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Wiederverei nigungsszenarien

        Piederstorfer, Andreas 東亞大學校 獨逸學硏究所, 2010 獨逸學硏究 Vol.- No.26

        The scientific debate about the Korean reunification had slowed down considerably because predictions about the demise of North Korean regime have failed time and again. Also the enormous financial transfers between West and East Ge:rmany have made a Korean reunification less feasible in the eyes of many observers. Now, as the perpetual crisis between the two Koreas has entered another hot phase, the subject of reunification has gained urgency again. This publication looks at reunification scenarios and cost estimates provided by major studies of the Institute of Strategic Studies, the Rand-Corporation, Nomura Securities and Goldmann-Sachs. It points out overly optimistic assumptions that are based on the neglect of the ‘human factor' in the unification equations. The German experience has shown that the ‘wall in the heads of the people’ is much more persistent and consequential than its tangible counterpart. The studies - to varying degrees - tend to underestimate the criminal character of the North Korean regime which is pursuing the preservation of the current power structure at any cost, including the deaths of millions of its people. Hardly any scientific study deals with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equences of the German reunification: the shift to the left in German politics that has led to the unified Federal Republic being described as ‘GDR Light'. Considering the population numbers and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the North Korean populace this shift is likely to be much more serious in the case of Korea.

      • KCI등재

        Deutschland zwischen Nation und Europa

        Piederstorfer, Andreas 한국독일어문학회 2003 독일어문학 Vol.20 No.-

        21C를 열면서 독일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관건은 독일 국가의 독자적 모색 이론이다. 바이마르 국가 시대에는 많은 정당들의 독일 독자 노선 프로그램을 지향했다. 2차 세계대전 후에는 독일의 정책에서 독자 노선이냐 서방연합이냐 하는 것이 독일 국가 사회주의로 인한 나찌 유대학살의 결과를 경험했기 때문에 이들의 선택을 두고 가치평가에 대한 연구가 끊이지 않고 지속되어 왔다. 독일에서 정치적 권력을 통해 독일 국가주의를 지향하는 독자 노선 이론을 거부한 것이 50년 이상에 걸쳐서 지속되어 왔으며, 이것이 오늘날에 유럽과의 연합을 이루게 한 기초를 낳게 되었다. 그러나 유럽 연합은 미시적인 관점에서 독일 국가의 이익을 얻는 데는 상당한 걸림돌이 되어온 것도 사실이다. 통독 후 최근에는 유럽과 미국에서는 다시금 끔찍한 독선주의나 국가주의에로 선회하는 정책 경향이 있어서 이 문제는 더욱더 심각한 연구 분야로 간주된다. 본 논문은 독일에서 독자 노선을 위한 논쟁의 역사를 조명하고 이들의 전제조건이나 향후 추이를 전망한 것이다. 고로 본 논문은 서구에서의 독일의 독자 노선에 대한 당면한 논쟁을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의 논자는 이 논문의 끝에서 이러한 논쟁의 학문적 자료를 분석하여 기술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독일 정책에서 유럽의 테두리에서와 초 종교적인 차원에서 서방 연합과 독일 독자 노선 사이에서 가치를 비교 연구하고 있다.

      • KCI등재

        Studienreform in Deutschland als Modell fu¨r die Germanistik in Korea

        Piederstorfer, Andreas 한국독일어문학회 1999 독일어문학 Vol.10 No.-

        작금의 학부제 실시에 즈음하여 한국에서 독문학의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위기현상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독일에서는 이미 수년 전부터 독문학의 위기에 대한 예견과 그 해결을 위한 논증이 일어왔었으며 독일에서는 지난해부터는 대학에서의 수업형태에 대한 집중적인 토론을 시작하게 되었다. 많은 대학에서 총장들과 각 학과의 책임자들은 독문학의 위기에 대한 원인 분석과 그 해결을 위한 방안모색의 일환으로 교육과정을 개편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독일에서 이에 대한 많은 대학의 연구실례와 그 자료분석을 제시하고 한국에서 지향 가능한 방안들을 소개하는데 있다. 대학의 예는 본 논문의 목차에 있는 바와 같이 Dresden의 TU, Hildesheim대학, Zittau/Go¨rlitz대학, Osnabru¨ck대학, Ko¨ln대학, Zwickau대학, Kassel대학들의 예이다. 이들 대학의 교육과정의 특징은 국제화를 지향하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현재의 직업관계와 시간제계약 등의 노동계약과 전통적인 직업관과는 다른 다양한 직업 등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대학이 연구과정 지향이었던 과거 전총적인 교육과정과 졸업 후 직업준비를 위한 교육과정으로 2원화해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는 것과, 한국의 학부제가 각 전공간의 한계를 헐어 자유경쟁을 지향하는 데만 그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각 전공간의 상호 연계적인 교육과정을 형성하여 "Interdisciplinary"한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이다. 요컨대 외국의 자매학교와 전공강의에서 국제적 관계추진과 각종 회사와 연구소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한 교육, 정보기술을 위한 집중적인 교육, 더 많은 외국어 지식습득을 위한 집중적인 외국어교육, 구체적인 문화교류를 통한 선진문화 창달 등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이다.

      • Klimaskeptiker

        Piederstorfer, Andreas 東亞大學校 獨逸學硏究所, 2011 獨逸學硏究 Vol.- No.27

        Germany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environmentalism and is a technology leader at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energies. In the Federal Republic, theories of global warming had been widely accepted as proven beyond any doubt. Dissenters had been regarded as bad scientists or - worse - suspected to have been paid off by the industry. In the course of the last 5 years, this seemingly iron-clad consensus has weakened considerably. Germany has followed trends of public opinion evident in North America, Great Britain, and some emerging and developing nations, albeit to a lesser degree. This weakening seems to be a part of the receding allure of the ideologies of the 'generation of 68' that have dominated the political discourse in Germany for so long. The reunification, the crises of Europe and the Euro and other political projects have placed heavy tax loads place on the shoulders of German citizens and limited the leeway for further large scale financial transf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