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장윤금,권희연 숙명여자대학교숙명리더십개발원 2007 숙명리더십연구 Vol.6 No.-

        본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의 S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 분석하고 리더십 교과과정이 앞으로 글로벌 리더십교육으로 확산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개발 방향을 설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리더십교육 관련 문헌조사, 국내외 대학의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사례조사, 숙명여자대학교의 리더십교과목 현황조사 및 효과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리더십교육과 문화 확산은 대학의 세계화와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매우 필요한 과정으로 나타났다. 둘째, 숙명여자대학교 'S 리더십'의 네 가지 영역인 Spirit, Skill, Service, Strength는 리더십개발에 필요한 리더의 역량함양과 관련된 모든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총체적인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숙명여자대학교 리더십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리더십 교양필수과목인 'S 리더십'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각 영역에 대한 평균값을 교육 전과 후로 비교해 볼 때 S 리더십의 네 가지 영역(Spirit, Skill, Service, Strength) 모두 평균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aired t-test와 Pearson 상관관계 분석결과 S 리더십 교육이 수강생의 S 리더십 역량함양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네 가지 리더십 영역이 잘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교육을 통해 네 가지 영역이 더 나은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반영해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 리더십 교육효과를 더욱 제고시키고 숙명리더십프로그램을 세계화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교육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measuring and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its program advancement necessary for the dissemination as the global leadership education of the future. In doing so, we conducted the review of relevant leadership education literature, case studies of college leadership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nd overseas, and an empirical surve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Sookmyung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three-fold. First, spreading out the Sookmyung leadership education and its culture is shown to be very crucial for its globalization and strengthening its competitiveness. Second, the four areas of S Leadership(i.e., Spirit, Skill, Service, Strength) are found to be quite comprehensive f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leaders necessary for leadership development. Third, the analysis of the survey conducted for those students who took the core S Leadership course (two credit) revealed that the mean scores are improved in each S Leadership area after education than before. Further, the paired t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proved the students' leadership capability improvement through education, and also indirectly showed the good composition of the four areas with their stronger synergy effect aft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key point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leadership education to further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 Leadership education and advance Sookmyung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as a global program.

      • KCI등재

        문헌정보학 교육의 MOOCs 활용 방안 연구

        장윤금,Chang, Yunkeum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4

        Online education in the field of LIS has continued to spread out in university curricula or with collaborative online programs through consortia among universities. Unlike the traditional online education, however, MOOCs (Massive Open Online Courses) with the recent advent and advances have risen as a new paradigm in education of the future in that these are massive online learner-centered courses, free and open to any person with no limit on enrollment. With no exception to this phenomenon, the LIS field centered by overseas iSchool universities has been offering MOOCs for core LIS courses. This research conducted a case study of utilizing a part of overseas LIS MOOCs in a core LIS course at domestic University-A, in order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utilizing overseas MOOCs in LIS education. The results of conducting a survey and a focus group interview to students discovered that MOOCs content was interesting and useful and many of them were willing to take other MOOCs in the future, despite some language barri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value, administering methods, ways to motivate students, and designing MOOCs by incorp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S field, as ways to utilize MOOCs in LIS education.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온라인교육은 그동안 대학 교육과정 혹은 대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협력형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진행된 MOOCs의 출현과 발전은 전통적인 온라인교육과는 달리 수강 인원에 제한이 없이(Massive), 모든 사람이(Open), 무료로 온라인(Online)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강좌(Courses)란 점에서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다. 문헌정보학 분야도 예외는 아니며 해외에서는 iSchool 대학을 중심으로 주요 문헌정보학 전공교과목을 MOOCs로 개설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에서의 MOOCs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 A 대학 문헌정보학과 전공 기초 교과목에 해외의 문헌정보학 MOOCs 강좌의 일부를 활용함으로써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강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및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 참가자들은 언어적 장벽은 있으나 MOOCs 수업 콘텐츠에 대한 흥미, 유용성 및 향후 다른 MOOCS 수강 의지에 모두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MOOCs 활용방안에 대한 제언으로 교육적 가치 및 운영방식 확립, 학생들의 동기부여 및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MOOCs 설계방안 마련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도서관 공간변화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장윤금,Chang, Yunkeum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1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간변화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의 전문사서가 평가하는 대학도서관 리노베이션 혹은 신축으로 인한 공간변화의 효과성 및 효율성 그리고 향후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현재 리노베이션 혹은 신축이 진행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사서들과 면대면 혹은 전화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도서관 공간변화는 크게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공간 마련, 최신 IT시설 확충 그리고 보존 공간 확보의 세 가지 목적으로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도서관 목적에 부합하는 실질적 기능과 활용성을 고려한 공간변화와 대학의 특성을 고려한 독창적인 공간변화 그리고 이러한 공간변화에 보다 주도적이고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사서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brarians' perceptions towards the changes in university library space in order to derive the future direction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novation or new building construction and the efficiency of space reorgan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from the professional librarian perspective.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a field survey of university librarians and further performed in-depth face-to-face or phone interviews with university librarians who are currently involved in the renovation or new building construction.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changes in university library space were made for three major purposes: the securement of the space for diverse library objectives, the expansion of the latest IT facilities, and the securement of preservation space. Also the importance of the library space change considering pragmatic functions and utilization fit with the library's purposes, the creative space change reflecting the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the proactive and visionary roles of the librarians in such changes was brought up.

      • KCI등재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장윤금,이혜은,전경선,Chang, Yunkeum,Lee, Hye-Eun,Jeon, Kyungs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2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전 조사로 수행된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8개 기관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즉 공간, 인력, 장비, 프로그램 및 지원 주체 등 5개 요소를 중심으로 운영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도서관의 규모, 예산, 사명과 역할에 따라 필요 요소의 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형별 구분과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운영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통해 기초적 수준인 '메이커 공방형', 중간 수준의 '메이커 스튜디오형', 권역 거점 수준의 '메이커 거점형(플랫폼)'의 유형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practical guidelines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Using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eight public library makerspaces across key elements, including space, size, staff, equipment, programs, and budget. This study finds that public library makerspaces should be built according to the library's size, budget, and purpose, and should also employ sustainable operating strategies. On that basis, this study suggests three models of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nd develop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the "craft" makerspace at the basic level, the "studio" makerspace at the intermediate level, and the "platform" makerspace at the regional level.

      • KCI등재

        병영도서관 이용 및 독서 활성화 방안 연구

        장윤금,전경선,이혜영,이지수,Chang, Yunkeum,Jeon, Kyungsun,Lee, Hyeyoung,Lee, Jisu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는 병영도서관 이용자의 인식 및 이용 행태, 만족도, 그리고 '진중문고'의 활용성 등을 조사함으로서 병영도서관 서비스의 현황과 장병들의 독서 증진 및 병영도서관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육군, 해군, 공군 병영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장병들은 새로운 지식 및 정보를 얻고 교양을 쌓기 위하여 독서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선호하는 독서 분야는 일반소설, 시, 만화, 무협지 및 판타지 소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군부대 내에서 장병들의 독서를 장려하기 위해서는 병영도서관 장서의 다양함과 양적 확충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병들은 소설, 시, 입시 및 취업 대비서 등에 대한 도서의 확충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영도서관의 이용률과 독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병들의 병영도서관 및 도서에 대한 접근성 및 도서관 이용 시간 확대 방안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military library services and the factors for promoting the reading of the soldiers and the activation of the use of the library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use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the library users, and the usefulness of 'JinJung' library collection.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users of the Army, Navy, and Air Force military librar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y responded that they were reading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to cultivate the education. The favorite reading areas were general fiction, poetry, comic books, martial arts and fantasy novels. In order to encourage the soldiers to read in the military, diversity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collections are most needed, and soldiers said they most desire to expand the books on novels, poetry, admission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ooks.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military library and the interest in reading,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soldiers' library and books to the military, and to increase the library use time.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인쇄본저널의 보존 방안

        윤은하,장윤금,Youn, Eunha,Chang, Yunkeum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2

        디지털시대의 인쇄물 관리는 지난 10여 년간 국내외 도서관의 주요 현안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이루어 진 바 있다. 특히 인쇄본저널의 경우 디지털저널의 등장이후 지속적인 이용률 감소와 도서관의 공간 부족 문제로 이어지면서 인쇄본저널의 새로운 보존 및 영구적인 아카이빙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시대의 인쇄본저널 아카이빙 관리 전략에 대한 선행연구 및 북미를 중심으로 진행된 웨스트 공동보존협약(WEST, Western Regional Storage) 프로젝트 사례를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인쇄본저널의 보존에 대한 새로운 관리방안 및 향후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cademic research libraries are seeking a long-term preservation plan for journals for cost-effective stewardship. The emergence of shared print archives has given the library community the opportunity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lack of library storage and build a collaborative long-term archiving plan for the print journ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estern Regional Storage Trust(WEST), the largest print journal archiving program in North America, and identify their strategies for building a distributed, retrospective print repository service for journals. Based on the analysis, this article will discuss the development of new trends of collaborative library management in a digital age.

      • KCI등재

        개신교 교육 선교사들의 편지(1885-1942) - 북미 기록관 소장 현황 -

        한미경 ( Han,Mikyung Kim ),장윤금 ( Chang Yunkeum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科學 Vol.111 No.-

        편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없어지게 되지만, 기관과 개인 소장 기록물로서 여러 곳에 흩어져 단편적으로 남아 있게도 된다. 선교사를 한국으로 많이 보낸 미국과 캐나다는 역사 기록물 관리에 특별한 관심과 전통을 자랑하는 나라답게 많은 양의 내한 선교사 자료가 여러 종류의 기록관에 보존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북미 기록관에 소장되어있는 내한 교육 선교사의 편지를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내한 교육 선교사들의 편지가 보전되어 있는 전모를 파악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는 내한 선교사를 편지를 소장하고 있는 기록관들이 이 자료들을 얻게 된 방법에 따라 네 가지 유형(‘교단문서 유형’, ‘선교사 가족 기증 유형’, ‘후원자 기증 유형’, ‘기록관 구입 유형’)으로 자료의 컬렉션의 타입을 분류하여, 방대한 자료들이 보존된 경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논문은 현재 이런 편지들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흥미로운 자료들을 각 컬렉션 타입 별로 소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이 분야의 연구자들은 어떤 유형의 컬렉션을 자신의 연구를 위해 우선적으로 접근해야할 지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etters tend to disappear over time, but some end up as archival materials in different depositories.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he two countries that have sent the most Protestant missionaries to Korea, have preserved many different kinds of missionaries’ materials in various arch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sively summarize the whereabouts of letters sent by educational missionaries in Korea that are now preserved in the North American archiv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letter collections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manner in which the archives acquired the letters: (1) official letters in the Protestant denominations depositories; (2) personal letters preserved in either personal or family archival collections; (3) letters in financial donors’ personal archival collections; and (4) letters purchased by archives. While describing these four types, this paper will introduce some specific collections that will be of interest to researcher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provide guidance for researchers seeking to access letters sent by North American educational missionaries to Korea.

      • KCI등재

        ICT 리터러시 교육 활용 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장윤금,정행순,이혜영,전경선,Chang, Yunkeum,Jeong, Haengsoon,Lee, Hyeyoung,Jeon, Kyungs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한-ASEAN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일환으로 ASEAN(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회원국에서 공공도서관이 정보소외계층인 여성들에게 ICT 리터러시 교육 및 활용 공간으로서 적합한지 알아보고, 향후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ASEAN 회원국 공공도서관 여성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ASEAN 회원국 10개국의 사서 및 정보전문가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8.8%가 공공도서관이 ICT 교육장소로 적합하며, 접근이 편리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도서관 이용 목적에 대하여 27.5%가 정보검색과 이메일 등 ICT를 이용하기 위해 도서관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 및 정보전문가와의 인터뷰 결과 효율적인 ICT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서는 인터넷과 컴퓨터 기반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며, ICT 리터러시 교육 담당자를 위한 기술 교육과 관련 기관과의 협력, 재정 확충 및 세부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research is part of the Korean-AS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 specificall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public libraries as a pla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literacy training for women from 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countries. Women from ASEAN countries are often minorities in ICT capacity building. A survey of 1,000 female public library users - 100 people from each of the ten ASEAN countries -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ibrarians from national libraries were conduct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68.8% of respondents perceived public libraries as a suitable place for ICT literacy training. 27.5% of respondents visited libraries for ICT-related activities, including information retrieval, e-mail, SNS, etc., Meanwhile,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having up-to-date ICT infrastructure - computers, Internet, professional ICT skill training for librarians, strategic planning for policies, budgets, and cooperation with other related institutions - in public libraries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ICT training.

      • KCI등재

        병영도서관 운영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장윤금,이지수,이혜영,전경선,Chang, Yunkeum,Lee, Jisu,Lee, Hyeyoung,Jeon, Kyungs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병영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과 가치를 지향하는 공간 및 서비스 역할과 기능을 재수립하고 미래 지향적인 운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병영도서관 관련 법, 제도 등 운영 체제 및 관리 현황, 병영도서관 협력 사업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법/제도, 인프라/시설, 장서, 서비스/인력 등의 병영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병영도서관 운영 관련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적자원, 시설/설비, 장서/자료, 서비스 등의 효율적 운영방안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병들의 정보요구 충족 및 독서 진흥에 기여하고 사회변화를 선도하는 병영도서관의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conceptualize the functions of military libraries in Korea, both as spaces and services, by examining current operating structures and offering strategies for development. In exploring the existing military library operations in Korea, this study assesses key areas, such as human resources, facilities and equipment, budget, cooperation, and collections and materials. By leveraging the cross-area assessments, the study identifies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and modernization. This study may serve as a foundation to formulate policy-base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military libraries, toward satisfying the information needs of the armed forces and promoting the broader underlying priorities of military libraries.

      • KCI등재

        크라우드소싱 기반 이미지 태깅 시스템 구축 연구

        이혜영,장윤금,Lee, Hyeyoung,Chang, Yunkeum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이미지에 대한 접근 및 검색을 향상시키고, 이미지에 대한 설명 제공 도구로서의 태그를 효과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태그를 생성하는 두 가지 방법인 휴먼 태깅과 머신 태깅의 특징을 조사하고 휴먼 태그와 머신 태그의 속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머신 태그는 일반적 속성이 가장 높았으며, 특정적 속성과 시각적 요소는 일부 나타났고, 추상적 속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휴먼 태그도 일반적 속성이 가장 높았으나 휴먼 태그 생성자가 명칭을 알 수 있는 객체 및 장면에 대해서는 특정적 속성의 비중이 높았으며, 감정과 정서, 추상적 개념의 주제뿐 아니라 사건, 장소, 시간, 관계 등이 다양한 태그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성된 태그 집합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개선하기 위한 트레이닝 데이터세트를 구성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access and retrieval of images and to find a way to effectively generate tags as a tool for providing explanation of images. To do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human tagging and machine tagging, and compare and analyze them. Machine tags had the highest general attributes, some specific attributes and visual elements, and few abstract attributes. The general attribute of the human tag was the highest, but the specific attribute was high for the object and scene where the human tag constructor can recognize the name. In addition, sentiments and emotions, as well as subjects of abstract concepts, events, places, time, and relationships are represented by various tags. The tag set generat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training data set to improve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