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산 정약용의 글쓰기에 나타난 문단 구성의 방법 : 다산(茶山)의 편지글 <기이아(寄二兒)> 제2서를 중심으로

        허왕욱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2 한국어문교육 Vol.11 No.-

        쓰기는 문장과 문장의 단순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몇 개의 의미 덩어리들이 결속 관계를 유지하면서 의미를 구성해 간다. 의미 덩어리는 명제와 명제의 결속에 따라 문단 단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문단 내 명제들의 의미 구성 방식과 문단과 문단의 의미 관계에 의해 쓰기의 성취가 결정된다. 문단 내 의미 구성 방식은 대체로 네 가지로 유형화되는데, 〈수집 구조〉, 〈인과 구조〉, 〈비교-대조 구조〉, 〈문제-해결 구조〉 등이 그것이다. 이 구조들에 대한 학습이 통합적으로 설정되어야 하고, 체계적인 교수-학습이 실시되어야 한다. 의미 구조에 대한 효과적인 학습 방법은 학습자가 스스로 텍스트에서 의미 구조를 발견해 내는 일이다. 이와 관련하여 활용할 수 있는 텍스트 가운데 하나로 다산 정약용의 편지글을 들 수 있다. 이 글은 다산의 편지글 가운데 〈기이아(奇二兒)〉제2서를 텍스트로 삼아 의미 구조를 살펴보았다. 문단 내 의미 구성 방식과 문단과 문단의 의미 관계를 분석한 결과, 그의 편지글이 이상의 네 가지 의미 구조를 적절하게 활용하면서 설득력을 획득했음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고전 시가에 나타난 성(性) 표현의 양상

        허왕욱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8 No.-

        개인에게 몸은 가장 바깥 부분으로 외부 세계를 향하는 탯줄이다.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를 연결시켜 주는 몸은 늘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관계가 올바르게 정립되고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사회가 건강해진다. 몸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여성을 존중하는 경향이 강한데, 그것은 여성의 몸이 또 다른 몸을 낳는 밭이기 때문이다. 몸을 통한 만남 가운데서도 가장 구체적이고 견고한 것이 성(性)이다. 이런 까닭에 몸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에서 성의 문제는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고전시가에도 성을 중심 소재로 다룬 작품이 있고, 성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작품도 있다. 이러한 작품은 몸을 통해 인간의 내면 세계를 보여준다. 이 글은 이러한 성의 특성과 성에 대한 의식이 고전시가에 어떠한 방식 으로 나타났는지 추적해 본 것이다. 아울러 성 관계나 성 행위를 시적으로 형상화한 사회적인 의미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성(性)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사회 구성원의 의식과 정감에 따라다를 수 있다. 성이 긍정적으로 인식되기도 하고, 윤리나 도덕과 충돌하기도 한다. 성이 사회 문화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기도 하지만, 역으로 성이 사회 문화의 속성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에 성은 한 사회의 권력을 유지. 강화하는 데 유용되기도 한다. 성이 권력과 연관되거나 권력을 강화하는 경우를 상대가요 <구지가>와 고려가요 <서경별곡>을 통해 살펴보았다. 성 행위 장면을 묘사하는 방식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방식과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성 행위 장면이 우회적인 방법으로 형상화되어 있는 작품에서 자유분방한 시적 상상력을 맛볼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 성 행위를 묘사하는 작품에서는 그 표현의 노골적인 사실성에도 불구하고 천진한 웃음이 그려진다. 성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사설시조나 민요를 예로 들었으며, 직접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시조와 향가 <처용가>를 예로 들어 살펴보았다. 성(性)은 지극히 개인적인 일이면서 동시에 타자와의 대화를 지향한다. 성에 대한 공동의 관심은 강한 전파력을 가져오기도 한다. 성의 대화적 특성은 작품의 구성에도 반영되어 시가 작품을 대화적구조로 만든다. 여기에는 누가 누구에게 어떠한 내용을 담아 전하는 이야기 방식과 그 이야기에 누군가 대응을 하면서 대화가 이루어지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내용(사건)의 주체와 담화(이야기)의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이야기 방식은 1) 자신이 사건의 행동 주체이며 담화 주체인 경우(향가 <서동요>), 2) 다른 사람의 행위를 이야기하려는 경우(민요 <와그렁청>), 3) 행위 주체인 자아와 담화 주체인 타자와의 대화(고려가요 <쌍화점>과 시조>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고전시가에 나타난 성은 아주 건강한데, 어쩌면 성이야말로 고전시가의 밑바탕에 잠재되어 있는 원형질적 심상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The pue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spects of sexuality in korean classic poetry. A body is a the naval string between individuality and society. The character of a body is menifestated well in a sexuality. A sexuality has been expressed from ancient to now through korean classic poetry. A sexuality was sometimes related to the prestige of king or kingdom. In this case, a sexuality was recognized as to has a power of vitality. This study divided expressive forms of sexuality into two aspects. One is a metaphorical or figurative expression, another is a plain or explicit expression. But both of them are fun and bright. These temper reflect korean positive character. Poetic works wove discourse of sexuality by three conversational structure. 1) poetic ego tells his experience related to sexuality, 2) poetic ego tells others' experience related to sexuality, 3) a dialogue between narrator and actor related to sexua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find that a sexuality might have performed a prime motive for singing a song in korean classic literature.

      • 규방가사(閨房歌詞)와 조선 후기 여성의 자아 정체성 찾기

        허왕욱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3 한국어문교육 Vol.12 No.-

        규방가사는 생활 규범의 강화하는 역할과 여성의 자아 정체성을 발견하고 실현하게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 장르이다. 동일한 장르 내에서 이처럼 지배 담론과 저항 담론이 동시에 작용한 경우는 국문학사에서 매우 드문 일이다. 규방가사는 문학 활동의 경계를 넘어 자기표현이 제한된 사회 현실 속에서 여성이 차지할 수 있는 자아 정체성 발견의 기회였으며, 현실적으로 시집 식구를 중심으로 하는 타자와의 관계를 건강하게 형성함으로써 자아 정체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였다. 아울러 여성의 목소리를 담은 노래들은 점차 민요의 세계와 교접되면서 새로운 국면을 열어 나갔는데, 이는 국문학사에서 매우 의미 있는 문학 현상으로 향후 연구를 통해 좀더 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한자 교재의 구성 방법

        허왕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19 No.-

        한 사회의 문화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문자 교육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조선 시대에 한자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쓰이는 우리말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었지만, 고급 문화를 향유하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자를 익혀야 했다. 이런 까닭에 조선 시대의 초급 교육 기관에서는 문자 교육이 모든 교육에 우선되었다. 이처럼 조선 시대의 초급 교육 기관에서는 이루어진 문자 교육은 한글보다 한자가 중심이었는데, 한자 학습은 주로 한문 학습에 선행되어 실시되었다. 따라서 한자 교육의 주요 내용은 문장학습에 필요한 문자와 기초적인 문법을 익히는 것이었다. 이 때 사용된 대표적인 교재는 <천자문>이었다. <천자문>은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교재로 약 1,000자를 4자를 기본 단위로 학습하도록 되어 있는데, 4자는 독립적인 의미를 지닌 문장 형식이었다. 따라서 문자 습득 과정에 있던 학습자들은 반드시 <천자문>을 암기해야 한다. <천자문>이 한자 학습 교재로 널리 사용되던 상황에서 조선의 지식인들은 『유합』,『훈몽자회』,『신증유합』,『아학편』등 여러 차례에 걸쳐 새로운 한자 교재를 개발하였다. 이들의 교재 구성 방법은 서로 달랐으나, 대체적으로 공유 가능한 지점은 조선인의 일상적 생활과 정서를 표현할 수 있는 문자를 중심으로 가르침으로써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언어 학습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었다. 최세진은 심성(心性)을 위주로 하는 추상적인 개념보다도 구체적인 사물을 가리키는 명사(名詞) 중심으로 교재를 구성하였고, 유희춘은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글자를 선정하여 이를 문장 교육과 연계 지어 교재를 재구성하였다. 또한 다산 정약용은 문자와 문자 사이의 의미 연관을 고려하여 교재를 만들었다. 다산의 <아학편>은 20 세기 초에 재편되어 영어와 일어를 학습하기 위한 교재로 재구성되기도 하였다. 불행히도 여러 가지 이유로 말미암아 이상과 같이 주체적으로 개발한 교재들이 실제 초급 교육 기관에서 문자 학습 교재로 거의 활용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재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과정에서 보여준 문자 및 문자 학습에 대한 이상(理想) 가운데에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게 활용될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염서 교재 구성에 작용한 개발자들의 생각을 더듬어 보고자 하였다. A class of literacy(reading and writing) has been regarded as an elementary instruction. We can communicate with others, and form social culture through a Letter. Among several letters, the chinese letter(Han-Ja;漢字) had strong effect on the high-calss culture of Jo-Sun dynasty. Through the Han-Ja was kept apart from our spoken language(Korean), in those days, the Han-Ja class was included in the essential curriculum. The Han-Ja was taught by conventional method in order to become a consummer(or producer) of the quality culture. A class of the Han-Ja was composed of two levels, the study of letter and the study of sentence, or acquiring vocabulary words and using fundamental grammar. The <Cheonjamun; 千字文> was a common teaching materials in the Han-Ja class. The <Cheonjamun> is composed of 250 phrases. Each phrases made by 4 words has concrete meaning. As a beginner, student learn the <Cheonjamun> by heart essentially. In those situation, scholars of Jo-Sun dynasty developed new text for studying the Han-Ja repeatedly. Choi, Se-Jin(崔世珍) developed the <Hunmongjahoi: 訓蒙字會> with words centered norms indicate definitive affairs. Yu, Hei-Chun(柳希春) reform the <Yuhap; 類合>, and made up the <Sinjeungyuhap; 新增類合>. He selected ordinary words, and related that to the mode of chinese sentences(漢文). And jeong, Yak-yong(丁若鏞) made teaching aids, the <Ahakpyen; 兒學編> by considering relationship of word's meaning. The <Ahakpyen> was reproduced as a learning language book to study English and Japanese at the tuning of 20 century. The methods of composing text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s. But we can find a common factor that they made efforts to teach their students meaningful words by convenient method. we can seek desirable ideas to literacy instruction nowadays through inventors' thinking. In this article, I can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we have to revalue those texts above mentioned and apply it to develope various language texts in the future.

      • 놀이의 원리를 활용한 문학 교육의 방법

        허왕욱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1 한국어문교육 Vol.10 No.-

        문학 교육에서 이루어져 온 집권적 의사소통 방식이 분권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필자가 소통 방식의 변화의 주목하는 까닭은 그 분화 과정이 가져오는 다양한 의사소통이 문학교육의 새로운 방법들을 풍부하게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되기 때문이다. 의사소통의 변화 가운데 하나가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다. 언어를 이차적인 소통방식으로 삼는 비언어적인 소통은 몸을 통해 타자와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 보다 활성화된 대화 구조이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놀이는 문학 교육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소통 행위이다. 이 글은 문학에 대상화하여 배우기 이전에, 가지고 놀 수 있는 공동의 향유로 삼아야 한다는 생각을 담고 있다. 이 글의 논의를 통해 문학 교육의 방법이 점차 이론이나 개념을 설명하는 데서 몸을 움직이는 행위로 나가야 한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금옥총부(金玉叢部)』의 연행 교본적 성격과 가곡사적 위상

        허왕욱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9 No.-

        이 글은 안민영의 『금옥총부』가 지니는 연행 교본적 성격과 가곡사적 위상을 밝히고, 그 속에서 그가 이룬 문학적 성취의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필자는 안민영이 국가적인 진연과 집권층의 개인적인 연회에 소용될 가곡 연행을 위해 석파와 우석의 후원을 받으며 전국적으로 기녀를 차출하고 그들에게 창곡을 가르쳤다고 본다. 나아가 안민영은 기녀들을 교육할 창곡을 스스로 만들어냈는데, 그 과정에서 『금옥총부』가 편찬된 것으로 본다. 이 가집의 가곡사적 위상은 19세기 후반에 가창된 가곡의 실제를 가장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대엽 체제와 만횡 곡조의 소멸, 다양한 변주음의 생성을 그대로 반영하면서 전체적인 창곡의 틀 속에 새로운 사설을 창작하여 얹었다는 점은 실제 가창 을 염두에 두고 찬집된 연행 교본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금옥총부』에는 왕실 송축시를 비롯하여 자신의 풍류 생활을 서술한 시조와 찬기 시조가 세 부류의 주제군을 이루고 있다. 이 내용들은 다소 이질적인 내용이기는 하나, 고급 연행 문화 속에서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특히 찬기 시조는 가곡 연행과 관련하여 기녀들에게 진연 가창에 참여할 동기를 형성하는 역할도 담당했으니, 가창의 실제에 따라 작품을 볼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 of workbook 『Gyeumokchongbu(金玉叢部)』 produced by An, min-yeong(安玟英)'s. This workbook was a textbook for singers, official Gi-saeng(妓女) who sung a Ga-gok(歌曲) in a feast of palace. This workbook introduced singers to high-class vocal music, and made them sing a Ga-gok fluently. Great feasts was held on the courtyard of royal palace in the Jo-syeon dynasty. Jagagwon(掌樂院) had a charge of these feasts. But there were not special singers or directors. Therefore a royal family needed special singers and director could take a charge to sing a Ga-gok in the feasts of palace. An, min-yeong was a director responded to these needs. Especially, he drafted singers from the whole country with supporting of authority. He produced lyric lines fit with rhyme, and taught singers method of sing a Ga-gok works. In this situation, 『Gyeumokchongbu』 was produced. As a result, this workbook could contain aspects of great feast, and reflect real recital practice in those days.

      • KCI등재

        여성 시조의 설정과 교과서에서 여성 시조 읽기

        허왕욱 한국문학교육학회 2004 문학교육학 Vol.13 No.-

        This article aims to propose reading classical Sijo works with balanced viewpoint. To obtain balanced viewpoint, we should pay attention to Sijo works written women. Sijo works of women possessed femininity - women's sentiment and attitude produced from their daily life. On finding femininity in the Sijo works of women, we could understand lyricism expressed in classical Sijo. This article categorized Sijo works of women through expressing aspects of poetic speaker, poetic listener, character, and poetic sentiment etc. Furthermore, this article found out expressional methods and devices used in Sijo works of women These works show the voice of women lived in the Josun dynasty. Sijo works of women expressed femininity through a relationship poetic speaker and her situation. These works presented poetic speaker's feeling by suitable metaphors, and put poetic speaker's sensation in objects and events. This article lightened these expressional aspects which could be utilized for finding delicate sense of women s living. Literary works reflect social relation of producing subjects, and express identity of writers in any ages. In this point, If we concern femininity expressed in Sijo works of women, we could make a chance to examine a feminine inner world. To leamers, a reading femininity in Sijo works of women in literary class could provide a foundation of recognizing relationship literature and life, and revealing their identities by writing literary expression.

      • KCI등재

        고전문학교육과 도덕적 가치 : 〈어부사시사〉읽기를 중심으로

        허왕욱 한국문학교육학회 2004 문학교육학 Vol.14 No.-

        This Essay aims to verify a influence of moral values on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 morality of students will be promoted through literary education As well as a reading on the moral values which expressed in literary works can elevate appreciative power of students. It is a primary supposition on this essay. To encourage moral behaviors, we strengthen moral motives participated in moral judgements. The contents of moral motives are obtained not by passive injection, but by voluntary selection. As a result, forming process of moral motives is accompanied with growth of individual aesthetic sensibility. A representative poet in Josoen(朝鮮) dynasty, Gosan(孤山) Yun, Seon-Do(尹善道, 1587-1671) wrote a 〈eobusasisa(漁父四時詞)〉 which is a yeon- sijo(聯詩調 ; string lyric) composed of forty works. A 〈eobusasisa〉 show systematic structure to us. Gosan expressed forming process of his moral judgements with this structure. And he presented not only nature-oriented moral motives but also literary aesthetic value. To utilize 〈eobusasisa〉 in moral development of students, teachers should let his students search the forming process of writer's moral motives. It is desirable for students to read 〈eobusasisa〉 with comparative viewpoint. Through comparative reading and debating on dilemmatic values, a moral-sensibility of student's group will be enh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