betterment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e study provided plans such as expansion of asset and economic resource, building up an ex-ante facility management system, establishment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establishment of knowledge based system of facility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standardiz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ird, for the systematic administration of university facility space management, the study provided the objective of space management and basic principles. Fourth, the study provided practical tools for efficient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such as space cost accountability, space endowment standard, computerization of space utilization time and central control, space utilization rate study,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performance index a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However, the schemes provided in this study are still not realizable without formation of the concept of public in university facilities. In particular, to enforce space endowment standard or space cost accountability in universities emphasizing self-regulated administration, there should be a strong promotion by the management and members of universities; and a clear goal of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is important as well. In other words, it should be administered fairly and consistently to every user, and should be able to secure the maximum efficiency in facility utilization and to cope with future changes efficiently.

      • 오행의 편중에 관한 병리현상 사례 연구

        부소윤 공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람의 수명은 흔히들 八字에 달려 있다고들 한다. 그러면서 사람의 팔자에 오행이 균형 있게 고루 분포되어 있으면 일생이 건강하고 오래 살수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인간의 생로병사는 동서고금의 부귀빈천을 막론하고 피할 수 없는 절대적 숙명이며 현대 의학이 관심가져야할 문제다. 그래서 100세 시대, 무병장수가 최고의 복으로 쳐질 정도로 관심이 쏟아지는 속에 유튜브 등 미디어를 둘러보면 온통 건강에 관한 정보와 지식이 넘쳐나고 있다. 인간의 역사는 질환의 역사이다. 인간이 출현한 그 때부터 질환은 늘 인간과 함께 했을 것이다. 역사를 면면히 분석해 보면, 사람에게 가장 큰 재난이 된 것은 전쟁이나 그 외의 다른 어떤 요인보다 질환을 먼저 꼽을 수 있다. 김채린(2017), 「삼명통회의 질병론에 관한 연구」,공주대학교대학원(석사), p.4. 인간은 어째서 병들고 늙으며, 또한 죽음에 이르게 되는 것일까? ‘오는 순서는 있어도 가는 순서는 없다’라는 말이 있듯이 절대 절명을 하늘의 뜻으로만 맡겨야 하는 것일까? 이를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길이 없을지? 그래서 다수의 사람들이 오래도록 수명을 길게 누리면서 미리 병증을 예방하고 살 수 있는 길이 있을까? 본 논문은 이런 의문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사주 명리학은 인간의 생년월일시라는 60개의 갑자를 이용해 길흉화복을 추명하는 학문이다. 김동욱(2013), 「질병에 대한 사주 명리학적 접근과 생체에너지론적 접근간의 비교연구 -실증적 사례분석을 통한 상관성 규명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대학원(박사), P.7. 선인들은 사주 명리학을 통해서 음양오행과 일간, 간지의 상관관계에 근거해 인간의 미래를 예측하고 체질적인 장, 단점을 밝혀 왔고 사주 명리학에 기준해 의학으로 발전해 왔던 한의학에서는 인간 몸의 균형을 지키려면 지나침과 모자람을 연구하며 오장의 편승편쇠를 판단해서 정기를 보존해야만 한다고 한다. 김동욱(2013), 「질병에 대한 사주 명리학적 접근과 생체에너지론적 접근간의 비교연구 -실증적 사례분석을 통한 상관성 규명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대학원(박사), P.19. 본고에서는 四住 命理學이라는 未來 豫測의 기틀을 가지고 五行의 不均衡에 따른 사주의 體質을 分析하고 질환을 분류하고 질환이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들을 꼽고 난 뒤에 실제로 질환이 발병한 四柱를 연구해 보는데, 이 연구는 사주 명리학을 통하여 질환을 치료학적 목적이 아닌 예방학적 목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오행의 편중에 따른 질병과의 연관성에 관한 논문은 총 수십여 편의 논문이 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논문 사례를 살펴본다. 문재호는 사주팔자학과 運氣學을 이용해서 이론적으로 한의학과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문재호(2008), 「명리학과 운기학의 질병 예측 비교 연구」, 동방대학교대학원(박사). 이 연구는 사주팔자와 한의학과의 연관성을 고찰한 논문으로 일정한 가치가 있으나 사주명리학의 이해가 부족하여 심화연구가 부족하였다. 박주은은 오행의 태과허실에 의해서 질병 발생률이 유의미하다고 보고 통계 분석을 했다. 박주은(2020), 「사주오행에 있어서 태과허실의 질병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석사). 이 연구는 사례 분석을 현대적 통계 분석을 한 것은 분명한 의의가 있으나 임상의 사례가 구체적이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삼아 오행의 편중으로 인해서 질병이 발생하는 사례를 분석하여 그 현상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韓醫學과 동양철학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맥을 기준으로 해서 동양철학의 시각에서 오행의 불균형에 의한 병증을 나누어 分析하고 실제 케이스를 언급하면서 둘의 연관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 中國人 留學生의 大學生活滿足度 決定要因에 관한 硏究

        유몽아 公州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지금의 세계화 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국경의 의미가 희박해지고, 전통적인 산업사회에서 벗어나 정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한 지식기반사회로 이루어지고 있는 배경에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외국인 유학생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학의 동기를 파악하고 이에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선택요인(교내요인: software요인, hardware요인; 교외요인: 개인요인, 기타요인)에 대한 기대치와 실제 재학 중 만족도간의 차이검증을 통해 한국의 대학교들은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하여 유학생활과 관련된 정책이나 시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 유학 온 중국 유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여 추출된 표본 집단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에 대한 자료처리는 SPSS WIN12.0을 이용하였다. 먼저 중국유학생들의 기대치와 만족도에 대한 분석하고 다음으로 공주대학교와 타 대학 간 기대치와 만족도차이분석, 마지막으로 공주대 유학생들의 기대치와 만족도차이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에 한국의 대학교들이 외국인 유학생에게 제공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경쟁력과 학교수준이미지;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유학지원시스템과 학교 안에서 홍보수집프로그램; 교류활동에 자국 유학생 간의 교류와 한국학생과 교류활동; 기숙사 및 편의시설에 학교의 교사시설과 학교 안에 편의시설; 교외요인에 학교주변에 문화 시설과 비자 신청절차에 대한 높은 기대치보다 외국인 유학생들을 만족시키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서 한국대학이나 정부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생활과 관련된 정책이나 시설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충분한 시설, 설비 확충, 질 높은 교원 확보 등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에게 학교 홈페이지에 유학생활 관련된 Q&A 사항, 입학, 학사, 등록금, 기술사, 졸업, 취직 등 정보를 제공해주고 자국학생의 교류활동과 한국학생의 교류활동프로그램을 많이 할 수 있도록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문화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교사시설, 교내 편의시설, 학교주변문화시설에 대한 개선을 통하여 유학생활의 질을 높여야 것이다. The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motes the globalization of knowledge. Under such a backgroun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want the college education continuously grows. This researcher studied Chinese students' motivation of studying in Korea and their satisfaction for the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expectation(before entering university) and the satisfaction(after entering), this researcher supplied the method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s.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of 450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adopted SPSS WIN 12 .0 for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From investigating 450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firstly it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s. And then it analyzed and compared the difference of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by approaching the inner reasons and external reasons with focusing on Chinese students who studying at Kongju National University. Finally it drew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 and the satisfaction for Chinese students of other universitie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Korean universities and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a consideration as below. 1. University Education Supply: Each university competitive advantages, Global positioning at each academic part. 2. Inner Campus Supporting Program: Overseas Studying supporting program, each university's independent & unique service center operation. 3. Communication Upgrade Program: Communication among Chinese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or other nations students. 4. Foreign Student Welfare Improvement Program: Dormitory, Restaurant, Sports Center, Classroom, Cultural Experience Center etc. 5. External Campus Upgrade Program: Diverse Cultural Experience Opportunity, Student Visa Acquisition Supporting Center, Safety & Healthy Life. Korean Government needs to have more consideration for Chinese students in future. Because China has held the number one position for last ten years at the ranking of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for each nation. In addition this trend will not change for a long time in future.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 beneficial for making an effective policy to take more students as well as high quality students from China.

      • 공주교육대학교의 역사와 교육도시 공주의 이미지 형성

        전진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y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its origin to the early 1970s. The reason why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chosen was because of its unique status. The school was reorganized into Gongju National University following the context of Gongju Women's Normal School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Gongju Normal School after liberation. The transition of this school served as a regional or periodical significance in two ways. First, it is the consistent purpose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name and system of the school have changed several times, but the purpose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remained unchanged from its origin to the pres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y of this school is directly related to the history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The following is the link betwe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Gongju Women's Normal School was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in the region caused by the relocation of Chungcheongnam-do. Local residents attempted to urbanize education as a way to overcome the identity of the administrative city lost due to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The community continued to campaign for the attra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school, making it an important asset of their city, and the school communicated with the community through high-quality human resources and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feasibility. In Chapter II, Gongju Women's Normal School was the result of the residents' strong campaign to attract schools using the Joseon Governor-General's policy to expand the teacher's school. The goal of fostering female teachers by the Governor-General of the Joseon Dynasty was to emphasize "Home Economics" and meet the "for war preparations" with diligence and thrift within the family. In addition, practical subjec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were strengthened in line with the war preparations system. In order to strengthen such a curriculum, a life guidance center was built and the dormitory system was adhered to. Gongju Women’s Normal School teacher education had a strong state-led nature and received ful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Joseon Governor-General. The school was seen by local residents as a reward for the relocation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Residents organized an established association to attract government-run teachers' schools and even raised a large donation of 100,000 won from the local residents. In other words,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used the wishes of local residents to extract the expense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eacher school and the construction of the teacher. However, it has an important regional historical meaning in that it is an important image symbolizing Gongju, an educational city of Gongju Women's Normal School during this period. Chapter III,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Japanese-style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ithout being liquidated. Naturally, Gongju's training of teachers was difficult and revealed her limit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is, Gongju Women's Normal School and the local residents ask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Kongju Normal College, more actively to save the reg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Kongju Normal College, the Gongju Women's Normal School not only gave away the School building, but also used human resources, the faculty. The three departments opened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Kongju Normal College, they were Korean literature, Mathematics, and Home Economics. In order to emphasize the subject of the "Home Economics," Gongju Women's Normal School was equipped with school buildings and teachers related to Home Economics, including life guides. By utilizing this, Kongju Normal College was able to be established by conducting a campaign to persuade the authorities that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teacher's college at a low cost. After liberation, there was a widespread perception among local residents that Gongju needed to develop into an educational city. In Chapter IV, the transformation and reorganization of Gongju Normal School from 1951 to 1962 were intensively reviewed and discussed. As the elite-centered women's Normal school changed to a coeducational system, it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ty. The reorganization of the coeducational system during the Korean War guaranteed military service benefits for male students and employment after graduation. Many male students in the area who were able to obtain such information quickly entered Gongju Normal School. The fact that 57.4% of Gongju Normal School graduates in 1954 are from Gongju proves this. With the existence of Gongju Normal School, small forms of commerce for schools and students along with boarding have developed in the community. This landscape of the Gongju area clearly revealed its distinctiveness from other regions and made it unique as the 'local color of Gongju'. A structure has been established in which the community benefits economically through the Gongju Normal School. This fact means that Gongju Normal School has been 'localized' by strengthening its identity as 'Gongju’s School' rather than simply a school in the region. In Chapter IV, the Gongju College of Education started uneasily. At that time, the symbolism of the teacher changed due to the lack of appointment and low treat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fact also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ommunity. Most of the students are children of rural families, and Gongju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who will become teachers in rural areas after graduation have been given the role of enlightenment and mental reform in rural areas to revive the rural economy. By government authorities and schools, students had limited club activities and were actively mobilized for volunteer work in rural areas. The rural volunteer work of shift students was intertwined with the interest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school. Previously, the profits gained by the local community through schools changed more actively from passive methods such as Boarding house and Small consumption activities to Volunteer activities in rural areas and the mobilization of students without pay. Firs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school history itself.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by using an academic approach. Second, the meaning of local history of school history was considered. In particular, Gongju is an "educational cit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was significant due to the periodical transition of the Gongju shif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f the community was cut off from the government-run Gongju Women's Normal School, the teacher's school after liberation interacted with the community and changed to 'localization of schools'. Third, the meaning of school history in educational history was considered. It can be said that the periodical changes and educational policies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ignificant as a way to check in detail how they were being realized at the school site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its policy. Fourth, the student life culture, student culture, youth culture, or teacher culture for each period were examined by period by reflecting the awareness of problems such as life culture history. As a result, it was found in detail that Gongju Women's Normal School and Gongju Normal School, the roots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not established independently, but were obtained through strong aspirations and establishment movements of local residents, and sometimes "fighting" of sacrificial fundraising and cost investment. Other schools may be the case, but especially in the case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have been able to maintain their reputation and reputation for a long time as they interact like this. Gongju area is a city that is recognized externally as an "educational city." The strongest background and foundation that forms the basis is the existence of a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have formed a deep bond with the local community as a university that performs a consistent purpose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fore, the history of this Gongju shift cannot be considered entirely as that of Gongju shift. Some of the history can be regarded as for local residents.

      • 장애유형별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정명숙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analyzing and comparing of teacher’s satisfactory rate depend upon their gender, career and education on various special school such as blind, deaf, mentally, physically or emotionally challenged.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used is “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 TJSQ” provided by No Jong Hui(2001). Mathematical and statistic data analysis were done by ANOVA(Analysis of variance) and t-verification with variation level of p < .05, p < .01.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based on above methods. First, teacher’s satisfactory rate on different special schools shows differently depends upon their self development, innovation, camaraderie and professionalism. In self development fact, teachers of ECS(emotionally challenged school) show higher satisfactory rate than teachers of MPCS(mentally & physically challenged school), and in innovation fact, teachers of BS(blind school) and DS(deaf school) show higher rate than MPCS. Also in camaraderie fact, teachers of BS, DS and MPCS show higher rate than teachers of ECS. In professionalism fact, the satisfactory rate of teachers of DS is higher than teachers of ECS. Second, this study found no relation between gender and satisfactory rate on any special school. However, female teachers of BS show higher satisfactory rate than male, and male teachers of MPCS have higher rate than female in innovation fact. Third, teachers of all special school by different careers shows different satisfactory rate in innovation as well as camaraderie. In innovation fact, teachers of career less than 5 years have higher satisfactory rate than those of career more than 21 years, and in camaraderie fact, teachers of career less than 5years and more than 21 years show higher rate than those of career between 11 to 15 years. Fourth, in all special school, teachers who have graduate degree show higher rate than those who have only bachelors’ degree in innovation and self development facts, however, teachers of bachelors’ degree have higher rate than those of masters’ degree in camaraderie and responsibility facts. In responsibility fact, teachers of bachelors’ degree have higher rate than those of graduate degree in blind school. In physically challenged school, teachers of masters’ degree show higher satisfactory rate than those who have only bachelors’ degree in innovation fact. In emotionally challenged school, teachers of masters’ degree have higher rate than those who have bachelor’s degree in autonomy fact, but, teachers of bachelors’ degree show higher rate than those of masters’ degree in professionalism fact. This research raises following suggestions. The reason different satisfactory rate among all teachers in different school, this study believes, caused by different kind of handicap. Therefore, new plan for higher satisfactory rate should be established depend upon the types of handicap. Second, although gender has no relationship with satisfactory rate, because the study shows that female teachers have higher rate than male in BS, and male teachers show higher rate than female in innovation fact, this research suggests finding what effects gender in satisfactory rate fact. Third, the fact that less career teachers have higher satisfactory rate than career teachers is reflection of the enthusiasm of new anticipation by less career teachers. However, this study alone can’t conclude career teachers are less innovative than less career teachers. Fourth, in all special school, the fact teachers of masters’ hold higher satisfactory rate than teachers of bachelors’ in self development and innovation facts is the reflection of pride and anticipation of those who holds masters’ degree. This study provides basic analysis as well as comparison of teacher’s satisfactory rate by their gender, career and education level in all special school, as a data of stepping stone for future study. 이 연구는 장애유형별(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성·경력·학력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 노종희(2001)의 “교사 직무만족 질문지(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JSQ)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는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와 t-검증을 실시하여 p < .05, p < .01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형별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발전성, 혁신성, 동료애, 교직의식 요인에서 차이가 있다. 발전성 요인에서 정서장애학교의 특수교사가 정신지체학교의 특수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고, 혁신성 요인에서 시각장애학교와 청각장애학교의 교사가 정신지체학교의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으며, 동료애 요인에서 시각장애학교, 청각장애학교, 지체장애학교, 정신지체학교의 특수교사가 정서장애학교의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또한, 교직의식 요인에서 청각장애학교의 교사가 정서장애학교의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둘째,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는 성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지만, 시각장애학교의 여교사는 남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고, 정신지체학교의 남교사는 여교사보다 혁신성 요인의 직무만족도가 높다. 셋째,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는 경력에 따라 혁신성과 동료애 요인의 직무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다. 혁신성 요인에서 5년 이하의 경력 교사가 21년 이상의 경력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고, 동료애 요인에서 5년 이하와 21년 이상의 경력 교사가 11년-15년 경력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넷째, 특수학교 교사는 발전성 요인과, 혁신성 요인에서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가 대학을 졸업한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으며, 업무부담 요인과 동료애 요인에서 대학 졸업 교사가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시각장애학교 교사는 업무부담 요인에서 대학을 졸업한 교사가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지체장애학교 교사 중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는 대학 졸업 교사보다 혁신성 요인에서의 직무만족도가 높다. 정서장애학교의 교사 중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는 대학 졸업 교사보다 자율성 요인에서의 직무만족도가 높고, 교직의식 요인에서 대학을 졸업한 교사는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장애유형별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학생의 장애 특성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장애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의 직무 만족 제고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는 성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시각장애학교의 여교사는 남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고, 정신지체학교의 남교사는 여교사보다 혁신성 요인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바, 성별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셋째, 혁신성 요인에서 낮은 경력 교사가 높은 경력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낮은 경력의 교사의 교직에 대한 혁신적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결과만을 가지고 오래된 경력의 교사가 덜 혁신적이라고 볼 수는 없으므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넷째, 특수학교 교사는 발전성 요인과, 혁신성 요인에서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가 대학을 졸업한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은 자기 계발과 자아 발전의 측면에서 대학원을 진학하고 졸업한 교사의 발전과 혁신에 대한 기대적 심리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장애유형별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성, 경력, 학력에 따라 알아봄으로써,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법학전문대학원 학습자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김영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만족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제도는 최근인 2009년부터 시작했다. 그래서,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 시스템은 아직 미완적인 부분이 있고 진행 중이다 . 법학전문대학원의 좋은 교육시스템을 완성하기 위해서, 학교 시스템 의 현재 학생의 요구분석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문제 Ⅰ ] : 학생의 배경변수(성별, 학부전공)에 따라 학습지도영역의 만족도의 차이 [ 문제 Ⅱ ] : 학생의 배경변수(성별, 학부전공)에 따라 진로지도영역의 만족도의 차이 [ 문제 Ⅲ ] : 학생의 배경변수(성별, 학부전공)에 따라 행정서비스영역의 만족도의 차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 학생의 만족도는 세 가지 영역(학습지도영역, 진로지도영역, 행정서비스영역) 모두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둘째, 학부전공에서 법학을 공부한 학생그룹은 다른 그룹보다 학습지도영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성별그룹은 세 가지 영역(학습지도영역, 진로지도영역, 행정서비스영역)의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공주 학봉리 窯址활용 방안

        민혜정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문요약 이 논문은 공주학봉리요지(公州鶴峰里窯址)와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의 문화유산 가치를 ‘어떻게 되살리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공주 반포면 계룡산 자락에 위치한 학봉리 요지는 조선의 분청사기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적이며, 국내 최초로 도자기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이다. 1927년에 1차 조사가 있었고, 1992년에 2차 발굴조사에 이어 1993년에 추가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공주 학봉리 요지는 분청사기 주요 생산지였으며, 거의 모든 종류의 도자기가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에 새겨진 연호(年號)와 관청명(官廳名)을 통해 분청사기의 편년이 가능해졌고, 공주 학봉리가 철화분청의 주요 생산지였음이 밝혀졌다. 우리나라 도자문화사(陶瓷文化史)에서 분청사기(粉靑沙器)는 14세기에서 16세기까지 약 150∼200년 정도 유행했다. 분청사기의 장식 기법은 상감, 인화, 조화, 박지, 철화, 귀얄, 덤벙 등 7가지 방법이 있다. 공주 학봉리 요지는 철화기법으로 제작한 철화분청이 유명하여 ‘계룡산 분청사기’ 또는 ‘계룡산 철화분청사기’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공주학봉리요지(公州鶴峰里窯址)는 1990년에 사적으로 지정되어 국가지정 문화유산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문화유산 활용이라는 시각에서는 백지상태와 마찬가지이다. 활용 가능한 공간이 전무한 상황이며, 활용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공주 학봉리 요지의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 문화유산으로 활용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간적인 활용 방안으로는 최소 공간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라키비움(Larchiveum) 건립을 제시하였다. 라키비움은 활용 공간이 협소한 학봉리 요지의 현재적 상황에 적합하며 학술연구와 교육, 체험과 축제 마당을 하나의 공간에서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행 사례 검토를 바탕으로 향후 공주 학봉리 요지 활용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우선순위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공주 학봉리 요지 보존·활용 계획 수립, 2) 문화유산 교육 교재 제작, 3) 전문 인력 육성 , 4) 초등학교, 중학교와 연계한 현장 체험 학습, 5) 문화재청 문화유산 활용 공모사업 추진, 6) 계룡산 철화분청사기 산업화 추진, 7) ‘K-철화분청’ 사적의 명소화 추진, 8) ‘이삼평기념비’를 매개로 한·일 도자문화 교류 확대 등이다. 종합적인 보존·활용 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2026년은 일본인에 의한 국내 최초의 도자기 관련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1927년을 기점으로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공주 학봉리 요지 활용이나 라키비움 건립 추진과 관련한 학술대회나 100주년 기념 지표조사 등과 같은 지속가능한 활용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on Utilization of the Gongju Hakbong-ri Kiln Site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to revive and utilize the cultural heritage value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공주학봉리요지) and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계룡산철화분청사기). Hakbong-ri Kiln Site, located on the slopes of Mount Gyeryongsan in Gongju Banpo-myeon, is an important historical site representing Joseon's Buncheong ceramics and was the location of the first pottery excavation survey in South Korea. The initial survey took place in 1927, followed by a second excavation in 1992 and additional research in 1993.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s revealed that Gongju Hakbong-ri was a major production site for Buncheong ceramics, with almost all types of ceramics being excavated. Through the study of era names(연호) and official department names(관청명) inscribed on the excavated artifacts, it became possible to determine the chronological dating of Buncheong ceramics, confirming that Gongju Hakbong-ri was a significant production site for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In South Korea's ceramic history(陶瓷文化史), Buncheong ceramics(분청사기) were in vogue for approximately 150-200 years, from the 14th to the 16th century. Buncheong ceramics featured seven decoration techniques: raised-relief, incised, inlaid, stamped, celadon, white slip, and slip-inlay. Gongju Hakbong-ri Kiln Site is famous for its Celadon Cheongsa made using the celadon technique, hence it is often referred to as "Gyeryongsan Buncheong Ceramics" or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 Although Gongju Hakbong-ri Kiln Site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site in 1990, its recognition remains low.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it remains largely undeveloped. The available space for utilization is very limited, and there have been inadequate discussions regarding its utiliza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and propose methodologies for its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As a spatial utilization approach, it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n "Larchiveum" to create synergy within the minimal available space at Hakbong-ri Kiln Site. Larchiveum is well-suited for the current spatial constraints of Hakbong-ri Kiln Site and offers the advantage of accommodating academic research, educ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estivals in a single space. Furthermore, based on a review of precedents, it presents priority considerations for future utiliz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including 1) the development of a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 2) the production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al materials, 3) the training of specialized personnel, 4)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in collaboration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5) the promotion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through a Cultural Heritage Agency competition, 6) the promotion of the industrialization of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 7) the establishment of 'K-Celadon Cheong' as a cultural landmark, and 8) the expansio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through the "Lee Sam-pyeong Memorial Monument." 2026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irst pottery excavation survey conducted by Japanese researchers in South Korea in 1927. It is hoped that this milestone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nd promote sustainable utilization plans, such as academic conference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the construction of Larchiveum, and a 100th-anniversary survey.

      • 사이버 교육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공주대학교를 중심으로

        엄순천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사이버교육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이버교육 효과의 영향요인인 환경요인(시스템 품질)과 교수설계요인(강의내용이 사이버교육효과(만족도)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적절한 정책적 대안을 효과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적 목적이다. 이와 더불어 대학생들의 사이버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The study is to divide the effect of cyber education into environmental factors and lecture contents by examining the literature on collegians who get cyber education.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with an outlook for activating students' cyber education is to provid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policies by analyzing the connectivity of cyber education and students' intention for reuse of its service. The regression analysis is adop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three independent variables being used to verify the initially amended model. In case of verified result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the influences by utility and lecture contents are statistically identifiable, while easiness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influence. In case of the result deprived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plotting reuse willingness in a dependent variable, on the influence of such factors as utility, easiness and lecture contents, all variables are influential to the extent of statistical identification. In case of the result deprived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plotting reuse willingness in a dependent variable, on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factor, it is proven significantly identifiable. The cross tabulation analysis to verify difference by each questionnaire based on demographic factors shows the result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detectable in the degree of influence among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whole, but reuse willingness according to registration history and perception of utility in belonged colleges is statistically identif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