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에서 수직 이동수단의 반복과 공간 연속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게슈탈트 지각이론을 중심으로-

        신승수 ( Shin¸ Seungsu ),김철수 ( Kim¸ Chuls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래전부터 인간은 공간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미시감, 기시감 등의 추상적인 감각들로 인한 경계의 모호함을 체험해왔다. 이러한 체험의 원인은 다양한 방향에서 제기되어져 왔다. 여러 원인 중에서도 특히 인간의 지각에서 전달된 시각 정보를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해석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것을 선행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맥락에서 인간이 감각 기관을 통해 공간 내외부에서 물리적인 형태의 중복 등에 의해 착시를 경험하거나 같은 움직임이 반복될 때 느끼는 기시감을 연속성이라는 단어로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성질을 구체적 데이터로 명시 및 정리하여 향후 보다 발전된 연구의 지표로 사용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논문을 위한 이론적 연구는 공간의 연속성 체험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보다 명확하고 객관적 치수로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것을 중심으로 한다. 치수의 척도로써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가장 가시적인 형태 중심의 건축적 구성 요소를 게슈탈트 지각이론의 대표적인 원리들에 대입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의 주축이 될 건축 구성 요소는 수직 이동수단이다. 이는 공간 내부와 외부의 경계에 위치하고 공간들을 이으며 층 간 특성을 전달하는 전이성이 있다. 즉, 공간 사이에서 일종의 중간적 다리의 역할을 한다. 또한, 미리 인간의 다음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고 조형미의 정도에 의해 건물의 상징이 되기도 하는 대표적인 구조체이므로 선정하게 되었다. 그러나 수직 이동수단이라는 매개체를 단편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시각, 지각에 형태학적으로 밀접한 연관이 있는 학문인 게슈탈트 지각이론의 원리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앞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네 가지 기준을 선정하고, 게슈탈트 원리 여섯 가지를 더해 총 열 가지를 분석요소로 규정지어 분석모델을 제안한다. 이 분석모델에 네 가지 사례를 적용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분석요소들과 공간 연속성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도록 한다. (결과) 위 연구의 방법을 통해 수직 이동수단의 배열이나 형태 등이 공간 내부와 외부에서 인간의 지각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합적인 결과에서 수직 동선 계획과 공간 구조 설계를 통해 공간 구성 시 연속성을 의도적으로 기획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시대의 흐름과 인간의 요구에 따라 공간의 형태는 점점 다변화되고 있다. 이에 특정 목적을 중심으로 한 전에 없던 공간들이 연출되어 부상하고 있고 그 다양한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 인간의 심리는 공간 기획에 있어서 늘 첫 번째 잣대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간의 시각과 지각, 움직임의 상관성을 유념에 둔 공간 설계의 체계화된 연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Many people have experienced the blurring of the boundary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 due to abstract sensations such as Jamais vu and D□j€ vu.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one of the many causes of such experiences is the interpretation of visua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eyes based on one's own experiences within perception. In the above context, humans can feel the optical illusion produced by the overlapping of physical forms inside and outside the space through the sense organs including the eyes, or the paramnesia when the same movement is repeated in space. In this study, we intend to express such situations and emotions in the word continuity.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designating and organizing these properties as specific data and using them as indicators for more advanced research in the future. (Method) The theoretical study for this paper prioritizes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abstract concept of spatial continuity in precise and objective dimensions. As a measure of dimensions, this study will analyze one of the most visible architectural components, “vertical movement ways,” in space by applying representative principles of Gestalt Perception theory, especially centering on their forms. It i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the space, connects the spaces, and transmits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loors. In addition, it was selected because it is a representative structure that can predict the next human movement in advance through them and becomes a symbol of a building by its formative beauty. Therefore, first, four qualitative criteria are selec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six principles of Gestalt Perception theory, a discipline closely related morphologically to human vision and perception, are selected as quantitative criteria. An analysis model is proposed with a total of ten analysis elements, and results are obtained by applying four cases to the model. (Results) Through the method of the abov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rrangement and shape of vertical movement ways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perception inside and outside the space. In addition, from the comprehensi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intentionally plan continuity when constructing a space through vertical movement plan and spatial structure design. (Conclusions) The form of space is gradually diversifying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and human needs. Accordingly, spaces centered on a specific purpose that have not been created previously are being created and emerging, and in order to meet the various purposes, human psychology must always be the first criterion in spatial planning.

      • KCI등재

        김성탄(金聖嘆)의 수호전(水滸傳) 비평 (8)

        이승수 ( Lee¸ Seung-su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80

        이 글은 70회 본 『수호전』의 50∼57회를 텍스트로 삼아, 김성탄의 비평 양상과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50∼70회에서는 세 차례의 큰 전투가 벌어진다. 하지만 김성탄의 비평은 표면상의 서사 흐름이나 화려한 전투 장면 등에 대해서는 별로 눈길을 주지 않는다. 그는 외견상 더 작고 덜 중요한 요소들을 주목하고, 그것들의 숨겨진 기능과 의미를 찾아내는 일에 힘을 기울인다. 李逵의 성격이 변화하는 미묘한 과정, 섬세한 묘사를 통해 만들어진 時遷의 좀도둑 형상, 전투에서 패하고 혼자 달아난 乎延灼의 失意 행색은, 김성탄이 포착한 인물들의 다양한 개성이다. 朱仝과 李逵의 다툼, 戴宗과 李逵의 薊州행, 湯隆의 등장 장면 등은, 서사 전개의 관점에서 보면 사건의 연결과 전환을 위한 하나의 장치임을 밝혀냈다. 白秀英의 노래 가사, 公孫勝의 주거 풍경, 徐寧의 가정 모습 등은, 이야기의 운치와 풍미를 풍부하게 해주는 서정미로 높게 평가했다. 이러한 비평은 줄거리와 내용 중심의 관습적 『수호전』 읽기를 중지시키는 것은 물론, 나아가 글 읽기 방법 전반 대해 성찰하게 하는 힘을 지닌다. 이 글은 비평의 본질과 방향에 대한 질문이며 하나의 답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and features of Kim Seong-tan’s criticism on the 50<sup>th</sup>∼57<sup>th</sup> edition of Water Margin comprising 70 editions. There are three massive battles in the 50th to 70th edition. However, Kim Seong-tan’s criticism doesn’t seem to pay attention to the ostensible flow of narration or splendid battle scenes. He focused on less important elements which look ostensibly smaller and endeavored to find out the hidden meaning and function of those elements. The delicate change process of Li Kui’s characteristics, the appearance of Shi Qian like a petty theft created by elaborate description, and despairing appearance of Huyan Zhuo running away alone after the defeat in the battle show the divers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identified by Kim Seong-tan. Kim Seong-tan identified that the dispute between Zhu Tong and Li Kui, departure of Dai Jong and Li Kui to Jizhou(present Tianjin) and advent of Tang Long were one of devices for the connection and turn of event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epic. Lyrics of Bai Xiuying, residential scene of Gongsun Sheng and the household of Xu Ning are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lyrical aesthetics enriching the dignity and elegance of stories. Such criticism induces to stop conventional approach of reading ‘Water Margin’ focusing on stories and contents and to reflect on the general approach of reading. This study is the question on the nature and direction of criticism as well as one of answers to that question.

      • KCI등재

        최인훈 <구운몽>의 제목과 형식

        이승수 ( Lee¸ Seung Su ),민선홍 ( Min¸ Seon Hong ),우미영 ( Woo¸ Mi Young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 Vol.- No.75

        이 글은 최인훈의 <구운몽>(1962)을 김만중 <구운몽>(1690 즈음)에 대조시켜 서로에게 비치는 모습에서 문학사상의 연속성과 동질성 / 단절성과 개별성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최인훈 <구운몽>의 형식 특성을 규명한 것이다. 논의는 세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제목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구운몽’은 그 자체로 한국문학 역사상 하나의 사건이자 현상이며, 향후 다른 사건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지닌다. 최인훈의 ‘구운몽’은 현실과 미분리된 여러 환몽으로 나타나고, 영화라는 현대 문명으로 확장되었으며, 5·16군사정변으로 인한 사회적 악몽이라는 의미까지를 담고 있다. 둘째, 구조는 기호이자 의미라는 전제 아래 그 여러 특징을 살펴보았다. 최인훈 <구운몽>의 구조는 ① 사건 전개와 인물 관계에 있어 인과성과 유기성이 결여된 부정합의 이음매를 지니고 있으며, ② 이는 현실과 환몽 사이의 경계 표지 없는 흐름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지닌다. 그러한 가운데 전체를 일관하는 흐름을 만들어주는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여러 여성 인물에 보이는 ‘왼 뺨의 검은 점’과 ‘처절한 바람 소리’이다. 셋째, 삽입 시문의 양상과 기능을 검토하였다. 최인훈 <구운몽>에 활용된 시문들은 김만중 <구운몽>의 그것과 달리, ① 갈등과 대결의 구도를 만들거나 불편한 현실을 드러나게 하고, ② 서사의 맥락을 일탈하여 강한 목소리로 자기 존재를 팽창시키고 있으며, ③ 시시비비를 가리려는 논변의 경향을 지닌다. 최인훈은 외적인 인과성과 유기성이 없는 부정합의 구성으로 모순과 불일치로 가득한 당대 현실을 드러내었다. 최인훈의 <구운몽>은 형식이 곧 주제이다. 외형은 환상이지만, 온몸으로 당대 현실을 증언하고 있다는 점에서 리얼리즘을 초월한 리얼리즘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inuity and homogeneity / discontinuity and individuality of literary history observed from the comparison between Guunmong by Choi In-hun(1962) and that by Kim Man-jung(estimated to be written in 1690).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we identified the features of form of Choi In-hun’s Guunmong. First, We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itle. Guunmong itself is an event and a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has the potential to be expanded to other events in the future. Choi In-hun’s Guunmong describes diverse kinds of fantasy dreams which are not separated from the reality and was expanded to the modern civilization, that is, the movie. Furthermore, it contains the meaning of ‘social nightmare’ caused by the military coup on May 16, 1961. Second, We investigated several features of the structure of Guunmong on the assumption that the structure is the signifier as well as the signified. The structure of Choi In-hun’s Guunmong ① has the incongruent connection lack of causality and systematicity in the deployment of events and relationship among characters. ② This feature is expressed by the borderless flow between the reality and the fantasy dream. In such a structure, there are the elements that maintain the consistent flow in the whole structure. They are ‘a black dot on a left cheek’ of several female characters and ‘sound of desperate wind.’ Third, we analyzed the patterns and functions of poetry and prose inserted in Choi In-hun’s Guunmong. Unlike Kim Man-jung’s Guunmong, poetry and prose in Choi In-hun’s Guunmong ① create the structure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or expose uncomfortable reality, ② expand themselves with strong voice out of the narrative context, and ③ show the feature of argument to decide on right and wrong. Choi In-hun exposed the reality of his times filled with contradiction and discord by incongruent structure without external causality and systematicity. In Choi In-hun’s Guunmong, the form is the theme. While the external form is fantasy, this work is the realism beyond the realism on the fact that it desperately testifies the reality of the times.

      • KCI등재

        金聖嘆의 『水滸傳』 비평 (9)

        이승수 ( Lee¸ Seung-su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6 No.-

        이 논문은 『수호전』의 58~70회에 대한 김성탄의 비평을 검토한 것으로, 크게 세 가지에 중점을 두고 논의하였다. 첫째, 인물에 대한 비평과 이를 위한 개작 양상이다. 김성탄은 『춘추』와 『사기』의 역사 기술 방식을 기준으로 『수호전』의 인물을 비평하였으며, 경우에 따라 인물의 성격이 더 잘 드러나도록 개작을 시도하였다. 둘째, 서사 구성미의 발견과 구현 양상이다. 김성탄은 소설의 감상과 이해에 있어, 사건의 배치만으로 인물의 성격이 빚어지고 역동적 흐름이 만들어지는 구성법에 섬세한 비평을 시도했으며, 적지 않은 분량을 덜어 내거나 첨가하기도 했다. 그가 사용한 ‘章法’의 개념에는 字句의 차원에서 전체 구조까지를 포함된다. 셋째, 서사의 큰 맥락에서 별로 중요해 보이지 않는 작은 부분의 의미를 발견하는 讀法, 인용과 창작을 섞고 상층의 문언문과 하층의 구어체를 통용하는 作法을 검토하였다. 김성탄은 17세기 중반 동아시아 소설사의 한가운데 있었다. 그는 소설 애호가이자 비평가였으며, 작가이며 출판업자였다. 소설의 내면과 환경을 넘나들었으며, 작품의 이쪽과 저쪽에 동시에 있었다. 이 논문은 70회 본 『水滸傳』의 마지막 13회를 대상으로, 소설에 대한 김성탄의 입체적 면모를 검토한 결과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riticism by Jinshengtan on the 58<sup>th</sup> to 70<sup>th</sup> episodes of Water Margin largely with focus on three aspects. The first focus was the criticism on characters and adaptation phase to this end. Jinshengtan criticized the characters in Water Margin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writing method in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Historical Records and attempted the adaptation to express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more clearly depending on cases. Second,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and materializing the aesthetics of narrative plot. Jinshengtan attempted the delicate criticism on the plotting method which creates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and dynamic flow only by arranging episodes. He also eliminated or added substantial parts. The concept of ‘sentence rules’ adopted by Jinshengtan includes the overall structure in terms of the expression. The next focus was to examine the reading method identifying the significance of a small insignificant part at the big picture of narrative and writing method using the colloquial style of the lower class and literary style of the upper class as well as mixing citation and creation. Jinshengtan was in the heart of history of novels in the East Asia in the mid-17<sup>th</sup> century. He was the story lover, critic, author and publisher. He crossed the internal world of novels and reality. He was at both sides of a novel. This study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on the diverse aspects of Jinshengtan related to the novels with focus on the last 13 episodes of Water Margin which comprised 70 episodes.

      • KCI등재

        Weakly Einstein critical point equation

        Seungsu Hwang,GabjinYun 대한수학회 2016 대한수학회보 Vol.53 No.4

        On a compact $n$-dimensional manifold $M$, it has been conjectured that a critical point of the total scalar curvature, restricted to the space of metrics with constant scalar curvature of unit volume, is Einstein. In this paper, after derivng an interesting curvature identity, we show that the conjecture is true in dimension three and four when $g$ is weakly Einstein. In higher dimensional case $n\geq 5$, we also show that the conjecture is true under an additional Ricci curvature bound. Moreover, we prove that the manifold is isometric to a standard $n$-sphere when it is $n$-dimensional weakly Einstein and the kernel of the linearized scalar curvature operator is nontrivial.

      • KCI등재

        ON THE SOLUTIONS OF THE (, n +m)-EINSTEIN EQUATION

        Seungsu Hwang 대한수학회 2014 대한수학회보 Vol.51 No.4

        In this paper, we study the structure of m-quasi Einstein manifolds when there exists another distinct solution to the (, n + m)- Einstein equation. In particular, we derive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non-existence of such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