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국내 병원 별 방사선치료의 진료 구조 현황

        김미숙(Mi Sook Kim),류성렬(Seoung Yul Yoo),조철구(Chul Koo Cho),유형준(Hyung Jun Yoo),양광모(Kwang Mo Yang),지영훈(Young Hoon Ji),이동훈, 이동한, 김도준(Do Ju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 적:국내 방사선치료에 대한 전국현황의 통계를 1997년을 중심으로 한 병원 별 진료 장비, 인력현황을 조사하고 그에 대한 연간 신환자수의 분포를 검토하여 그 결과를 선진국의 예와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국내 방사선치료의 진료 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1998년에 치료방사선과가 있는 전국의 42개 병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자료는 1997년 1월 부터 12월 까지 총 1년으로 하였고 통계처리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 과:1997년에 국내에서 42개의 병원이 71대의 외부 방사선치료장치, 100명의 치료방사선과 전문의, 26명의 의학물리학자, 205명의 방사선사가 있었고 연간 19,773명의 신환을 치료하였다. 전국 42개 병원의 89%는 최소한 6 MeV이상의 선형가속기를 보유하였고 95%는 모의 조사장치를 소유한 반면 5%는 모의 조사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컴퓨터 치료계획을 할 수 있는 장비를 소유한 병원은 91%였고, 83%는 정도관리 지침서를 가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병원별 치료방사선과 의사가 단지 1명인 병원이 36%이었으며 의학 물리학자가 없는 곳이 38 %였다. 한 병원당 년간 환자수 분포의 중앙값은 348명, 기계당 환자수의 중앙값은 263명,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당 환자수의 중앙값은 171명, 방사선사당 환자수의 중앙값은 81명, 기계당 방사선사의 중앙값은 3명이다. 결 론:국내의 치료방사선과를 보유한 병원의 수,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수 및 치료장비수는 일본 및 미국과 비교하여 인구비례로 계산해 볼때 매우 적은 편이다. 치료장비면에서는 선형가속기, 모의 조사장치, 컴퓨터 치료계획시스템의 수준이 미국과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없었다. 의사, 방사선사에 대한 환자수의 부하(loading)는 미국과 비교하여 큰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인력면에서 의학물리학자가 없는 병원의 수가 상당히 많은 관계로 이의 보완을 위해서 미국과 같은 part time 제도의 운영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Purpose:To measure the basic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adiation oncology facilities in Korea during 1997 and to compare personnel, equipments and patient loads between Korea and developed countries. Method and Materials:Mail serveys were conducted in 1998 and data on treatment machines, personnel and performed new patients were collected.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the 100 percent of facilities. The consensus data of the whole contry were summarized using Microsoft Excel program. Results:In Korea during 1997, 42 facilities delivered megavoltage radiation theraphy with 71 treatment machines, 100 radiation oncologists, 26 medical physicist, 205 technologists and 19,773 new patients. Eighty nine percent of facilities in Korea had linear accelators at least 6 MeV maxium photon energy. Ninety five percent of facilities had simulators while five percent of facilities had no simulator. Ninety one percent of facilities had computer planning systems and eighty three percent of facilities reported that they had a written quality assurace program. Thirty six percent of facilities had only one radiation oncologist and thirty eight percent of facilities had no medical physicists. The median of the distribution of annual patients load of a facility, patients load per a machine, patients load per a radiation oncologist, patients load per a therapist and therapists per a machine in Korea were 348 patients per a year, 263 patients per a machine, 171 patients per a radiation oncologis, 81 patients per a therapist, and 3 therapists per a machine respectively. Conclusion:The whole scale of the radiation oncology departments in Korea was smaller than Japan and USA in population ratio regard. In case of hardware level like linear accelerators, simulators and computer planning systems, there was no big diffrences bewteen Korea and USA. The patients loads of radiation oncologists and therapists had no significient differences as compared with USA. However, it was desirable to consider the part time system in USA because there were a lot of hospitals which did not employ medical physicists.

      • SCOPUSKCI등재

        국소적으로 진행된 비소세포폐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김미숙(Mi Sook Kim),류성렬(Seoung Yul Yoo),조철구(Chul Koo Cho),유형준, 김재영(Jae Young Kim),심재원(Jae Won Shim),이춘택(Choon Taek Lee),강윤구(Yoon Koo Kang),김태유(Tae You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3

        목 적 : 비소세포폐암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환자의 생존율 및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2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수술이 불가능한 비소세포폐암으로 원자력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40Gy 이상의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62명의 환자에 대해 후향적으로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병기별 분포는 병기 IIIA 14예, 병기 IIIB 48예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선량 1.8-2.0Gy씩 주 5회로 원발병소에 총 40.0-70.2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환자중 37예에서 유도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방사선 치료 후 반응은 완전 관해가 3예, 부분관해가 34예였다. 그외는 무반응이였다. 전체환자의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으며 1년 생존율은 45.0%, 2년 생존율은 14.3%였고 5년 생존율은 6.0%였다. 병기에 따른 1년 생존율 및 중간 생존기간은 각각 병기 IIIA에서 28.6%, 6.5개월, 병기 IIIB에서 50.3%, 13개월이였다. 단변수 분석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로는 T 병기, 병기, 방사선 치료 직후의 반응이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고(P<0.05) 연령, 성별, 병리학적 소견, N 병기, 쇄골상 림프절 전이 유무, 화학 요법 시행유무 등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었다(P>0.1). 그외 치료전 전신상태는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지만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경향을 보여주었다(0.05<P<0.1). 다변수 분석상 병리학적 소견, 방사선치료직후의 반응이 의미있는 예후인자였고 T 병기는 통계학적으로 의미는 없었지만 생존율과 관련된 경향을 보여주었다. 추적기간 중 20예에서 원격전이가 관찰되었으며 그중 골전이가 10예, 뇌 전이 3예, 간 전이 3예, 폐전이 1예였고 그외는 다발적으로 발생하였다. 결 론 :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전통적인 방사선 단독 치료 또는 유도화학요법을 병행하는 것만으로는 장기생존율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좀더 적극적인 치료방법의 도입이 필요한다. 저자들의 병원에서는 국소 제어율을 높이기 위하여 방사선치료와 함께 병행화학요법을 시행한후 가능한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의 적용을 시행하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and prognostic factors of patients with inoper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taken of 62 patients who had inoperable NSCLC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from January 1991 through December 1993. According to AJCC staging, stage ⅢA was 14 patients and stage ⅢB was 48 patients. Forty Gy to 70.2Gy to the primary tumor site was delivered with daily fractions of 1.8Gy or 2Gy, 5 days per week. Thirty-seven patients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Results : Complete, partial and no response to radiation therapy were 3 patients, 34 patients and 25 patients, respectively. The median survival period of all patients was 11 month. One year survival rate, 2 year survival rate and 5 year survival rate for all patients were 45.0%, 14.3%, and 6.0% respectively. The median survival period was 6.5 months in stage ⅢA and 13 months in stage ⅢB. One year survival rates were 28.6% in stage ⅢA and 50.3% in stage ⅢB. In univariaite analysis,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were T-staging, AJCC staging, and response after radiation therapy (P<0.05). Pretreatment peformance status affected survival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0.05<P<0.1). Survival was not affected by age, sex, pathologic finding, N staging, supraclavicular lymph node status,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P>0.1). In multivariate analysis, pathology and response to radiation therapy are independent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T stage was marginally significant (P=0.0809). During follow -up duration, distant metastasis developed in 20 patients-bone metastasis in 10 patients, brain metastasis in 3 patients, liver mentastasis in 3 patients, contralateral lung metastasis in 1 patients and multiple metastases in 3 patients. Conclusion :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or combined chemoradiotherapy are unlikely to achieve long term survival in patients with NSCLC. Surgery afte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s tried to improve the local control in our hospital

      • SCOPUSKCI등재

        식도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김미숙(Mi Sook Kim),류성렬(Seoung Yul Yoo),조철구(Chul Koo Cho),유형준(Hyung Jun Yoo),양광모(Kwang Mo Yang),강진오(Jin Oh Kang),지영훈(Young Hoon Ji),이동한(Dong Han Lee),류백렬(Baek Yeol Ryo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목 적 :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식도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 생존율 및 예후 인자를 파악하여 향후 치료 방침 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부터 1996년까지 원자력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 또는 고식적 목적으로 치료를 받은 식도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 하였다. 수술 또는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환자 및 방사선조사를 40 Gy 미만으로 받은 환자를 제외한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남자는 35명, 여자는 5명이었다. 2 명의 환자는 생검을 시행하지 않았고 그 외 환자는 모두 편평 상피암이었다. AJCC 1997 병기별 분포는 I 1명, ⅡA 6명, ⅡB 6명, Ⅲ 10명, ⅣA 12명, ⅣB 4명 이고 병기를 알 수 없는 경우가 1명이었다.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모두 10명이었다. 조사선량의 범위는 40∼60 Gy 이고 중앙선량은 59.4 Gy 였다. 결 과 :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6.5개월이고 1년 생존율은 28.3%이다. 연령 및 병변위치, 방사선량, 항암화학요법 추가에 관한 생존율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아 임상병기는 예후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병기 Ⅲ이내의 환자와 병기 Ⅳ이상의 환자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지는 않았지만 중앙생존기간이 각각 7.6개월 및 6.2개월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식도암의 생존율은 극히 불량하였다. 환자의 전신 상태 등을 고려하여 완치 및 고식적 목적을 구별하고 항암화학요법의 추가 및 스텐트(stent), 또는 근접 조사치료를 추가 함으로 생존율의 증가 및 고식적 치료 목적을 달성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 To determine treatment protocol for inoperable esophageal cancer patients, we evaluated survival rate and prognostic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 We evaluated esophageal cancer treated by curative or palliative aim in KCCH from 1992 to 1996, retrospectively. Recurrent or underdose case below 40 Gy were excluded. The number of male and female were 35 and 5, respectively. Thirty-eight patients were squamous carcinoma and 2 patients were not biopsy proven. T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Median dose of radiation therapy was 59.4 Gy and the range was 40∼60 Gy. Results : The median survival is 6.5 months and 1-year survival rate was 28.3%. Age, location, radiation dose and chemotherapy were no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Median survivals of patients with below stage III and over stage IVA were 7.6 and 6.2 months respectively, but it i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The survival for esophageal cancer is very poor. For patients with curative aim, chemotherapy must be considered. For patients with palliative aim, short-term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and/or brachytherapy must be considered.

      • KCI등재
      • KCI등재

        비교사적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산화 단층영상의 병소부위 결정에 관한 연구

        이경후,지영훈,이동한,류성렬,조철구,김미숙,유형준,권수일,전준철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1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6 No.2

        정위적분할방사선치료(FSRT)는 병소경계에 대한 공간상위치와 형태를 정확히 결정하는 것이 큰 쟁점이다. 본 연구는 나선형 CT를 이용하여 4명의 뇌종양 환자와 팬톰(파라핀)으로부터 연속적인 횡축 단면상을 얻었다. K-mean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CT영상의 초기정보값을 평균화소값으로 변화시켰다. 영상의 구성은 병소영역, 정상영역, 혼합영역, 바탕영역, 가음영영역의 5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주된 관심은 혼합영역 내에서 정상영역과 혼합영역을 어떻게 분리하는 가였다. 5영역 평균화소값 중에서 정상영역과 병소영역에 상대적인 평균편차 분석법을 적용하여 2영역 평균편차 화소값 사이의 최대점을 구하였다. IDL 프로그램을 이용한 반자동윤곽법으로 혼합영역내의 최대점을 연결함으로서 GTV의 경계선을 그렸다. 균일한 팬톰의 관심영역 경계선은 ±1% 이내의 오차로 평가되었다. 환자 4명의 경우는 방사선 전문의들이 그런 병소영역과 K-mean 알고리즘과 상대적인 평균편차 분석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묘사된 병소영역과 거의 일치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불분명한 정상영역과 병소영역의 경계선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었다. 그러므로 CT 영상이 MRI 영상과 비교하여 간헐적으로 병소윤곽을 보여주지 못할 경우 이 방법은 치료계획을 결정할 때 유용한 CT영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t is a hot issue to determine the spatial location and share of tumor boundary in fractionated stereotaotic radiotherapy(FSRT). We could get consecutive transaxial plane images from the phantom(paraffin) and 4 patients with brain tumor using helical computed tomography(HCT). K-means classification alogrithm was adjusted to change raw data pixel value in CT images into classified average pixel value. The classified images ocnsists of 5 regions that are tumor region(TR), normal region (NR), combination region(CR), uncommitted region(UR) and artifact region(AR). The major concern was how to separate the normal region from tumor region in the combination area. Relative average deviation analysis was adjusted to alter average pixel values of 5 regions into 2 regions of normal and tumor region to define maximum point among average deviation pixel values. And then we drawn gross tumor volume(GTV) boundary by connecting maximum points in images using semi-automatic contour method by IDL(Interactive Data Language) program. The error limit of the ROI boundary in homogeneous phantom is extimated within ±1%. In case of 4 patients, we could confirm that the tumor lesions described by physician and the lesions described automatically by the K-mean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relative average deviation analyses were similar. These methods can make uncertain boundary between normal and tumor region into clear boundary. Therefore it will be useful in the CT images-based treatment planning expecially to use above procedure apply prescribed method when CT images intermittently fail to visualize tumor volume comparing to MRI imag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식도암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실패 양상 분석

        김미숙,김재영,류성렬,조철구,유형준,조재일,백희종,박종호,최수용,Kim Mi Sook,Kim Jae Young,Yoo Seoung Yul,Zo Chul Goo,Yoo Hyung Jun,Zo Jae Ill,Baek Hee Jong,Park Jong Ho,Choi Soo Y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목적 : 국소 제어율과 생존율, 여러 예후인자 및 국소실패의 원인을 분석하므로 식도암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에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수술을 시행 후 40Gy 이상의 방사선 치료를 받은 국소적으로 진행된 식도암 환자 8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수술 후 병기는 II가 26례, IIB가 4례, III가 52례 였으며 수술후 병리학 소견으로 편평상피암 77례, Adenosquamous 3례, 선암 2례였다. 수술 후 외부 방사선 치료로 41Gy에서 64.8Gy(중간값 50.4Gy)를 조사하였다. 5례에서 PFC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총 환자의 2년 생존율 및 2년 국소제어율은 각각 36.8$\%$ 및 30.4$\%$이며 5년 생존율 및 5년 국소제어율은 각각 9.3$\%$ 및 26.3$\%$이다. 수술 후 병기에 따른 2년 생존율은 IIA가 50.2$\%$, IIB가 0$\%$, III가 23.3$\%$이었다(p=0.004). 2년 국소제어율은 IIA가 49.2$\%$, IIB가 66.6$\%$, III가 24.7$\%$(p=0.01) 이었다. 추적기간중 전체환자의 73.2$\%$인 60례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다. 이중 원발병소인 식도에서 재발이 3례, 주위임파절 재발이 23례, 원발병소와 임파절에 함께 재발된 경우가 4례, 원발 병소재발 및 원격전이 재발이 1례, 주위임파절과 원격전이 재발이 9례, 원격전이 재발이 17례였다. 3례에서 재발 부위를 알수 없었다. 생존율에 관련된 예후인자로 흡연유무(p=0.02), 1 병기(p=0.0092), N병기(p=0.0045)가 통계적으로 의미있었다. 국소제어율에 관련된 예후인자로 T 병기(p=0.019), N 병기(p=0.047)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었다. 결론 :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도 국소실패가 여전히 중요 실패 원인이었다. 국소 실패의 원인 중 식도 주위 임파절에 의한 실패가 원발 병소 실패보다 휠씬 높았다. 따라서 수술후 방사선치료에서 림프절에 대한 적절하고 적극적인 치료 전략이 필요하겠다.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survival, local control, prognostic factor, and failure pattern of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treated with operation and adjuvant radiation therapy to use as fundermental data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taken of 82 patients who had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treated with operation and adjuvant radiation therapy from January 1988 to December 1995. According to AJCC staging, stage IIA were in 26 patients, stage IIB in 4 patients, and stage III in 52 patients. Squamous cell carcinoma were in 77 patients, adenosquamous carcinoma in 3 patients, and adenocarcinoma in 2 patients. The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ranging from 41.0 Gy to 64.8 Gy. Five patients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Results : Two-year survival and local control rates for all patients were 36.8$\%$ and 30.4$\%$ respectively. And they were 9.3$\%$ and 26.3$\%$ respectively at 5 years. According to stages, 2-year survival rates were 50.2$\%$ in IIA, 0$\%$ in IIB and 23.3$\%$ in III (p=0.004). Two-year local control rates were 49.2 $\%$ in IIA, 66.6$\%$ in IIB and 24.7$\%$ in III (p=0.01). Sixty patients developed recurrence, which were 3 tumor margin, 23 lymph node recurrence, 4 tumor margin and lymph node, 1 tumor margin and distant metastasis, 9 lymph node and distant metastasis, 17 distant metastasis and 3 unknown metastatic sit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were smoking (p=0.02), T-staging (p=0.0092), N-staging (p=0.0045).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were T-staging (p=0.019), N-staging (p=0.047). Conclusion : In spit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predominant failure pattern was local failure. Especially regional lymph node failure was major cause of local failure. So strategy of aggres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to regional lymph node area in post operative treatment should b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