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종 24년(1442) 몽골-오이라트의 대조선(對朝鮮) 통교(通交) 요청과 그 전후의 세력 확대

        권용철 ( Kwon¸ Yong-cheol ) 대구사학회 2020 대구사학 Vol.140 No.-

        본고에서는 15세기 중반 동아시아의 정국 변화를 살펴보고 아울러 몽골의 카안 톡토부카의 역할을 부각하기 위해 조선, 명, 몽골 측의 자료를 분석했다. 조선 측의 자료는 톡토부카의 대외 확장 시도를 직접 보여주고 있고, 명의 자료에서는 톡토부카가 주로 조공을 바치는 몽골의 수장, 에센과 연합하여 변경을 괴롭히는 인물이라는 인식이 드러나 있다. 몽골측의 자료에서는 톡토부카가 주도한 요동, 조선으로의 팽창 시도에 대한 이야기는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톡토부카와 토곤-에센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서 명, 조선 측의 기록과 함께 비교하며 살펴볼 내용들이 존재하고 있다. 세종 24년(1442)에 몽골의 ‘황제’가 조선에게 通交를 요청하며 접촉을 도모한 일은 시도로만 끝이 나고 더 이상의 상황 변화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다지 주목을 많이 받지는 못했던 사건이었다. 물론, 조선과 몽골의 관계로만 한정한다면 몽골의 접촉 시도 이후 별다른 진전이 보이지 않고 있고 소문으로 퍼져나가던 조선에 대한 몽골의 침입도 실제로는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朝鮮世宗實錄』의 기록은 한때의 ‘해프닝’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당시 동아시아 정국의 변동을 범주에 넣고 생각하게 되면 조선 측의 기록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몽골-오이라트의 대외 팽창에서 몽골의 카안인 톡토부카가 어떠한 역할을 담당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판단해야 한다. 오이라트의 權臣 토곤에 의해 1433년에 카안이 된 톡토부카는 토곤의 사망 이후 에센이 권력을 장악했을 때에도 에센과 함께 몽골-오이라트의 확대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했다. 에센은 칭기스 칸의 후손이 아니었으므로 몽골 전체를 장악하는 데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톡토부카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에센은 이 점을 충분히 활용했고 兀良哈 3衛는 물론이고 여러 여진족 세력을 포섭하는 데에는 톡토부카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다. 특히 『朝鮮世宗實錄』의 기록에서는 톡토부카가 조선과도 연계를 맺기 위해 朶顏衛와 忽剌溫 사람을 이용했다는 점과 칭기스 칸, 쿠빌라이 및 몽골-고려와의 관계에 대한 기억을 언급하며 조선과의 通交를 시도했다는 사실도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이러한 포섭 방식은 몽골, 여진 계열의 여러 민족들을 끌어들이는 효과를 일정정도 발휘했을 것이고 몽골제국의 기억 내용을 담은 칙서는 오로지 톡토부카만이 작성할 수 있는 것이었다. This article analyzed historical resources of Joseon, Ming, Mongol to examine the political changes in East Asia in the mid-15th century and to highlight the role of Mongol’s Khan Toγto-Buqa[脫脫不花]. Joseon’s resource directly illustrates Toγto-Buqa’s attempt to expand its territory, while Ming’s resource reveals that Toγto-Buqa was a person who usually pay tribute to the Ming empire. The Mongol’s chronicle resource does not include detailed stories about the attempts to expand to Joseon led by Toγto-Buqa, but there are contents to compare with those of Ming and Jose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oγto-Buqa and Esen[也先]. In the 24th year of Joseon King Sejong’s reign(1442), the Mongol Khan sought contact with Joseon by asking for a favor, which was not very noticeable because it ended only in an attempt and there were no further changes in the situation. Of course, the record of Joseon’s Veritable Annal could be seen as a “happening” at one time because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since Mongol’s attempt to contact the Joseon Dynasty. However, if we think about the changes in the East Asian political situation, we should judge that record of Joseon’s Veritable Annal was not just a happening, but an important material that illustrates the role of Mongol Khan Toγto-Buqa in the expansion of Mongol-Oirat. Toγto-Buqa, who became Khan in 1433 by Toγon[脫歡], played a certain role in the Mongol-Oirat expansion with Esen. Esen was not a descendant of Chinggis Khan, so he had some limitations in taking control of the entire Mongol, but because Toγto-Buqa did not, he fully utilized this point, so the role and legitimacy of Toγto-Buqa was greatly important. In particular, the Joseon’s Veritable Annal clearly show that Toγto-Buqa used the Doyan[朶顏] and Hulawen[忽剌溫] people to connect with Joseon, and that he attempted to establish friendly relations with Joseon, referring to memories of Chinggis Khan and Khubilai. This approach would have had a certain effect on attracting various ethnic groups from Mongol and Jurchen, and only Toγto-Buqa could write an edict containing the memory of the Mongol Empire. (Korea University / kycgandhi@hanmail.net)

      • KCI등재

        윈 제국의 다르칸 제도가 고려에 유입된 양상 -고려 후기 김여우(金汝盂) 공신교서(功臣敎書)의 분석을 중심으로-

        권용철 ( Kwon¸ Yong Cheol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1 學林 Vol.47 No.-

        본고에서는 고려 후기의 신료인 김여우가 받은 공신교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 내용 중에서 충렬왕이 ‘上國之制’, 즉 元朝의 다르칸 제도를 수용하여 공신에게 면죄의 특권을 내린 것의 연원을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김여우의 공신교서는 고려 후기의 얼마 남지 않은 문서 자료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역사학계와 한문학계에서 별도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에 두 연구 성과에서 제시한 김여우 공신교서의 판독을 비교하면서 분석했고, 그 결과 조금 더 정확한 원문판독을 제안할 수 있었다. 김여우가 충렬왕으로부터 공신녹권 및 공신교서를 받게 된 것은 충렬왕이 세자의 신분으로 원에 들어갔을 때, 김여우가 충렬왕을 호종했기 때문이었다. 특히 충렬왕이 쿠빌라이의 딸과 혼인을 하면서 고려왕권을 강화할 수 있었던 것은 충렬왕이 김여우에게 특별한 포상을 내린 배경으로 작용했다. 여러 측면에서 원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충렬왕은 공신 포상을 내릴 때에 원조의 제도를 활용하여 김여우에게 면죄의 특권을 부여하는 조치를 시행했음이 공신교서에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 주요 내용은 죄를 9번 범할 때까지는 벌을 주지 않고, 10번 죄를 범할 때부터 처벌을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九宥’ 제도는 몽골-원 제국 시기의 공신들에게 특별히 부여했던 다르칸이라는 개념과 연결되는 것이었다. 다르칸은 칭기스 칸이 자신을 호종하면서 목숨을 살렸던 공신들에게 내린 호칭이었고, 충렬왕도 김여우에게 공신교서를 하사하면서 다르칸이 가지고 있던 제도적 성격을 그대로 도입했다. 충렬왕이 원으로부터 도입한 다르칸제도는 고려 후기 공신 포상에서 지속적인 영향력을 발휘했고, 심지어 조선시대에도 공신의 면죄 특권 조항이 지속되었다. 이는 몽골-원 제국의 독특한 제도가 고려와 조선에 영향을 준 하나의 사례라고도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사례가 생길 수 있었던 근본적인 원인은 충렬왕 시기에 형성된 고려-원 관계의 독특한 성격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contents of the meritorious contributor document given to Yeo-woo Kim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xamines the history of King Chungnyeol (reign: 1274-1308) granting immunity to the meritorious subject by accepting the Yuan Empire's Darqan system. This piece is one of the few documents remaining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is of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and was studied separately. This article compares the results of the two studies to develop a more accurate reading of the document. Kim received the meritorious contributor document from King Chungnyeol while Kim was his attendant when he visited the Yuan Empire to marry the daughter of Qubilai (reign: 1260-1294) to ultimately strengthen his sovereign power. The document states that King Chungryeol, who was influenced by the Yuan Empire in many ways, implemented measures to grant immunity to Yeo-woo Kim by utilizing the Darqan system. He decided not to punish him until he had committed the same crime nine times and to then punish him beginning with his commission of the tenth crime. This procedure was linked to the title of Darqan, an honor which was bestowed on meritorious subjects during the Mongol-Yuan period who saved Genghis Khan’s life. King Chungryeol introduced the concept of Darqan when he presented the document to Kim. The Darqan system, adopted by King Chungryeol from the Yuan Empire, continued to be influential in indulging meritorious subject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ven into the Joseon dynasty. This system’s influence shows how the unique Mongol-Yuan system influenced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However, this influence was only possible because of the relationship formed between the Goryeo dynasty and the Yuan Empire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ryeol.

      • 원대 말기~북원(北元)의 중신(重臣) 카라장(哈剌章) 소고(小考)

        권용철 ( Kwon¸ Yong-cheol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1 사총 Vol.104 No.-

        본고에서는 원대 후기부터 북원 시기까지의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카라장이라는 인물의 행적을 살펴보았다. 『원사』 등을 포함한 기록을 보면, 원대 후기에는 카라장이라는 이름을 가진 여러 명의 인물들이 보이는데 정치적 행적의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는 2명의 카라장을 조금 더 상세하게 검토할 수 있었다. 한 사람은 원대 후기의 중서우승상 톡토의 아들로, 어렸을 때부터 궁정의 핵심부에서 생활하다가 톡토의 폄출로 인해 좌천되었고, 이후 톡토에게 죄가 없음을 혜종이 인정하면서 조정으로 소환되었다. 그 후 중서성의 평장정사로 임명되어 大同에서 分省의 업무를 담당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나 이후의 행적은 확인하기 어렵다. 또 다른 카라장은 지추밀원사에 임명된 케식장 카라장으로, 이 인물이 북원 시기에 명과의 대립에서 주체적으로 활약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톡토의 아들이 아닌 또 다른 카라장이 존재했으며 이 인물이 북원의 중추 세력이 되었다는 것을 재검토해야 한다. 지추밀원사 카라장은 혜종을 호위하여 대도를 탈출하였고, 북원의 중추 신료가 되면서 그 지위가 상승하였다. 1370년대 초부터는 요동 및 몽골 일대를 근거지로 세력을 형성하여 명과의 전투에서 모습을 드러냈고, 홍무제 주원장도 카라장이 북원의 핵심 신료이자 장수임을 인지하고 있었다. 1378년까지의 북원 정국은 아유시리다라 카안을 중심으로 명과 팽팽한 대립을 이어가는 상황이었고, 카라장은 북원의 힘이 유지되는 데에 있어서 한 축을 담당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378년에 아유시리다라가 사망한 이후부터 북원 내부의 단합이 점점 와해되었던 것으로 보이고, 1380년대에 접어들면 명이 더욱 공격적으로 북원을 몰아붙이기 시작했다. 결국 북원의 핵심 군벌 중 한 사람이었던 나가추가 1387년에 명에 투항하는 등 북원은 점점 수세에 처하게 되었고, 카라장도 명의 군대에게 쫓겨 카라코룸까지 도망치는 신세가 되었다. 1388년에 명의 장군 남옥에게 본거지를 습격당하면서 카라장의 세력은 거의 상실되었고, 카라장의 아들 및 조카 등이 명에 투항하게 된다. 1388년의 전투 이후 카라장의 행적은 확인할 수가 없다. 카라장은 1388년 북원의 멸망과 함께 역사 속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던 것이다. This paper has examined the career of Qarajang(哈剌章), who appears in historical records from the Late Yuan to the Northern Yuan period. In the historical records such as Yuan History, several figures named Qarajang in the late Yuan Dynasty appeared. Two Qarajangs, which are notable in terms of political activities, could be examined in more detail. One was the son of Toγto(脫脫). He lived in the core of the court since he was a child but was exiled due to Toγto’s denunciation. Later, Huizong(惠宗) admitted that Toγto was innocent and summoned to the imperial court. Another Qarajang is captain of Kesik Qarajang, who was appointed to zhishumiyuanshi(知樞密院事). It can be confirmed that this Qarajang was active in confrontation with Ming during the Northern Yuan period. Qarajang escaped from Daidu(大都) by escorting Huizong, and his status rose as he became the powerful bureaucrat of the Northern Yuan. From the early 1370s, he formed power base in Liaodong(遼東) and Mongolia and emerged from the battle against Ming. Hongwu(洪武) Emperor also recognized that Qarajang was a key member of the Northern Yuan. Until 1378, political situation of Northern Yuan continued a tense confrontation with Ming dynasty, and Qarajang was one of the pillars of maintaining the power of the Northern Yuan. However, since Ayushiridara’s death in 1378, unity within the Northern Yuan appears to have been increasingly disrupted. By the 1380s, Ming began to push the Northern Yuan more aggressively. Eventually, Naγaču who was one of the key warlords of Northern Yuan surrendered to Ming in 1387, and Qarajang run away to Qaraqorum. In 1388 after being attacked by Ming army, Qarajang’s power was almost lost. Qarajang’s sons and nephew surrendered to the Ming Dynasty. Qarajang’s whereabouts after the battle of 1388 are unknown. Qarajang disappeared from history with the collapse of the Northern Yuan in 1388.

      • KCI등재
      • KCI등재

        Development of Steam Plasma-Enhanced Coal Gasifier and Future Plan for Poly-Generation

        Yongcheol Hong,Taihyeop Lho,Bongju Lee,Hansup Uhm 한국표면공학회 2009 한국표면공학회지 Vol.42 No.3

        A microwave plasma torch at the atmospheric pressure by making use of magnetrons operated at the 2.45 ㎓ and used in a home microwave oven has been developed. This electrodeless torch can be used to various areas, including industrial, environmental and military applications. Although the microwave plasma torch has many applications, we in the present work focused on the microwave plasma torch operated in pure steam and several applications, which may be used in future and r ight now. For example, a high-temperature steam microwave plasma torch may have a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hydrocarbon fuel reforming at one atmospheric pressure. Moreover, the radicals including hydrogen, oxygen and hydroxide molecules are abundantly available in the steam torch, dramatically enhancing the reaction speed. Also, the microwave plasma torch can be used as a high-temperature, large-volume plasma burner by injecting hydrocarbon fuels in gas, liquid, and solid into the plasma flame. Finally, we briefly report treatment of soils contaminated with oils, volatile organic compounds, heavy metals, etc., which is an underway research in our group.

      • KCI등재SCOPUS
      • Upper mantle P-wave velocity structure beneath the northern Victoria Land: Implication to the origin of the Terror rift and volcanic activities

        Yongcheol Park,Won Sang Lee,Choon-Ki Lee,Jin-Seok Kim,Jiwoong Chung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The Extreme Geophysics Group (EGG) at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KOPRI) have installed a broadband seismic network called Korea Polar Seismic Network (KPSN) around Mt. Melbourne since 2011. The KPSN, currently, spreads from the Mt. Melbourne to the upstream of the David Glacier with 17 broadband seismic stations and one infrasound network at the Jang Bogo station. The division of Polar Earth-system Science focused on the research named “Characterizing mantle domain beneath West Antarctic Rift System and Antarctic mid-ocean ridges”, and install OBSs (Ocean Bottom Seismographs) in the sea near the Jang Bogo station to extend the observing coverage of the KPSN. The P-wave upper mantle velocity structure was modeled using the teleseismic events observed on the KPSN and the Transantarctic Mountains Northern Network (TAMNNET) to extend the spatial coverage to the model. Our model shows two separate low-velocity anomalies at ~150km depth located beneath the Terra Rift and inland area of the Mt. Melbourne, respectively, but the tow anomalies connected below the ~150km depth and extend to ~300km depths. The ~300km depth extent of the low-velocity anomaly indicates the Terra Rift might be not an active rifting system.

      • KCI등재

        A musculoskeletal lumbar and thoracic model for calculation of joint kinetics in the spine

        Yongcheol Kim,Ducmanh Ta,Moonki Jung,Seungbum Koo 대한기계학회 2016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0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sculoskeletal spine model that allows relative movements in the thoracic spine for calculation of intra-discal forces in the lumbar and thoracic spine. The thoracic part of the spine model was composed of vertebrae and ribs connected with mechanical joints similar to anatomical joints. Three different muscle groups around the thoracic spine were inserted, along with eight muscle groups around the lumbar spine in the original model from AnyBody. The model was tested using joint kinematics data obtained from two normal subjects during spine flexion and extension, axial rotation and lateral bending motions beginning from a standing posture. Intra-discal forces between spine segments were calculated in a musculoskeletal simulation. The force at the L4-L5 joint was chosen to validate the model’s prediction against the lumbar model in the original AnyBody model, which was previously validated against clinical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