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Effect of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Young Pigs with Induced Escherichia coli Diarrhea

        윤여성,조선아,성제경,Tchi-chou,양일석,최민철,박은성 대한수의학회 2003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4 No.2

        of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Young Pigs with Induced Escherichia coli DiarrheaEun-sung Park, Seona-Jo, Je-kyung Seong, Tchi-chou Nam1, Il-suk Yang2, Min-cheol Choi3 and Yeo-sung Yoon*

      • KCI등재

        미셸 메이에르의 철학적 수사학 : 언어와 주체성에 대한 반성

        박치완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9 철학탐구 Vol.25 No.-

        수사학은 철학의 지도 이념이 붕괴될 때면 예외 없이 등장하곤 하는 술학(術學) 중의 하나이다. 근대의 지도 이념인 이성과 보편성, 확실성에 도전한 포스트모더니즘이나 후기구조주의와 더불어 철학계에서도 수사학을 논증, 설득, 글쓰기 등과 관련해 널리 그 효용성을 인정하고 있는 편인데, 이는 우리가 철학적으로 자기 변화를 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시대적 요청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선두 계열에 우리가 본고에서 살펴보려고 하는 미셸 메이에르(Michel Meyer)가 위치하고 있다. 메이에르는 자신의 신수사학을 문제제기론(proble´matologie)이란 이름으로 정착시켰는데, 그 핵심은 서양 철학사 전체를 물음을 묻고 대답하는 과정(processus de questionnement)을 통해 새롭게 해석한데 있다. 그리고 그 새로운 해석을 통해 메이에르는 사유에 대한 언어(langage de la pense´e) 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을 촉구하며, 사유에 있어 고유한 언어(Logos)는 이런 저런 대답들에 의해 고착화되지 않는 근본 물음(question radicale)이라는 제안을 한다. 그에 따르면 이 물음이 자기와 타인, 저자와 독자, 발화자와 발화 상대자가 만나는 공간이자 수사학의 모태이다. 그리고 이렇게 양자 사이에서 물음이 교환된다는 것은 곧 자기와는 다른 의견을 가진 자, 즉 차이(Diffe´rence)를 서로 인식하고 교환한다는 것과 연관된다. 물음과 차이가 메이에르의 문제제기론, 즉 그의 신수사학의 두 핵심 개념인 셈이다. 특히 메이에르가 동일성과 보편성의 대(對) 개념이기도 한 차이를 자유로운 개인의 주체성(subjectivite´)의 표현(교환)으로 자리매김했다는 점이 독창적인 아이디어라 하겠다. 그에 따르자면 인간의 “보편적 권리(droit universel)인 차이가 존중될 때 진정한 휴머니즘이 가능하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와 같은 메이에르의 신수사학을 근대의 보편·절대적 주체를 타인과의 관계 속의 주체, 언어를 통해 자신의 주체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인간으로 정립시키려 했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나름의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Whenever ideology deconstructs, rhetoric emerges. Many philosophers who have traditional backgrounds treat rhetoric as an art of speaking. They often discuss demonstration, persuasion, philosophical writing, etc., together with postmodernism and poststructuralism that challenge "reason", "universality", "certainty" as the ideology of modernity. This situation means for us to make a search for something else than the ideology of modernity. This is the reason why we look into Michel Meyer's theory in this article. Meyer calls his new rhetoric problematology. The core of this method is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by the process of questioning. In this process, Meyer requests a fundamental reflection about the langage of thought, and proposes a essential question about Logos that is not fixed by such and such answer and is proper to the language of thought. Following his suggestion, the essential question will be the idea that the self meets the other; the author meets the reader; and the speaker meets the hearer. All these could be essential to the matrix of rhetoric. And, the fact that the former exchanges questions with the latter is related with the concept that they can recognize and exchange the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question and the difference are the key concepts of Meyer's problematology and rhetoric. It is remarkable that he puts the difference down the expression(exchange) of subjectivity of free individual despite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is undoubtedly a counter concept of identity and universality. According to him, when a difference as the universal right is respected, a true humanism is possible. So in this article, I try to analyse and show his problematological rhetoric with the point that his rhetoric substitutes an individual who freely expresses one's own subjectivity by language and the subject in relation to others for universal and absolute subjects in modern age.

      • KCI등재

        신수사학에서의 보편청중과 논증의 문제

        양현정,박치완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8 철학탐구 Vol.23 No.-

        카임 페럴만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수사학연구가들에게서 전적으로 평가절하된 문답술적 추론에 새롭게 의미를 부여하여 신수사학(The New Rhetoric)이라는 새로운 학풍을 만들어내었다. 종전에 연구가들이 수사학을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적 추론, 즉 형식적 추론에 제한시켜 논의했다면 페렐만은 문답술적 추론에 비중을 두어 수사학을 ‘보편청중’ 중심으로 그 방향을 전환시킨 것이다. 문답술적 추론에 있어 중요한 것은 바로 이 보편청중을 ‘설득’시키는데 있다. 이렇게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페렐만은 보편청중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통해 자신의 수사학적 논의를 과학적 인식의 보편성 문제에까지 확대시켰다. 뿐만 아니라 보편청중 개념에 기초하여 페럴만은 사회의 현실 속에서 담론의 소재를 적극 계발하고, 그것을 직접 논증화하는데 적극적이었다. 그가 법률, 문학, 철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자신의 이상과 같은 아이디어를 시험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는 본고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첫째, 신수사학은 개인과 사회가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 공존해야 하는지를 핵심적 화두로 삼는다. 때문에 각 개인에게 있어 고유한 경험들의 최대공약수를 이성적으로 도출하는 일이 신수학에 있어서 중요한 관건이 된다. 둘째, 신수사학적 논증은 기본적으로 실천의 영역과 이론의 영역의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절름발이식 분과 학문들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길이 어떤 것인지를 제시해줄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는 신수사학이 현대 철학의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며, 본고에서 보편청중과 논증의 문제를 다루어보았다. Ch. Perelman revives the Rhetoric, so called the New Rhetoric. He reinterprets the dialectical reasons which was devaluated by scholars. In other words, on studying about Aristotle's Rhetorica, the scholars have limited Aristotle's rhetoric on the analytic reasons such as the formal reasons, but Perelman converted this direction of analytic reasons for the dialectical reasons which depend on the Universal Audience. The aim of dialectical reasons is to persuade of the Universal Audience. On the course of reinterpreting the Aristotle's Rhetorica, Perelman make the new sense and category under Universal Audience, and consequently he come to extend his discourse of rhetoric to the scientific knowledge. In addition, Perelman lead to achieve the argument from the actual reality in which we live. That is the reason why he tries to examine his rhetorical idea for domains, such as the law, the literature, the philosophy, and the politics. After all, we lead to make a conclusion the two consequences: firstly, the New Rhetoric aim to the philosophy which harmonizes the theory and the practice, an individual and the society; secondly, the New Rhetoric brings up the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sciences. Therefore, the New Rhetoric will be comprehended as a guide map for the new direction of the philosophy and the society.

      • KCI등재

        An ethno-nutritional study on spices used in traditional foods of the Western Regions of Cameroon: the case of nah poh

        Stève Djiazet,Laurette Blandine Mezajoug Kenfack,Michel Linder,Clergé Tchiégang 한국식품연구원 2019 Journal of Ethnic Foods Vol.6 No.-

        The consumption rate of traditional foods is gradually being reduced with time due to the globalization of the food systems and non-availability of modernized ready-to-use traditional food product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and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nah poh,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gather traditional culinary knowledge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some local spices in nah poh, 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ready-to-use spice formulation. It consisted in carrying out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urvey.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a great variability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Divisions of the Western Regions of Cameroon, regarding the spice composition of nah poh. All the local spices used for this study are utilized for the preparation of nah poh. Seven spices were found to be essential in most Divisions. Scorodophloeus zenkeri fruits and Xylopia africana were shown to be essential spices for consumers in Mezam Division. The quantities of essential spices for one litre of nah poh varied between 0.61 ± 0.24 g and 4.59 ± 2.06 g.

      • KCI등재
      • KCI등재

        하위주체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아웃 오브 아프리카≫

        박치완 ( Tchi Wan Park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2 No.-

        카렌 블릭센(Karen Blixen, 1885~1962)의 『아프리카의 농장(La ferme africaine)』(1937)은 시드니 폴락 (Sydney Pollack) 감독에 의해 1985년에 ≪아웃 오브 아프리카(Out of Africa)≫로 영화화 되었다. 좋은 영화는 다양한 해석을 허용한다. 부언컨대 영화를 비평하는 시선은 일의적일 필요가 없다. 기억하는 내용과 장면도 관객에 따라 얼마든지 다를 수 있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 영화를 항간에서의 평가와 달리 가야트리 스피박의 ‘하위주체’ 개념을 통해 (신)식민주의의 문제점을 재고해보고자 한다. 스피박에 따르면 하위주체는 ‘말할 수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 이 영화에서도 카렌의 커피농장에서 일하는 키쿠유족(Kikuyus)을 비롯해 영국군의 전승(戰勝)을 기념하기 위해 동원된 인도인들에게는 특별한 대사가 부여돼 있지 않다. 그런 점에서 이들의 존재는 영화의 배경 또는 코끼리나 사자와 같은 ‘즉자 존재’에 그친다. 이들에게 ‘말’이 없는 것을 우리는 단지 영화적 장치라고 치부해도 되는 것일까? 그런데 여주인공 카렌의 상대역인 데니스는 이들 하위주체의 ‘말’을 영화 전편에 걸쳐 일관되게 대리하고 있다. 그리고 그의 대사는 카렌뿐만 아니라 영화 속에 등장하는 식민주민사회 전체 그리고 이 영화의 관객인 우리 모두를 향해 구미인의 아프리카 식민지배는 부당하다는 점을 암시한다. 데니스의 대사가 갖는 메시지는 무엇보다도 아프리카를 아프리카의 관점에서 감상할 것을 환기시키고 있다는데 있다. 그의 대사는 결국 아프리카에 대한 일종의 ‘증언서사’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카렌 블릭센이 17년 동안이나 머물렀던 아프리카를 아무런 미련도 없이 떠나(out of) 추후에 그곳에 대해 문화우월주의적 입장에서 묘사한 ‘낭만서사’, ‘추억서사’와 구분되는 점이다. ≪아웃 오브 아프리카≫를 ‘out of Africa’의 관점이 아닌 ‘to Africa’의 관점에서 내관(內觀)할 때 우리는 비로소 아프리카에 인종화라는 구미적 인식틀에서 벗어나 새롭게 가다설 수 있을 것이다. Karen Blixen’s La ferme africaine (1937) has been made into a movie Out of Africa by Sydney Pollack in 1985. A good movie allows various ways of analyzing. By the way, there is no need to have only one viewpoint to review a movie. A remarkable scene may be different appreciation by audience. In this article, it is our intention to reconsider a problem of new colonialism in this movie by Spivak’s ‘the subaltern’, different from overwhelming general remark of the movie review. According to Spivak, the subaltern has the characteristic of ‘unspeakable’. In the movie as well, Kikuyus, working at Karen’s coffee farm, and Indians, forced to participate in the streets to celebrate the victory of british army, are not given a no specific line. In this respect, they are not different from being-in-itself as like the background or an elephant and a lion. By the way, Dennis, an opposite to Karen, the heroine, is a character consistently representing that subaltern’s ‘words’ all over the movie. And his lines alludes to the iniquity of colonization by Europeans and Americans not only to Karen but also to the colonial society and all of us, the audience. Above all, the message of Dennis’s lines arouses us to feel the Africa from the viewpoint of African. Eventually, his lines can be a kind of a testimony of Africa, that is the distinguishing point from ‘the romance of Africa’ and ‘the memory of Africa’ that is described by the cultural exceptionalism by Karen Blixen who got out of Africa where she has stayed for 17 years without any feelings. We can newly approach to Africa, still known as Black Continent even today, after getting out from the Western frame as racialization by the introspection of ‘to Africa’, not ‘out of Africa’ to this movie, Out of Africa.

      • KCI등재

        과학적 상상력과 시적 상상력의 구분은 정당한가?

        박치완 ( Tchi Wan Park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연구 Vol.0 No.49

        모든 ‘학계’에서는 더 탁월한 설명력을 가진 이론체계, 즉 더 객관적 이론 체계의 정립에 모든 에너지를 쏟는 경향이 있다. ‘하나의 논리’, ‘하나의 이론’, ‘하나의 세계’를 위한 지적 모험은 인간이 존재하고 학문이 지속되는 한 멈추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모험의 결과로 정립된 무수한 이론체계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상상력 개념 또한 그 논정(論定)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주지하듯 이미지, 상상력 개념은 철학자들에 의해 오랫동안 주로 부정적으로 언급되어왔던 게 사실이다. 이미지와 상상력이 지성이나 이성 개념의 폭력을 고스란히 감내해야 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부정적 의견을 일소시킨 학자가 본고에서 우리가 소개하려고 하는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이다. 그의 시학 정신(l’esprit poetique)을 인류학적·사회학적·인식론적으로 확대·심화시키고 있는 그룹에서는 이미지와 상상력은 새로운 인간관과 세계관을 위한 실천철학으로까지 해석하고 있다. 이들의 지속적인 연구에 따르자면 상상력은 부정적 의견을 가진 철학자들이 항용 비판의 빌미로 삼았던 환상적인 것(l’illusoire)이나 허구적인 것(le fictif)과는 하등 관련성이 없다. 바슐라르가 역설한 상상력은 어디까지나 고행을 동반하는 ‘이성의 작업’이며, 따라서 우리는 그의 상상력 이론을 ‘과학적 상상력’과 대비시켜 ‘시적 상상력’이라는 옹색한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고에서 우리가 <상상하는 것 = 사유하는 것>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통해 바슐라르의 철학을 소개해보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There is no theoretic system more valuable than others. That is to say that, all theory has its own value. However, in this country, Academia is willing to prefer and regard an objective and scientific system as a supreme one. The intellectual adventure pursuing only one logic, one theory, and one world never stop, which produce the history of theory. This paper criticizes this tendency with shaping of the conception of imagination, which summarized as two contradictory perspectives on one movement. One the one hand, imagination, along with the concept of image, has been falsely and violently accused, by many philosophers, as an enemy of intelligence and reason. It was Gaston Bachelard the French philosopher that challenged this intellectual trajectory, and his l’esprit poetique(spirit of poetics) has been embraced by the group whose anthropological, sociological, epistemological studies on him and his work on image and imagination developed into a practical philosophy of a novel view on man and world. Contrary to the argument of many offensive philosophers on image and imagination, it is revealed that imagination has nothing to do with l’illusoire(something illusive) or le fictif(something fictive). Bachelard argues that imagination is an agonizing process of reason, thus his notion of imagination cannot be highlighted as poetic imagination contrasted with scientific imagination, because to imagine is to think and to think is, of course, to imagine.

      • 영화 <세 얼간이>와 다문화사회 인도 엿보기

        박치완(Tchi-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3 No.-

        라즈쿠마 히라니(Rajkumar Hirani) 감독의 2009년 슈퍼급 히트 작품인 <세 얼간이(3 Idiots)>는 인도는 물론이고 인도 밖에서도 널리 흥행한 마살라무비(Masala Movie)의 대표작이다. 2011년 8월 한국에서 개봉되었으며, 특히 한국의 주입식 교육현실의 폐해가 무엇인지를 되돌아보게 한다는 측면에서 이 영화는 매스컴의 지목을 받기도 했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 영화를 표층구조 상으로 드러난 ‘로맨스 코미디’나 ‘코미디 드라마’로 분석하는 항간의 일반적인 비평방식을 탈피해 ‘문화적 독법(cultural interpretation)’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해보았다. 이러한 우리의 선택은 영화 <세 얼간이>에 감추어진 인도 문화의 심층, 즉 인도의 문화코드(Culture Code)를 분석해보기 위해서다. 주지하듯 인도는 다문화(다종교, 다인종, 다언어, 다신분)사회다. 그런데 히라니 감독은 이러한 인도의 다문화성을 단지 현상적으로 묘사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심층의 고리를 보여줌으로써 인도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해결책도 제시한다. 12억 인도인이 좋아하는 마살라뮤직을 적절히 사용하면서 대사를 이중언어(힌디어와 영어)로 처리한 것도 같은 고민에서 나온 결과라 할 수 있다. 음악과 대사는 인도의 명문 공대인 ICE(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의 세 반항아가 던지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이자 인도의 다문화성을 아우르는 촉매제이기도 하다. 모든 문화는 각기 고유한 토양을 가지고 있다. 다문화사회는 인도뿐 아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신자유주의의 등장과 더불어 ‘문화’는 점점 세계화의 먹이로 전락하고 있다. 전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무한경쟁, 약육강식의 논리가 그 주범이다. 그런데 <세 얼간이>에서는 바로 이것이 우리가 극복해야 할 제일 적임을 보여준다. 문화가 그렇듯, 삶의 서사(Narrative of Life)도 정체불명의 글로벌체제를 위해서 복무하는 것이 아니라 로컬에서 만들어지고 보존되며 전파된다. 그리고 그때에 한 해 그 로컬의 문화는 글로벌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 한류 열풍으로 들떠 있는 우리에게 <세 얼간이>가 건네는 교훈이 여기에 있다. <3 Idiots> by director Rajkumar Hirani, which was a big box office hit in India and in other countries in the year 2009, is a representative Masala movie. It was premiered in Korea in August 2011, and it received attention from the media, because it made viewers reflect on the harmful effects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is article goes beyond the general method of reviewing the movie which is based on its superficial structure, i.e. the view that it is a ‘romantic comedy’ or a‘comedy drama’, and applies a new method of reviewing called ‘cultural interpretation’. This method was applied in order to analyse the deep structure of the Indian culture, i.e. the ‘culture code’ of India, that is hidden in the movie. It is well-known that India is a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multi-racial, multi-lingual, and multi-stratal) society. Hirani not only describes the multi-culturality of India phenomenologically, but also reveals the chains that lie underneath it, thereby critically showing the problems of the Indian society and proposing some solutions. The fact that he used Masala music, a favorite of the 1.2 billion Indian people, and made the movie bilingually using Hindi and English can be understood as a sign of his agony. The music and the dialogue are the media that deliver the message of the three rebels of ICE (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 a prestigious college of engineering in India.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catalyst that embrace the multi-culturality of India. Every culture has its own soil. And India is not the only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world. Unfortunately, however, with the advance of neo-liberalism, ‘culture’ is being reduced to prey to globalization. The culprit is the unlimited competition and the law of the jungle that dominate the world. <3 Idiots> shows that these are ourprincipal enemies that must be overcome. Like culture, the narrative of life does not exist to serve the elusive global system, but is made, conserved, and transmitted locally. And only that will make a local culture global. This is the lesson of <3 Idiots> to those of us who are overly excited about the Korean Wa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