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외 사례를 통한 영동난계국악축제의 발전적 모색: 인물의 지역성과 축제의 연계

        윤혜진 ( Yoon Hyejin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5 藝術論集 Vol.17 No.-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축제``는 일정기간 동안 열리는 대부분의 행사 제목에 흔히 포함되는 용어가 되었다. 다양한 목적의 공연 및 행사들이 축제로 지칭되는 데에는 그만큼 축제의 의미가 광의적으로 해석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축제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논의는 차치하고서라도 한국에서 지역별 축제의 수가 포화상태에 이를 정도로 과도하게 열리고 있는 현 한국사회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축제가 지역문화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음에는 부인할 수는 없지만 예술관련 행사들이 지역축제와 결합하는 과정에는 좀 더 면밀한 성찰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영동난계국악축제는 한국의 예술축제 중에서도 단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는 것이지만 현재 지역축제와 결합하면서 대중적인 참여도와 호응이 중요시되면서 본래의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영동난계국악축제가 일반 지역축제와는 다른 차별성을 가지고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특히 영동난계국악축제라는 이름이 표방하고 있는 인물의 지역성과 축제의 연계에 초점을 두고 동일한 맥락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았다.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 축제와 인도의 띠야가라자 축제의 사례 연구를 통해 영동난계국악축제의 발전적 모색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난계 박연이라는 인물은 전통문화 유산이지만 국악은 전통문화인 동시에 지속적으로 갱신되어야하는 예술이다. 축제에서 난계 박연이 국악과 연합하는 것은 난계의 사상과 업적이 예술로 발현되는 바를 전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난계의 고향이자 축제가 시작된 영동은 지역축제가 열리는 지역보다는 난계의 사상이 예술로 갱신되는 현장으로 여기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예술이 창의적으로 갱신될 수 있도록 지역예술가들의 육성이 절실할 것이다. 인물의 지역성과 축제를 연계하는 데에 있어서 인물은 과거이지만 그 인물을 존재하게 하는 것은 현재의 예술가들이며 축제에서 과거와 미래 간의 매개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term ``festival`` became included to titles of most events held for a certain period in today`s Korean society. Performance and events for various purposes are titled as festival. It shows us that the meaning of festival has been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Apart from the origin and meaning of festival, we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about why such festivals reach a saturation point these days in Korean society. Although we cannot deny that festivals contributes much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it should have close review for the combination of events related to the arts with regional festivals. Young Dong Nan Gye Korean Music Festival has a long history among arts festivals in Korea. However that seems to lose its original significance in combining with regional festival which makes more emphasis on participation and popular response of the publics. This paper is to discuss on the way ahead for that Young Dong Nan Gye Korean Music Festival can be developed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 difference distinguished from other festivals. Specially focusing on connec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 of person to festival, I examined two festivals abroad similar context to Young Dong Nan Gye Korean Music Festival by case study in Salzburg Festival of Austria and Tyagaraja festival of India. Nange, Park Yeon is the great figure in Korean traditional heritage, and Korean music is not only traditional culture also the art being continuously renewed. The connection between Park Yeon and Korean music is premised on that his thought and achievement will be renewed for a new music. Accordingly Young Dong makes itself be the very place where the process of renewing music unfolds. In order to that, the system for breeding gifted artists in the region is essential, because Park yeon is a figure of the past while it is the artist of the present who let him symbolically alive now. Artist can be a medium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in the connec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 of historical person to festival.

      • 체르니셰프스키 미학과 이동파 회화의 관계

        염원선 ( Won Sun Yeom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4 藝術論集 Vol.14 No.-

        이동파 회화의 우수성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이동파의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 사회적 운동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을 관통한 체르니셰프스키의 미학이론인 생활미학과 러시아 이동파 회화를 연관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동파 회화에서 가장 특이한 점은 불과 수십 년 만에 극단적인 기량적 발전을 이루었다는 점이다. 그런데 그 발전양상은 소설『무엇을 할 것인가?』를 집필한 덕분에 대표적인 혁명가이자 순교자로 자리매김한 체르니셰프스키라는 사상가의 「현실에 대한 예술의 미학적 관계」라는 논문 내용을 받아들인 결과였다. 이 논문을 살펴본 결과, 미를 생활이라고 보았기에 예술은 윤리적 성향을 함의한다고 보았다. 예술은 결국 작품이며 작품은 인간의 욕구를 해소한다. 미적 가치는 미적 향수를 위한 존재이지 향수하지 않는 작품은 존재가치가 무의미하다. 더욱이 예술은 현실에 대한 가상 즉 환상이다. 그러므로 예술이 현상해야 할 최종적 목표는 인간생활에 좋은 것을 받드는 것이다. 가상이나 욕구가 제아무리 인간 정신상 중요하거나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하여도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다. 현실의 변화들이 인간 사회를 발전시켜나간다면, 현실은 상위에 있는 것이며 그 변화는 건실함을 바탕으로 해야만 한다. 예술이 인간 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면, 바로 이 부분에 이바지해야만 한다고 체르니셰프스키는 주장하는 것이다. 이동파 회화를 살펴본바, 이러한 주장을 이동파 화가들은 하나의 강령으로 받아들였다. 전체 이동파 회화를 살펴볼 수는 없었지만, ‘생활미학적 이동파 회화’를 상징할만한 작가 및 작품을 고찰해보았다. 당시 이동파 화가들의 생존문제와 결부하여 모든 이동파 작품이 곧 생활미학적 특성을 보이진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활미학이 ‘예술이 사회에 주는 영향력’이라는 결과론적 분석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지나치게 범주를 축소할 수는 없었다. 생활 미학의 강령은 결국 몇 가지 머리말로 귀결하는데, 인간성에 관한 믿음과 윤리성 그리고 현실을 보완할 만큼의 묘법이다. 우선 이동파의 시작인 이반 크람스코이는 가히 이동파 안에서의 체르니셰프스키라고 할 만큼 절제와 도덕을 실천했던 인물이며, 그의 작품 또한 가상을 현실미로 승화하였다. 그런가 하면 레핀의 역사화에서는 체르니셰프스키가 가진 인간성에 관한 믿음의 대상이 드러난다. 그것은 바로 러시아 민중의 모습이다. 이동파 회화의 회화적 가치는 체르니셰프스키가 그랬던 것처럼 인간세상에서 예술이 어떤 영향을 주어야 하는지에 관한 치열한 묘법으로부터 발생했다. 생활미학은 결코 예술가에게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를 강요하지 않는다. 그것은 자연 및 사회의 모든 미적 근거를 극명하게 묘사하여 재현함으로써 세상을 경유하는 예술의 방점을 강조한다. 또한, 시각적 중첩의 회상으로부터 인간성의 회복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보완이라는 예술의 기능을 유발한다. 이동파 회화는 이러한 시도를 전방위적으로 실현함으로써 러시아의 국민성에 기여하였으며 그들의 문명적 가치를 고양하고 국가적 정체성을 대변하는 회화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road understanding of the unfamiliar world of Russian fine art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Russian Peredvizhniki paintings and life aesthetics of Chernyshevsky. Peredvizhniki art was developed based on problems characteristic to Russia at that time. Therefore, for overall understanding, the study discussed how historical facts and ideological issues of Russia affected Peredvizhniki paintings. The development resulted from adopting the thesis, “Aesthetic Relations of Art to Reality”, of Chernyshevski who became a renowned revolutonary and martyr after writing the novel, “What is to Be Done?” This thesis viewed beauty as life and, therefore, that art implies ethical tendencies. After all, art is a work, and work relieves human’s desire. Aesthetic value exists for aesthetic nostalgia, i.e., fantasy of reality. For that reason, the ultimate goal of art must be supporting what is good for human life. Even if imagination and desire takes a great part in human mind, it is not the case in reality. As changes in reality develop human society, reality is superior and changes must be based on solidity. If art is essential for human life, it must contribute to this aspect, as Chernyshevsky argued. The artists who painted Peredvizhniki paintings reviewed in the study accepted this argument as a main principle. The principle of life aesthetics is ultimately summarized by a few forewords, including faith in humanity, ethics, and an excellent method to supplement reality. Ivan Nikolaevich Kramskoy, who began Peredvizhniki, practiced abstinence and morality and his works also turned the virtual into realism. The author looked into historical paintings, which is an achievement of life aeshetics. Although there were many remarkable historical painters in Russia, Repin was some of the most noteworhy. Their paintings reveal the subject of faith in humanity supported by Chernyshevsky, that is, the Russian people. Peredvizhniki paintings show the most developed techniques among representation paintings. However, it began with the voice for the people from an ideologist.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will help start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reationship beween painters and society, and artworks and humans.

      • 20세기 이전 미술사에서의 초현실적 성향 연구

        윤민주 ( Minju Yun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5 藝術論集 Vol.17 No.-

        초현실주의는 억압된 이성에서 벗어나 무의식, 꿈과 같은 초현실의 세계를 탐구하며 인간 의식 아래의 세계를 표출하고자 했던 예술이다. 이 예술 운동은 1924년 시인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선언을 시작으로 유럽과 미국에서 유행했고 양차 세계대전동안 폭넓게 확산되었다. 20세기 초현실주의자들은 인간 의식 아래의 세계를 표출하고자 의도적으로 비합리적이며 환각적인 것들을 다루었고, 현실 이상의 것을 추구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20세기 초현실주의자 에른스트, 달리 등과 마찬가지로 르네상스의 보쉬 등의 몇몇 화가들도 당시 상상화처럼 현실에 존재하지 않거나 있을 법하지 않은 일 등을 그림으로 나타냈다. 그들은 의식과 무의식을 혼합한 초현실을 창조했으며 무의식의 세계, 꿈과 같은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다. 따라서 그들은 초현실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되고 또한 그들의 작품은 초현실주의의 기원이 된다. ``20세기 이전 미술사에서의 초현실적 성향 연구``는 20세기 이전의 작품에서의 초현실적 성향이 이후 초현실주의자들의 등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 다른 각각의 미술양식에서 초현실주의 성향이 어떠한 양식과 기법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각 시대별 초현실주의적 성향에 관한 새로운 이론적 고찰은 앞으로 초현실주의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는데 있어서 중요하게 언급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그동안 미술사에서 분류되지 않았던 새로운 초현실적인 성향들을 재발견함과 동시에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urrealism is out of the repressed unconscious reason, such as exploring the surreal world of dreams and the art world who want to express the following human consciousness. This artistic movement had declared the epidemic to start the Surrealist poet Andr? Breton in 1924 has spread widely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World War. 20th century surrealist who are irrational and deliberately want to express the world of human consciousness and dealt with under the psychedelic ones, it placed the means to pursue the more realistic. The 20th century Surrealist painters Dali and Ernst like few characters of the Renaissance, such as Bosch are exhibited, including one improbable does not exist in reality as imaginary pictures in the picture at the time. They were creating a surreal mixture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sought to express the unconscious world, a dream like world. Therefore, they are evaluated pioneer of Surrealism. Their work also is the origin of Surrealism. ``A study on surrealistic tendencies in art history before the 20th century``, this study in the 20th century earlier work is about how effect on the subsequent emergence of surrealism and study of the art form in the surrealist tendencies appear in works with some style and technique.

      • 동시대 실감형 미디어아트 전시의 디자인과 공간 구성

        김하린 ( Kim Halin ),정정호 ( Jung Jungho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21 藝術論集 Vol.22 No.-

        21세기 하이테크놀로지 시대로 접어들면서 예술의 범위가 과학, 예술, 음악, 사회 문화등 전반적인 요소를 기반으로 융합, 재해석되어 미디어아트가 구성되고 시도되고 있다. 이에 2021년 국내와 해외의 실감형 미디어아트 전시의 구성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후속 미디어아트의 표현에 있어서 컨텐츠 확장을 기대해 본다. 본 연구는 서울 인사 미술관의 ‘2021, Delight Seoul’, 여수 아이 뮤지엄의 ‘더 포레스트’, 부산 다 뮤지엄의 ‘Super Nature’, DDP 디자인 전시관의 ‘LIFE’, 제주 아르떼 뮤지엄의 ‘시공을 초월한 자연’에 나타난 실감형 미디어 아트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과 공간 구성 요소에 관한 분석과 도식화하였다. 해외 실감형 미디어아트로는 도쿄 롯본기의 ‘Rinkan Sauna’, 프랑스 아틀리에 데 르뮈에르의 ‘Dali and Gaudi’, 싱가포르 아트 사이언스 뮤지엄의 ‘Virtual Realms’, 중국 OCT-LOFT의 ‘Expect the Unexpected’, 독일 ZKM 미디어아트센터의 ‘BarabasiLab. 숨겨진 패턴’에 나타난 공간구성에 관하여 도식화하였다. 그리고 국내사례와 해외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동시대 실감형 미디어아트는 사유의 영역과 함께 현대인의 정신적인 휴식 공간으로써 문화예술분야에 중요한 역할이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실감형 미디어아트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의 사례와 구성 요소를 통하여 다양한 각도에서의 시도, 발전, 활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As the era of high technology began in the 21st century, media art is organized and attempted in various ways based on overall factors such as science, art, music, and social culture. Therefore, I expect to expand contents in the expression of subsequent media art by analyzing components of realistic media art exhibi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media art exhibitions in 2021. This study analyzed and schematized the design and spatial components through examples of realistic media art in 2021, ‘The Forest’ of I Museum at Yeosu , ‘2021 Seoul Delight’ of Central Museum in Seoul, ‘Super Nature’ of Da Museum in Busan ‘LIFE’ at the DDP Design Exhibition Hall and ‘Eternal Nature’ at the Arte Museum in Jeju. In the case of overseas, I investigated ‘Rinkan Sauna’ of Roppongi in Tokyo and ‘Dali and Gaudi’ of Atelier des Lumieres in France, ‘Virtual Realms’ of the Art Science Museum in Singapore and ‘BarabasiLab, ‘Expect the Unexpected’ of OCT-LOFT in China, Hidden patterns’ of ZKM Media Art Center in Germany. In additi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mporary realistic media art is expected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s a place for modern people to rest mentally with the role of meditation. Through the examples and components of this study, I intend to contribute to the supplementati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new genres of media art. In subsequent research, I look forward to contribute to the attempt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t various angles through the examples and components of this study in implementing realistic media art in the future.

      • 레오나르도 다빈치 회화의 표현 기법 분석

        정금희 ( Jung Kumhee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5 藝術論集 Vol.17 No.-

        르네상스 3대 거장 중 한 명인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회화와 조각 같은 예술 장르뿐 아니라 교량 설계, 무기 개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 자취를 남긴 인물이다. 특히 그의 회화는 자연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완벽한 묘사를 추구했으며 스푸마토 기법을 창안해 신비의 경지를 보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빈치의 인체 묘사는 해부학을 바탕으로 한 사실적 표현과 아름다움을 극대화한 분할 구도 등 서양미술사에서 최고의 업적을 자랑한다. 오늘날 다빈치 사후 수백여년의 시간이 흘렀어도 그와 그의 예술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뜨거운 관심사이며 그러한 논의는 늘 새로운 해석으로 분분하고 반향도 대단하다. 다빈치는 회화의 정확도를 기하기 위해 기구를 사용하고 실제 척도를 따랐으며 기하학의 원리를 도입해 표현했다. 그는 이른바 황금비율이라 불리는, 자연이 갖고 있다는 가장 아름다운 구조를 회화에 응용하였으며 그로부터 최고의 미와 조화를 구현코자 했다. 다빈치가 창안한 스푸마토 기법은 현실과 사실에 기반을 두면서도 내적 표현을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서 작품 해석을 더욱 풍요롭게 만든다. 그의 작품이 ``시(時)적 회화``라 평가될 정도로 신비한 느낌을 주며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도 이 때문이다. 다빈치 회화의 표현 기법은 그만큼 창의적이었으며 그것은 미술사에 영원히 남은 위대한 족적이었다. Leonardo da Vinci, one of the three great masters during the Renaissance, has made the great achievement in painting, sculpture, moreover bridge design and development of weapons. Especially his painting was received good reviews, that seeked perfection in description of nature. In addition to Da Vinci`s ``sfumato technique``, this technique has been called the stage of mystery. When Da Vinci described human body, his works were based on human anatomy. Therefore his art looks very realistic. And Da Vinci divided composition, which maximizes nature`s beauty. At this time, although Da Vinci died hundreds of years ago, a study of his art has created a great sensation. Da Vinci was using the apparatus in order to ensure the accuracy of conversation and expression by introducing the principles of geometry as the actual scale. He used what we call natural application of the most beautiful structure into the conversation, which means golden ratio. He tried to implement the best beauty and harmony from it. Da Vinci`s ``sfumato technique`` is based on intrinsic expression as large as well. And that made his works mysterious and fantastic. The techniques of Da Vinci paintings are so creative that they will be a great trail in art history forever.

      • 영국 현대미술 작품에 나타난 일상 속 공공미술 -안토니 곰리(Antony Gormley)와 레이첼 화이트리드(Rachel Whiteread)를 중심으로-

        조소영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23 藝術論集 Vol.24 No.-

        영국 현대미술의 발전은 신자유주의 정책을 기조로 자본주의 시장 경제를 주장했던 마거릿 대처(Margaret Thatcher) 총리의 시대가 열리면서 시작되었다.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국가로부터 예술에 대한 지원이 축소된 작가들은 스스로 그들의 작품을 전시할 공간을 확보해야 했고, 이러한 과정에서 골드스미스(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 학생들이《프리즈(Freez)》전시를 기획하게 되며 화단의 주목을 받았다. 이후 찰스 사치(Charles Saatchi)가《센세이션(Sensation)》전시를 기획하여 신진 작가들을 발굴함으로써 yBa(young British artists)라는 이름으로 영국 현대미술의 성장을 이끌었다. 안토니 곰리(Antony Gormley)와 레이첼 화이트리드(Rachel Whiteread)는 영국 현대미술의 발전과 더불어 활발히 활동했던 작가들로 공공미술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예술작품을 공공장소로 확장하여 전시함으로써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사람들이 일상 속에서 작품과 마주하게 함으로써 예술작품과 시민들 간의 소통 통로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이들의 공공미술 작품을 살펴보는 것은 동시대의 공공미술이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British contemporary art began with the era of Prime Minister Margaret Thatcher who argued the market economy based on neo-liberal policies. The artists who faced the reduced support for art from the state because of neo-liberal policies had to secure the space for exhibiting their artworks for themselves, and in this process, the students of 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 grabbed the attention from the art world by planning the exhibition 《Freez》. After that, Charles Saatchi discovered rising artists by planning the exhibition 《Sensation》, and led the growth of British contemporary art under the name of yBa(young British artists). Antony Gormley and Rachel Whiteread who were actively working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British contemporary art hold an unrivaled position in the field of public art. By expansively exhibiting artworks in public place, intentionally or not, they made people face the artworks in daily life, which established the channel for communication between artworks and citizens. Thus, examining their public artworks in this thesis could become a chance to seek for the future direction of contemporary public art.

      • 중국 미술 작품에 대한 오브제 연구

        윤혜수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9 藝術論集 Vol.20 No.-

        중국 미술의 오브제 활용에 관한 연구는 미술사를 통해 그 의미를 살펴보면서 생태계에서 얻어지는 자연물 및 일상 생활용품이 기존의 기능과 장소를 벗어나 작가의 개성이 드러난 독창적인 형태 안에서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한 작품을 재해석하고자 한다. 21세기 오브제의 등장은 현대 미술에서 그 의미를 확장하여 살펴볼 수 있다. 고전미술은 표현 재료의 한계를 느끼게 하는데 지금의 현대 미술을 비교해 보면 새로운 재료의 확장으로 다양한 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현대 미술 작가들은 오브제를 제시함으로써 목조, 석조, 소조의 단조로웠던 전통 기법에 대한 반행위적인 방법을 선택했다고 본다. 이러한 현대 예술가들의 도전은 생활 속에서 얻어지는 일상생활용품등을 오브제 작품으로 전시하여 전통주의 작가들이 이어온 형식에 반기를 든 형식이다. 이러한 오브제 작품은 사물 자체의 의미보다는 새로운 의미를 가진 작품으로 전시되었을 때 이로써 사물이 가진 기능이 사라진다. 미술관을 찾아온 관람객들은 작품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오브제에 대한 반감을 사기도 하겠지만 오브제 자체의 의미를 확장하여 바라본다면 또 다른 미술 세계를 경험하게 된다. 오브제 작품을 살펴보면, 오브제 미술의 의미를 이해하여 현대 미술 오브제 작품의 흐름을 파악하고 전통주의 작품을 존중하면서 현대의 시대적 흐름을 중심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오브제 조각은 21세기 현대 미술의 한 부분으로써 변화된 시대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예술가의 사고방식을 존중하면서 표현하게 된 시기가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브제 작품이 한 작품으로 인정받기 위해서 끊임없이 피어오르는 작가의 투쟁정신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오브제 작품 표현의 장을 열게 한 것이다 오브제는 재료의 확장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기존 의 전통적인 좌대를 사라지게 하거나 벽이나 바닥, 천장으로 공간을 더욱 다양하게 설치하는 방법도 제시한다. 이와 같이 현대 미술 조각은 설치 및 재료를 확대하여 새로운 작품들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현대미술의 오브제 범위를 더욱 확장하고자 하였다. A Study on the object and the application of Chinese art is art history from by looking through the ecosystem, its meaning through the natural features and a place of the existing and living goods.Beyond personalities come out in a creative writer to reinterpretation of the various ingredients used in the form of work. The advent of the 21st century object can be seen by extending its meaning in modern art. Classical art creates a sense of limitations in expressive materials, and when you compare modern art to the present, you can enjoy a variety of art works with the expansion of new materials. Modern art writers believe that by presenting the object, they chose a counter-active way to traditional techniques that were monotonous in wood, stone, and bronze. These modern artists' challenges include displaying everyday items that are acquired in life as objects and rebelling against the forms that traditionalist artists have followed. When these object works are displayed as works with new meanings rather than the meaning of the object itself, this eliminates the function of things. Visitors to the museum may find antipathy toward the object when looking at it, but if you expand the meaning of the object itself, you will experience another art world. If you look at the works of Ovze, you will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art of the object, understand the trend of modern art, respect the work of traditionalism, and interpret them around the trend of modern times. As part of modern art in the 21st centur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hanged trend of the times naturally. The reason is that it's not long since I came to express myself in respect of the artist's The artist's spirit of struggle was constantly rising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a work of art, which opened the stage for the expression of the current work of art The object also suggests ways to start with the extension of the material and to make the traditional seat disappear, or to install more diverse spaces on walls, floors, and ceilings. As such, the modern art sculpture was intend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present new works by expanding the installation and materials, and to further expand the scope of objects in modern art.

      • 공공미술의 현황과 사례 연구

        이동인 ( Dong Ren Li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5 藝術論集 Vol.16 No.-

        과거의 공공미술은 공공성보다는 미술에 초점을 두었으며, 공동체보다는 예술가에 중심을 두었지만 현재의 공공미술은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고 주민의 참여를 통한 소통을 필수적인 요소로 받아들여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공공미술의 현황과 사례에 대한 연구로서 국내에서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각각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이 서로 다른 개념과 형태를 가지고 현재까지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현재 공공미술의 현황을 살펴본다. 그리고 국내 국가사업으로서의 공공미술과 민간단체에 의한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사례분석을 통해 현재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긍정적인 부분과 문제점을 동시에 짚어 봄으로서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을 논의하고 공공미술이 단지 예술가에 의한 활동만이 아니라 공공미술 자체가 사회 속에서 주민과의 실질적인 소통의 구심점이 되어야 한다는 방향성을 모색한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궁극적으로 공공미술 프로젝트 자체에 대한 사회적 시각을 변화시키고 공공미술이 현 사회속에서 원활한 흐름과 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변화에 대해 논의하는데 중심을 두고 있다. In the past, Public Art focused on art rather than public nature, and an artist rather than community. It is more concerned with the process than the result with participate of people as the essential factor, so it changes from hardware to software. This study is about current status and case study of public art and by researching how each public art project is formed with varying concept and shape after 2000 internally. Through case analysis of public art project as a private enterprise and as a national enterprise, it presents a future direction with showing negative and positive parts of current public art project. So this paper is discussed not only activities led by the artists but also public art itself have center of the actual communication with people in society. Ultimately it puts stress on changes on the view that makes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smooth circulation in public art at present.

      • Thomas Ades의 음악경향에 대하여 -Brahms for Bariton & Orchestra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임재경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4 藝術論集 Vol.15 No.-

        지휘자와 피아노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는 작곡가 토마스 아데는, 다양한 방면에 걸쳐 음악인의 삶을 살고 있다. 런던에서 태어난 그는 미국과 헝가리에서 거주하며 다양한 국적의 교수들로부터 여러 종류의 음악교육을 받았고, 또한 언어학자와 초현실주의 예술가의 보모와 함께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문화와 예술들을 접하며 자라왔다. 그로 인해 그는 유럽 음악의 전통적인 기술 그리고 최신 경향들까지 접하게 되었고 다른 조류에 속할 수 없는 그 만의 절충주의 작곡양식을 발전시키게 된다. 현재 그의 작품 경향은 어떠한 양식으로도 정의내리기가 어렵다. 현재 그는 몇몇 소수의 이론가들에 의해 복합양식, 절충주의 혹은 포스트모던 조류에 속하는 작곡자로 거론되고 있으나. 그의 작품소재들은 주로 고(古)문학적인 내용들이나 고(古)음악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그의 작품경향 면에서는 여러 가지 양식들을 통합해 내는 것이 아닌, 다양한 양식들과 기술들을 동시에 혼재하여 사용하는 측면이 있다. 그의 작곡에 관한 통찰력은 매우 특별하며, 작곡 양식 또한 어떤 한 가지 방식을 고수하는 것이 아닌, 여러 가지 방식들을 배제시키지 않는 박애주의적인 경향들을 보이고 있다. 그의 작품들을 통하여 그의 작가로서의 관점 그리고 음악적인 내용들을 현시대에 비추어 재조명해보는 것이 음악인으로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A composer, conductor and pianist - Thomas Ades leads a musical life of remarkable diversity. Born in London, he dwelled in America, Hungary and had miscellaneous musical learning from teachers of different nationality. Also his parent were a linguist and a Surrealism Dada-Artist, as a result he came into contact with vanous cultures and arts since he had been very young. Therefore, his encounter with conventional art and modern trends in European musIc encouraged him to develop his own eclectic style, further his compositional tendency IS also as various as his situational experience of multiculture. Now he IS called by polystylism, ecleticism and postmdern componist. In terms of finding compositional material, he mostly chooses literary contents and past music that affected his process of life, and then through using of many other compositional technics he writes not in a well-established style but In several kinds of music. His insight of composition IS still also variable and his music style is never insular and rather philanthropic for any kinds of other Arts. With above his piece I hope the view for his musIc be examined, understood from more various angles, moreover for many other contemporary Art and Music.

      • 아마추어 연주자들의 활동 현황 연구 -전남지역 3개 도시를 중심으로-

        여광준 ( Kwang Jun Yeo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1 藝術論集 Vol.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아마추어 연주자들의 인식 및 활동 현황을 알아보고 아마추어 음악연주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마추어 연주자들의 음악연주활동에 대한 이해를 통해 지속적인 음악연주활동과 음악교육에서 지향하는 평생에 걸친 음악학습을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현재 음악연주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아마추어 연주자들을 대상으로 음악연주활동 현황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377명으로 여수, 순천, 광양의 3개 도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18개 단체의 아마추어 연주자들이다. 아마추어 연주자들의 활동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연주자들의 일반적 배경과 음악적 배경 및 음악연주단체 참여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음악연주활동 참여 동기는 음악적 배경 및 음악연주단체 활동과 어떤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 학창시절의 음악적 경험이 성인이 되어서 음악연주활동에 참여하는 동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현재 음악연주활동에 적극적인 아마추어 연주자는 음악연주활동에 참여하는 동기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교육에서 음악교육은 학생들이 삶에서 의미 있는 활동으로서 평생에 걸친 음악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의 음악수업에서도 음악연주활동과 관련된 수업이 강조되어야 하며, 합창단이나 합주단 등의 음악연주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mateur musicians` activitie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vitalize amateur musicians` performing activities. Through this understanding of amateur musicians` performing activities,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hat can help grope for ways to develop lifelong musical learning pursued in music education and constant musical performing activities. To attain the goal,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that consists of questions on the current status of musical performing activities to amateur musicians presently taking part in musical performing activities. The study subjects are total 377, and they are amateur musicians from 19 groups conducting activities in 3 cities: Yeosu, Suncheon, and Gwangyang.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mateur musicians` activ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and musical background of the musicians and the status of their participation in musical performing groups and also investigates how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musical performing activities is related with their musical background and the activities of musical performing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paper, it was found that musical experience during school days can affect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music performing activities as adults and in current music performing activities, aggressive amateur performers show great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music performing activities. Therefore, music education at school should emphasize classes related with music performing activities so that students can perform musical activities all through their lifetime as meaningful activities in their lives. Moreover, more attention and endeavor will be needed for students to experience music performing activities from a choir or ensem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