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이버 한글 캠페인 마루 프로젝트를 위한 화면 속 한글꼴 디자인 변화 연구

        이우용 ( Lee¸ Woo Yong ),구모아 ( Ku¸ Mo A ),조정하 ( Cho¸ Jeong Ha ),윤주현 ( Yoon¸ Joo Hy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네이버, 네이버문화재단과 안그라픽스는 화면용 한글꼴을 개발하는 ‘마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컴퓨터의 등장 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화면 속 글꼴의 변천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및 국내외 화면 속 글꼴 사례에 대한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나아가 오늘날 화면 전용 부리 글꼴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마루 프로젝트 글꼴 개발에 참고하였다. 먼저, 연구자들은 화면 관련 기술 발전을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하였다. 첫 번째 시대는 컴퓨터와 디지털 한글꼴이 등장한 1980~90년대로, 컴퓨터 내 한글의 입출력 해결을 위한 한글카드, 비트맵 글꼴, 완성형/조합형 등 여러 노력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시대는 웹이 등장하고 디지털 정보가 빠르게 늘어난 2000년대이다. 국내, 해외 모두 대다수의 웹사이트에서 시스템 글꼴을 사용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웹사이트에서 산세리프와 민부리꼴로 편중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해외 웹사이트는 2000년대 후반부터 화면용 세리프 글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며 글꼴의 편중이 해소되고 있다. 세 번째 시대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등장으로 인해 글꼴이 변화한 2010년대 이후이다. 세 시대 모두 주요 디지털 소통 매체의 등장과 환경의 변화가 글꼴에 큰 영향을 주었고 이에 맞추어 글꼴이 변해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설계된 화면용 부리 글꼴들을 인쇄용과 비교하였을 때 공통 설계지점이 발견되었다. 연구자들은 이를 로마자 화면용/인쇄용 세리프 글꼴의 특징들과 연결시켜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설계될 화면용 부리 글꼴인 ‘마루 부리’는 디지털 시각문화를 더욱 우리답게 정돈하고, 디지털 기기 안에서 한글의 고유한 미감을 더욱 살리게 될 것을 기대한다. NAVER, NAVER Cultural Foundation, and Ahn Graphics carried out the ‘Maru Project’ to develop Hangeul fonts for screens, and tri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screen font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fter the advent of computers. To this e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font cases in domestic and overseas screens.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screen buri fo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referenced in the development of the Maru project font. First, the researchers divided the era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creen-related technologies. The first era was the 1980s and 1990s, when computers and digital Hangeul fonts appeared, and various efforts were made to solve the input/output of Hangeul in computers. The second era is the 2000s, when world wide web was introduced. We founded the tendency of most websites to use system fonts, and in this process, we could find the tendency of websites to be biased towards sans-serif and min-buri. However, in overseas websites, in the late 2000s, the imbalance of fonts was being resolved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erif fonts for screens. The third era is after the 2010s, when fonts changed due to the advent of various digital devices such as smartphones. In all three eras, the appearance of major digital media and changes in communication method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onts, and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process of fonts changing accordingly. A common design point was found when comparing screen buri fonts designed for changes in digital media with those for printing. The researchers analyzed and compared thi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man screen/print serif fonts. ‘Maru buri’, which will be designed by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s, is expected to enrich the digital visual culture and further enhance the unique aesthetics of Hangeul in digital devices.

      • KCI등재

        백색소음 중심의 몽타주 효과 연구 - 작품 <누구지>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

        정우용 ( Jung¸ Woo Y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몽타주 제작에 있어서 백색소음의 긍정적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색소음을 몽타주의 청각콘텐츠로 사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의 작품 <누구 지>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작품의 내러티브와는 무관한 백색소음을 몽타주에 개입시켰을 때. 백색소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영상의 특징과 몽타주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백색소음의 몽타주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몽타주에서 나타나는 백색소음의 구체적 성과에 접근하기 위해 샷별 구분에 의한 콘텐츠 구성의 내용과 몽타주 효과를 분석한다. 분석에 의하면, <누구지>의 몽타주에서 백색소 음은 다음과 같은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첫째, 현장음만으로는 충족하기 어려운 청각 미장센의 완성도를 강화할 수 있다. 둘째, 관객의 감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보편성과 개방성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현장음, 음악과는 별개로 독자적인 톤을 유지하며 영상전반의 지배음으로써 활용 가능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백색소음이 몽타주를 통해 영상의 미장센을 강화하는데 쓰여질 수 있는 청각콘텐츠로써 관객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보편성 있는 개방적 이미지이며, 영상전반 에 절대적으로 관여하는 지배음으로써의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백색소음이 몽타주의 개념확장에 긍정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청각콘텐츠로서 논의해 나갈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백색소음을 활용한 몽타주 실험을 지속한다면, 불특정 다수의 인간들에게 적용 가능한 보편성에 근거하여 작가의 의도를 증폭시키고 관객의 자유로운 해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itive effects of white noise in montage prod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white noise as a montage auditory content, the researchers’ work < Who Are You? > was selected to be the subject of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that can be obtained when white noise is used as a montage's auditory content, the researcher's work < Who are you? > is the subject of analysis. When the method of research involves white noise, which is irrelevant to the narrative of the work, in the montag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and the montage effect caused by white noise, we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white noise as a montage. In order to approach the concrete performance of white noise that appears in the montage, we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ontent composition and the effect of the montage by division by shot. According to the analysis, white noise in the montage of < Who are you? > showed the following possibilities.. Firs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completeness of the auditory mise-en-scene, which is difficult to satisfy with only the spot sound. Second, it can contribute to the universality and openness that can actively intervene in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Third, it could be used as the dominant sound of the overall image while maintaining its own tone independent of the field sound and musi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white noise is an auditory content that can be used to reinforce the mise-en-scene of an image through a montage. It is a universal, open image that can actively stimulate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and as a dominant sound that is absolutely involved in the overall image. You can see that the role is possible. Based on this fact, there will be a need to discuss white noise as an auditory content that can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ontage. If the montage experiment using white noise continu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amplify the artist's intention and contribute to the free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 based on the universality applicable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humans.

      • KCI등재
      • SSCISCOPUSKCI등재

        Who Remains Conservative?

        Wooyong Jung,Yoon C,Cho 한국학술연구원 2019 Korea Observer Vol.50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gic behind the formation process of political orientation in Korea by revisiting Thorstein Veblen s social Darwinism perspective, according to which the highest and lowest income groups keep their conservativeness longer than other groups either willingly or passively. In order to prove his theory, this study borrowed a dataset from the World Values Survey (WVS) and applied several regression models. As a result, conservativeness decreased as level of income increased; however, the extent to which conservative orientation decreases became smaller. It meant that Veblen s theory has well fitted into Korean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agnosed current circumstance of Korean society having suffered from serious social and political polarization. It concluded that the polarization happened due mainly to the time gap among individuals to capitulate to the pressure of change which the present age requires accepting, and finally provided appropriate stance to address the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