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환자 간호실무 질 향상을 위한 근거중심 임상실무지침서의 개발

        박명화,Park, Myong-Hwa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09 중환자간호학회지 Vol.2 No.2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re designed to help healthcare practitioners evaluate and implement the increasing amount of evidence on best practice. Critical care area is one of the clinical sites where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s needed most. This paper reviewed the definition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e development method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the current trends in guideline developing. Traditional method of guideline development is consensus based but it moves into evidence based development. Evidence based guideline is based on best available evidence and uses the strongest method to determine its effect on clinical outcomes. The current trends in guidelines is to develop the guideline at regional/national level and do subsequent modification to suit local circumstances. There is an urgent need of exploring the method of guideline development and adaptation which are appropriate for Korean clinical setting.

      •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The Transition from In-Home Care to Institutional Car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US

        박명화(Park Myong Hwa),박정숙(Park Jeong Sook),김정남(Kim Chung Nam),박경민(Park Kyung Min),권상민(Kwon Sang Min)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4 계명간호과학 Vol.8 No.1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간호 부담의 증가와 더불어 국내에서도 치매노인의 장기간호 시설 입원이 서구사회와 같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을 돌보는 데 있어 가족의 역할을 중요시해온 한국의 전통적 가치관에 비추어 볼 때 최근의 사회적 변화로 인한 가족 간호의 역할 감소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찍이 치매노인환자의 장기간호 시설로의 입원이 보편화된 미국의 치매환자 가족의 가정에서 시설로의 간호의 전환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상황에서 의 관련 연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치매환자의 장기 간호시설 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기간호시설로의 입원결정과 관련된 가족의 경험, 시설 입원 후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및 만족도, 가족의 환자 간호에의 계속적인 참여경험 및 관련 질적 연구에 대한 문헌이 고찰 및 분석되었다. 문헌고찰의 결과로서 한국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1) 한국 사회에서 치매환자의 실제 장기 간호 시설 입원률과 현황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치매환자의 장기 시설 입원을 촉진시키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3) 치매환자를 장기 간호 시설로 입원시키는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 가정에서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과 시설 입원 가족의 부담감과 만족도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5) 시설로의 입원이 치매노인 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반응성애착장애아의 가족 맥락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박명화 ( Myong Hwa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반응성애착장애아의 가족맥락적 특성 중 어머니의 내적실행모델과 심리적 특성 및 부부관련 특성과 사회적 지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반응성애착장애로 진단된 만 3세에서 만 6세까지 유아의 어머니 19명이었으며, 어머니의 내적실행모델은 성인애착면접지(AAI)를 이용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면접을 실시하였고, 심리적 특성과 부부관련 특성 및 사회적 지지는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내적실행모델 유형은 비일관적이며 양가감정을 보이는 유형이 47.37%로 가장 많았고, 안정 유형과 불안정 유형으로 대별해 보면 불안정 유형은 84.21%로 안정 유형 15.79%보다 더 많았다.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모두 낮은 점수를 획득하였으며, 부부관련 특성은 결혼만족도와 남편의 양육참여는 낮고 부부갈등은 높아 부정적인 특성을 나타내었다. 사회적 지지는 하위요인별로 보면 도구적지지,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여가적 지지가 모두 낮았다. 반응성애착장애가 병리적인 양육 환경에 의해 발생하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일관성 있는 양육환경을 위해 사회적 지지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cial support and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rital relationship in characteristics of family context of RAD(Reactive Attachment Disorder) children. The subjects were 19 mothers with RAD children aged 3-6. AAI(Adult Attachment Interview) was used to analysis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of relationship.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Check-list was used to assess social support and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rital relationshi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st of insecure-pattern was inconsistent/constracted pattern(47.37%).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were founded more insecure-pattern(84.21%) than secure-pattern(15.79%).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rital relationship were negative. Also, mother`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was nega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ggest needs of social support for family with RAD children.

      • KCI등재

        모 애착강화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이 반응성애착장애 아동의 발달 및 자폐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박명화 ( Myong Hwa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반응성애착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 애착강화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을 중재하여 반응성애착장애 아동의 발달 및 자폐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모 애착강화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은 1차적으로 4세 7개월의 반응성애착장애아의 모에게 실시되어 효과를 입증한 바 있는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서는 4세 11개월 된 반응성애착장애 남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 애착강화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머니에 대한 정서적 지원과 긍정적인 어머니-아동 간의 상호작용기술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 1회 60분간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 애착강화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상호작용 기술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모 애착강화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은 반응성애착장애 아동의 발달 및 자폐적 특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응성애착장애 아동의 발달 및 자폐적 특성를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mother`s attachment empowering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 on developmental and autist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boy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ged 4 and his mother. The mother`s attachment empowering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 consisted of emotional support for mother and mother-child interaction skills. The intervention implemented each session for 60minutes once a week over 12 s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attachment empowering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 was effective on positive changes of RAD child`s development. Second, the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decreasing autistic characteristics of RAD child. This study will give implications on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program for children with

      • KCI등재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협력적 자문 효과

        박명화(Park, Myong-Hwa)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개별 지원을 필요로 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교사들이 정서․행동문제를 예방하고 바람직한 대체행동을 지도할 수 있도록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협력적 자문을 제공하여 그 효과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Y시에 있는 유치원 1곳과 어린이집 23곳에 다니는 유아 48명과 담임교사 4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의 기능은 보상변인이 가장 높았고 외현화된 정서․행동문제로 표출되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들의 외현화된 정서․행동문제에 대해 부정적 반응전략을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였는데 긍정적 행동지원 자문 이후 긍정적 반응전략을 가장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유아들의 내재화된 정서․행동문제에 대해서는 긍정적 반응전략을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였는데 긍정적 행동지원 자문 이후 긍정적 예방전략Ⅰ을 가장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행동문제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협력적 자문의 효과를 입증하고 그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ooperative advisory for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help teachers prevent emotional and behavioral issues and guide desirable alternative actions for infants who need individual support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is study involved 48 infants and 48 teachers attending one kindergarten and 23 daycare centers in Y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unction of the infant 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as expressed as an out-of-the-box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with the highest compensation variable. Second, teachers most frequently used negative response strategies for the out-of-the-box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infants, which changed to the most frequent use of positive response strategies after positive behavior support advice. Positive response strategies were used most frequently for internaliz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infants, and positive prevention strategies I were changed to the most frequent use after positive behavior support advice.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advice on positive action support at individual levels and confirmed its need to prevent and manag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infants.

      • KCI등재

        외현화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의 교우관계와 사회적기술 향상을 위한 분노관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박명화 ( Myong Hwa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외현화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의 교우관계와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해 분노관리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그 효과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외현화 행동문제를 가진 초등학교 1∼3학년 남아 33명과 여아 8명, 총 41명이었으며, K-CBCL 검사를 사용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노관리 프로그램은 게임놀이치료적 접근, 사회적 기술훈련 접근, 심리치료적 접근을 포함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주1회 각 학년별로 매 회기 50분간 12주에 걸쳐 총 12회기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분노관리 프로그램이 외현화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들의 외현화 행동문제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분노조절능력과 교우관계 및 사회적 기술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의 가해학생의 대다수가 외현화된 행동문제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외현화된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들을 대상으로 분노관리 프로그램이 조기에 중재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develop anger management program for enhancement of peer relationship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The subjects were 41children with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selected 33 boys and 8 girls in their first-thir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These children were selected by K-CBCL. The anger management program included game-play therapeutic approach, social skills training approach and psychotherapeutic approach. The anger management program was conducted a total 12 session, once a week. One session was about 50 minutes for each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of the subjects were decreas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peer relationship ability, social skills and anger management ability of the subjects were enhanc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nger management program have to implement children with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in early stages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Because many studies reported that students offered school violence are having characters of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서ㆍ행동장애학생 교육과 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한 과제 및 전망

        박명화 ( Park Myong Hwa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정서ㆍ행동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 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교육과 지원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고 도출된 문제의 해결을 위한 과제 제안을 통해 정서ㆍ행동장애학생의 교육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ㆍ행동문제를 가진학생 수는 크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는 정서ㆍ행동장애 학생 수는 감소하고 있다. 이는 장애 표찰이라는 낙인효과로 인한 진단기피, 진단기준의 모호함, 학생정서ㆍ행동특성검사의 우선관리군 학생들에 대한 특수교육대상 진단의 음성오류 내지 누락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아울러 정서ㆍ행동장애 명칭, 사회ㆍ문화적 요인 등을 고려한 진단기준 및 진단도구, 진단과정의 자기보고 추가, 주기적인 재평가를 통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간의 수평적 이동을 과제로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적 배치의 문제는 정서행동장애의 90%가 통합교육을 받고 있으므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공동책무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전문성 신장 문제로 공동책무성을 다하기 위해 교사양성과정과 재교육과정에 정서ㆍ행동문제에 대한 행동지원은 물론 학업지도에 대한 교육의 보급ㆍ확대를 제안하였다. 넷째, 지원서비스의 문제는 보건의료행위인 치료지원은 특수교육법에, 교육 및 발달적 지원인 발달재활서비스는 아동복지지원법에 명시되어 있는데 법체계의 재정비를 통해 지원영역 및 지원경로를 개선하고 정서ㆍ행동장애학생의 지원 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to propos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by suggesting task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number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ho are selected for special education has decreased. This point was pointed out to the problem of the voice error or omission of the diagnosi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the priority management group of the diagnosis avoidance, the ambiguity of the diagnostic standard, and the studen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est. In addition, I proposed th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through self-report addition of diagnosis criteria and diagnostic tool considering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nam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periodic reevaluation. Second, the problem of educational placement is that 90% of the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are integrated education, so they proposed the joint responsibility of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Third, in order to fulfill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due to the problem of specialization of the special teacher and the general teacher, it suggested the support for the behavior of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the retraining course as well as the dissemination and expansion of education instruction. Fourth, problems of support services are defined as special education law for health care, support for educ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for children is defined in the Child Welfare Assistance Law.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legal system, Suggesting ways to expand the support of students with behavioral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