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Introduction of Eupcheon Fault Monitoring System
조성일(Sung-Il Cho),최원학(Weon-Hack Choi),황종선(Jong Sun Hwang),최재원(Jae-Won Choi),장천중(Chun-Joong Chang) 대한지질학회 2012 지질학회지 Vol.48 No.6
본 단보에서는 단층감시에 대한 해외사례와 국내에서 유일하게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이 운영 중인 단층 감시시스템의 운영현황 및 관측자료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해외의 경우 단층운동, 지진, 화산활동 등 활발한 지각운동에 기인한 자연재해의 피해가 많은 미국, 대만, 일본 등지에서 재해에 대한 사전대비를 목적으로 이미 1960년대 초반부터 다양한 종류의 단층 감시시스템을 구축·운영하여 지진예측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경주시 양남면 일대에 분포하는 읍천단층 인근에 단층 감시시스템이 설치·운영 중이며, 변형계, 지표변위계, GPS, 지진계, 지하수위계의 현장 계측기와 자료전송 시스템, 자료저장 서버 및 통합감시 프로그램을 통해 단층거동 특성을 실시간으로 매우 정밀하게 관측한다. 2011년 한 해 동안 관측된 자료 분석결과, 읍천 단층 인근 지진이벤트로 인한 지중응력 및 변위변화 양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하여 지중응력 및 지진파 이상변화가 감지되었으며, 조석이나 온도 등의 외부영향을 받고 있어 보정을 통한 실제 변형자료 해석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한수원(주) 중앙연구원에서는 신규 연구과제를 통하여 단층 감시시스템 관측자료에 대한 자료보정 방법과 단층 장기 거동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며, 향후 원전이나 국가 주요 시설물의 지진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ung-Il Cho, Weon-Hack Choi, Jong Sun Hwang, Jae-Won Choi and Chun-Joong Chang, 2012, Introduction of Eupcheon Fault Monitoring System.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48, no. 6, p. 533-542 ABSTRACT: This short paper introduces the only Fault Monitoring System (FMS) of Korea managed by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KHNP) ? Central Research Institute (CRI) as well as such cas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Japan and Taiwan. Those foreign countries employed the FMS from early 1960s as geo-tectonic induced disasters are common in the countries. The first Eupcheon Fault Monitoring System (EFMS) of Korea is installed around the Eupcheon fault located in Gyeoungju city. The system is equipped with in-situ measuring units including strain meter, creepmeter,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eismometer, and groundwater level meter. The high accuracy in-situ data is served to the central controlling researchers units in real time by data transfer system, storage servers and integral monitoring program. The observation data from EFMS in 2011 reveals that the earthquakes near Eupcheon fault did not show considerable changes in underground stress and displacement while the Tohoku earthquake occurred in March 2011 recorded abnormal strains and seismic wave patterns. However, it is required to employ a calibration system to serve more reliable data because the system is very sensitive to external parameters such as tides and temperature variations. The KHNP-CRI is planned to develop technical systems for data correction and analysis to predict the long-term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fault systems near the Eupcheon fault. We expect that the enhanced monitoring system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in geo-tectonic safe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s and other critical facilities related to the national security.
전방 도달법과 수장부 T자형 금속판 고정을 통한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최우성,김원유,최동원,신윤학,김진영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적 :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해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수장부 T자형 금속판 내고정술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도수 정복이 되지 않았거나, 심한 분쇄 골절로 인해 도수 정복 상태가 유지되지 못했거나, 부적절한 관절면의 정복 등의 이유로 원위 전완부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수장부 T자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19예를 대상으로, 수술 전 후의 방사선학적인 평가와 최종 추시시의 기능적 평가를 Green과 O'Brein의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수술 직후 모든 예에서 관절면의 해부학적 정복을 얻을 수 있었다. 방사선학적 결과에서 요골 관절면의 요골 길이는 수술 전 평균 8.8 ㎜ (±4.8 ㎜)에서 수술 후11 ㎜ (±3 ㎜)로, 요골 경사각은 평균 15˚ (±5.7˚)에서 20˚ (±5˚)로, 전방 경사는 평균 -11˚ (±13˚)에서 7˚ (±4˚)로, 척골 양성 변이는 평균 4 ㎜ (±3 ㎜)에서 0 ㎜ (±1 ㎜)로 향상되었으며, 기능적 결과에 있어서는 우수 9예, 양호 7예, 보통 2예, 불량 1예 이었다. 추시 중 초기 수상이 심하였던 1 예에서는 정복의 소실과 함께 장 무지 굴건의 파열이 초래하였다. 결론 : 원위 요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일부 제한된 범위에서만 적응증이 되었던 수장부 금속판 내고정술로 방사선학적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초기 분쇄 골절이 심할 경우에는 정복의 소실을 예방하기 위하여 외고정기를 부수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analyze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of open reduction and volar plating through anterior approach for distal radi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sed that 19 distal radius fracture, which would not be reduced by closed reduction or too comminuted to maintain reduction or articular surface incongruency, were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volar plating through anterior approach.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preoperative and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ics and clinical results were analysed using Green and O'Brien scoring system at final follow up. Results : All cases achieved anatomical articular surface reduction postoperatively. In terms of radiologic analysis, mean radial length (8.8 ㎜±4.8 ㎜ vs. 11 ㎜±3 ㎜), radial inclination (15˚±5.7˚ vs. 20˚±5˚), volar tilt (-11˚±13˚ vs. 7˚±4˚) and ulnar plus variant (4 ㎜±3 ㎜ vs. 0 ㎜±1 ㎜) were improved. The clinical evaluation revealed 9 excellent cases, 7 good cases, 2 fair cases and I poor case. The reduction loss and flexor pollicis longus rupture was occurred in one patient, who had severely displaced comminute fracture in initial injury. Conclusion : Using volar plating, authors gain good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But, additional external fixation is recommended to prevent further collapse in severly comminuted fra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