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장치로서 개인의 몸에 관한 미학적 고찰

        김우진 ( Kim¸ Wooji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1 예술과 미디어 Vol.20 No.2

        본 연구는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사회적 '장치’로서 개인의 몸이 가지는 의미를 연구하고, 그것이 동시대 시각예술작품에서 비판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예술이 사회를 바라보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미셸 푸코는 생체 권력과 유순한 몸에 대해 논의하면서 근대 이후 개인의 신체는 그 자체가 권력이 작동하는 공간으로 개개의 신체는 훈련받아야 하는 개체로 여겨져 왔다고 언급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미시적인 훈육 과정을 거친 개인의 몸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미세하게 다르지만, 당대의 사회 권력을 담는 개체가 된다. 나아가 몸은 타자에게 권력을 전파하는 장치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몸은 기억의 장소로 변모하여 내재된 권력이 그 안에서 더욱 쉽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다. 2000년대 이후로 넘어오면서 개인의 몸에 대한 통제는 더욱 미시적이고 은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의 행동에 대한 관찰은 행동 하나하나를 일련의 패턴으로 변형되어 기록되는 것으로 연결되고, 이는 권력과 사회에 필요한 특정한 행동 양식으로 도출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행동 패턴은 다시 개인의 편의라는 이름으로 훈육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셸 푸코와 조르주 아감벤의 개인의 몸과 권력 그리고 장치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알라이다 아스만 등이 언급한 정치·사회적 기억 공간인 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한다. 이를 바탕으로 옥인 콜렉티브, 자크 블라스, 줄리앙 프레비유의 작품분석을 시도한다. 가장 은밀한 공간인 개인의 몸을 사회적 맥락 안에서 고찰하고, 관련 예술작품을 분석해보는 것을 통해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것을 비판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는 시도를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가진다. 예술작품이 사회 담론들을 비판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분석해보는 것을 통해 예술이 동시대를 바라보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앞으로 이를 확장하여 논의를 이어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 body as a social ‘dispositif’ in the social context to discuss the ways by which its meaning is critically manifested through contemporary visual artworks. While Michel Foucault argues about the ‘bio power’ and ‘docile body’, he theorizes the docile body as a malleable object on which disciplinary force is acted, a node in the complex field in which power is organized and arranged. The body encompassing micro-disciplines in various aspects defines a certain mode of detailed political power and a social dipositif that conveys its power to others. The body upon discipline transforms into storage of memory that facilities the operation of embedded force. The regulation of individuals has been reinforced at a more microscopic and private level after the 2000s. The behavior of individuals is analyzed and collected into data that contains a series of patterns that reveals a certain behavior pattern adequate for the purpose of power and society. Thus, the behavior pattern is disciplined to serve the convenience of individuals. This study considers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body constituting a collective memory of policy and society suggested by Aleida Assmann with the background premise of the relation of individual body, power, and dispositif stated by Michel Foucault and Giorgio Agamben. The works by Okin Collective, Zach Blas, and Julien Prévieux are profoundly examined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which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 meaning infused in the art that embraces a critical outlook on society.

      • KCI등재

        『孟子』 ‘不得於言, 勿求於心, 不得於心, 勿求於氣’에 대한 莊子적 해석

        정우진 ( Jung¸ Woojin ) 동양철학연구회 2021 東洋哲學硏究 Vol.107 No.-

        『孟子』 「「公孫丑上」에는 ‘不得於言, 勿求於心, 不得於心, 勿求於氣’라는 고자의 말이 인용되어 있다. 이 글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통일되어 있지 않다. 현대 철학자인 니비슨은 이 구절을 부동심의 맥락에서 해석했고, 『莊子』 「人間世」편의 유사한 구절도 같은 맥락에서 진술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莊子』의 해당 구절은 인지적 맥락에서 진술되었음이 비교적 분명하다. 맹자와 장자는 동시대에 활동했던 철학자이고, 두 사람이 인용한 진술도 본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철학자는 각기 다른 맥락을 전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장자』의 유사한 글이 부동심이 아닌 인지적 맥락에서 진술된 것임을 밝히고, 인지적 맥락에서 『맹자』의 글을 해석할 수 있음을 논증했다. 『맹자』의 글을 인지적 맥락에서 해석함으로써, 맹자 철학에 잠복해있던 인지적 측면에 관한 논의를 발굴하고, 전국시기의 철학을 인지의 지평에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First Chapter of Gongsunchou of Mengzi, Gaozi’s words are cited: 不 得於言, 勿求於心, 不得於心, 勿求於氣. Traditional interpretations of this passages are different. The modern philosopher Nibison interpreted this passages in the context of stability of mind, and claimed that similar passages in the chapter of In the World of Men of Zhuangzi were also stated in the same context. However, it is relatively clear that Zhuangzi's passages are stated in a cognitive context. Mencius and Zhuangzi were contemporary philosophers, and the statements they quoted are essentially similar. Nevertheless, the two philosophers presuppose different contexts. In this paper, it was revealed that Zhuangzi's similar passages were stated in a cognitive context rather than stability of mind, and demonstrated that Mencius could be interpreted in a cognitive context. By interpreting Mencius's passgaes in a cognitive context, it will be possible to discover discussions about the cognitive aspects that have not yet been revealed in Mengzi and to look at the philosophy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from the cognitive horizon.

      • KCI등재

        장자의 물화에 대한 해석

        정우진 ( Jung¸ Woojin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5 No.-

        철학적으로 매우 미묘한 주제를 다루는 「제물론齊物論」은, 『장자』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제물론」제일 뒤에 있는 호접지몽 우화에는 깨달음과 변화라는 중요한 철학적 논제가 포함되어 있다. 세계가 구성된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 호접지몽 우화의 중요한 가르침 중 하나다. 장자는 호접지몽 우화의 물화物化라는 표현을 통해 변화와 세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밝히고 있다. 물화는 제물이라는 장자철학의 이념과 상통해야 할 것인데, 물화라는 표현 직전에 나오는 분分자 때문에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분은 제물과 양립하기 어려워 보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물화가 생성적 세계관을 나타내는 개념이라고 해석함으로 써, 분과 제물을 양립시킬 수 있는 해석을 제안한다. Zhuangzi's second chapter, Qiwulun 齊物論, deals with some of the most philosophical and subtle subjects in Zhuangzi. The Butterfly's Dream Fable at the very back of Qiwulun can be said to be a fable that represents the entire Zhuangzi philosophy. The Butterfly's Dream Fable contains important themes of enlightenment and change. One of the important teachings of the Butterfly's Dream Fable is that we must realize that the world is not objectively real, but is unconsciously constructed by ourselves. Zhuangzi reveals his worldview through the expression Wuhua 物化 in the parable of the butterfly's dream. Wuhua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ideology of the Zhuangzi philosophy of qiwu 齊物, but it causes difficulties in interpretation because of the 'fen 分' character immediately before the expression wuhua. Because fen is not compatible with qiwu. In this paper, by interpreting wuhua as a concept representing emergent generative theory, an interpretation that can reconcile fen and qiwu is proposed.

      • KCI등재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한우진 ( Han¸ Wooji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6 가톨릭철학 Vol.0 No.26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라는 말은 보는 것이 우선하며 그 다음에 믿는 것이나 아는 것과 같은 고차 인지 작용이 적용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은 아는 것과 보는 것이 분리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데넷은 멀리서 볼 때 작은 사람들로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물감 얼룩임이 드러나는 그림 사례를 들어 우리가 얼룩을 일종의 판단인 채워넣기(filling-in)를 통해 사람으로 지각한다고 주장한다. 개념적 작용인 판단의 개입은 지각 내용이 개념적임을 함축한다. 반면에 드레츠키는 매우 유사한 두 그림 사이의 현저한 차이점을 인지하지 못하는 변화맹 사례를 통해 인지작용이 미치기 이전에도 감각 경험이 발견된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견해는 판단·추론으로부터 분리된 비개념적 내용이 존재함을 함축한다. 본 논문은 채워넣기와 변화맹뿐만 아니라 맹시(blindsight), 스퍼얼링의 실험, 크라우딩과 같은 추가적인 경험 사례들을 검토하여 데넷의 개념주의를 비판하고 드레츠키의 비개념주의를 옹호할 것이다. “Seeing is believing” means that we see something first, and later higher-level cognitive activities such as believing or knowing are applicable to seeing. However, “we see as much as we know” implies that seeing and knowing are inseperable. Dennett uses a painting which contains tiny people when we see from a distance. But just paint bulbs or touches are recognized when we see it very closely. He argues that we see these paint bulbs, suggesting real people, as people by filling-in which is a sort of judgment. Judgment, which is a conceptual process, in perception implies that perceptual content is conceptual. On the other hand, Dretske claims that perceptual experiences, inaccessible by cognitive activities, are found. The change blindness shows that we are not aware of a salient difference between two very similar pictures. This involves that nonconceptual content, detachable from judgment or inference, exists. By examining not only these examples but also further empirical cases such as blindsight, Sperling’s experiments, and crowding, I argue Dretske’s view is more plausible than Dennet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현대의학의 본체론적 질병관에 대한 철학적 반성과 대안적 질병관에 대한 고찰 : 코로나 바이러스-19 사태를 단서로 삼아

        정우진 ( Jung¸ Woo-ji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1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를 초래한 철학적 원인으로 본체론적 질병관과 인간종중심주의를 들 수 있다. 본체론적 질병관은 다양한 증상과 원인의 연쇄로 구성된 질병범주에서도 물리적 병인에만 초점을 맞춘다. 서양 전근대의학의 질병관인 4체액설도 증상의 배후에서 병인을 찾는다는 점에서는 본체론적 질병관과 부합한다. 본체론적 질병관은 질병을 보는 시선을 유기체 내에 한정하는 유기체적 질병관이라고 할 수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를 초래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태론적 질병관을 제안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생태론적 질병관은 질병을 단순히 자연스러운 변화로 봄으로써 치료를 그리고 궁극적으로 의학자체를 해체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본고에서는 一氣의 무차별적 존재이자 사회적 실재인 인간존재의 모습을 절충제안하는 장자적 삶의 방식을 현실적으로 의미 있는 생태론적 질병관의 토대로 제안한다. The philosophical causes of the corona virus crisis are the ontological view of disease and anthropocentrism. The ontological view of disease focuses only on the physical etiology, even in the disease category consisting of a chain of various symptoms and causes. The four humoral theory, the pre-modern view of disease, is also consistent with the ontological view of disease in that it finds the etiology behind the symptoms. The ontological view of disease can be said to be an organic view of disease that limits the view of disease within the organism. In order to overcome the situation that caused the corona virus crisi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propose an ecological view of disease. However, the ecological view of disease has the problem of dismantling treatment and medicine itself by simply viewing disease as a natural change. Zhuangzi's way of life, which proposes a compromise between the indiscriminate existence as yiqi (一氣) and social reality of the human being, can be the basis for a realistically meaningful ecological view of disease.

      • KCI등재

        영원성과 현재성은 하느님 안에서 양립가능한가?

        한우진 ( Han¸ Woo-ji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9 가톨릭철학 Vol.0 No.12

        본 논문은 20세기 초 맥타가트(McTaggart, J. E. M.)이후 분석 형이상학의 시간에 대한 이해를 적용함에 의해 하느님의 시간을 고찰한다. 시제가 실재한다고 여기는 A-이론에 의하면 하느님은 시간성을 가진 존재로서 무한한 과거에서부터 현재와 무한한 미래까지 시간 속에 존재한다. A-이론은 시간 속에 존재하는 피조물에 대한 하느님의 현재적인 보존과 작용을 잘 설명한다. 반면에 시제가 존재하지 않으며 사건들의 관계들만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B-이론은 피조물들의 모든 사건을 선취하고 있는 완전한 존재로 하느님을 묘사하는데 적당하다. 그런데 하느님의 두 면모를 잘 설명하는 두 시간 이론으로부터 하느님이 비시간적인 존재이면서도 동시에 시간적 존재인 것 같다는 모순이 발생한다. 이 모순을 해소하는 한 방법은 완전성에서 비롯하는 신에 대한 B-이론적인 견해를 우선 받아들이면서 A-이론적인 그의 현존과 시간적 작용을 최대한 정합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시간적인 우리의 사건들이 하느님 안에 이미 선취되어 있는 비시간적인 사건들에 오직 실제 세계에서만 의존하고 있다는 약수반 개념을 제안하여 하느님의 시간성에 대한 딜레마를 해결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atrue of God’s time by virtue of two theories of time originated from J. E. M. McTaggart. A-theory considers tense as actual, and portraits God as a temporal being who is everlasting from the infinite past to the present to the infinite future. A-theory has its strength in explaining God’s sustaining and acting on His creatures. On the other hand, B-theory, which holds that there is no tense and only relations between events exist, is better in depicting God as a complete being who pre-owns all the events. A contradiction arises from the two theories of time that respectively illuminate God’s two different aspects: God seems to be an atemporal being but, at the same time, he seems to be a temporal being. A solution is to accept God’s atemporality, which conforms to His completeness and B-theory, and then to coherently explain his presence and temporal action. I resolve the contradiction by appealing to the notion of weak supervenience, which maintains that our temporal events depend on the events pre-owned by God only in the actual world.

      • KCI등재

        정신질환이란 무엇인가? -웨이크필드의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 본 정신질환 개념의 연구사적 논의와 전망-

        정우진 ( Jung¸ Woo-jin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정신질환치료의 성격상 환자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속성이 있으며, 해외에서는 관련 논의가 활발히 이뤄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국내학계에서는 정신질환의 정의와 판단기준이라는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뤄지지 않고 있다. 기초 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 선행연구의 소개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웨이크필드의 논의를 중심으로 정신질환의 판단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했다. 웨이크필드는 가치와 사실을 결합시키고 진화론에 기반한 기능개념을 주요한 요소로 사용함으로써 진단기준을 제안했다. 간단히 말하자면 그의 질병관은 진화론적으로 선택된 기능의 해로운 이상이라고 할 수 있다. 정신질환판단의 논의에 기여한 공헌에도 불구하고, 그의 질병관을 구성하는 기능개념과 흑상본질론에는 작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이에 대한 비판도 진행되어 왔다. The judgment of mental illness is not just a theoretical problem. Despite the nature of psychiatric treatment which seriously infringes on the patient's freedom, and that the discussion on the issue has been active, the issue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domestic academic community, and even prior research has not been properly introduced. In this paper, as a preliminary work of philosophical exploration on the judgment of mental illness, extant studies on this problem were considered mainly centering on Wakefield's discussion. Wakefield proposed his own diagnostic criteria by combining values and facts and using the concept of function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as a major factor. In short, his view of disease can be said to be the dysfunction of function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There exist non-minor problems in the functional concepts and the theory of black-box essentialism which make up his view of disease, and criticism is also going on.

      • KCI등재

        An Investigation of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Vulnerability and Poverty in Korea

        Woojin Ka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15 Korea and the World Economy Vol.16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poverty, and ex ante vulnerability as expected poverty. We also examine the role of household vulnerability on poverty dynamics during 2012-2013. Our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i) although overlapping in the determinants between those two deprivations, some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higher debt burden are prone to not current poverty but future poverty and (ii) Not only does vulnerability translate into poverty, but also tends to create poverty trap. An accurate identification of vulnerability and an elaborate design of public safety nets are necessary for durable poverty reduction and pre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