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ETHODOLOGYNFOR THE CHRISTIAN SPIRITUALITY

        YANG Jeongho(양정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3

        학문 분야의 한 영역으로서 기독교 영성은 연구대상과 방법론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 영성의 연구대상과 방법론에 대한 충분한 고찰 없이 기독교 영성이 개신교와는 별로 상관이 없다고 오해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기독교 영성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을 갖기 위하여 기독교 영성은 무엇이고 기독교 영성의 주체는 누구인지, 연구대상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떠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구할 것인지를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기독교 영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작업적 정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독교 영성의 연구 주체가 가톨릭이나 동방정교회 전통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신교를 포함한 모든 기독교 전통 안에 있는 그리스도인임을 확인하고, 기독교 영성학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 전체를 통하여 필자는 학문 분야로서의 기독교 영성에 대한 작업적 정의로 ‘지식과 형성과 변형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기독교 신앙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 행위와 감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개인적이고 상호적이고 공동체적인 경험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제안하였다. 기독교 영성학의 연구대상이 인간의 삶이라고 할 때, 그 삶은 통전적 거룩성뿐만 아니라 기독교적 정체성과 기독교적 삶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토마스 키팅의 ‘전통과의 혼합’이라는 개념을 염두에 둔다면, 비록 로마가톨릭이나 동방정교회라고 이름 붙여진 전통이라 하더라도 우리는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기독교 전통을 개혁신학이라는 관점에서 종합적 접근방법과 역사적 접근방법을 도구로 하여 수정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종합적 접근방법과 역사적 접근방법을 잘 사용한다면 기독교 영성과 영성신학을 개혁전통이라는 관점에서 확립해 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풍요롭게 할 수 있을 것이다. Christian spirituality as an academic field of study can be defined within its material objects and methodologies. However, Christian spirituality has often been misunderstood that spirituality has nothing to do with the Protestant Tradition. For the sake of a proper understanding on the subject and object of Christian spirituality,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subject and object of Christian spirit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methodology. Throughout this paper I suggest a working defin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as “an academic discipline studies the personal, interpersonal, and communal experiences both in act and in emotion, which can be interpreted through the Christian faith with the notion of information,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with the methodology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historiographical approach.” I have tried to distinguish historiographical methodology from historical methodology. Concerning the object of Christian spirituality, I suggest that Christian spirituality as lived dimension of life is human life, which need to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holy and integration of Christian faith and Christian life. The lived dimens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is the way of life in which Christian identity and Christian belief should be integrated through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and other people in terms of ultimate value, including love. Minding Thomas Keating’s ‘a traditional blend,’ we can make use of all the Christian traditions. We can modify the Christian tra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formed tradition or the Protestant tradition with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historiographical approach. These approaches will pave a way to construct Christian spirit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formed tradition.

      • KCI등재

        1692년 세일럼 마녀재판을 통해서 본 17세기 뉴잉글랜드의 종교문화

        양정호(Yang, Jeongho)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5 젠더와 문화 Vol.8 No.2

        이 논문은 1692년 뉴잉글랜드 세일럼에서 진행되었던 마녀재판에 대하여 미시사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함으로써 17세기 말 뉴잉글랜드의 종교문화를 재구성한 것이다. 1692년 사건 당시의 재판기록, 세일럼 마을의 목회자이던 사무엘 패리스 목사의 설교문, 그리고 교회설립 당시부터 마녀재판 이후까지의 교회 회의록 등의 문서들을 분석하여 마녀재판과 관련된 인간관계의 그물망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뉴잉글랜드의 청교도에 의해서 행해진 마녀재판은 세일럼 교회 안에 있었던 두 집단 간의 갈등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힐 것이다. 다름과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은데서 비롯된 집단간의 갈등과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은 마술과 마녀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가졌던 시대정신과 맞물려 1692년 세일럼에서 ‘마녀’라는 죄목으로 사용되었다. This study aims at re-constructing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17th century New England puritans with the historiographical methodology of micro-history on the Salem Witch Trials of 1692. Three kinds of historical documents will be examined: the 1692 Salem Witch Trial records; the Salem Church records; and the sermon notes of Samuel Parris of the Salem church. This study will show that the Salem Witch Trials were executed by the 17th century puritans of New England and the tragedy was derived from enmity between two groups in the Salem church. The 17th century New England puritans did not accept difference and diversity, so that enmity within the Salem church resulted. Moreover, the negative thoughts on women and the faith in magic and witchcraft generated the witch trial within the religious culture of 17th century New England.

      • KCI등재

        교체의 유형에 대한 일고찰

        양정호 ( Yang Jeongho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본고에서는 조건에 따른 교체 유형을 음운론적 교체, 형태론적 교체, 통사론적 교체, 의미론적 교체의 네 가지로 제시하고, 기존 논의들에서 비음운론적 교체로 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다루어져 왔던 몇 사례에 대해 교체 유형을 재검토하였다. 논의의 전제로 형태소 개념을 “의미를 가진 최소 단위로서 동일한 의미와 상보적 분포를 보이는 이형태의 추상적 합”으로 재정의하고, 이형태들이 비배타적이면서 상보적인 분포를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체의 기준으로는 의미의 동일성과 상보적 분포라는 두 가지 기준을 명시적으로 제시하면서 의미의 동일성 개념을 “필요충분하게 기술된 의미가 동일해야 한다”는 의미로 규정하였다. 형태론적 교체는 개별 형태소 또는 단어 형성 층위에서의 조건에 의한 교체로 한정하였고, 통사론적 교체는 통사 범주가 교체의 조건이 되는 경우로 한정하였으며, 의미론적 교체는 의미 범주가 교체의 조건이 되는 경우로 한정하였다. 이러한 교체 개념과 유형을 바탕으로 몇 가지 언어 현상을 검토한 결과, 중세국어의 의문형에 나타나는 ‘가’와 ‘고’는 통사론적 교체, ‘않-’과 ‘말-’, ‘에’와 ‘에게’는 의미론적 교체로 규정하였으며, 품사 정보에 따른 교체는 통사론적 교체로 규정하였다. 끝으로 ‘벗-’의 반의어라 할 수 있는 ‘입-’, ‘쓰-’, ‘끼-’, ‘신-’이 형태론적 조건과 통사론적 조건이 동시에 작용하는 교체 현상일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This paper categorizes four types of alternation, i.e. alteration on phonolog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onditions in Korean language, upon which re-examines language phenomena that used be regarded as non-phonological alternation. For discussion, morpheme is defined as “a minimal meaningful unit and abstract sum of alomorphs that share the same meaning and complementary distribution.” In the discussion complementary distribution does not necessarily mean exclusive distribution. The same meaning and complementary distribution constitutes the criteria of alteration. The ‘same meaning’ indicates “described meanings that satisfied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are same.” Morphological alternation is limited to alternation based on the hierarchy of individual morpheme or word formation; syntactic alternation to alternations occur based on the syntactic categories; and semantic alternation to alternations occur based on the semantic categories. The discussion leads us to following conclusions. First, ‘ga(가)’ and ‘고 (go)’ belongs to syntactic alternation. Second, ‘anh-(않-)’ and ‘mal(말-)’, ‘e(에)’와 ‘ege(에게)’ are classified as semantic alternation. Third, alternations based on word class are assorted into syntactic alternation. Finally, the discussion suggests ‘ip-(입-)’, ‘ssɨ(쓰-)’, ‘kki-(끼-)’, ‘sin-(신-)’, anonym of ‘beos-(벗-)’, can defined as an alternation based both on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onditions.

      • KCI등재

        선어말어미 ‘-더-’의 출현 제약에 대한 일고찰

        양정호 ( Yang Jeongho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 Vol.- No.36

        현대국어의 선어말어미 ‘-더-’의 기능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여전히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결론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많은 선행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는 가장 중요한 이유 하나로는 이른바 비동일 주어 제약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비동일 주어 제약이란, 평서문에서 ‘-더-’가 1인칭 주어와 같이 나타날 수 없다는 제약이다. 기존의 거의 모든 연구들은 ‘-더-’가 출현하는 문장들을 검토하여 ‘-더-’의 기능을 설명하는 한편, 주어가 1인칭인 경우 ‘-더-’가 출현하지 못하는 문장들에 대해서도 설명하려 했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만약 이러한 제약 현상이 ‘-더-’ 사용 규칙에 의한 필연적이고 체계적인 제약이 아니라고 한다면 문제는 훨씬 간단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비동일 주어 제약과 관련된 문제로, 관형절의 경우에는 ‘-더-’ 출현이 비동일 주어 제약을 따르지 않은 점도 문제를 복잡하게 만드는 이유 가운데 하나였다. 평서문에서는 ‘-더-’가 1인칭 주어와 공기하지 못하는데, 관형절 내에서는 1인칭 주어와 ‘-더-’가 공기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이를 설명해야 하는 것 또한 큰 부담이었다. 필자는 ‘-더-’의 기능을 역사적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현대국어 ‘-더-’의 기능을 기술하는 데에서 부딪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서를 발견하였다. 15세기 한글 자료에서 ‘-더-’는 관형절이거나 비관형절이거나 상관없이 비동일 주어 제약을 받지 않는 형태소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16세기 이후에 ‘-더-’가 1인칭 주어와의 공기에 제약을 받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인칭법의 선어말어미 ‘-오/우-’의 소멸에 따른 결과일 뿐 ‘-더-’의 기능과는 무관한 것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인칭법이 관형절에는 적용되지 않는 규칙이기 때문에 현대국어의 관형절에서 비동일 주어 제약을 지키지 않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임도 알 수 있다. 현대국어의 평서문에서 나타나는 비동일 주어 제약이란 결국 16세기 이후 인칭법의 선어말 어미 ‘-오/우-’와 ‘-더-’가 통합된 ‘-다-’가 소멸된 이후, 동일 환경에서 ‘-더-’ 사용이 다시 회복되지 않으면서 생긴 ‘우연한 공백’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There appear to be two major problems in identifying the function of the modern Korean prefinal ending ‘-deo(더)-’. One of the problems is related to the constraint that '-deo(더)-' cannot appear in a declarative sentence in which a first person subject is used. The other problem is found in the constraint that '-deo(더)-' is used in an adnominal clause where a first-person subject is used. When the former is a so-called non-equi-subject constraint; the latter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non-equi-subject constraint is not applied in the construction of adnominal clause. In describing the function of '-deo(더)-', if the former is emphasized, the latter becomes a problem, and if the latter is emphasized, the former becomes a problem. The use of '-deo(더)-' in 15th-century Hangeul materials confirms that so-called non-equi-subject constraint did not exist. This is because '-da(다)-' is used as a fused form of '-deo(더)-' and '-o(오)/u(우)-' that realizes a grammatical person restriction that corresponds to the first person subject. After the 16th century, in accordance with the disappearence of '-o(오)/u(우)-' in the grammatical person restriction, naturally '-da-' also gradually disappeared, and '-deo(더)-' did not appear again in the same environment. As a result, the situation where the first person subject and '-deo(더)-' co-occur in a sentence has disappeared. Historically, the phenomenon in which ‘-deo(더)-’ does not co-occur with a first person subject in a sentence, is not a systematic gap, but an accidental gap. The first person subject and '-deo(더)-' do not co-occur in modern Korean declarative sentences. If so-called non-identical subject constraint is an accidental gap, the phenomenon in which the first person subject and '-deo(더)-' co-occur in a adnominal clause is a general usage of '-deo(더)-'. Therefore, in describing the function of '-deo(더)-' in modern Korean, the non-equi-subject constraint is no longer needed to be considered. It is expec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deo(더)-' can be made in a very simple way if the non-equi-subject constraint is excluded.

      • KCI등재

        노르위치의 줄리안의 신학적 인간학: 『사랑의 계시』에 나타난 이성과 감성의 상관관계

        양정호 ( Yang¸ Jeongho ) 한국교회사학회 2023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5 No.-

        이 연구의 목적은 노르위치의 줄리안이 저술한 『사랑의 계시』에 나타나는 이성과 감성과의 관계를 신학과 심리학의 융복합방법론을 사용하여 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그리스도교 신학에서 감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서양 지성사의 주된 흐름에서는 이성과 감성을 구분한 후 이성은 우월하고 감성은 열등한 것으로 여겼으나, 14세기 후반 영국의 은둔수도자인 노르위치 줄리안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표현 “I understand by my reason and my feeling” 등과 같은 표현에서는 이성뿐만 아니라 감성도 인식의 매개체로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줄리안의 작품에 나타난 이성과 감성의 관계가 상호보완적인 관계임을 확인하고, 나아가 줄리안의 작품은 이성과 감성, 영혼과 육체, 하나님과 인간 등의 이분법적인 구분을 넘어서는 세계관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오늘날 신학함과 영성훈련에서 감성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emotions to theological anthropology in Julian of Norwich’s Showing of Love. The unique expression of integrating reason and emotion forms a holistic spiritual experience. Through her work, Julian achieves dualistic distinctions such as reason and emotion, body and soul, and human and divine, presenting a monism. Her distinct expression “I understand in my feeling” reflects her belief in the integration of reason and emotion as a nondualistic world view.

      • KCI등재

        <한글 맞춤법>의 텍스트 내적 완결성에 대한 미시적 측면에서의 고찰

        양정호 ( Yang Jeongho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7 텍스트언어학 Vol.42 No.-

        In the two aspects of Korean Orthography―prescriptive norm of language life and a text that requires its completion―the latter attracts less academic attention. This study explores the internal completion of the text itself, focusing the microscopic aspects of the text, that are the logical consistency between the rules and examples, and so on. Five criteria constitute a basis of examining the internal completion of the text in this study. Principle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riteria of the internal completion from microscopic perspectives include the principle of consistency(consistency between the descriptions and examples of rules), clearity(expression without ambiguity), generality( generalization for the use), easiness(easy understanding and use of rules), and conciseness(concise description of all rules). This study found that several rules are were in violation of some principles and were to be revised. The analysis in this study also demands that the revision of the text should be made with deletion, merge, amendment, and so on.

      • KCI등재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국어사 지식 및 자료 텍스트에 대한 분석

        양정호 ( Jeongho Yang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5 텍스트언어학 Vol.38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n <Reading & Grammar> in the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KLAC) of 2011, and to analyze six textbooks for <Reading & Grammar>. The analysis confirms followings: first, the efforts to integrate reading and grammar resulted in a layer-cake style of ‘merger’ of the two fields, ending up with another failure in integrat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Second, the criteria of selecting the materials in the textbooks should be refined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This study suggests the fields of reading and grammar should be separate,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history and the material text. Another effort should also be made to attain the parsimony byexcluding irrelevant or abundant material text.

      • KCI등재

        Constructing Feminist Christology with Julian of Norwich

        Yang, Jeongho(양정호)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8 젠더와 문화 Vol.11 No.1

        노르위치의 줄리안의 어머니 예수의 이미지는 여성신학의 관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남성 중심주의적 기독론의 대안적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어머니의 이미지를 통해서 줄리안은 생명을 살리는 구원의 이미지를 설명하고 있다. 탈-남성중심주의적 기독론적 모델로서 어머니 예수 이미지를 제시함으로써 생명을 살리는 일이 예수의 일이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의 일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강조함으로써 여성들에게 치유와 자기충족의 메시지를 전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노르위치의 줄리안의 신학은 기독교 전통유산의 일부일 뿐만 아니라, 그녀 당대의 주류 수도원 신학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줄리안을 연구하는 것은 여성의 시각으로 기독교 전통 신학을 연구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신학과 여성주의와의 건설적인 대화에 참여하는 것이기도 하다. Julian of Norwich’s image of ‘Jesus as Mother’ offers an alternative model to the traditional male-centered Christ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theology. Through this image, Julian presents the image of saving life. By presenting the image of Jesus as Mother, a non-androcentric christological model, it is possible to convey the message of healing and self-fulfillment to women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life saving is not only a matter for Jesus but also for women. Julian’s theology is not only a part of Christian heritage, but also a reflection of the theology of the main monastery of her day. Thus, studying Julian is not only a study of Christian traditional theology through a woman’s perspective, but also a constructive dialogue with theology and feminism.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