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원 교육과정 연수의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 분석 연구 : 2015개정 교육과정 교원 연수를 중심으로

        박태은 ( Park¸ Taeeun ),홍후조 ( Hong¸ Hoo-jo ),김한승 ( Kim¸ Hanseung ),임태원 ( Lim¸ Taewon ),정희엽 ( Jung¸ Heeyeop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3

        오늘날 교육과정의 패러다임은 학생의 흥미와 적성, 진로 등 요구에 따른 맞춤형 교육을 제공을 우선순위로 하여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강조하고 있다. 이때 효과적인 교육과정의 수립과 운영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교원의 교육과정 문해력이 필요하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교육부 주최로 시행된 교육과정 연수를 주제, 내용 및 교육방법, 다루고 있는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향후 교육과정 문해력 중심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기인 2017년과 2018년의 교육과정 연수에서는 새로 개정된 교육과정의 총론과 각론의 이해를 주요 목적으로 기능적·구성적 수준의 교육과정 문해력 연수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이후 교육과정 확대기인 2019년 연수는 교육과정 문해력을 핵심 키워드로 연수 프로그램이 구성되었으며, 교육과정 문해력의 수준 또한 기능적 수준에서 비판적 수준까지 아우르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전면 시행기인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원격 수업 확대에 따른 교육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차기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위한 차원에서 비판적 수준의 교육과정 문해력이 다루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존 연수의 한계와 연속성이 있는 교육과정 문해력 신장 연수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oday's curriculum paradigm emphasizes the curriculum at the school level by providing customized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students' interests, aptitude, and career pathways. At this tim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is essential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effective curricula, and the need for education is emerging to foster them.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divided the core teacher training program ho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2017 to 2020 into themes,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and the level of curriculum litera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urriculum training program for 2017 and 2018 during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provided with a functional and comprehensive level of curriculum comprehension program. Since then, the 2019 training period, which is the expansion period of the curriculum, has been organized with the literacy of the curriculum as its core keyword, and the literacy level of the curriculum has been adjusted from functional to critical. Finally, in 2020, wh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fully implemented, the main focus was on educa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remote education due to COVID-19, and the critical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necessity of providing comprehension-enhancing training programs that are continuous with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raining courses is proposed.

      • KCI등재

        복합양식 텍스트로서의 그림책 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이해 및 복합양식 리터러시 기반 영어 쓰기 수업 모형

        김태은 ( Kim¸ Tae-e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복합양식 텍스트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시기에 영어 교수-학습에 있어서 전통적인 활자 중심의 리터러시 개념을 확장하여 복합양식 리터러시 개념을 포함해야 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이야기 그림책은 영어를 교육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복합양식 텍스트(multimodal text) 형태의 그림책을 빈번하게 접할 수 있다. 복합양식 텍스트로서의 그림책의 주요 특징은 다양한 복합적 양식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생성하게 되고, 활자는 텍스트 속에서 의미를 표현하는 다양한 양식 중에 하나의 종류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복합양식 텍스트로서의 그림책을 영어교육에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복합양식 텍스트가 무엇인지, 복합양식 리터러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떻게 영어 수업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이해 및 탐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양식 텍스트로서의 그림책에 나타난 조판, 상호적 나래이션, 다수의 관점, 이미지와 같은 다양한 복합양식(Hassett & Curwood, 2009; Sipe, 2001)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그림책 기반 영어교육에서 복합양식 리터러시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해보고자 한다. 한편, 영어교육을 위해 그림책을 활용할 때에는 언어를 가르치는 데 목적이 있다 보니 주로 글 부분에만 치중하게 되고 그림 부분은 비전문적으로 다뤄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쉽게 간과될 수 있는 그림책의 삽화 부분을 영어 교수학습 과정에서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와 비주얼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질문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의 내용을 기반으로 복합양식 리터러시 모델을 제안하고, 기존의 그림책 기반 영어 수업 틀에 복합양식 리터러시 모델을 접목한 영어 쓰기 수업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초등영어 수업에서 복합양식 텍스트 형태의 그림책을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데 있어 길잡이 역할을 하고자 한다. As multimodal texts are readily accessible around us, there emerges a need to reconsider the print-focused, traditional concept of literacy and expand its concept to encompass multimodal literacy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In particular, we can easily encounter story picturebooks as multimodal texts in recent times. The primary feature of picturebooks as multimodal texts is that print is the only one type of various modes to create meaning in a text. Thus, in order to use picturebooks as multimodal texts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it is basically required to understand what multimodal texts are, what multimodal literacy means, and explore ways to apply in English lesson plans.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paper explores multiple modes represented in multimodal picturebooks to create meaning, including typesetting, interactive narration, multiple points-of-view and image (Hassett & Curwood, 2009; Sipe, 2001); in addition, it explores what multimodal literacy represents in English education using storybooks. Meanwhile, in order for educators to make systematic use of illustration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the paper looks into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 and questioning strategies used to foster students' visual literacy. Lastly, the author suggests a model of multimodal literacy and an English writing instruction model in which the model of multimodal literacy is applied into the existing framework of English instruction using picturebooks.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serve as a guide into using multimodal story picturebooks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in a more professional, systematic way.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VR 체험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3D 에셋 기반 중심으로-

        이태은 ( Lee¸ Tae-e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코로나의 장기화로 복합문화시설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온라인 체험콘텐츠의 경험확대와 차별적인 구현 방법을 모색하고 제안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통해 온라인 체험콘텐츠의 특징과 연출기법을 Panorama VR, Object VR, 3D VR로 분류하고 국내외 온라인 체험콘텐츠가 반영된 복합문화공간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한 후 유형별 분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온라인 체험콘텐츠 연출은 Panorama VR 기법 중심으로 기존의 오프라인 콘텐츠를 온라인에 동일하게 옮기는 것에 초점을 두어 VR 연출방식의 매체전환에 의한 관람만 가능할 뿐 온라인의 특장점이 적용되었으나 관람객 참여체험이 미흡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통문화자원을 소재로 하여 VR 연출기법에 관람객이 직접 3D 에셋을 선택하고 관련 정보를 습득하고 전시장을 기획하며 큐레이션하는 차별화된 온라인 체험콘텐츠를 제안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 체험콘텐츠가 관람객들을 위한 인터렉션이 가능한 새로운 공간으로서의 인식과 콘텐츠의 다각화를 모색하고자 했다. In order to explore and suggest ways to expand the experience and differentiated implementation of online experience contents serviced by complex cultural facilities due to the prolonged corona virus,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ng techniques of online experience contents were converted into Panorama VR, Object VR, and 3D VR through prior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classification by type after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cases of complex cultural spaces reflecting domestic and foreign online experience contents. The online experience content production focused on moving the existing offline content online with the Panorama VR technique as the foc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a differentiated online experience content that allows visitors to directly select 3D assets, acquire relevant information, plan and curate exhibition halls, using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s the subject of VR production techniques. In the post-Corona era, we tried to diversify content and perception as a new space where online experience content can be interactive for visitors.

      • KCI등재

        장한종의 사실주의적 어해 화풍의 성격과 형성배경

        김태은 ( Kim¸ Tae-eu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1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7 No.-

        장한종(張漢宗, 1768-1815)은 정조(正祖, 재위 1776-1800)와 순조(純祖, 재위 1800-1834) 연간에 차비대령화원(差備待令畫員)으로 활동하였던 화가이다. 그는 물고기와 게 등 각종 수생생물(水生生物)을 소재로 삼은 어해도(魚蟹圖)로 명성이 높았다. 장한종은 길상 소재를 다룬 수묵 어해도뿐 아니라 세필(細筆)과 채색을 사용하여 어해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새로운 방식의 어해도를 제작하였다. 본고에서 필자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어해병풍(魚蟹屛風)》 8폭을 중심으로 장한종의 사실주의적 어해 화풍의 성격과 그 형성배경을 분석하였다. 장한종은 기존 어해도의 전통을 바탕으로 사실적 어해 화풍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그의 어해도에 묘사된 유영(遊泳)하는 어류의 이미지는 중국의 고전에 근거한 도상이었다. 또한 전통적인 길상 소재는 명대(明代)의 화조화 구성 및 당대에 유행하던 김홍도(金弘道, 1745-1806년 이후)의 산수 표현과 함께 그려졌다. 그러나 장한종 어해도의 가장 큰 특징은 수십 종의 수생생물을 극사실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어류와 관련된 지식을 시각화하였다는 것이다. 장한종은 《어해병풍》에 66종(種) 이상의 수생생물을 묘사하였으며 각 생물의 외양, 생태, 서식지 등에 대한 지식을 그림에 정확히 표현하였다. 그의 이러한 작화(作畵) 방식은 사물의 개별성을 인정하며 다양한 대상을 전문적으로 탐구하였던 조선 후기의 명물학(名物學)적 학문 경향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이 시기에 저술된 어류와 관련된 명물서(名物書)들은 장한종의 어해도 제작에 참고가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한종이 어해도에 최초로 사용한 병풍 형식은 조선 후기에 가장 선호되던 회화 매체이자 다양한 어종에 관한 시각정보를 전달하기에 유용한 수단이었다. 병풍에 표현된 장한종의 사실주의적 어해 화풍은 조선 말기의 어해도 작가들에게 계승되어 조선의 새로운 어해도 전통을 형성하였다. Jang Hanjong was a chabi daeryeong hwawon (painter-in-waiting to the court) active during the reigns of Kings Jeongjo (r. 1776-1800) and Sunjo (r. 1800- 1834). He was most renowned for fish and crab paintings. He made traditional ink paintings and also initiated a new painting style depicting fish and crabs with meticulous brushwork and extreme realism. This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and intellectual background of this new style by examining Jang's Fish and Crab Folding Screen, an eight-panel folding screen currently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Jang attempted to portray aquatic organisms such as fish, crabs, and plants with astonishing realism while keeping with the iconographical tradition of fish and crab paintings. The motif of swimming fish he often drew had a long history originating from the Chinese classics. The traditional auspicious motifs of fish appeared in his painting with the bird and flower painting style of the Ming dynasty and the style of Kim Hongdo’s (1745-after 1806) landscapes. However,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 of Jang's fish and crab paintings is that he presented his knowledge of aquatic organisms in visual terms. For the Fish and Crab Folding Screen, he depicted more than 66 species of aquatic organisms,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on their appearance, nature, and habitat. This style of painting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pularity of Myeongmulhak (evidential and encyclopedic studies of names and things) which focused on the individuality of each object and took a profound interest in various things. It is likely that the books written with expert knowledge on fish under the influence of Myeongmulhak served as references for Jang. The folding screen, a painting format popular in the late Joseon and used for the first time for fish and crab paintings by Jang, was most suitable for offering information on creatures living in water. Jang Hanjong's Fish and Crab Folding Screen shows a new style of realistic fish and crab painting, laying the foundation for later pictures of aquatic animals and plants. Numerous painters active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followed Jang’s style.

      • KCI우수등재

        Asian Americans’ Partisan Direction as a Function of Support for Group Interest and Group Consciousness

        Taeeun Min(민태은)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6

        본 논문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미국인들의 정치선택에 주요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정당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기법을 통해, 이민자관련 정책들에 대한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지지도로 측정된 집단이익지지와 공화당과 민주당 각각의 동원이 그들의 정당일체감 방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집단의식이 그들의 집단이익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검토한다. 그리고 그 집단의식이 간접적으로 그들의 정당선호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함께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이익지지와 정당의 동원이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어떤 정당을 지지하느냐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이민자로서 집단이익을 지지할수록 민주당을 지지하며, 공화당의 동원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정당일체감 방향을 공화당쪽으로 기울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집단의식의 구성요소인 아시아인으로서 정체성이 집단이익지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집단의식이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특정 정당선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what determines partisan direction among Asian Americans in the U.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 test if policy preference summarized as support for group interest, and party mobilization affect the direction of Asian Americans’ party identification. I also test the indirect impact of Asian American group consciousness on their partisan direction and its direct impact on their support for group interest. I find that both support for group interest and mobilization are significant factors for deciding the direction of Asian Americans’ party identification. Specifically, my findings suggest that Asian Americans who support their group interest, measured by immigrant-related policy preference, are more likely to be Democrats. Furthermore, my evidence indicates that the Republican Party mobilization directs Asian Americans to lean towards Republicans. In addition, my empirical results show that ethnic identification as Asian or Asian American, one component of group consciousness, affects Asian Americans’support for group interest. This finding implies that group consciousness indirectly affects the direction of Asian Americans’ party ident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