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공무원의 공직가치: 공직가치모형의 개발과 검증

        김상묵 ( Kim Sangmook ) 한국행정연구원 2017 韓國行政硏究 Vol.26 No.2

        최근 정부는 공직가치 재정립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연구는 공직가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공직가치의 선행요인과 효과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가설을 국가공무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공직가치모형에서는 사회·조직·개인 차원의 선행요인과 공직가치의 관계, 공직가치와 공무원의 태도·행동의 관계를 설명하고, 이와 관련된 9개의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국가공무원 648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공직가치를 윤리적 가치, 민주적 가치, 혁신적 가치, 전문직업적 가치, 전통적 가치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1) 공무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중요하게 인식하는 공직가치의 유형이 다르며, (2) 갈등적 상황에서 공무원들은 서로 상이한 공직가치에 근거하여 의사결정을 하며, (3) 공직가치의 각 유형들은 공무원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윤리적 행동과 상대적으로 상이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론적 논의와 가설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공직가치 함양을 위한 여러 가지 대안들의 적실성을 논의하였다. The Korean government makes efforts to reestablish public service values (PSV) in the public sector. This study developed the model of PSV including both antecedents and effects of PSV, and tested 9 hypotheses using the survey data from the civil servants of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First, this study expla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ntecedents of PSV at the social,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PSV, and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civil servants. Second, it proposed 9 hypotheses based on the model of PSV. Third, it classified PSV into 5 types such as ethical, democratic, innovational, professional, and traditional values using the survey data from 648 civil servants. The hypothesis-testing results showed that (1) ba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organizational rank, and work experience, civil servants recognize PSV differently; (2) depending upon the different types of PSV, the respondents make different decisions in the dilemma situations; and (3) each type of PSV has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ethical behaviors.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and test results, various alternatives were discussed for enhancing desirable PSV in the Korean public sector.

      • KCI등재

        사회문화와 공공봉사동기

        김상묵(Sangmook Kim) 한국정책과학학회 2014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8 No.4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는 일반적으로 이웃과 사회를 위하여 봉사하려는 성향을 말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개인적 특성과 조직생활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각 개인은 한 사회의 구성원이므로, 그 사회의 역사적·문화적 특성도 공공봉사동기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사회문화와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문화권역에 따라 공공봉사동기 수준이 차이가 나는지, 그리고 개인적 특성과 비교하여 문화권역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화권역에 따라 공공봉사동기 수준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앵글로, 독일계유럽, 라틴유럽의 9개 국가 지방정부 공무원 2,83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계층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문화권역의 특성이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단초를 보여준다. 아울러 이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is thought of as an individual"s orientation to delivering services to people with a purpose to do good for others and society. Much research has focused on finding and explaining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life on PSM,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influence of national context on individuals" PSM.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ocieties may exert an independent influence on individuals" PSM because individuals are the members of a certain society.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al cultures and PSM, and examines whether the levels of PSM are likely to differ across the regional clusters of societal cultures and whether the influence of regional clusters on PSM may be greater than tha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Using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a total of 2,834 cases from 9 countries (Australia, Belgium, France, Italy, Korea, the Netherlands, Switzerland, United Kingdom, and USA). It demonstrates that the levels of PSM are different across the regional clusters and individuals" PSM ar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luster greater than those of each individual. It suggests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ocieties are related to individuals" PSM.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상묵(Kim Sangmook),황종술(Hwang Jongsool) 한국법학회 2015 법학연구 Vol.60 No.-

        현재 시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도시재생 및 정비사업 관련 법령들은 경제적 · 시대적 여건에 따라 단편적이고, 개별적으로 제정 ․ 통합되어 왔다.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사업의 중복과 각 개별법에 따른 산발적 사업추진으로 인한 원주민과의 마찰로 인한 사회적 비용증가, 사업의 비효율성과 일관성 부족, 타 사업과의 연계성 부족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제정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문제점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도시재생 특별법의 개선방안으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도시재생 특별법의 체계적 지위와 타 법률간의 연계성 확보가 필요하다. 이 법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 등 타 법령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와 관계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재원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 중앙정부차원의 예산과 기금이 확보되지 못한다면, 도시재생 특별법의 입법취지를 반영한 사업시행은 어려울 수 있다. 셋째, 도시재생지원센터와 주민참여 절차 규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도시재생지원센터 설치를 의무화하고, 전략계획수립권자가 독단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조례제정을 통한 지역차원의 역할과 지원이 필요하다. 도시재생사업의 전략적인 판단이나 중앙정부의 지원을 이끌어내는 역할 등 계획수립과 사업화 과정에 있어 체계적인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도시재생 특별법은 도시 쇠퇴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에 근거하여 기존의 정책과 사업, 행정조직, 지역산업 등을 장소중심으로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통합적이고 지속가능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The Urban Regeneration and Assistance Act」 was enacted on June 4, 2013 after a number of trials to institutionalize the laws. Laws on the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consist of 6 chapters and 34 clauses, and largely divided into urban regeneration organizational system, planning system, support and evaluation. The laws of urban renewal projects, currently under way in Korea, have partially or individually established and combin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times. This led to problems, from repetitions of unnecessary projects, inefficiency from sporadic promotions of projects under separate legislations to lack of consistency and relativity between projects.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presently legislated Laws on the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 Focusing on Systematic Legitimacy and Assistance, and to propose measures of improvement for the activation of urban regeneration. The idea is to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and the unity of various and sporadic urban spatial plans and other affiliated projects happening in a number of organizations, especially propulsion systems under each legislation, such as national plan, urban plan, improvement plan, development & promotion plan, and urban regeneration. In addition, the unity of all incentive regulations enacted in identified cost methods is needed. Laws on the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present a goal of location-specific integrated regeneration and materialize methods of implementation through systems, organizational, planning and supportive.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was institutionalized through a change of paradigm in urban policies, from development-oriented to management-oriented. For the policy to permanently settle in as a stable policy to materialize future urban pla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irm logical foundation followed by detailed operations with supportive systems of organization, planning, and support.

      • KCI등재

        갈등전환: 새로운 관점에 대한 논의

        김명환 ( Myeonghwan Kim ),은재호 ( Jaeho Eun ),김상묵 ( Sangmook Kim ),이승모 ( Seung-mo Lee ),김동현 ( Donghyun Kim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7 국가정책연구 Vol.31 No.4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의 갈등대응방식으로는 갈등의 원천적 해결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히려 갈등의 증폭, 장기화, 폭력화로 전개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갈등관리·갈등해소 관점에 대한 대안을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존 접근방식의 대안으로서 갈등전환(conflict transformation) 관점을 제시하고 학계의 관심과 논의를 촉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갈등전환의 개념 정의와 갈등관리·갈등해소 개념과의 비교를 통하여 갈등전환의 의미를 명확히 하였다. 이어 갈등전환 학자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인적, 관계, 구조 등 전환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하여 각각의 개념, 초점 및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갈등전환의 주요 측면을 고찰하고, 최근의 밀양 송전선로 건설 갈등, 제주해군기지 건설 갈등,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갈등 사례를 통하여 갈등전환의 적용가능성 여부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갈등전환 관점으로의 변화 필요성과 변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actual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Korea focuses too much on the short-term solution of conflict issues. It explains why it is often difficult to resolve the conflict at the level of its fundamental origin. Furthermore, that is a reason why some conflicts are amplified, prolonged, and transferred into violent solutions. This preliminary observation leads this study to suggest a relatively new approach in terms of conflict transformation for conflict resolution. This paper first defines the concept of conflict transformation in comparison with classical concepts of conflict management and conflict resolution. Second, it explains each concept, focus and contents of the three changes in conflict transformation such as transforming persons, relationships and structures. Third, after discussing the major issues in conflict transformation, it reviews its applicability in Korean context with applying this perspective into the recent serious conflict cases.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change in the perspective on how to deal with social conflic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