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유병과 야경증

        박영우,Park, Young-Woo 대한수면의학회 1995 수면·정신생리 Vol.2 No.1

        To provide the physician with adequate information to diagnose and treat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the author reviewed clinical features, epidemiology, causative and precipitating factors, polysomnography, diagnosis,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for these disorders.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have been defined as disorders of arousal that occur early in the night and have their onset during stage 3 or 4 sleep. In both disorders, patients are difficult to arouse, and complete amnesia or minimal recall of the episode is frequent. Genetic, develop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as causes of both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typically begin in childhood or early adolescence and are usually outgrown by the end of adolescence. When sleepwalking or sleep terrors have a post-pubertal onset or continue to adulthood, psychopathology is a more significant causative factors. The behavior that occur from deep slow-wave sleep can be painful or dangerous to the individual and/or disturbing to those close to that individual. The assessment of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these conditions requires a thorough medical and sleep history.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managing patients with sleepwalking or sleep terrors episodes is protection from injury.

      • SCOPUSKCI등재

        Noonan 증후군에 동반된 DCRV와 심방중격결손증 -1례 보고-

        박영우,이석열,정윤섭,염욱,Park, Young-Woo,Lee, Seock-Yeol,Jeong, Yoon-Seop,Youm, Wook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5

        Noonan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typical facies, congenital heart defect, and some clinical features similar to Turner syndrome, but with normal chromosomes. The most commonly associated cardiac defects are pulmonary valvular stenosis and strial septal defect. We experienced a case of Nonan syndrome associated with pulmonay valve stenosis with double-chambered right ventricle and atrial septal defect and cryptorchidism. Pulmonary valvotomy was done through transannular incision. Hypertrophied muscle bundles were excised. Atrial septal defect was closed directly. RVOT was reconstructed with pericardial transannular patch. Orchiopexy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out any problem.

      • KCI등재

        시조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박영우(Park Young-woo)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3 No.-

        익산시는 2017년 가람문학관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또한 진안군에서도 가람 이병기의 제자인 시조시인 구름재 박병순 생가 복원 사업을 현재 진행 중에 있으며 올 안에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업들은 가람 이병기를 중심으로 꽃피웠던 시조문학 메카로서의 전라북도의 문화적 자존심을 살리는 의미 있는 사업이라 하겠다. 문제는 이러한 사업들이 이제는 상호 지역적 연계성을 통해 새로운 문화콘텐츠 생산 및 지역마케팅 차원에서 사업 성과를 낼 수 있는 연구와 실천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라는 생각이다. 그런 차원에서 가람문학관이 건립될 익산을 중심으로 가람 선생이 머물렀던 전주 한옥마을과 양사재(養士齋), 진안의 구름재 박병순 생가와 마이산, 그리고 조선시대 명기(名妓)로서 절창 시조를 남긴 부안의 이매창 관련 유적지들을 연계한 지역 테마 관광 코스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문학도 이제는 문화원형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및 관광과의 컨버전스를 통한 마케팅 차원의 접근이 본격적으로 필요한 시기라고 하겠다. 이런 차원에서 본 논의가 시조문학을 통한 전라북도 지역 마케팅 활성화에 새로운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Iksan City is pushing a project aimed at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the Garam Literary House in 2017. Jinan-gun is also propelling the restoration of a sijo poet Gureumjae, Park Byeong Soon"s birthplace, who was Garam Lee Byeong Gi’s disciple. A series of projects implemented around the same time aim at inspiring the cultural pride of Jeollabuk-do as the mecca of sijo literature, which was led by Garam. Now it is the time to push through the possible research and practice as part of producing new cultural contents and developing place marketing through cross-regional linkages.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urse for a regional theme tour, course linking historic sites such as: Garam literary house expected to be built in Iksan; Jeonju Hanok Village; and Yangsajae, where Garam lived; Gureumjae - Park Byeong Soon"s birthplace; and Mt. Mai in Jinan; as well as places in Buan related with Lee Mae Chang, a famous gisaeng from the Choseon Dynasty, who handed down excellent pieces of sijo. It is also a high time to approac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converging on tourism by utilizing the culture protocol.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give an opportunity to vitalize Jeollabuk-do"s place marketing through sijo.

      • KCI등재

        이호우 시조에 나타난 내상(內傷)과 현실의식

        박영우(Park, Young-Woo) 한국시조학회 2021 시조학논총 Vol.54 No.-

        본 논문은 ‘현대시조개척시대’(1920~1940)를 대표하는 이호우 시조에 나타난 현실인식과 시 의식 속에 자리 잡은 내상(內傷)의 시적 형상화 과정을 살폈다. 현대시조사에서 시조보급운동과 시조부흥운동을 펼친 이호우는 현대시조의 형식과 내용을 새롭게 시도하고 정착시킨 시인이라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주제 면에서도 고시조풍의 답습이나 서정성 일변도의 시조쓰기가 주류를 이루던 시기에, 과감하게 시대적 현실과 고뇌를 시조를 통해 본격적으로 형상화시키고 있다는 점은 이호우 시조의 또 다른 시조사적 의의를 새롭게 하였다. 본고에서는 해방기와 전후시대의 시대적 현실의 내상(內傷)을 시적 형상화 과정을 통해 이호우 시조에 나타난 시의식과 현실의식을 탐구하였다. 이호우 시인은 평생 자신이 살아온 역사와 현실을 직시하고, 몸소 겪은 역사와 현실 속의 내상(內傷)을 시조로 형상화시켜왔다는 점에서 시조사적 의의가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해방 이후의 혼란기와 6.25이후 분단의 현실을 시조를 통해 극복해보고자 하는 열망과 의지의 표현은 이호우 시인의 시세계와 시의식을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들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reality, centered on the interior minister of the sijo of Lee Hou, who represented the “modern pioneering era” (1920-1940). Lee Hou, who expanded the sijo"s popularization movement and the sijo"s revival movement in the study of contemporary poetry, can be regarded as a poet who established the sijo in an attempt to update the form and content of modern sijo. Lee Hou"s sijo renewed the personal significance of the sijo, in particular, during the time when the old sijo-style follow-up and esoteric writing of lyrical dominance were mainstream, thus boldly shaping historical reality and suffering through the sijo. In this paper, we explored the wisdom and real consciousness presented to the sijo of Lee Hou through a poetic figurative process of the inner box (contusion) of the realities of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postwar period. Lee Hou, the poet, can be evaluated as having great personal significance in that he has faced the history and reality in which he has lived and he has shaped the inner box (contusion) in the history and reality in which he experienced the sijo.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desire and will to overcome the confusion period after liberation and the reality of the division after 6.25 through the sijo is an important element for measuring the poetry world and poetry awareness of Lee Hou.

      • KCI등재후보

        시를 통한 가족의 재탄생

        박영우(Park Young-Woo) 국어문학회 2011 국어문학 Vol.50 No.-

        시란 곧 인간에 대한 관심의 산물이고, 진실로 인간을 구제하려는 기록이다. 문학은 삶의 본질에 눈뜬 시력을 갖게 함으로써 자기 성찰과 자기 확대를 가능하도록 유도하고 자신의 참된 모습을 찾아가는 도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시는 인간학이다. 인간과 우리들의 삶에 대해 탐구하는 작업인 것이다. 또한 시는 나의 이야기이고 우리 가족과 이웃의 이야기이다. 나와 너 사이에 주고받은 상처의 기록들인 것이다. 이처럼 시를 통해 자신과 가족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또한 그것을 한 편의 시로 완성시키는 과정 속에서 시인은 한층 더 성숙된 자아 성장의 성취감과 더불어 가슴 깊이 내재되어 있는 아픔을 치유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전제 하에 본고에서는 2000년대 이후 심화되고 있는 가족에 대한 전통적 가치 해체 징후와 현상들에 비추어 현대시에 나타난 ‘가족의 모습’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첫째로는 이 시대의 비극적 자화상, 아버지의 모습을, 둘째로는 인고와 기다림의 화신으로서의 어머니의 모습을, 셋째로는 동병상련하는 동행자로서의 부부의 모습을, 마지막으로 가족 간의 소통과 화해의 공간으로서의 시적 의미를 구현해보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시에 그려진 가족의 삶을 통해 자신의 삶을 복원해보고자 하는 치유와 화해의 공간으로서의 시적 의미를 규명하는데 본고의 가치를 두고자 한다. Poetry is at once the product of interest in human beings and the records about true relief of human beings. Literature is a path to looking into the essence of life, developing self-reflection and self-enlargement and finding oneself as he or she really is. In addition, poetry is a study about human beings, that is, it is a research of human beings and their lives. Poetry is a story of one's self and his or her family and neighbor. It is the records of scars between them. While a poet tries to understand his or her self and the identity of family, he or she can feel self-growth and enjoy happiness of healing scars seated deep in mi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modern family' in view of family dissolution which has been deepened since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body the nature of family in 4 aspects: first, father's image, a tragic self-portrait of this age - second, mother's image, an avatar of endurance and waiting - third, husband and wife's image as fellow travellers - lastly, a place of reconcili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among family members.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out the poetic meaning of family as a place of treatment and reconciliation, where one can restore life to the original stat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정조와 강희제의 ‘주역제왕학’ 비교연구 ― 『경사강의(經史講義)·역(易)』과 『일강역경해의(日講易經解義)』를 중심으로

        박영우 ( Park Young-woo ) 한국중국학회 2018 중국학보 Vol.85 No.-

        본 연구는 조선 정조의 『經史講義·易』과 청대 강희제가 친히 강술한 『日講易經解義』를 중심으로, 이 두 저서에서 드러난 ‘왕심’구조를 비교대조하는 방법을 통하여 융합적으로 제왕학을 재구축하는 것이다. 제왕학의 이러한 재구축은 이 두 가지 ‘주역제왕학’에서 보이는 帝王之心의 同異, 즉 ‘왕심’의 내적 구조를 확인하는 것에서 출발한다.『주역』에서는 ‘왕심’이 ‘천하심’으로 현현한다. 「繫辭上」에서는 “聖人以通天下之志,以定天下之業,以斷天下之疑”로 구체화되었으며, 이는 ‘왕심스키마’의 구조가 표현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표준에 기초하여 두 제왕의 ‘왕심스키마’가 함축한 내재적 특징을 비교한다.현대 마음철학과 인지은유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사람의 마음체계는 ‘자아동일성’ (personal identity) 이론 혹은 ‘개념스키마’ 이론에 의해 충분히 설명될 수 있다고 한다. 본 연구는 바로 ‘왕심스키마’ 개념에 의거하여 ‘일인칭시점’에서 구축되는 제왕학, 혹은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제왕학이 가능함을 논증한다.필자는 『주역』의 8괘와 64괘, 즉 384효의 구조가 ‘이미지 스키마’와 ‘개념도식’이론이 제시하는 ‘은유적 투사’와 ‘유비추론’ 등의 심적 기제에 의해 뒷받침된다고 보며, 治統과 道統 모두를 한 몸에 실현하고자 했던 정조와 강희제, 이 두 제왕의 ‘자아동일성’ 체계가 이러한 마음의 ‘스키마’ 기제들에 의해서 ‘君師’라는 ‘왕심스키마’를 형성하였다고 본다.두 제왕의 도통과 치통의 결합이라는 역사적 임무는 ‘군사’라는 개념 속에서 통합된 주체성으로 완성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송대의 주희가 제시한 도통과 치통의 통합이 분리된 주체성을 통해 추구되는 형태였던 것과는 구별되는 형태라는 점도 아울러 밝혔다.최종적으로 『日講易經解義』와 『經史講義·易』에서 각각 천명된 ‘中正’ 개념의 비교와 분석을 통해, 두 제왕의 왕심스키마가 ‘군사’ 형태로 완성되었으며, 또 그것을 밑받침하는 철학적 근거가 ‘중정’ 개념의 해석으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This research is comparatively examined Gyungsa-Gangyi/Yi (經史講義/易), which was written by king Jeongjo of Josun dynasty, and Rijiang-Yijing-jieyi (日講易經解義) which by emperor Kangxi of Qing dynasty. In this research, I am going to reconstruct a set of Diwang’s learning by means of a methodological comparison between both kings, each want to build a theoretical construction of kingly-mind. I analysis that this reconstruction of Diwang’s learning be started from confirming the feature in the structure of both kingly-mind which is seen in both texts of Diwang’s learning.In ZhouYi, kingly-mind manifested as Tian-xia Xin (天下心, the worldly-mind), namely, in the Xici (繫辭) commentary, in terms of “the saint must integrate all-pursuits of the whole world; must set at ease all-undertakings of the whole world; must dispel all-doubt of the whole world”. This original phrase is considered as manifesting the structure of kingly-mind schema. And I compared the world of two kings’s learning in Zhouyi by relying on this principle.According to contemporary philosopher of mind and cognitive-metaphorical theory, man’s mind system can be sufficiently explained by a personal-identity theory or conceptual schema theory. Standing on the ‘kingly-mind schema’, thereby my research argued a possibility of Diwang’s learning through the first person viewpoint or learning for oneself.I claim that Zhouyi’s 8 trigrams and 64 hexagrams system, namely 384 lines’s whole symbolism of Zhouyi is powerfully supported by a metaphorical projecting and analogical reasoning which schematic theory presents, whereby Jeongjo which want to actualize the ‘king-teacher’ (君師) and Kangxi which to actualize the rule-orthodoxy (治統) and confucian-orthodoxy (道統, or, thought-orthodoxy) in their own self personality, both had developed successfully their own’s ‘kingly-mind schema’ qua ‘king-teacher’ by frame of his personal identity.In process of inferencing, I pointed out that historical obligation for integration of confucian-orthodoxy and ruling-orthodoxy will be completed in the concept ‘king-teacher’ as a form of integrated subjectivity. this feature of both Diwang differs from a separated subjectivity in Zhu-xi’s theory on confucian-orthodoxy and ruling-orthodoxy.Finally, through comparing and analysis to the concept ‘king-teacher’ was manifested in Gyungsa-Gangyi / Yi and Rijiang-Yijing-jieyi respectively, I argued that both Diwang’s ‘kingly-mind schema’ was completed as ‘king-teacher’, and that philosophical basis which it stand on was started from interpreting the meaning on the concept ‘zhong-zheng’, ie. middle and fai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